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7966A - Proces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op stitch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apparatus for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 - Google Patents

Proces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op stitch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apparatus for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966A
KR19990067966A KR1019990001377A KR19990001377A KR19990067966A KR 19990067966 A KR19990067966 A KR 19990067966A KR 1019990001377 A KR1019990001377 A KR 1019990001377A KR 19990001377 A KR19990001377 A KR 19990001377A KR 19990067966 A KR19990067966 A KR 19990067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electric
image
circular knitting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17572B1 (en
Inventor
가와무라사다오
이시이아끼라
와다다까히로
후끼쯔게다꾸야
다께우찌유시
Original Assignee
오찌 나오마사
가부시끼가이샤 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2262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83567B2/en
Priority claimed from JP02373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83568B2/en
Application filed by 오찌 나오마사, 가부시끼가이샤 단 filed Critical 오찌 나오마사
Publication of KR19990067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9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572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narrowing or widening; with reciprocatory action, e.g. for knitting of flat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2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defects, e.g. holes, in knitt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환편옷감에 형성된 사뜨는 코 한 코 한 코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가 있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및 환편옷감용 사뜨는 코 검출장치 및 환편옷감용 링킹장치를 제공한다.Provided are a method for detecting a knitting nose of a circular knitting cloth, a knitting nose detecting device for a circular knitting cloth, and a linking device for a circular knitting cloth, which can automatically detect a cutting nose formed in a circular knitting cloth.

본 발명에 관계되는 코 검출방법은,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체(揷通體)를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킨다. 그리고,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多階調畵像)을 촬상(撮像)한다. 또한,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한다.The nose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e circular knitting cloth by inserting an insertion body into the circular knitting cloth having a crocheting nose. And a multi-tone image including the image of the crocheted nose of the electric circular knitting cloth extended by the insertion cylinder is imaged.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nose to be cut is detected by image processing the multi-tone image.

또한, 이 발명에 관계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는,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키는 삽통체와,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사뜨는 코 검출수단을 갖는다.Moreover, the knitting nose detection apparatus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ircular knitting fabric which has a knitting nose, and extends the circular knitting cloth, and the cutting of the electrical circular knitting cloth extended by the insertion cylinder. Image pickup means for picking up a multi-gradation image including an image of a nose, and cutting nos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cutting nose by image processing the multi-gradation image.

또한, 이 발명에 관계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는,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키는 삽통체와,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사뜨는 코 검출수단과, 사뜨는 코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 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과, 각 사뜨는 코에 전기 포인트 바늘을 자통(자통)하는 수단과, 포인트 바늘을 자통한 사뜨는 코를 링킹하기 위한 미싱기구을 갖는다.Moreover, the link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fabric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n insertion body which inserts inside the circular knitting cloth which has a knitting nose, and extends a circular knitting cloth, and the image of the knitting nose of the electrical circular knitting cloth extended by the cutting body. Image pickup means for picking up a multi-gradation image comprising: a cutting nos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cutting nose by image processing the multi-gradation image; and a cutting nose detected by the cutting nose detection means. A means for matching the point needle to a position, a means for pinching an electric point needle to each crocheted nose, and a sewing machine for linking the crocheted nose through the point needle.

Description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및 환편옷감용 사뜨는 코 검출장치 및 환편옷감용 링킹장치{PROCES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OP STITCH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APPARATUS FOR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PROTES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OP STITCH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APPARATUS FOR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

이 발명은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및 환편옷감용 사뜨는 코 검출장치 및 환편옷감용 링킹장치에 관하여, 특히 예컨대, 환편옷감에 형성된 사뜨는 코 한코 한코의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가 있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및 환편옷감용 사뜨는 코 검출장치 및 환편옷감용 링킹장치에 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a knitting nose of a circular knitting cloth, a knitting nose detecting device for a circular knitting cloth, and a linking device for a circular knitting cloth, and particularly, for example, the position of a cutting nose Hanko Hanko formed on a circular knitting cloth can be accurately detec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itting nose detection method for circular knitting cloth, and a knitting nose detect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cloth and a link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cloth.

종래로부터, 니트제품의 소재가 되는 뜨는 옷감에는, 뜨는 코를 링킹할 때에 제품이 기정(旣定)한 사이즈, 형상으로 바르게 링킹되도록, 링킹되어야 하는 뜨는 코로서, 다른 뜨는 코보다 약간 크게 편성하는 것에 의해 뜨는 코의 코 부분을 크게 형성한, 사뜨는 코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링킹을 행할 때에는, 작업자가 뜨는 옷감을 손으로 잡아 당겨 펴서, 뜨는 옷감을 틈을 만들어 보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를 발견하여, 링킹장치의 포인트 바늘을 손작업으로 사뜨는 코에 자통하여 세트한 후, 재봉틀질을 행하여 링킹하고 있었다. 이 작업은 환편옷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행하여져, 우선, 작업자가 환편옷감의 개방부분에 양손을 넣어 환편옷감을 잡아 당겨 펴고, 작업자가 보아 안쪽의 뜨는 옷감을 틈을 만들어 보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를 발견하고, 링킹장치의 포인트 바늘을 사뜨는 코에 자통하여 세트한 후, 자기 앞쪽의 뜨는 옷감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작업을 행하여, 링킹되는 사뜨는 코 끼리의 위치를 일치시켜 포인트 바늘에 세트하여, 재봉틀질을 행하여 링킹하고 있었다.Conventionally, the floating cloth which is the material of a knitted product is a floating nose which should be linked so that a product may link correctly to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when linking a floating nose, and it knits slightly larger than another floating nose. The stuffy nose which formed the nose part of the floating nose large by this is formed. Then, when linking, the worker pulls out the floating fabric by hand, finds the nose to be broken by making a gap of the floating cloth, and sets the point needle of the linking device by hand to the nose to be broken by hand. After that, the sewing machine was subjected to linking. This operation is similarly performed in the case of circular knitting, and first, the worker puts both hands in the opening of the circular knitting fabric, pulls out the circular knitting fabric, and makes a gap by floating the inside of the worker. After finding and setting the point needle of the linking device to the knitting nose, the work is similarly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fabric in front of him. Linking was done.

그렇지만, 사뜨는 코 전체를 줄(列)로서 발견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사뜨는 코 한 코 한 코를 정확히 발견하는 것은, 사뜨는 코가 보통의 뜨는 코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 것뿐이기 때문에, 경험과 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에 숙련하지 않는 자가, 눈으로 사뜨는 코를 발견하는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대단히 많은 시간을 요하고, 작업효율이 대단히 나빴다. 특히, 환편옷감 에 관해서는, 안쪽의 뜨는 옷감을 링킹장치에 세트한 후에, 자기 앞쪽의 뜨는 옷감을 잡아 당겨 펴는 것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이 문제가 현저하였다. 따라서, 링킹을 행하였을 경우에는, 사뜨는 코를 몇개소인가 빠뜨리고 링킹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고, 원료에 대한 제품의 비율이 경우가 나빠지는 결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Nevertheless, it is relatively easy to find the whole nose as a string, but the only way to find exactly one nose is because the nose is slightly larger than the normal nose. And functionality is required. Therefore, a person who is not skilled in the work required a lot of time to perform the work of finding the nose which blows with eyes, and the work efficiency was very bad. In particular, this problem was remarkable in regard to the circular knitted fabric, since it became difficult to pull out the knitted fabric in front of the self after setting the inner knitted fabric in the linking device. Therefore, when linking was performed, defects such as linking some missing noses and linking occurred, resulting in a worse ratio of the product to the raw material.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환편옷감에 형성된 사뜨는 코 한코 한코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가 있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및 환편옷감용 사뜨는 코 검출장치 및 환편옷감용 링킹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itting nose detection method for circular knitting cloth, a knitting nose detect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cloth, and a link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cloth, which can automatically detect the knitting nose Hanko Hanko formed on the circular knitting cloth. will be.

도1은, 이 발명에 관계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ring-kneading cloth lin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사뜨는 코 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nag nose detection unit.

도3은, 사뜨는 코 검출부에 발톱끝 근방부분이 서로 닫혀져 있지 않은 양말을 삽통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도해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where the socks where the toenail vicinity parts are not closed to each other are inserted through the nose detection unit.

도4는, 포인트 바늘 제어유닛의 구성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int needle control unit.

도5는, 포인트 바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oint needle.

도6은, 바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needle portion.

도7은, 사뜨는 코 검출부의 작동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ng status of the snag detection unit.

도8은, CCD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다계조화상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8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a multi-tone image captured by a CCD camera.

도9는, 도8에 나타내는 다계조화상이 2치화(値化)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FIG. 9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tone image shown in FIG. 8 is binarized. FIG.

도10은, 2치화처리의 작동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n operating status of binarization processing.

도11은, 도9에 나타내는 2치화상이 라벨링 처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FIG. 1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binary image shown in FIG. 9 is labeled.

도12는, 도11에 나타내는 라벨화상으로부터 사뜨는 코 영역이 추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t nose area is extracted from the label image shown in FIG.

도13은, 사뜨는 코 추출처리의 작동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ng status of the cutting nose extraction process.

도14는, 포인트 바늘을 사뜨는 코에 통과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a step of passing a point needle through a cutting nose.

도15는, 삽통체의 한 쪽면 측의 사뜨는 코의 위치와 바늘의 위치가 대응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해도이다.Fig. 15 is a side view showing the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crocheting nose and the needle position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tube do not correspond.

도16은, 삽통체의 한쪽면측의 사뜨는 코가 바늘의 위치에 조정되었을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해도이다.Fig. 16 is a side elevation view showing the case where the cutting nose on one side of the insert is adjusted to the position of the needle.

도17은, 삽통체의 한쪽면측에 있어서, 바늘이 사뜨는 코에 통과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해도이다.Fig. 17 is a side elevation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needle has passed through a nose that is cut off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tube.

도18은, 하측삽통체가 슬라이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해도이다.Fig. 18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insertion body slides.

도19는, 상하삽통체의 사이의 슬리트 내에 바늘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해도이다.Fig. 19 is a side elevatio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eedle is positioned in a sli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insert cylinders.

도20은, 삽통체의 다른쪽면측에 있어서, 바늘의 위치에 사뜨는 코가 오도록 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해도이다.Fig. 20 is a side elevatio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se cut off at the position of the needle is plac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tube.

도21은, 삽통체의 양면측에 있어서, 바늘이 사뜨는 코에 통과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해도이다.Fig. 21 is a side elevation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needle has passed through a nose that is cut off on both sides of the insert body.

이 발명에 관계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은,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체를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키는 공정과,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과,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이다.The knitting nose detection method of the circular knitting fabric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process which extends a circular knitting cloth by inserting an insertion body inside the circular knitting cloth which has a knitting nose, and the knitting nose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extended by the cutting body. A knitting method for cutting circular knitting cloth, which comprises a step of picking up a multi-gradation image including an image and a step of detecting a position of a cutting nose by image processing the multi-gradation image.

