KR19990068611A - Getting on and off apparatus for container - Google Patents

Getting on and off apparatus for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611A
KR19990068611A KR1019990020858A KR19990020858A KR19990068611A KR 19990068611 A KR19990068611 A KR 19990068611A KR 1019990020858 A KR1019990020858 A KR 1019990020858A KR 19990020858 A KR19990020858 A KR 19990020858A KR 19990068611 A KR19990068611 A KR 19990068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gear
fixed
container
inner pip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8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정식
Original Assignee
최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식 filed Critical 최정식
Priority to KR1019990020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8611A/en
Publication of KR19990068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611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9Transporter fram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테이너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콘테이너를 차량에 상.하차시키기 위해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므로 하역시 차량이 상시 대기해 있어야만 되고, 이로인해 차량 활용의 효율성 저하와 함께 사용의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lifting device. Conventionally, since a separate equipment such as a crane is required to load and unload a container to a vehicle, the vehicle must be constantly standing at the time of unloading,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use of the vehicle is reduced and the efficiency of use is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은 수개의 지지대(11)를 콘테이너(100A)에 상응하는 크기로 수평 연결하여 형성되고, 전.후방 양측에 렌딩기어(2)가 수용되는 공간부(12)가 형성되며, 선단 및 후단부 지지대(11)의 양측에는 트위스트 로크핀(13)이 구비된 프레임부(1)와;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horizontally connecting several supports 11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ontainer 100A, the space portion 12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both sides of the landing gear 2 is formed, the front end and Frame parts 1 provided with twist lock pins 13 at both sides of the rear end support 11;

상기 렌딩기어(2)에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의 타측부는 고정브라켓트(32)로 프레임부(1)에 회전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 및 고정되는 렌딩기어 장착부(3)와;One end of the slide inner pipe 31 is fixed to the landing gear 2,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e inner pipe 31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frame part 1 by a fixing bracket 32 so as to be rotatable and slidable. A landing gear mounting portion 3;

상기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의 타측부 외측에 슬라이드 외측파이프(41)가 삽입되고, 그 삽입방향의 반대측 슬라이드 외측파이프(41)의 단부측에는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의 타측 단부에 고정된 각봉(42)과 대응되는 수용홈(44A)을 갖는 회전방지구(44)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방지구(44)의 일측부는 프레임부(1)에 고정된 스토퍼부(4)와;A slide outer pipe 41 is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lide inner pipe 31, and an end of the slide outer pipe 41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e inner pipe 31. A stopper part 44 having a receiving groove 44A corresponding to 42 is fixed, and one side of the stopper part 44 includes a stopper part 4 fixed to the frame part 1;

상기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의 내부를 관통하는 식으로 연결파이프(51)(52)의 일측단이 좌.우측 렌딩기어(2)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연결파이프(51)(52)의 타측단에는 각각 사각의 연결관(53)(53A)이 상호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식으로 구비된 연동부(5)로 구성됨으로써 하역시 차량이 상시 대기하지 않고서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활용의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One end of the connecting pipes 51 and 52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landing gears 2 in a manner that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slide inner pipe 31, and the other of the connecting pipes 51 and 52. The side end is composed of a linking portion 5 provided in such a way that each of the square connecting pipes 53 and 53A is slidably inserted into each other,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made without the vehicle standing by at the time of unloading as well as the vehicle utilization. It will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또한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콘테이너의 상.하차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렌딩기어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렌딩기어의 돌출로 인해 교통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In addition, since a separate equipment such as a crane is not required,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 of the container can be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since the landing gear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the landing gear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risk of a traffic accident due to the protrusion of the landing gear.

Description

콘테이너 승강장치{GETTING ON AND OFF APPARATUS FOR CONTAINER}Container Lifting Device {GETTING ON AND OFF APPARATUS FOR CONTAINER}

본 발명은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없이도 콘테이너를 일반 화물트럭에 상.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한 콘테이너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elevating device that allows a container to be loaded and unloaded on a general cargo truck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such as a crane.