이 발명에서는, 사뜨는 코를 포함하는 뜨는 코를 확대시킨 상태에서, 자기 앞쪽의 뜨는 옷감의 상태와, 다른 쪽의 뜨는 옷감의 상태를 각각 단독으로 촬상한다. 이것에 의해, 전방의 뜨는 옷감의 상황과 다른 쪽의 상황을 혼동하여 인식하는 일이 없으므로, 정확히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In this invention, the state of the floating cloth in front of oneself and the state of the other floating cloth are imaged independently, in the state which expanded the floating nose containing a knitting nose. Thereby, since the situation of the floating fabric in front and the situation of the other side are not confused and recognized,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nose to cut off correctly.

또한, 이 발명에서는, 환편옷감을 삽통체의 삽통방향으로 신장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더라도 좋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you may include the process of extending | stretching a circular knitting cloth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an insertion body.

이 경우에는, 사뜨는 코를 포함하는 뜨는 코를 더욱 확대시킨 상태에서 촬상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히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In this case, imaging can be performed in the state which expanded the floating nose containing a hanging nose further.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nose to be cut more reliably can be detected.

더욱이, 이 발명에서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이, 평면상에 있어서 행하여지더라도 좋다.Furthermore, in this invention, the process of picking up a multi-gradation image may be performed on a plane.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근방의 상황을 2차원적으로 촬상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사뜨는 코를 일괄해서 동시에 촬상할 수가 있기 때문에, 환편옷감의 각 사뜨는 코에 관하여, 개별로 촬상할 필요가 없어져, 검출시간이 단축되어 검출효율이 향상한다.In this case, the situation near the crocheted nose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is imaged two-dimensionally. As a result, since a plurality of crocheting noses can be imaged at the same tim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mage each crocheting nose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the detection time is shortened, and the detection efficiency is improved.

이 발명은,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이, 환편옷감의 내부에서 외부로 투과한 빛을 써서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슬리트 내의 삽통체의 단면에 복수의 LED 등의 발광체를 배열하여, 슬리트상에 배열된 어떤 뜨는 옷감에 대하여 내부에서 조명해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icking up the multi-tone image may be performed by using light transmitted from the inside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bodies such as LEDs may be arranged on the end face of the insert in the slit, and may be illuminated internally with any floating fabric arranged on the slit.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을 투과한 빛이 촬상수단에 의해 수광된다. 이것에 의해, 환편옷감의 섬유부분와 뜨는 코 부분과의 경계부분을 명확히 판별할 수 있는 다계조화상이 촬상되므로, 보다 정확하게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In this case, light passing through the circular knitting cloth is received by the imaging means. As a result, a multi-tone image capable of clearly distinguishing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ber portion and the floating nose portion of the circular knitted fabric can be picked up, whereby the position of the crocheted nose can be detected more accurately.

또한, 이 발명에서는, 삽통체로서, 슬리트를 갖는 삽통체를 쓰고,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이, 슬리트에 빛을 조사하는 공정과, 슬리트에 있어서 환편옷감의 외부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투과하는 빛을 써서 행하여지는 공정을 포함하더라도 좋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the process of using the insertion body which has a slit as an insertion body, and image | photographing a multi-gradation image differs from the process of irradiating light to a slit from one side of a circular knitting cloth in a slit. It may also include a step performed by us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side.

이 경우, 슬리트상에 배치한 뜨는 옷감에 관해서도, 환편옷감을 투과한 빛이 촬상수단에 의해 수광된다. 이것에 의해, 슬리트상에 배치된 환편옷감의 섬유부분과 뜨는 코 부분과의 경계부분을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다계조화상이 촬상되므로, 슬리트상의 사뜨는 코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In this case, also about the floating fabric arrange | positioned on a slit, the light which permeate | transmitted the circular knitted fabric is received by the imaging means. As a result, a multi-tone image capable of clearly distinguishing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ber portion and the floating nose portion of the circular knitted fabric arranged on the slits can be detect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litting nose on the slits can be detected more accurately. have.

더욱이, 이 발명에서는,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공정은,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과,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과,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사뜨는 코가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갖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공정과,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공정을 포함하더라도 좋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a cutting nose is a process of converting a multi-tone image into a binary image, converting a binary image into a label image, and labeling contained in a label image. Counting the number of constituent pixels in each region, and generating an extraction label image in which only the regions having a constituent pixel number larger than the value set on the basis of the minimum constituent pixels of the region formed by the cutting nose are formed; And calculating the position of each cut nose b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each region included in the extraction label image.

이 경우에는, 영역의 면적에 의거하여, 사뜨는 코가 추출되고, 사뜨는 코의 위치가 구하여진다. 이것에 의해, 여러 가지 크기의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In this case, the cutting nose is extracted based on the area of the area, and the position of the cutting nose is determined. This makes it possible to detect the positions of the cutting noses of various sizes.

이 발명에서는,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이, 다계조화상을 복수의 소영역에 분할하여, 소영역의 화상특성에 의거하여 소영역마다의 2치화역치(値化??値)를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더라도 좋다.In this invention, the process of converting into a binary image divides a multi-gradation image into a plurality of small regions, and determines the binarization threshold value for each small region based on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region. You may also include a process.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의 각 부분의 조명상황에 따라서, 각 부분의 화상이 2치화된다. 이것에 의해, 환편옷감의 각 부분의 조명상황에 영향받는 일이 없고, 환편옷감의 섬유부분와 뜨는 코 부분의 경계를 검출하므로, 더욱 정확하게 사뜨는 코를 검출할 수가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of each part is binarized according to the lighting situation of each part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As a result, the boundary between the fiber portion and the floating nose portion of the circular knitted fabric is not affected by the lighting situation of each portion of the circular knitted fabric, so that the nose to be cut can be detected more accurately.

이 발명에 관계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는,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키는 신장체와,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사뜨는 코 검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이다.The knitting nose detect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ongated body which is inserted into a circular knitting cloth having a knitting nose and extends the circular knitting cloth, and an electric knitting knitting machine of the electric circular knitting cloth extended by the insertion tube. Image pickup means for picking up a multi-gradation image including an image, and a cutting nos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cutting nose by image processing the multi-tone image. to be.

이 발명에서는, 사뜨는 코를 포함하는 뜨는 코를 확대시킨 상태에서, 자기 앞쪽의 뜨는 옷감의 상태와, 다른 쪽의 뜨는 옷감의 상태를 각각 단독으로 촬상한다. 이것에 의해, 자기 앞쪽의 뜨는 옷감의 상황과 다른 쪽의 상황을 혼동하여 인식하는 일이 없으므로, 정확하게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In this invention, the state of the floating cloth in front of oneself and the state of the other floating cloth are imaged independently, in the state which expanded the floating nose containing a knitting nose. As a result, since the situation of the cloth in front of him and the situation of the other side are not confused and recognized, the position of the nose to be trimmed can be detected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부를 협지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협지수단과,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하부를 협지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부협지수단을 갖더라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gripping means for pinching the upper part of the crocheted nose and mov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and the lower pinching means for pinching the lower part of the crocheted nose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and mov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may be provided. .

이 경우에는, 사뜨는 코를 포함하는 뜨는 코를 더욱 확대시킨 상태에서 촬상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In this case, imaging can be performed in the state which expanded the floating nose containing a hanging nose further. Thereby, the position of the nose to cut more reliably can be detected.

더욱이, 이 발명에서는, 삽통체가, 적어도 사뜨는 코가 배치되는 표면이 평면상으로 형성되고, 촬상수단의 촬상방향이, 삽통체의 평면상표면의 폭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더라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the insertion body may b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surface in which at least a cutting nose is arrange | positioned may be formed in planar shape, and the imaging direction of an imaging means may be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nar surface of an insertion body.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근방의 상황을 2차원적으로 촬상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사뜨는 코를 일괄해서 동시에 촬상할 수가 있으므로, 특히, 사뜨는 코의 1개 1개에 관해서 위치조정을 할 필요가 없는 배치상태에 있을 때에는, 환편옷감의 각 사뜨는 코에 관해서, 개별로 촬상할 필요가 없어져, 사뜨는 코 전체의 검출시간이 단축되어 검출효율이 향상한다.In this case, the situation near the crocheted nose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is imaged two-dimensionally. As a result, a plurality of crocheting noses can be imaged at the same time, so that each crocheting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is particularly in a placed state where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one of the crocheting noses. In this regard, it is not necessary to take an image individually, so that the detection time of the entire nose is shortened and the detection efficiency is improved.

이 발명에서는, 삽통체가, 발광수단을 갖더라도 좋다.In this invention, the insertion body may have light emitting means.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을 투과한 빛이 촬상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이것에 의해, 환편옷감의 섬유부분와 사뜨는 코 부분과의 경계부분을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다계조화상이 촬상되므로, 보다 정확하게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In this cas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circular knitting cloth is detected by the imaging means. As a result, a multi-tone image capable of clearly distinguishing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ber portion of the circular knit fabric and the crocheted nose portion can be captured, whereby the position of the crocheted nose can be detected more accurately.

또한, 이 발명에서는, 삽통체가 슬리트를 갖고, 슬리트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을 갖더라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an insertion body may have a slit and may have the lighting means which irradiates a light to a slit.

이 경우, 슬리트상에 배치한 뜨는 옷감에 관해서도, 환편옷감을 투과한 빛이 촬상수단에 의해 수광된다. 이것에 의해, 슬리트상에 배치된 환편옷감의 섬유부분과 뜨는 코 부분과의 경계부분을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다계조화상이 촬상되므로, 슬리트상의 사뜨는 코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슬리트 내의 삽통체의 단면에 복수의 LED 등의 발광체를 배열하여, 슬리트상에 배열된 있는 뜨는 옷감에 대하여 내부에서 조명하는 장치를 갖더라도 좋다.In this case, also about the floating fabric arrange | positioned on a slit, the light which permeate | transmitted the circular knitted fabric is received by the imaging means. As a result, a multi-tone image capable of clearly distinguishing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ber portion and the floating nose portion of the circular knitted fabric arranged on the slits can be detect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litting nose on the slits can be detected more accurately. hav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bodies such as LEDs may be arranged on the end faces of the inserts in the slit, and a device may be provided to illuminate the floating fabric arranged on the slit internally.

또한, 이 발명에서는, 사뜨는 코 검출수단이,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사뜨는 코가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갖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영역추출수단과, 추출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수단을 갖더라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ting nose detection means includes a means for converting a multi-tone image to a binary image, a means for converting a binary image to a label image, and a configuration of each labeled region included in the label image. Area extraction means for counting the number of pixels, and generating an extraction label image which extracts only an area having a constituent pixel number larger than the value set on the basis of the minimum constituent pixel number of the area formed by the cutting nose; B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each area included in the label image, it may have a means for finding the position of each cut nose.

이 경우에는, 영역의 면적에 의거하여, 사뜨는 코가 추출되고, 사뜨는 코의 위치가 구해진다. 이것에 의해, 사뜨는 코가 되는 뜨는 코와 그 이외의 뜨는 코를 식별하여, 사뜨는 코의 위치를 올바르게 구할 수가 있다.In this case, the cutting nose is extracted based on the area of the area, and the position of the cutting nose is determined. Thereby, the floating nose which becomes a cutting nose and other floating noses are distinguished, and the position of a knitting nose can be correctly calculated | required.

이 발명에서는,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이, 다계조화상을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하여, 소영역마다의 2치화역치를 소영역 내의 화상특성에 의거하여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더라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s for converting into a binary image may include means for dividing the multi-tone image into a plurality of small regions, and determining the binarization threshold value for each small region based on image characteristics in the small region.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의 각 부분의 조명상황에 따라서, 각 부분의 화상이 2치화된다. 이것에 의해, 환편옷감의 각부분의 조명상황에 영향받는 일이 없고, 환편옷감의 섬유부분과 사뜨는 코 부분의 경계를 검출하므로, 더욱 정확하게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of each part is binarized according to the lighting situation of each part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This makes it possible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cutting nose more accurately since the boundary between the fiber portion and the cutting nose portion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is not affected by the lighting situation of each portion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이 발명에 관계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는,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키는 삽통체와,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사뜨는 코 검출수단과, 사뜨는 코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 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과, 각 사뜨는 코에 전기 포인트 바늘을 자통하는 수단과, 포인트 바늘을 자통한 사뜨는 코를 링킹하기 위한 미싱기구를 갖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이다.A link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ulator which extends the circular knitting cloth by inserting into a circular knitting cloth having a knitting nose, and an image of a knitting nose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extended by the cutting cylinder. The image pickup means for picking up the multi-gradation image, the cutting nos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nose by image processing the multi-gradation image, and the position of the cutting nose detected by the cutting nose detection means A link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cloth, comprising a means for matching a needle, a means for passing an electric point needle through each crocheted nose, and a sewing machine for linking the crocheted nose through the pointed needle.

이 발명에서는, 사뜨는 코를 포함하는 뜨는 코를 확대시킨 상태에서, 자기 앞쪽의 뜨는 옷감의 상태와, 다른 쪽의 뜨는 옷감의 상태를 각각 단독으로 촬상한다. 이것에 의해, 자기 앞쪽의 뜨는 옷감의 상황과 다른 쪽의 상황을 혼동하여 인식하는 일이 없으므로, 포인트 바늘을 정확하게 사뜨는 코에 자통할 수가 있고, 소망한 사이즈, 형상으로 올바르게 링킹된다.In this invention, the state of the floating cloth in front of oneself and the state of the other floating cloth are imaged independently, in the state which expanded the floating nose containing a knitting nose. As a result, the situation of the floating cloth in front of the self and the situation of the other side can not be confused and recognized, so that the point needle can be pinched to the nose for precisely cutting the needle, and the linking is correctly performed in the desired size and shape.

또, 이 발명에서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부를 협지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협지수단과,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하부를 협지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부협지수단을 갖더라도 좋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you may have the upper clamping means which clamps the upper part of the knitting nose of a circular knitting cloth, and moves to a insertion direction, and the lower clamping means which clamps the lower part of the knitting nose of a circular knitting cloth, and moves to an insertion direction. .

이 경우에는, 사뜨는 코를 포함하는 뜨는 코를 더욱 확대시킨 상태에서 촬상한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고, 더욱 확실하게 소망한 사이즈, 형상으로 올바르게 링킹된다.In this case, imaging is carried out with the floating nose including a crocheted nose further enlarged. Thereby, the position of the nose to cut more reliably can be detected, and it is correctly linked to a desired size and shape more reliably.

더욱이, 이 발명에서는, 삽통체가, 적어도 사뜨는 코가 배치되는 표면이 평면상으로 형성되고, 촬상수단의 촬상방향이, 삽통체의 평면상표면의 폭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더라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the insertion body may b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surface in which at least a cutting nose is arrange | positioned may be formed in planar shape, and the imaging direction of an imaging means may be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nar surface of an insertion body.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근방의 상황을 2차원적으로 촬상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사뜨는 코를 일괄해서 동시에 촬상할 수가 있으므로, 환편옷감의 각 사뜨는 코에 관해서, 개별로 촬상할 필요가 없어져, 링킹에 요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효율이 향상한다.In this case, the situation near the crocheted nose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is imaged two-dimensionally. As a result, since a plurality of crocheting noses can be simultaneously imaged,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mage each crocheting nose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so that the time required for linking is shortened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improved.

이 발명에서는, 삽통체가, 발광수단을 갖더라도 좋다.In this invention, the insertion body may have light emitting means.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을 투과한 빛이 촬상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이것에 의해, 환편옷감의 섬유부분과 사뜨는 코 부분과의 경계부분을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다계조화상이 촬상되므로, 보다 정확하게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고, 더욱 확실하게 소망한 사이즈, 형상으로 올바르게 링킹된다.In this cas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circular knitting cloth is detected by the imaging means. As a result, a multi-tone image capable of clearly distinguishing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ber portion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and the crocheted nose portion can be imag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rocheted nose can be detected more accurately, and the desired position is more surely desired. It is correctly linked in size and shape.

또한, 이 발명에서는, 삽통체가 슬리트를 갖고, 슬리트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을 갖더라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an insertion body may have a slit and may have the lighting means which irradiates a light to a slit.

이 경우, 슬리트상에 배치한 뜨는 옷감에 관해서도, 환편옷감을 투과한 빛이 촬상수단에 의해 수광된다. 이것에 의해, 슬리트상에 배치된 환편옷감의 섬유부분과 뜨는 코 부분과의 경계부분을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다계조화상이 촬상되므로, 슬리트상의 사뜨는 코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가 있고, 또, 동일의 포인트 바늘에 의해, 전방의 뜨는 옷감의 사뜨는 코와 다른 쪽의 사뜨는 코를 자통하여 링킹할 수가 있다.In this case, also about the floating fabric arrange | positioned on a slit, the light which permeate | transmitted the circular knitted fabric is received by the imaging means. As a result, a multi-tone image capable of clearly distinguishing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ber portion and the floating nose portion of the circular knitted fabric arranged on the slits can be detect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litting nose on the slits can be detected more accurately. In addition, by the same point needle, linking can be carried out through the knitting nose of the front floating cloth and the other knitting nose.

더욱이, 이 발명에서는, 사뜨는 코 검출수단이,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여, 사뜨는 코가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갖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영역추출수단과,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수단을 갖더라도 좋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ting nose detection means includes a means for converting a multi-tone image to a binary image, a means for converting a binary image to a label image, and a configuration of each labeled region included in the label image. Area extraction means for generating an extraction label image by counting the number of pixels and extracting only an area having a larger number of constituent pixels than a value set on the basis of the minimum constituent pixel number of the area formed by the cutting nose in the label image; B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each area included in the label image, it may have a means for finding the position of each cut nose.

이 때에는, 영역의 면적에 의거하여, 사뜨는 코가 추출되고, 사뜨는 코의 위치가 구해진다. 이것에 의해, 사뜨는 코가 되는 뜨는 코와 그 이외의 뜨는 코를 식별하여, 사뜨는 코의 위치를 올바르게 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utting nose is extracted based on the area of the area, and the position of the cutting nose is determined. Thereby, the floating nose which becomes a cutting nose and other floating noses are distinguished, and the position of a knitting nose can be calculated correctly.

이 발명에서는,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이, 다계조화상을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하고, 소영역마다의 2치화역치를 소영역 내의 화상특성에 의거하여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더라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s for converting into a binary image may include means for dividing the multi gradation image into a plurality of small regions, and determining the binarization threshold value for each small region based on image characteristics in the small region.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의 각 부분의 조명상황에 따라서, 각 부분의 화상이 2치화된다. 이것에 의해, 환편옷감의 각 부분의 조명상황에 영향받는 일이 없고, 환편옷감의 섬유부분과 사뜨는 코 부분의 경계를 검출하므로, 더욱 정확하게 사뜨는 코를 검출할 수가 있어, 확실하게 소망한 사이즈, 형상으로 올바르게 링킹된다.In this case, the image of each part is binarized according to the lighting situation of each part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As a result, it is not influenced by the lighting situation of each part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and detects the boundary between the fiber part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and the cutting nose part, so that the nose to be cut more accurately can be detected, and it is surely desired. It is correctly linked in size and shape.

이 발명에서는,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 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사뜨는 코의 위치를 일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과, 포인트 바늘을 전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또,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 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포인트 바늘을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더욱이,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 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더라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s for associating the point needle with the position of the knitting nose may include means for displacing the position of the knitting nose in one direction and means for displacing the point need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lectrical one direction. The means for associating the point needle with the position of the crocheting nose may include means for displacing the electric point needle two-dimensionally. Furthermore, the means for associating the point needle with the position of the crocheting nose may include means for displac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ical crocheting nose two-dimensionally.

이 경우에는, 사뜨는 코의 위치와 포인트 바늘을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포인트 바늘을 사뜨는 코의 위치에 정확하게 대응시킬 수가 있다.In this case, by displac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d nose and the point needle, the position of the pointed nose can be precisely matched.

이 발명의 상술의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분명해 질 것이다.The above object,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사뜨는 코 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그리고, 도3은, 사뜨는 코 검출부에 발톱끝 근방부분이 서로 닫혀져 있지 않은 양말을 삽통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도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one Embodiment of the ring-link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ed fabric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nag nose detection unit, and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socks near the toe tip are inserted into the snag nose detection unit.

환편옷감용 링킹장치(1)는, 하판(2)을 포함한다. 그리고, 하판(2)의 거의 중앙에는, 하부승강기(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승강기(3)는, 판재와 캠, 구동모터와의 짜맞춤, 또는 판재와 유압잭 등의 짜맞춤에 의해, 상면의 판재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하부승강기(3)의 상면에는, 원통상으로 형성된 기통(4)이 설치되어 있다. 기통(4)은, 복수의 환편옷감을 삽통하여 스톡해 두기 위하여 쓰는 것이며, 적당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통(4)의 상부에는, 도2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사뜨는 코 검출부(10)가 배치되어 있다.The linking device 1 for circular knitting cloth includes the lower board 2. And the lower elevator 3 is provid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lower board 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lower elevator 3 is configured to move the upper pl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combining the plate with the cam and the drive motor, or with the plate with the hydraulic jack. And the cylinder 4 formed in the cylindrical shape is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levator 3. The cylinder 4 is used in order to insert a plurality of circular knitting cloths and to stock them, and is formed in the appropriate length. And the snort nose detection part 10 which consists of a structure shown in FIG. 2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the cylinder 4. As shown in FIG.

사뜨는 코 검출부(10)는, 긴 평판상의 하부삽통판(12a)와 상부삽통판(12b)를 포함한다.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면,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은, 용이하게 변형하지 않는, 예컨대,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이루어진 중판(14)을 갖는다. 그리고, 중판(14)의 정면 및 배면을 덮도록 하여, EL(Electro Luminescence) 패널(16a, 16b)을 발광부분을 외향시킨 상태에서 적층한다. 더욱이, EL 패널(16a, 16b)의 외향표면상에는, EL 패널(16a, 16b)을 보호하기 위해서, 표면전체를 덮도록, 예컨대 투명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진 투명판(18a, 18b)을 적층하여 하부삽통판(12a), 상부삽통판(12b)을 구성한다.The cutting nose detection unit 10 includes an elongated flat lower plate 12a and an upper plate 12b.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nd the upper insertion plate 12b,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nd the upper insertion plate 12b are not easily deformed, for example, a middle plate 14 made of stainless steel sheet. Has Then, EL (Electro Luminescence) panels 16a and 16b are lamin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light emitting portions are turned outward so as to cover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iddle plate 14. Furthermore, on the outward surfaces of the EL panels 16a and 16b, in order to protect the EL panels 16a and 16b, the lower inserts are formed by laminating transparent plates 18a and 18b made of, for example, transparent acrylic plates so as to cover the entire surface. The plate 12a and the upper insertion plate 12b are comprised.