일반적으로 콘테이너는 트레일러에 적재되어 트럭의 견인에 의해서 운반되고, 상.하차시에는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운반후 내부 화물의 하역시에는 트레일러에 적재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상기 트레일러를 견인하는 트럭은 하역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In general, the container is loaded on the trailer and transported by the towing of the truck, and when loading and unloading is made by separate equipment such as a crane. In addition, when the internal cargo is unloaded after transport, the work is made in a state loaded on a trailer, and the truck towing the trailer waits until the unloading work is complet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콘테이너 상.하차 방식은 상기한 바와 같이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므로 그러한 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는 콘테이너의 상.하차가 이루어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운반후 하역시에는 콘테이너가 적재된 트레일러를 견인하는 트럭이 상시 대기해야만 되므로 차량 활용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container loading / unloading method requires a separate equipment such as a crane as described above, so that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container is not possible where such equipment is not installed, and the container is loaded during unloading after transportation. Since the truck towing the trailer has to wait alway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vehicle utilization is reduced.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에 콘테이너를 상.하차시키기 위해서는 크레인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므로 콘테이너의 상.하차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eparate equipment such as a crane is required to load and unload the container to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only easy to unload and unload the container, but also has the problem of causing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이에 따라 근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콘테이너에 렌딩기어를 부착시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도로교통법 상에 위배될 뿐만 아니라 렌딩기어의 돌출로 인해 교통사고의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case in which a landing gear is attached to a container, but this is not only in violation of the road traffic law, but also causes a risk of a traffic accident due to the protrusion of the landing gear. There wa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과 콘테이너를 보조장비없이 자체 장비로만으로 분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에서 콘테이너의 상.하차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콘테이너 외부로 렌딩기어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vehicle and the container to be separated and used only as its own equipment without auxiliary equipmen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easier loading and unloading of containers in a vehicl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landing gear from protruding out of the container.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개의 지지대를 콘테이너에 상응하는 크기로 수평 연결하여 형성되고, 전.후방 양측에 렌딩기어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선단 및 후단부 지지대의 양측에는 트위스트 로크핀이 구비된 프레임부와; 상기 렌딩기어에 슬라이드 인너파이프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 인너파이프의 타측부는 고정브라켓트로 프레임부에 회전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 및 고정되는 렌딩기어 장착부와; 상기 슬라이드 인너파이프의 타측부 외측에 슬라이드 아웃파이프가 삽입되고, 그 삽입방향의 반대측 슬라이드 아웃파이프의 단부측에는 슬라이드 인너파이프의 타측 단부에 고정된 각봉과 대응되는 수용홈을 갖는 회전방지구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방지구의 일측부는 프레임부에 고정된 스토퍼부와; 상기 인너파이프의 내부를 관통하는 식으로 연결파이프의 일측단이 좌.우측 렌딩기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연결파이프의 타측단에는 각각 사각의 연결관이 상호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식으로 구비된 연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콘테이너 승강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horizontally connecting a number of supports to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container, the space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receiving gears on both sides, the twist lock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end support A frame part provided with a pin; One end of a slide inner pipe fixed to the landing gear,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e inner pipe is a landing gear mounting part rotatably supported and fixed to a frame part by a fixing bracket; A slide out pipe is inserted outside the other side of the slide inner pipe, and an anti-rotation tool having an accommodating groove corresponding to each bar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e inner pipe is fixed to an end side of the slide out pipe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A stopper part fixed to the frame part; One end of the connecting pipe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landing gears in such a manner that it penetrates the inner pipe,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is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ectangular connecting tubes are slidably inserted into each other.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elevating device comprising a portion.

또한 상기 각봉 및 회전방지구의 수용홈은 사각 형태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렌딩기어는 공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 인입출되고,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한 전동기구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grooves of the angle bar and the rotation preven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quare shape. And the landing gea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drawn out by the operation of the pneumatic cylinder, and rotated by an electric mechanism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상기 렌딩기어는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 인입출되고,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한 전동기구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파이프와 연결관은 기어 맞물림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anding gea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drawn out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and to be rotated by an electric mechanism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he connection pipe and the connection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by gear engag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렌딩기어 장착부 및 스토퍼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anding gear mounting portion and the stoppe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연동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terlock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보인 것으로서,4a to 5b show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렌딩기어가 접혀진 상태를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4A and 4B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folding gears in a folded state.

도 5b는 렌딩기어가 인출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Figure 5b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nding gear is drawn out.

도 5c는 렌딩기어를 펼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Figure 5c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nding gear is unfolded.

도 6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6 to 8b illustrate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일반 화물트럭에 콘테이너와 함께 적재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loaded with a container in a general cargo truck.

도 7a 및 도 7b는 일반 화물트럭에서 콘테이너를 분리시키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7a and 7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general cargo truck

및 측면도.And side view.