그리고, EL 패널(16a, 16b)에는, 적절한 전압이 인가되어 임의로 발광할 수 있도록 동작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발광수단으로서 EL 패널을 썼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발광기능을 갖는 것이면 좋다. 그렇지만, 후술하는 화상처리장치(26)에서의 처리를 고려하면, 하부삽통판(12a), 상부삽통판(12b)의 표면상에서의 휘도가 장소에 의해서 다른 일이 없도록, 이 실시형태의 예로 쓴 EL 패널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면발광을 행하는 것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 panels 16a and 16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operating power source (not shown) so that an appropriate voltage is applied to emit light arbitrarily. In this embodiment, although an EL panel is used as the light emitt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may have a light emitting function. However, considering the processing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26 to be described later, an example of this embodiment is written so that the luminance on the surfaces of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nd the upper insertion plate 12b does not vary depending on the place. It is preferable to use what performs surface emission, such as an EL panel and a plasma display panel.

이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은, 도3에 나타내듯이, 환편옷감인 발톱끝 근방부분이 서로 닫혀져 있지 않은 양말(W)(이하 단지 미완성양말(W)라고 칭한다) 등을 삽통하여 배치하는 것이다.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은, 미완성양말(W)를 삽통한 때에, 적어도 미완성양말(W)의 사뜨는 코(K)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뜨는 옷감을 신장하여 확대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적어도 사뜨는 코(K)를 배치하는 부분의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의 폭은, 미완성양말(W)의 자기 앞쪽의 뜨는 옷감과 다른 쪽의 뜨는 옷감의 사이에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미완성양말(W)의 폭보다 크게 형성한다. 또, 사뜨는 코(K)를 일정높이로 보지하기 위해서, 하부삽통판(12a)의 양측에는, 양단의 사뜨는 코(K)에 거는 훅(19a, 19b)이 설치된다. 또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은, 미완성양말(W)을 매끈하게 삽통시킬 수가 있고, 하부삽통판(12a)와 상부삽통판(12b)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돌기 등의 외형상이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을 갖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nd the upper insertion plate 12b are socks W (hereinafter referred to simply as unfinished socks W) in which the vicinity of the toe tip, which is a circular knitting cloth, is not closed to each other. Is placed by inserting. When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nd the upper insertion plate 12b are inserted into the unfinished socks W, at least the floating cloth of the part where the crocheted nose K of the unfinished socks W is formed is expanded and expanded. It is formed in size. That is, the width | variety of the lower insertion board 12a and the upper insertion board 12b of the part which arrange | positions the cutting nose K at least is between the floating cloth of the front side of the unfinished socks W, and the other floating cloth. It forms larger than the width | variety of the unfinished socks W in the state which contact | adhered so that a gap may not arise in the inside. In addition, in order to hold the knitting nose K at a constant height, hooks 19a and 19b hanging on the knitting nose K at both end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Further,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nd the upper insertion plate 12b can smoothly penetrate the unfinished socks W and can be moved on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nd the upper insertion plate 12b. It is preferable not to have a part in which the external shape of the abruptly changes.

그리고, 하부삽통판(12a)의 하부의 정면 및 배면에는, 하부 협지수단인, 롤러(20a, 20b)를 하부삽통판(12a)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한다. 롤러(20a, 20b)는, 도3에 나타내듯이, 사뜨는 코(K)가 형성된 부분의 하방에 두어, 미완성양말(W)을 삽통판(12a)에 압압하면서 회전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임의량만 회전할 수 있도록 인코더를 갖춘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한다. 또한, 롤러(20a, 20b)는, 하부삽통판(12a)에 미완성양말(W)을 삽통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부삽통판(12a)의 근방에 테두리부(5)(도1)를 설치하고, 테두리부(5)(도1)에 암(6)을 이동가능하게 부착하고, 암(6)에 의해 롤러축의 양단를 지지하여, 삽통판(12a)의 표면에서 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Then, the rollers 20a, 20b, which are the lower clamping means,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s shown in Fig. 3, the rollers 20a and 20b are placed under the portion where the cutting nose K is formed, and are rotated while pressing the unfinished socks W against the insertion plate 12a to move in the insertion direction. It is intended to be driven by a drive means such as a motor having an encoder to rotate only an arbitrary amount. In addition, the rollers 20a and 20b have an edge portion 5 near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Fig. 1) so that the work for inserting the unfinished socks W into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can be easily performed. ), The arm 6 is movably attached to the rim 5 (FIG. 1), and both ends of the roller shaft are supported by the arm 6 to be lifted off the surface of the insertion plate 12a. Doing.

또, 상부삽통판(12b)의 상방에는, 개폐자재하게 구성된 협지암부(22a, 22b)가 닫혀진 때에, 삽통판(12)의 정면 및 배면의 상부를 폭방향으로 걸쳐 끼우도록, 상부협지부(22)를 배치한다. 상부 협지부(22)는, 도3에 나타내듯이, 사뜨는 코(K)가 형성된 부분의 상방에 두어 미완성양말(W)를 협지하고, 삽통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임의로 지지위치를 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부승강기(7)에 의해 지지한다. 또한, 삽통판(12b)는 상부승강기(7)의 하면에 상부협지부(22)의 움직임과는 연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 협지암부(22a, 22b)는, 벨트(8)를 거쳐 모터(9)에 의해 회전축으로 회전력이 주어져 임의로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한다. 더욱이, 상부협지부(22), 상부삽통체(12b) 등은, 하부승강기(3)의 옆에 위치하는 가대(11)에 형성되어 있는 암(13)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pinching arm portions 22a and 22b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are closed above the upper inserting plate 12b, the upper clamping portion ( 22). As shown in Fig. 3, the upper gripping portion 22 is positioned above the portion where the cutting nose K is formed so as to sandwich the unfinished socks W and move in the insertion direction. It is supported by an upper elevator (7) configured to be. In addition, the insertion plate 12b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elevator 7 so as not to interlock with the movement of the upper gripping portion 22. Moreover, the clamping arm parts 22a and 22b are comprised so that rotation force is given to the rotating shaft by the motor 9 via the belt 8, and can open and close arbitrarily. Moreover, the upper clamping part 22, the upper insertion body 12b, etc. are comprised so that the arm 13 formed in the mount 11 located next to the lower elevator 3 can move to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그리고,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의 정면 및 배면의 근방에는, CCD 카메라(24a, 24b)가 촬상방향을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한다. CCD 카메라(24a, 24b)는,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 상에 배치한 미완성양말(W)의 모든 사뜨는 코(K)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근거리로부터 촬상하는 것이다. CCD 카메라(24a, 24b)에 의해 촬상된 다계조화상은, 사뜨는 코를 검출하는 개소에 응해서, 적의 바뀌어지고 화상처리장치(26)에 입력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CCD 카메라(24a, 24b)가 촬상방향을 하부삽통판(12a)와 상부삽통판(12b)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하였지만, 미완성양말(W)의 사뜨는 코(K)를 포함하는 뜨는 코의 상황을 명확하게 촬상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적의 배치가 변경되더라도 좋다.In the vicinity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nd the upper insertion plate 12b, the CCD cameras 24a and 24b move the imaging direction to the surfaces of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nd the upper insertion plate 12b. Place it perpendicular to the The CCD cameras 24a and 24b have a multi-gradation image including images of all the crocheted noses K of the unfinished socks W disposed on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nd the upper insertion plate 12b. It is imaging. The multi gradation image captured by the CCD cameras 24a and 24b is changed into red and is input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26 in response to a position of detecting a snuffing nose. In this embodiment, the CCD cameras 24a and 24b are arranged such that the imaging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s of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nd the upper insertion plate 12b, but the unfinished socks W are cut. Arrangement of an enemy may be changed as long as it is in the range which can image clearly the situation of the floating nose containing nose K. As shown in FIG.

CCD 카메라(24a, 24b)에는, 제어부(90)(도1) 내에 설치된 화상처리장치(2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화상처리장치(26)는, CCD 카메라(24a, 24b)에 의해 촬상된 다계조화상을 기초로 하여 미완성양말(W)에 설치된 사뜨는 코(K)을 검출하는 것이다. 화상처리장치(26)는, 다계조화상을 평활화처리하는 평활화처리부(28)와, 다계조화상을 2치화처리하는 2치화처리부(30)와, 2치화 때에 쓰는 2치화역치를 구하는 역치결정부(32)와, 2치화된 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라벨링처리부(34)와,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라벨부영역의 구성화소수에 의거하여 사뜨는 코 영역을 추출하여 추출 라벨화상을 생성하는 사뜨는 코 영역추출부(36)와,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사뜨는 코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사뜨는 코 위치산출부(38)를 포함한다. 또한, 각부의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미완성양말(W)에 대한 환편옷감용 링킹장치(1)의 작동상황에 관한 설명의 때에 상술한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26 provided in the control part 90 (FIG. 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CCD camera 24a, 24b.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26 detects the snuffing nose K provided in the unfinished socks W based on the multi-tone image picked up by the CCD cameras 24a and 24b.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26 includes a smoothing processing unit 28 for smoothing a multi-tone image, a binarization processing unit 30 for binarizing a multi-tone image, and a threshold determination unit for obtaining a binarization threshold value used for binarization. (32), a labeling processing unit 34 for converting the binarized image into a label image, and extracting a nasal region to be trimmed based on the number of pixels of each label portion region included in the label image to generate an extracted label image. The trimming nose area extraction part 36 and the trimming nose position calculation part 38 which calculate the position of each trimming nose area | region contained in an extraction label image are included. In addition, the function of each part is explained in full detail at the time of description regarding the operation | movement state of the ring knitted fabric linking apparatus 1 with respect to the unfinished socks W mentioned later.

이하에 도4 내지 도6에 의해 포인트바늘 제어부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4는, 포인트바늘 제어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5는 포인트바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6은, 바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4 to 6, the point needle control section will be described.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int needle control unit,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int needle,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needle portion.

테두리체(5)의 자기 앞쪽 상방에는, 포인트바늘 제어유닛(50)이 배치되어 있다. 포인트바늘 제어유닛(50)은, 도4에 나타내듯이 컨베이어(52)를 포함한다. 그리고, 컨베이어(52)는 벨트(54)를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벨트(54)상에는, 이송나사(56)와 이송모터(58)와의 짜맞춤으로 이루어진 포인트바늘 횡위치제어부(60)가, 플레이트(61)를 거쳐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플레이트(61)에는, 이송나사(56)가 수평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송나사(56)에는, 다른 플레이트(63)가 옆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플레이트(63)는, 하부삽통판(12a)의 근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플레이트(63)상의 자기 앞쪽에는, 이송나사(62)와 이송모터(64)로 이루어진 침압제어부(66)가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플레이트(63)의 안쪽 깊숙한 끝에는, 하부삽통판(12a)과 거의 같은 폭을 갖는 포인트바늘(68)이, 하부삽통판(12a)의 상단과 대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The point needle control unit 50 is disposed above the front edge of the frame 5. The point needle control unit 50 includes a conveyor 52 as shown in FIG. The conveyor 52 is fixed to horizontally move the belt 54 in the front-rear direction. Moreover, on the belt 54, the point needle lateral position control part 60 which consists of the feed screw 56 and the feed motor 58 is attached via the plate 61.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feed screw 56 is horizontally attached to the plate 61. The transfer screw 56 is provided so that another plate 63 can be displaced laterally. In this case, the plate 63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nd the needle-pressure control part 66 which consists of the feed screw 62 and the feed motor 64 is fixed in front of the magnet on the plate 63. As shown in FIG. Further, at the inner deep end of the plate 63, a point needle 68 having a width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is attached to face the upper end of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포인트바늘(68)은, 특히 도5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홈(70)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종단면이 즐치상(櫛齒狀)으로 형성된 초부(??部)(72)와, 홈(70)에 전후 밀고 당기기 자재하게 수납되는 복수의 바늘(74)과, 초부(72)의 상면의 자기 앞쪽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76)로 이루어진다. 바늘(74)은, 특히 도6에 나타내듯이 자기 앞쪽의 단부가 L자상으로 형성되고, 안쪽에 압출된 때에, 초부(72)의 자기 앞쪽 단면에서 괘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바늘(74)의 안쪽의 단부에는, 계단상으로 단차가 설치되고, 자기 앞쪽으로 되돌아왔을 때에, 덮개부(76)에 괘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바늘(74)의 안쪽의 단부 상면에는, 후술하는 미싱의 바늘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7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훅 19a 및 19b의 선단부분에도, 가이드홈(78)과 같은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point needle 68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70 at regular intervals, the edge portion 72 having a longitudinal cross section in a jagged shape, and a groove (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needles 74, which are accommodated in front and rear, and a lid portion 76 covering a part of the magnetic front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72. As shown in Fig. 6, the needle 74 is formed so that its end is formed in an L shape, and is hung on the front end face of the front part 72 when it is extruded inward. Furthermore, a step is provided at the inner end of the needle 74 in a step shape, and is formed so as to rest on the lid portion 76 when it is returned to the front of the self. Furthermore, a guide groove 78 for guiding the needle of the sewing machin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n the inner end upper surface of the needle 74. In addition, guide grooves similar to the guide grooves 78 are formed in the tip portions of the hooks 19a and 19b.

포인트바늘 횡위치제어부(66)의 이송나사(62)에는, 도5에 나타내듯이, 암나사부재(79)가 나합된다. 암나사부재(79)에는, 바늘(74)을 압출하는 힘을 발생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갖는 블록압인부(80)가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블록압인부(80)에는, 포인트바늘(68)에 대향하는 면에 바늘누름핀(82)을 갖는 블록(84)이 부착되어 있다.A female screw member 79 is screwed into the feed screw 62 of the point needle lateral position control section 66 as shown in FIG. A block pressure drawing unit 80 having a solenoid for generating a force for extruding the needle 74 is fixed to the female screw member 79. Furthermore, a block 84 having a needle push pin 82 is attached to the block pressing portion 80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oint needle 68.

포인트바늘 제어유닛(50)은, 상술한 구성에 의해, 컨베이어(52)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포인트바늘(68)의 전후방향의 위치를 변경할 수가 있다. 또, 포인트바늘 횡위치제어부(60)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포인트바늘(68)의 횡방향위치를 변경할 수가 있다. 더욱이, 침압제어부(66)와 블록압인부(80)를 간헐적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바늘(74)을 일침씩 압출할 수 있다. 또, 컨베이어(52), 포인트바늘 횡위치제어부(60), 침압제어부(66)와 블록압인부(80)는, 제어부(90)(도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포인트바늘(68)의 바늘(74)을, 사뜨는 코 검출부(10)에 의해 검출한 사뜨는 코의 위치에 대응시킬 수가 있는 동시에, 그 사뜨는 코로 향하여 압출할 수가 있다.The point needle control unit 50 can change the posi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point needle 68 by driving the conveyor 52 by the structure mentioned above. Moreover,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point needle 68 can be changed by driving the point needle horizontal position control part 60. Furthermore, by intermittently driving the needle pressure control part 66 and the block pressure drawing part 80, the needle 74 can be extruded at a time. In addition, the conveyor 52, the point needle horizontal position control unit 60, the needle pressure control unit 66, and the block pressure drawing unit 8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90 (FIG. 1), and the point needle 68 The needle 74 can be made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nose to be detected by the nose cutting unit 10, and can be extruded toward the nose.

더욱이, 이 환편옷감용 링킹장치(1)는, 사뜨는 코에 자통하여 된 포인트바늘(68)의 바늘(74)의 가이드홈(78)을 써서 그 사뜨는 코를 링킹하기 위한 미싱(100)을 포함한다. 이 미싱(100)은, 하부승강기(3)의 옆에 위치하는 다른 가대(15)에 형성되어 있는 암(17) 등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Furthermore, this ring knitting device 1 for circular knitting cloth uses a guide groove 78 of the needle 74 of the point needle 68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crocheting nose and sewing machine 100 for linking the crocheting nose. It includes. The sewing machine 10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by an arm 17 or the like formed on the other mount 15 positioned next to the lower elevator 3.

다음에, 주로 도7을 참조하면서, 미완성양말(W)에 대한 환편옷감용 링킹장치의 작동상황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7은, 환편옷감용 링킹장치의 작동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7 mainly, the operation of the linking device for circular knit cloth for the unfinished socks W will be described. 7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n operating situation of the link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cloth.

우선, 스텝 S1에 있어서, 미완성양말(W)을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부(10)에 세트한다. 세트작업에 관해서 설명하면, 우선, 미완성양말(W)을 하부삽통판 (12a)과 상부삽통판(12b)에 삽통한다. 이 때, 미완성양말(W)의 양단의 사뜨는 코(K)에, 훅(19a, 19b)이 삽통된다. 그것에 의하여, 미완성양말(W)이, 폭방향으로 신장된다. 그리고, 미완성양말(W)를 사뜨는 코(K)의 상방으로 상부협지부(22)의 협지암부(22a, 22b)에 의해 협지하고, 또한, 사뜨는 코(K)의 하방을 롤러(20a, 20b)를 하부삽통판(12a)에 압압하는 것에 의해 협지하여, 도3에 나타내듯이 배치한다.First, in step S1, the unfinished socks W are set in the knitting nose detection section 10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Referring to the set operation, first, the unfinished socks W are inserted into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nd the upper insertion plate 12b. At this time, the hooks 19a and 19b are inserted into the cutting noses K at both ends of the unfinished socks W. As a result, the unfinished socks W are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pinching arm part 22a, 22b of the upper clamping part 22 is pinched above the nose K which cuts the unfinished socks W, and the roller 20a is lowered below the nose K which cuts. , 20b) is sandwiched by pressing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nd arranged as shown in FIG.

다음에, 스텝 S2에 있어서, 상부협지부(22) 및 롤러(20a, 20b)에 의해, 미완성양말(W)을 삽통방향으로 신장한다. 신장은, 도3에 나타내듯이, 상부협지부(22)의 지지위치를 상방으로 이동하던지, 롤러(20a, 20b)를 회전시켜 미완성양말(W)을 하방으로 끌어내리던지, 혹은, 상기 동작의 쌍방을 행하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신장시에는, 사뜨는 코(K)가 CCD 카메라(24a, 24b)의 촬상가능범위 내에 배치되도록 배려하지 않으면 안된다.Next, in step S2, the unfinished socks W are extend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by the upper gripping portion 22 and the rollers 20a and 20b. As shown in Fig. 3, the extension moves the support position of the upper clamping portion 22 upward, or rotates the rollers 20a and 20b to pull the unfinished socks W downward, or This is done by doing both. In addition, at the time of extension, care must be taken so that the cutting nose K is disposed within the imageable range of the CCD cameras 24a and 24b.

지금까지의 행한 스텝 Sl 및 스텝 S2에 의한 결과에 관해서 설명하면, 미완성양말(W)의 뜨는 코는, 하부삽통판(12a), 상부삽통판(12b)의 폭방향과, 삽통방향의 쌍방향으로 확대되어 있으며, 화상처리장치(26)에 있어서, 사뜨는 코(K)가 검출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텝 S2에 있어서, 롤러(20a, 20b) 및 상부협지부(22)에 의해 미완성양말(W)의 삽통방향으로의 신장을 행하였지만, 스텝 Sl의 때에, 미완성양말(W)과 삽통판(12)과의 마찰에 의해, 미완성양말(W)이 삽통방향으로 적당히 신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는 생략되더라도 좋다.Referring to the results of the steps Sl and S2 performed so far, the floating nose of the unfinished socks W is formed in bo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nd the upper insertion plate 12b and the insertion direction in both directions. It is enlarged and it is in the state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26 in which the snuffing nose K is easy to detect. In this embodiment, in step S2, the unfinished socks W are stretch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by the rollers 20a and 20b and the upper clamping portion 22, but at the time of step Sl, the unfinished socks are When the unfinished socks W are properly extend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W) and the insertion plate 12, step S2 may be omitted.

다음에, 스텝 S3에 있어서, 도8에 나타내듯이, 미완성양말(W)에 형성된 사뜨는 코(K)을 포함하는 뜨는 코의 상황을 CCD 카메라(24a, 24b)에 의해 촬상한다. 촬상시에는, 하부삽통판(12a) 및 상부삽통판(12b)의 EL 패널(16a, 16b)가 점등되고, 미완성양말(W)의 섬유부분과 뜨는 코 부분과의 경계부분을 명확하게 판별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투과광이 쓰이고 CCD 카메라(24a, 24b)에서 촬상된다. 또한, 도8은, CCD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다계조화상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Next, in Step S3, as shown in Fig. 8, the state of the floating nose including the crocheted nose K formed in the unfinished socks W is imaged by the CCD cameras 24a and 24b. At the time of imaging, the EL panel 16a, 16b of the lower insertion board 12a and the upper insertion board 12b is lighted, and the boundary part of the fiber part of the unfinished socks W and the floating nose part can be distinguished clearly. In order to do this, the transmitted light is used and imaged by CCD cameras 24a and 24b. 8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a multi-gradation image captured by a CCD camera.

그리고, 스텝 S4에 있어서, 촬상된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장치(26)에 포함된 평활화처리부(28)에 입력하고, 평활화처리를 베푼 다계조화상으로 변환한다. 평활화처리부(28)는, CCD 카메라(24a, 24b)에 의해 촬상된 다계조화상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화소마다의 농도계조의 미세한 변동을 없앤 화상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평활화처리를 베푸는 것에 의해, 다계조화상은, 미완성양말(W)의 섬유부분과 뜨는 코 부분과의 경계부분을 보다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화상으로 된다. 또한, 평활화필터로서는, 착목(着目)한 화소 및 그 주위의 화소의 계조의 평균치를 구하고, 그 평균치를 착목한 화소의 값과 바꿔 놓는 단순평균화필터나 이동평균법을 쓴 필터 등을 쓸 수가 있다.In step S4, the captured multi-gradation image is input to the smoothing processing unit 28 included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26, and converted into a multi-gradation image subjected to the smoothing process. The smoothing processing unit 28 removes noise included in the multi-gradation image picked up by the CCD cameras 24a and 24b, and converts the image into an image which eliminates minute fluctuations in the density gradation for each pixel. By carrying out the smoothing process, the multi-tone image is an image that can more clearly distinguish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ber portion of the unfinished socks W and the floating nose portion. As the smoothing filter, a simple averaging filter, a filter using a moving average method, or the like, which obtains an average value of gray levels of a pixel of interest and surrounding pixels, and replaces the average value with a value of the pixel of interest.