도 8a 및 도 8b는 일반 화물트럭에서 콘테이너를 하차시킨 상태를 보인 정면도 및8a and 8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ontainer unloaded in the general cargo truck and

측면도.Side view.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프레임부 2:렌딩기어1: Frame part 2: Landing gear

3:렌딩기어 장착부 4:스토퍼부3: Landing gear mounting part 4: Stopper part

5:연동부 11:지지대5: linkage 11: support

12:공간부 13:트위스트 로크핀12: Space 13: Twist lock pin

31:슬라이드 내측파이프 32:고정브라켓트31: Slide inner pipe 32: Fixed bracket

41:슬라이드 외측파이프 42:각봉41: Slide outside pipe 42: Square rod

43:회전방지구 44:수용홈43: rotation prevention 44: receiving groove

51,52:연결파이프 51A,52A:걸림돌기51, 52: Connecting pipe 51A, 52A: Jamming protrusion

53:연결관 53A:슬라이드공53: connector 53A: slide ball

100:차량 100A:콘테이너100: vehicle 100A: contain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테이너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프레임부(1)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부(1)는 수개의 지지대(11)를 동일 수평면 상으로 연결하여서 된 것으로, 전.후방 양측에는 렌딩기어(2)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12)가 형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rame portion 1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ontainer. The frame part 1 is formed by connecting several supports 11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and space parts 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to accommodate the landing gear 2.

또한 선단 및 후단측 지지대(11)의 양측에는 콘테이너와 결합될 수 있게 트위스트 로크핀(13)이 설치된다. 상기 트위스트 로크핀(13)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에 핸들(13A)이 트위스트 식으로 휘어진 형태로 설치된 것으로, 콘테이너의 밑면 각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로킹구멍(도시되지 않음)에 끼워져 결합된다.In addition, the twist lock pin 13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end support 11 to be coupled to the container.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the twist lock pin 13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twisted handle 13A at the lower side, and is fitted into a locking hole (not shown)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do.

이와함께 렌딩기어(2)를 프레임부(1)의 공간부(12)에 회전 및 슬라이드 식의 인입출이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렌딩기어 장착부(3)가 구비되고, 이의 후방측에는 상기 렌딩기어(2)의 인출량 및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4) 사이에는 좌.우 렌딩기어(2)가 함께 동작될 수 있도록 연동부(5)가 구비된다.At the same time, a gearing gear mounting part 3 is provided to install the gearing gear 2 in the space part 12 of the frame part 1 in such a manner as to be rotatable and slide-out, and at the rear side thereof, the gearing gear ( The stopper part 4 which limits the amount of drawing and rotation of 2) is provided. An interlocking portion 5 is provided between the stopper portions 4 so that the left and right landing gears 2 can be operated together.

도 2는 본 발명의 렌딩기어 장착부 및 스토퍼부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렌딩기어 장착부(3)는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의 일단을 렌딩기어(2)에 고정시키고, 상기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의 타측부는 프레임부(1)의 지지대(11)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32)에 의해서 지지 및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브라켓트(32)을 관통하는 식으로 삽입 설치된다.Figure 2 shows the structure of the landing gear mounting portion and th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landing gear mounting portion 3 fixes one end of the slide inner pipe 31 to the landing gear 2, the slide inner pipe 31 The other side of the structure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and fixed by the fixing bracket 32 fixed to the support 11 of the frame portion 1, i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such a way to penetrate the fixing bracket (32).

또한 상기 스토퍼부(4)는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의 타측부 외측에 슬라이드 외측파이프(41)가 삽입되고, 상기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의 타측 단부에는 사각 형태의 각봉(42)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외측파이프(41)의 일측부, 즉 고정브라켓트(32) 위치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각봉(42)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44A)을 갖는 회전방지구(44)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방지구(44)의 수용홈(44A)은 각봉(42)과 마찬가지로 사각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고, 프레임부(1)의 지지대(11)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stopper part 4 has a slide outer pipe 41 is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lide inner pipe 31, the square rod 42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e inner pipe 31. . And at one side of the slide outer pipe (41), that is, the other end of the fixed bracket 32 position is provided with a rotation preventing tool 44 having a receiving groove (44A) for accommodating the angular bar (42). 44A of receiving grooves of the anti-rotation tool 44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groove like the rod 42, and are fixed to the support 11 of the frame part 1.

이를 좀더 부가 설명하면, 렌딩기어(2)의 인출시 상기 렌딩기어(2)에 일측단이 고정된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가 렌딩기어(2)와 함께 인출방향으로 인출되도록 구성하고, 이와함께 상기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의 타측단에 고정된 각봉(42)도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방지구(44)의 수용홈(44A)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렌딩기어(2)의 인출 및 회전을 저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In further detail, when the drawing gear 2 is drawn out, the slide inner pipe 31 having one end fixed to the landing gear 2 is drawn out along with the landing gear 2 in the drawing direction. The bar 42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e inner pipe 31 is also moved together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44A of the rotation preventing member 44 to prevent the drawing gear 2 from being pulled out and rotated. It is configured to be.