스텝 S5에 있어서, 도9에 나타내듯이, 평활화된 다계조화상을 2치화처리부(30)에 입력하고, 2치화처리를 베풀어 2치화상으로 변환한다. 또한, 도9는, 도8에 나타내는 다계조화상이 2치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In step S5, as shown in Fig. 9, the smoothed multi-gradation image is input to the binarization processing section 30, and the binariz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to convert it into a binary image. 9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multi-tone image shown in FIG. 8 is binarized.

2치화처리에 관해서 도10을 써서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스텝 S51에 있어서, 역치결정부(32)에 의해, 다계조화상이 각각이 동등한 면적을 갖는 소영역으로 분할된다. 소영역으로 분할하는 때에는, 소영역이 어떤 일정의 비율을 가지고 중복하 도록 분할되더라도 좋다. 또한, 도10은, 2치화처리의 작동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흐름도이다.The binariz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First, in step S51, the threshold value determination unit 32 divides the multi-tone image into small regions each having an equal area. When dividing into small areas, the small areas may be divided so as to overlap at a certain ratio. 10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ng status of the binarization processing.

다음에, 스텝 S52에 있어서, 소영역마다의 농도 히스토그람에 의거하여, 각 소영역마다의 2치화역치를 결정한다. 더욱이, 소영역사이에서 역치의 보간을 행하는 것에 의해 평활화된, 보다 적절한 2치화역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역치결정법으로서 P-타일법을 썼지만, 그 외에, 모드법이나 판별분석법 등의 역치결정법이 쓰이더라도 좋다.Next, in step S52, the binarization threshold value for each small reg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density histogram for each small region. Furthermore, by performing interpolation of the threshold values between the small regions, a more appropriate binarization threshold value can be obtained. In this embodiment, the P-tile method is used as the threshold determination method. In addition, threshold determination methods such as a mode method and a discriminant analysis method may be used.

또한, 미완성양말(W)의 조명상황의 변동이 작고, 2치화역치를 빈번히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최초에 본 스텝을 실행하여 얻어진 2치화역치를 보존하고, 이것을 다음회 이후의 입력화상의 2치화처리에 적용해도 좋다.In addition, when the fluctuation of the lighting condition of the unfinished socks W is small and the binarization threshold value does not need to be changed frequently, the binarization threshold value obtained by performing this step is first stored, and this is stored in the input image after the next time. You may apply to a binarization process.

스텝 S53에 있어서는, 2치화처리의 최종 스텝인 다계조화상의 2치화상으로의 변환을 행한다. 2치화처리의 때에는, 역치결정부(32)에 의해 결정된 각 소영역마다의 2치화역치를 써서 변환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9에 나타내듯이, 섬유부분에 해당하는 개소, 즉 농도계조가 높은 화소에 화상신호“1”을, 그리고, 뜨는 코 부분에 해당하는 개소, 즉 농도계조가 낮은 화소에 화상신호“0”을 할당하도록 하여 2치화상을 형성하고 있다.In step S53, the conversion to the binary image of the multi-tone image which is the final step of the binariz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binarization processing, conversion is performed using the binarization threshold value for each small area determined by the threshold value determination unit 32.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the image signal "1" corresponds to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ber portion, that is, a pixel having a high density gray level, and to a location corresponding to a floating nose part, that is, to a pixel having a low density gray level. A binary image is formed by assigning the image signal "0".

그리고, 스텝 S6에 있어서는, 라벨링처리부(34)에 의해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한 결과, 도11에 나타내듯이, 섬유부분에 해당하는 개소의 화소는“0”인 채로, 라벨이 부여하지 않고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사뜨는 코(K)을 포함하는 뜨는 코 부분에는,“0”이외의 문자나 기호 등의 라벨을 부여하여 영역을 형성한다. 그 결과, 도9와 도11을 비교하여 알 수 있듯이, 사뜨는 코(K)를 나타내는 영역에는 각각“c”,“d”,“e”,“f”,“g”의 라벨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도11은, 도9에 나타내는 2치화상이 라벨링처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And in step S6, the labeling process part 34 converts a binary image into a label image. In this embodiment, as a result of converting a binary image into a label image, as shown in Fig. 11, the pixel 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ber portion is maintained without being given a label as "0". The floating nose portion including the cutting nose K is provided with a label such as a letter or symbol other than “0” to form an area. As a result, as can be seen by comparing Figs. 9 and 11, the labels “c”, “d”, “e”, “f”, and “g” are assigned to the areas indicating the cutting nose K, respectively. have. FIG. 1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inary image shown in FIG. 9 is labeled.

스텝 S7에 있어서는, 도12에 나타내듯이, 라벨이 붙여진 사뜨는 코(K)를 나타내는 영역(이하 단지 사뜨는 코 영역이라고 칭한다)을, 사뜨는 코 영역추출부(36)에 의해 추출한다. 또한, 도12는, 도11에 나타내는 라벨화상으로부터 사뜨는 코 영역이 추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In step S7, as shown in FIG. 12, the area | region which shows the labeling cut nose K (henceforth only a cut nose area | region) is extracted by the cutting nose area | region extraction part 36. As shown in FIG. 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t nose area is extracted from the label image shown in FIG.

사뜨는 코 추출처리에 관해서 도13을 써서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스텝 S71에 있어서, 라벨이 붙여진 영역의 면적을 나타내는,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부 영역의 구성화소수(이하 단지 면적이라고 칭한다)를 영역마다 계수한다. 또한, 도13은, 사뜨는 코 추출처리의 작동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nose extraction processing of Fig. 13. First, in step S71, the number of constituent pixels of the label portion region included in the label image, which indicates the area of the labeled reg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the area). Is counted for each area. 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ng status of the snore extraction process.

다음에, 스텝 S72에 있어서, 미리 설정하고 있던 면적역치와 각 라벨부 영역과의 면적이 비교되고, 면적역치에서 착목한 라벨부 영역의 면적이 작은 경우에는, 스텝 S731에 나타내듯이, 착목한 영역의 라벨치가 삭제되고, 그 영역의 화소에는“0”이 입력된다. 또 면적역치에서 착목한 라벨부 영역의 면적이 큰 경우에는, 스텝 S732에 나타내듯이, 현상의 형인 채로 착목한 영역의 라벨치를 보존한다. 또한, 면적역치는, 사뜨는 코(K)의 화상이 2치화되고, 라벨링처리된 때에, 사뜨는 코의 라벨부 영역의 구성화소수의 최소치를 기준으로서, 이것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으며,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면적역치를 12로 하였다.Next, in step S72, the area between the area threshold set in advance and the area of each label unit is compared, and when the area of the label unit area that is planted at the area threshold is small, as shown in step S731, the planted area The label value is deleted, and " 0 " In addition, when the area of the label portion area implanted at the area threshold is large, as shown in step S732, the label value of the planted area remains as a phenomenon type. In addition, the area threshold value is set slightly smaller than this, based on the minimum value of the constituent pixels of the labeling area of the cutting nose when the image of the cutting nose K is binarized and labeled. In embodiment, the area threshold was 12.

그리고, 스텝 S74에 있어서, 미처리의 라벨부 영역이 존재하는지 아닌지가 판단되고, 모든 라벨부 영역에 관해서, 스텝 S72로부터의 작업이 베풀어지도록 처리되어 있다.In step S74,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 unprocessed label portion region exists, and the process from step S72 is processed for all the label portion regions.

스텝 S8에 있어서는, 사뜨는 코 위치산출부(38)에 의해, 사뜨는 코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사뜨는 코 영역의 중심위치를 사뜨는 코의 위치라고 간주하고 산출하고 있다.In step S8, the cutting nose position calculation part 38 detects the cutting nose position b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nose area. In this embodiment, the center position of the cutting nose area is regarded as the position of the cutting nose and calculated.

그리고, 도14에 나타내듯이, 스텝 S9에 있어서는, 검출된 사뜨는 코(K)의 위치와 바늘(74)의 위치로부터, 바늘(74)이 그 사뜨는 코(K)에 삽통할 수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And as shown in FIG. 14, in step S9, whether the needle 74 can penetrate into the knitting nose K from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knitting nose K and the position of the needle 74. FIG. Is judged.

만약, 도15에 나타내듯이, 바늘(74)과 검출된 사뜨는 코(K)와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바늘(74)이, 사뜨는 코(K)에 자통할 수 없는 위치에 있을 때는, 스텝 SlO에 있어서, 롤러(20a, 20b)에 의해서 하부삽통판(12a), 상부삽통판(12b)에 따라 옷감를 변위시키고, 또 옷감의 변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포인트바늘(68)을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K)에 대응한 위치에 바늘(74)이 오도록 조정된다. 또, 바늘(74)과 검출된 사뜨는 코(K)와의 위치가, 횡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포인트바늘 횡위치제어부(60)에 의해서, 포인트바늘(68)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K)에 대응한 위치에 바늘(74)이 오도록 조정된다.If, as shown in Fig. 15, the position of the needle 74 and the detected crocheting nose K is shif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position where the needle 74 cannot communicate with the crocheting nose K In the step S10, the cloth is displaced along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nd the upper insertion plate 12b by the rollers 20a and 20b, and the point needle 68 i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displacement of the cloth. By displacing), the needle 74 is adjusted to com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nose K. 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needle 74 and the detected crocheted nose K are shif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oint needle horizontal position control part 60 displaces the point needle 68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a result, the needle 74 is adjusted to com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 nose K.

스텝 S1O에 있어서, 조정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회귀점(1)으로 공정이 되돌려지고, 다시 사뜨는 코의 위치가 검출된다. 그리고, 1회의 조정으로 사뜨는 코에 대응한 위치에 바늘(74)을 맞출 수 없는 경우, 상술과 같은 위치의 조정이, 복수회 행하여진다.In step S10, when adjustment is performed, a process returns to the regression point 1 and the position of the nose to cut off is detected again. And when the needle 74 cannot be matched with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se which cuts by one adjustment, the above-mentioned adjustment of a position is performed in multiple times.

이와 같은 조정에 의해서, 도16에 나타내듯이, 1개의 사뜨는 코와 바늘(74)이 대응한 위치에 오면, 스텝 S11에 있어서, 블록압인부(80)에 의해서 바늘(74)의 압출이 행하여진다. 그것에 의하여, 도17에 나타내듯이, 바늘(74)은 옷감의 사뜨는 코(K)에 자통되고, 하부삽통판(12a)의 한쪽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정지한다.By such adjustment, as shown in FIG. 16, when one crocheting nose and the needle 74 come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step S11, the needle 74 is extruded by the block pressure drawing part 80, Lose.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7, the needle 74 is pierced by the knitting nose K of the cloth and stop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그리고, 스텝 S12에 있어서는, 바늘(74)의 압출이, 하부삽통판(12a)의 한쪽면측에 있는 모든 사뜨는 코(K)에 관하여 행하여졌는지가 판단된다. 만약, 한쪽면측의 모든 사뜨는 코(K)에 관해서 행하여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회귀점(1)으로 공정이 되돌려진다. 또, 한쪽면측에 있는 모든 사뜨는 코에 관하여 행하여진 경우에는, 스텝 S13으로 공정이 진행된다.And in step S1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xtrusion of the needle 74 was performed with respect to all the twisting noses K in one side of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If all the knitting noses on one side are not performed, the process returns to the regression point 1. Moreover, when it is performed about all the crocheting noses in one side, a process progresses to step S13.

스텝 S13에 있어서는, 양쪽면측의 모든 사뜨는 코(K)에 관하여 스텝 S11에 있어서의 공정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양쪽면측의 모든 사뜨는 코(K)에 바늘(74)이 압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4로 공정이 진행된다.In step S1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ocess in step S11 was performed with respect to all the crocheting noses K on both surface sides. When the needle 74 is not extruded to all the knitting noses K by both sides, a process advances to step S14.

스텝 S14에 있어서는, 도18에 나타내듯이, 하부삽통판(12a)이 하방으로 슬라이드하여, 상부삽통판(12b)과의 사이에 슬리트(N)가 형성된다. 이 때, 포인트바늘(68)이 옷감의 사뜨는 코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도19에 나타내듯이, 포인트바늘(68)은 컨베이어(52)에 의해 전방으로 조금만 압출되고, 바늘(74)이 슬리트(N)의 안에 위치된다. 더욱이, 슬리트(N) 근방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라이트가 점등되고, 촬상하는 카메라를 CCD 카메라(24b)로 바꾼 후, 회귀점(1)으로 공정이 되돌려진다.In step S14, as shown in FIG. 18,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slides downward, and the slits N are formed between the upper insertion plate 12b. At this time, the point needle 68 is slightly extruded forward by the conveyor 52 so that the point needle 68 does not fall out of the crocheting nose of the cloth, and the needle 74 is slits ( N) is located inside. Further, a light (not shown) provided near the slit N is turned on, and after replacing the camera to image with the CCD camera 24b, the process returns to the regression point 1.

또,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과의 사이에 슬리트(N)가 형성되더라도, 도18 및 도19에 나타내듯이, 삽통판의 다른쪽면측에 있는 사뜨는 코(K)의 위치와 바늘(74)이 대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삽통판의 다른쪽면측에 있어서도, 사뜨는 코 검출부(10)에 의해서, 사뜨는 코(K)가 검출된다. 그리고, 삽통판(12a, 12b)의 한쪽면측에서 행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삽통판(12a, 12b)의 다른쪽면측에 있어서의 옷감의 사뜨는 코(K)의 위치와 바늘(74)이 대응하는 위치에 오도록 조정된다. 또한, 옷감은 롤러(20a, 20b)에 의해서 변위시켜지기 위해서, 삽통판의 양면측에서 동시에 변위하지만, 삽통판의 한쪽면측에서는, 사뜨는 코(K)에 바늘(74)이 자통되고 있기 때문에, 삽통판(12a, 12b)의 한쪽면측에 있어서 옷감은 그다지 변위하지 않고, 바늘(74)이 사뜨는 코(K)에서 빠지는 일은 없다.Further, even if the slits N are formed between the lower insertion plate 12a and the upper insertion plate 12b, as shown in Figs. 18 and 19, the slitting nose K on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plate is shown. Position and the needle 74 do not correspond in many cases. Therefore, also at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insertion plate, the cutting nose K is detected by the cutting nose detection unit 10. And the position of the cutting nose K of the cloth i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insertion plate 12a, 12b, and the needle 74 are similar to the method performed by the one surface side of the insertion plate 12a, 12b. It is adjusted to come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addition, since the cloth is displaced at the same time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late in order to be displaced by the rollers 20a and 20b, the needle 74 is passed through the nose K to be cut at one side of the insertion plate. The fabric does not displace much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plate 12a, 12b, and does not fall out of the nose K which the needle 74 cuts.

이와 같은 조정에 의해, 도20에 나타내듯이, 삽통판(12a, 12b)의 다른쪽면측에 있어서의 옷감의 사뜨는 코(K)와 바늘(74)이 대응한 위치에 오면, 바늘(74)은, 블록압인부(80)에 의해 더욱 압출된다. 그것에 의하여, 도21에 나타내듯이, 삽통판(12a, 12b)의 한쪽면측 및 다른쪽면측에 있어서, 옷감의 사뜨는 코(K)에 1개의 바늘(74)이 자통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삽통판의 다른쪽면측에 있는 모든 사뜨는 코(K)에 관해서, 삽통판(12a, 12b)의 한쪽면측에서 바늘(74)이 자통된다. 그리고, 스텝 S13에 있어서, 모든 사뜨는 코(K)에 바늘(74)이 자통된 때에는, 이들의 포인트바늘(68)의 바늘(74) 및 훅(19a, 19b)의 가이드홈을 이용하여 미싱(100)에 의해 링킹이 행하여진다.By such adjustment, as shown in FIG. 20, when the knitting nose K and the needle 74 of the cloth i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insertion board 12a, 12b are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needle 74 The silver is further extruded by the block pressing portion 80. As a result, as shown in Fig. 21, one needle 74 passes through the cutting nose K of the cloth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plate 12a, 12b. Similarly, with respect to all the crocheting noses K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insertion plate, the needle 74 is pierc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plate 12a, 12b. And in step S13, when the needle 74 has passed through all the squeezing noses K, the sewing machine uses the guide 74 of the needle 74 and hooks 19a and 19b of these point needles 68. Linking is performed by 100.

또한, 이 사뜨는 코 영역의 위치정보는, 적의, 화상처리장치(26)의 내부 혹은 외부에 설치한 기록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비축하던지, 혹은, 포인트바늘과 환편옷감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는 링킹장치에 입력되고, 사뜨는 코로의 포인트바늘의 자동자통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쓰인다.In additi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crocheted nose area is stored in a recording apparatus (not shown)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26, or the position of the point needle and circular knitting cloth is relatively relatively. It is input to a link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hanging, and is used when the automatic needle processing of the point needle into the crochet is performed.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뜨는 코 이외의 뜨는 코가, 사뜨는 코 영역추출부(36)에 추출되지 않은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사뜨는 코 이외의 뜨는 코가, 면적역치를 넘어서 추출되는 때를 고려하여, 미리 삽통체(12a, 12b)에 미완성양말(W)을 배치한 때의 사뜨는 코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설정된 사뜨는 코의 예측위치를 참조하여, 그 위치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뜨는 코의 라벨부 영역을 사뜨는 코 영역으로서 추출처리 할 수도 있다. 또, 예측위치의 근방에 사뜨는 코(K)의 영역이 추출되지 않은 경우는, 최초의 면적역치를 내려, 예측위치근방에 사뜨는 코 영역이 추출되기까지, 상기처리를 반복하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floating nose other than a crocheting nose was not extract | extracted by the crocheting nose area | region extraction part 36, the floating nose other than a crocheting nose is extracted beyond an area threshol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required, the closest to the position is referred to the predicted position of the crocheted nose, which is set on the basis of the crocheted nose positional information when the unfinished socks W are placed on the insertion bodies 12a and 12b in advance. Extraction may be performed as a nasal area to cut off the label area of the floating nose located. If the area of the nose K to be cut off near the predicted position is not extracted, the above process may be repeated until the initial area threshold is lowered and the nose area to be cut off near the predicted position is extracted.

또한, 포인트바늘(68)을 사뜨는 코(K)에 자통할 때에, 포인트바늘(68)과 옷감의 양쪽을 변위시킬 필요는 없고, 예컨대 옷감을 고정한 채로, 포인트바늘(68)을 상하좌우로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고, 포인트바늘(68)을 사뜨는 코(K)의 위치에 갖고 오더라도 좋다. 더욱이, 포인트바늘(68)을 고정하고, 예컨대 옷감의 상하좌우에 롤러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옷감을 상하좌우로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고, 그것에 의하여 포인트바늘(68)이 사뜨는 코(K)의 위치에 오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when making the point needle 68 cut into the nose K, it is not necessary to displace both the point needle 68 and the cloth. For example, the point needle 68 is held up, down, left, and right while the cloth is fixed. It may displace two-dimensionally and bring the point needle 68 to the position of the nose K which cuts off. Furthermore, by fixing the point needle 68, for example, by arranging rollers i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loth, the cloth is displaced two-dimensionally i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whereby the point needle 68 cuts the nose K. It may be in the position of.

또한, 상술의 환편옷감용 링킹장치(1)에서는, 포인트바늘(68)의 바늘(74)이 삽통판의 한쪽면측에만 설치되고, 바늘(74)이 삽통판의 한쪽면측에 있는 사뜨는 코(K)에 자통되고, 더욱이, 그 바늘(74)이 삽통판의 다른쪽면측에 있는 사뜨는 코(K)에도 자통되지만, 이 발명에서는, 포인트바늘의 바늘을 삽통판의 한쪽면측 및 다른쪽면측에 각각 설치하고, 삽통판의 한쪽면측의 바늘을 삽통판의 한쪽면측에 있는 사뜨는 코에 자통하고, 삽통판의 다른쪽면측의 바늘을 삽통판의 다른쪽면측에 있는 사뜨는 코에 자통하고, 그것들의 바늘을 맞댄 뒤에, 한쪽의 바늘이 그것들의 사뜨는 코를 자통하도록 사뜨는 코를 옮기더라도 좋다. 이 경우, 한쪽의 바늘을 그것들의 사뜨는 코에 자통한 후, 그것들의 사뜨는 코가 한쪽의 바늘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그 바늘의 앞부분을 빠짐방지부재로 눌러 놓은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linking device 1 for circular knitting cloth, the needle 74 of the point needle 68 is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plate, and the needle 74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plate. K), and furthermore, the needle 74 also penetrates the crocheted nose K on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plate. In this invention, the needle of the point needle is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plate. Each of the needles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plate to the knitting nose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plate, and the needles on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plate on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plate. After returning to their needles, one may move the crocheting nose so that one needle passes through their crotch.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press one of the needles into their knitting noses and then press the front part of the needles with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in order to prevent their knitting noses from falling out of one of the needles.

또한, 상술의 환편옷감용 링킹장치(1)에서는, 복수의 바늘(74)을 복수의 사뜨는 코(K)에 단으로부터 순으로 자통하였지만, 이 발명에서는, 우선, 복수의 사뜨는 코(K) 중 적당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적당한 수의 사뜨는 코(K)에만 바늘(74)을 자통하는 것에 의해, 나머지의 사뜨는 코(K)와 나머지의 바늘(74)이 대응하도록 하고, 나머지의 사뜨는 코(K)에 나머지의 바늘(74)을 거의 동시에 자통하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ring knitting device 1 for circular knitting cloth, although the plurality of needles 74 were pierced in order from the end to the plurality of knitting noses K, 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plurality of knitting noses K By passing the needle 74 only in the appropriate number of cutting noses K with a proper distance between the two, the remaining cutting noses K and the remaining needles 74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remaining needles 74 may be made to pass through the nose K at the same time.