즉, 상기 회전방지구(44)와 각봉(42)의 최초 위치 사이의 거리가 50cm라 하면, 그 50cm 전 까지의 이동범위에서는 회전 및 인출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각봉(42)의 회전방지구(44)의 수용홈(44A)에 수용되는 시점부터 걸림으로 렌딩기어(2)의 인출 및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at is, if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al stop 44 an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angle bar 42 is 50cm, in the movement range up to 50cm before rotation and withdrawal can be made freely, the rotation of the angle bar 42 It is configured to limit the withdrawal and rotation of the landing gear (2) by the locking from the time poin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44A) of the prevention tool (44).

그리고 이러한 상기 렌딩기어(2)의 인입출 및 회전은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 전동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And the drawing out and the rotation of the landing gear 2 can be made by a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 a transmission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연동부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동부(5)는 렌딩기어(2)에 일단이 고정된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를 관통하는 식으로 연결파이프(51)(52)가 좌.우측 렌딩기어(2)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파이프(51)(52)의 각 타측단에는 연결관(53)(53A)이 상호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식으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관(53)(53A)은 사각관체로서, 연결관(53)은 연결관(53A)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연결관(53)에 연결관(53A)이 삽입되는 식으로 구비되어 상호 걸림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linka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linkage portion 5 penetrates the slide inner pipe 31 having one end fixed to the landing gear 2. One end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landing gear 2,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ng pipes 53 and 53A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other ends of the connecting pipes 51 and 52, respectively. It is provided with. The connecting pipes 53 and 53A are rectangular pipes, and the connecting pipes 53 are larger in diameter than the connecting pipes 53A, and the connecting pipes 53A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pes 53 so that the connecting pipes 53A and 53A are inserted into each other. It is configured to be linked to the jam.

도 4a 및 도 4b는 렌딩기어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프레임부(1)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공간부(12)에 렌딩기어(2)가 접혀진 상태로 수용된다.4A and 4B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landing gear is folded, and the landing gear 2 is received in the folded state in the space 12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rame part 1.

도 5a 및 도 5b는 렌딩기어가 인출 및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동 또는 공압 및 유압에 의한 당김력으로 상기 렌딩기어(2)는 인출되고, 다시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를 중심으로 90도 회전되어 펼쳐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렌딩기어(2)를 조작하게 되면 프레임부(1)는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5A and 5B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landing gear is drawn out and rotated, and the landing gear 2 is drawn out by pulling force by manual or pneumatic and hydraulic pressure, and then the 90 is centered on the slide inner pipe 31. Also rotated and unfolded. In this state, when the landing gear 2 is operated, the frame part 1 moves up and down.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콘테이너(100A)와 결합된 상태로 일반 화물트럭과 같은 차량(100)에 적재된다. 이러한 상태로 화물을 운반한 뒤, 콘테이너(100A)를 하차시킬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렌딩기어(2)를 인출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렌딩기어(2)의 조작으로 프레임부(1)를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콘테이너(100A)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에서 분리되고, 차량(100)은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6 is a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loaded on a vehicle 100 such as a general cargo truck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a container 100A. After transporting the cargo in such a state, when the container 100A is unloaded, the landing gear 2 is pulled out and rota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frame part 1 is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landing gear 2. . Accordingly, the container 100A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100 as shown in FIGS. 7A and 7B, and the vehicle 100 may be used for other purposes.

그리고 콘테이너(100A)는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대기하면서 내부의 화물을 하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콘테이너(100A)를 다시 차량에 적재시킬 때에는 상기한 순서의 역순으로 행함으로써 콘테이너(100A)를 다시 차량(100)에 적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nd the container (100A) is to be able to unload the cargo while waiting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s 8a and 8b. 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100A is loaded on the vehicle again, the container 100A can be loaded on the vehicle 100 again by performing the reverse ord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역시 차량이 상시 대기하지 않고서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 활용의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없이도 콘테이너의 상.하차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작업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화물트럭에도 사용할 수 있어 비용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렌딩기어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렌딩기어의 돌출로 인한 교통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even when the vehicle is unloaded at the time of unloading,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vehicle utilization. In addition, the container can be easily loaded and unloaded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such as a crane, which not only increases work convenience, but also can be used for general cargo trucks, thereby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due to cost reduction. There is. And since the landing gear is not protruded to the outside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due to the protrusion of the landing gear.

Claims (4)

수개의 지지대(11)를 콘테이너(100A)에 상응하는 크기로 수평 연결하여 형성되고, 전.후방 양측에 렌딩기어(2)가 수용되는 공간부(12)가 형성되며, 선단 및 후단부 지지대(11)의 양측에는 트위스트 로크핀(13)이 구비된 프레임부(1)와;It is formed by horizontally connecting several supports 11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ontainer (100A), the space portion 1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accommodating the landing gear (2), the front and rear end support ( 11, the frame portion (1) having a twist lock pin (13) on both sides; 상기 렌딩기어(2)에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의 타측부는 고정브라켓트(32)로 프레임부(1)에 회전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 및 고정되는 렌딩기어 장착부(3)와;One end of the slide inner pipe 31 is fixed to the landing gear 2,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e inner pipe 31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frame part 1 by a fixing bracket 32 so as to be rotatable and slidable. A landing gear mounting portion 3; 상기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의 타측부 외측에 슬라이드 외측파이프(41)가 삽입되고, 그 삽입방향의 반대측 슬라이드 외측파이프(41)의 단부측에는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의 타측 단부에 고정된 각봉(42)과 대응되는 수용홈(44A)을 갖는 회전방지구(44)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방지구(44)의 일측부는 프레임부(1)에 고정된 스토퍼부(4)와;A slide outer pipe 41 is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lide inner pipe 31, and an end of the slide outer pipe 41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e inner pipe 31. A stopper part 44 having a receiving groove 44A corresponding to 42 is fixed, and one side of the stopper part 44 includes a stopper part 4 fixed to the frame part 1; 상기 슬라이드 내측파이프(31)의 내부를 관통하는 식으로 연결파이프(51)(52)의 일측단이 좌.우측 렌딩기어(2)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연결파이프(51)(52)의 타측단에는 각각 사각의 연결관(53)(53A)이 상호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식으로 구비된 연동부(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콘테이너 승강장치.One end of the connecting pipes 51 and 52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landing gears 2 in a manner that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slide inner pipe 31, and the other of the connecting pipes 51 and 52. Container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end is composed of a linking portion (5) provided in such a way that each of the connecting pipes (53) (53A) are slidably inserted in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봉(42) 및 회전방지구(44)의 수용홈(44A)은 사각 형태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콘테이너 승강장치.The container elev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commodating grooves (44A) of the angular bar (42) and the rotation preventing tool (44) are formed in a squar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딩기어(2)는 공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 인입출 및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콘테이너 승강장치.The container lif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nding gear (2) is configured to be withdrawn and rotated by operation of a pneumatic cylin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딩기어(2)는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 인입출 및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콘테이너 승강장치.The container lif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nding gear (2) is configured to be withdrawn and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KR1019990020858A 1999-06-05 1999-06-05 Getting on and off apparatus for container KR199900686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858A KR19990068611A (en) 1999-06-05 1999-06-05 Getting on and off apparatus for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858A KR19990068611A (en) 1999-06-05 1999-06-05 Getting on and off apparatus for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611A true KR19990068611A (en) 1999-09-06

Family

ID=5477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858A KR19990068611A (en) 1999-06-05 1999-06-05 Getting on and off apparatus for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861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969B1 (en) * 2017-01-26 2018-06-11 주식회사 준마 Self standing containe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969B1 (en) * 2017-01-26 2018-06-11 주식회사 준마 Self standing containe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0088B1 (en) Chassis conversion device
US6450522B1 (en) Transporting vehicle
US4648764A (en) Portable stacking containers locking device
CN206384597U (en) Transport vehicle frame
US7722101B2 (en) Cargo shipping container spreader and method
US5284266A (en) Structure such as a container or mobile shelter
US4784547A (en) Cargo restraining device for a vehicle
EP3805130A1 (en) Cargo container
JP5085989B2 (en) Container-loading semi-trailer
KR19990068611A (en) Getting on and off apparatus for container
CN110884517B (en) Container locking device and piggyback transport vehicle
US4574937A (en) Guide and hand rail with latch
US20100135756A1 (en) System for lifting and stowing a vehicle
US5186598A (en) Retractable arm loading/unloading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EP063430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lifting containers onto and from vehicles
CN107472721B (en) Folding container
CN110435523B (en) Platform transport vehicle
US3718221A (en) Load transfer mechanism
EP4335696A1 (en) A locking assembly
CN216128311U (en) Carrier and folding handle thereof
KR100424976B1 (en) Freight movement assembly of Truck cargo box
WO2008010999A2 (en) Cargo shipping container spreader and method
KR200373390Y1 (en) A wing body trailer for having a up-down lifting system
KR101022827B1 (en) Folding type landing apparatus for semi-trailer
KR102411165B1 (en) Anti-jiggling device for container in PLS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