또한, 상술의 환편옷감용 링킹장치(1)에서는, 복수의 사뜨는 코(K)의 위치와 복수의 바늘(74)의 위치가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것들의 바늘(74)을 그것들의 사뜨는 코(K)에 거의 동시에 자통할 수가 있다.In addition, in the linking device 1 for circular knitting fabric described above, when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knitting noses K and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needles 74 correspond to each other, those needles 74 You can swell at the same time as the floating nose (K).

또한, 이 발명에 관해서 상세히 도시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이것은 단순한 도해 및 일례로서 쓴 것이며, 한정된다고 이해되어서는 안 되는 것은 분명하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는 첨부된 클레임의 문언에 의해서만 한정된다.In addition, although this invention was shown and demonstrated in detail about this invention, it is used as a simple illustration and an example, It is clear that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it is limited, and the mind and range of this invention are limited only by the attached language of the claim.

본 발명에 따르면, 환편옷감의 사뜨튼 코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가 있고, 반드시 원하는 크기 및 형태로 환편옷감을 정확하게 링킹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satin nose of the circular knitting fabric can be accurately detected, and the circular knitting fabric can be accurately linked to a desired size and shape.

Claims (24)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체를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키는 공정과,A process of extending the circular knitting cloth by inserting an insertion body into the circular knitting cloth having a stuffy nose; 전기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과,A process of photographing a multi-tone image including an image of a cutting nose of an electric circular knitting cloth extended by an electric insertion tube, 전기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A cutting nose detection method of circular knitting cloth, comprising the step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nose by image processing an electric multi-tone image. 제1항에 있어서, 전기 환편옷감을 전기 삽통체의 삽통방향으로 신장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The cutting nose detection method of the circular knitting fabric of Claim 1 including the process of extending | stretching an electric circular knitting cloth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an electric insertion bod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은, 평면상에 있어서 행하여지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step of picking up the electric multi-gradation image is performed on a plane.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전기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은, 전기 환편옷감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투과하는 빛을 써서 행하여지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picking up the electric multi-tone image is performed by using light transmitted from the inside of the electric circular knitting cloth to the outside.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로서, 슬리트를 갖는 삽통체를 쓰고,The inserter having a slit is used as an electric inserter according to claim 1, 전기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은, 전기 슬리트에 빛을 조사하는 공정과, 전기 슬리트에 있어서 전기 환편옷감의 외부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투과하는 빛을 쓰는 공정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The process of picking up an electric multi-gradation image includes a step of irradiating light to an electric slit, and a step of using light transmitted from one outside of the electric circular knitting cloth to the other in the electric slit. Floating nose detection method.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공정은,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nose is 전기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과,Converting an electric multi-tone image into a binary image, 전기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과,Converting a binary image into a label image; 전기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전기 사뜨는 코가 전기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 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갖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공정과,The number of constituent pixels in each labeled region included in the electric label image is counted, and the electric frying has a constituent pixel number larger than the value set on the basis of the minimum constituent pixel number of the region formed by the nose in the electric label image. Generating an extraction label image extracting only an area; 전기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A cutting nose detection method of circular knitting cloth,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position of each cutting nose b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each region included in the electro-extraction label image. 제6항에 있어서, 전기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하고, 전기 소영역의 화상특성에 의거하여 전기 소영역마다의 2치화역치를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사뜨는 코 검출방법.7. The process of claim 6, wherein the step of converting into an electric binary image comprises: dividing the electric multi-tone image into a plurality of small regions, and determining the binarization threshold value for each small region based on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region; Including, cutting nose detection method.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키는 삽통체와,An intubation body which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knitting cloth having a snuffing nose to extend the circular knitting fabric; 전기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Imaging means for picking up a multi-tone image including an image of a crocheted nose of an electric circular knitting cloth extended by an electric insertion body; 전기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사뜨는 코 검출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A crocheting nose detection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cloth, comprising a crocheting nos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crocheting nose by image processing an electric multi-tone image. 제8항에 있어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부를 협지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협지수단과,9. The upper clamping means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n upper clamping means for pinching the upper part of the nose of the circular circular knitting cloth and mov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하부를 협지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부협지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A crocheting nose detection apparatus for circular knit fabrics, having a lower clamping means for pinch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rocheted nose and mov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적어도 사뜨는 코가 배치되는 표면이 평면상으로 형성되고,The surface of the electric inserter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at least a cutting nose is disposed is formed in a planar shape, 전기 촬상수단은, 촬상방향이 전기 삽통체의 평면상 표면의 폭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The image pick-up device of the round knitting cloth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n imaging direction may become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nar surface of an electric insertion body.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발광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The cutting edge nose detection apparatus of the circular knitting cloth of Claim 8 or 10 which has a light emitting means. 제8항 내지 제11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슬리트를 갖고,The electric insertion tub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1, which has a slit, 전기 슬리트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A crocheting nose detection device having a circular knitting cloth having lighting means for irradiating light to an electric slit. 제8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 검출수단은,The nose cutting mean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2, wherein 전기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Means for converting an electric multi-tone image into a binary image, 전기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Means for converting an electric binary image into a label image; 전기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전기 사뜨는 코가 전기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 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갖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영역추출수단과,The number of constituent pixels in each labeled region included in the electric label image is counted, and the electric frying has a constituent pixel number larger than the value set on the basis of the minimum constituent pixel number of the region formed by the nose in the electric label image. Region extraction means for generating an extraction label image extracting only the region; 전기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A crocheting nose detection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cloth, comprising means for obtaining the position of each crocheting nose b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each region included in the electric extraction label image. 제13항에 있어서, 전기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하고, 전기 소영역의 화상특성에 의거하여 전기 소영역마다의 2치화역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사뜨는 코 검출장치.1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means for converting into an electric binary image divides the electric multi-tone image into a plurality of small regions, and means for determining the binarization threshold for each small region based on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region. Included, the cutting nose detection device.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키는 삽통체와,An intubation body which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knitting cloth having a snuffing nose to extend the circular knitting fabric; 전기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Imaging means for picking up a multi-tone image including an image of a crocheted nose of an electric circular knitting cloth extended by an electric insertion body; 전기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사뜨는 코 검출수단과,Cutting nos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nose by image processing the electric multi-tone image; 전기 사뜨는 코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과,Means for matching the point needle to the position of the cutting nose detected by the electric cutting nose detecting means; 각 사뜨는 코에 전기포인트바늘을 자통하는 수단과,Means to let electric needle go through each stuffing nose, 전기 포인트바늘을 자통한 사뜨는 코를 링킹하기 위한 미싱기구를 갖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A link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cloth, having a sewing machine for linking a cutting nose through the electric needle. 제15항에 있어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부를 협지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협지수단과,The upper clamping means according to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n upper clamping means for clamping an upper portion of the cutting nose of the circular circular knitting cloth and mov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하부를 협지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부협지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A link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cloth, having a lower clamping means for pinching the lower portion of the nose of the electric circular knitting cloth and mov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적어도 사뜨는 코가 배치되는 표면이 평면상으로 형성되고,The surface of the electric insertion body of claim 15 or 16, wherein at least a cutting nose is disposed is formed in a plane shape, 전기 촬상수단은, 촬상방향이 전기 삽통체의 평면상 표면의 폭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The electrophotographic means is a link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cloth, wherein the imaging direction is arrang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nar surface of the electric insertion body. 제15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발광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18. The linking device for circular knitted fabric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17, wherein the electric insertion body has light emitting means. 제15항 내지 제18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슬리트를 갖고,The electric insertion tub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18, which has a slit, 전기 슬리트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A link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cloth, comprising illuminating means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electric slit. 제15항 내지 제19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 검출수단은,The nose cutting mean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19, wherein 전기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Means for converting an electric multi-tone image into a binary image, 전기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Means for converting an electric binary image into a label image; 전기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전기 사뜨는 코가 전기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 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갖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영역추출수단과,The number of constituent pixels in each labeled region included in the electric label image is counted, and the electric frying has a constituent pixel number larger than the value set on the basis of the minimum constituent pixel number of the region formed by the nose in the electric label image. Region extraction means for generating an extraction label image extracting only the region; 전기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A link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cloth, comprising means for obtaining the position of each crocheted nose b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each region included in the electric extraction label image. 제20항에 있어서, 전기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하고, 전기 소영역의 화상특성에 의거하여 전기 소영역마다의 2치화역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2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the means for converting into an electric binary image comprises: means for dividing an electric multi-tone image into a plurality of small regions, and determining a binarization threshold value for each small region based on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region; Containing, circular ring cloth linking device. 제15항 내지 제21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한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과, 전기 포인트바늘을 전기 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22.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21, wherein the means for matching the point needle to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knitting nose comprises: means for displac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knitting nose in one direction; And a means for displacing in the direction. 제15항 내지 제21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포인트바늘을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The link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21, wherein the means for matching the point needle to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knitting nose includes a means for displacing the electric point needle two-dimensionally. 제15항 내지 제21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The link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21, wherein the means for matching the point needle to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knitting nose includes a means for displac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knitting nose two-dimensionally. .
KR1019990001377A 1998-01-19 1999-01-19 Proces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op stitch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apparatus for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 KR10031757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262598A JP3383567B2 (en) 1998-01-19 1998-01-19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verlock of circular knitted fabric
JP1998-22625 1998-01-19
JP02373098A JP3383568B2 (en) 1998-01-20 1998-01-20 Linking device for circular knitted fabric
JP1998-23730 1998-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966A true KR19990067966A (en) 1999-08-25
KR100317572B1 KR100317572B1 (en) 2001-12-22

Family

ID=5478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377A KR100317572B1 (en) 1998-01-19 1999-01-19 Proces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op stitch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apparatus for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5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446B1 (en) * 2001-03-14 2008-01-22 가부시끼가이샤 단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ing plain knitted fabric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446B1 (en) * 2001-03-14 2008-01-22 가부시끼가이샤 단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ing plain knitted fabr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7572B1 (en) 200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9896B1 (en) Method for visually inspecting textile garments, and a system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CN112218960B (en) Leather inspection system
RU2632323C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livery of stack of valuable documents
WO199200896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abric inspection
CN101250783A (en) Device for distinguishing spools on the basis of their yarn content
EP3162953A1 (en) Device for processing of object to be processed
US6397121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op stitch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apparatus for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
KR100317572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op stitch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apparatus for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
JP2012012731A (en) Sewing machine
CN111562260A (en) Lotus root mud hol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machine vision
JP3383568B2 (en) Linking device for circular knitted fabric
KR1007964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ing plain knitted fabrics
JP33835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verlock of circular knitted fabric
DE60205008T2 (en) Kettelverfahren and device
CN106906520A (en) The method and its silk cocoon screening system of the inferior silk cocoon of electronic recognition
CN112683803A (en)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defects of front and back surfaces of leather
KR100529402B1 (en) Linking method and linking apparatus
KR101537552B1 (en) The Device of the Automatic Detection of Type-I Yarn Package Winding-form Error Using Quadrantal Dissection Image Processing and thereof the Method
FI901281A0 (en) Separator for seam machines
CN114717832B (en) Rapid detection method for broken needle for spinning
CN210269646U (en) Intelligent defect identification scanner
EP2048273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imperfections during the manufacture of tufted goods and tufting machines
JP2003320186A (en) Linking machine
KR20030086901A (en) Linking method and linking apparatus
ITMN20130003A1 (en) CONTROL DEVICE CUTS IN A VISUAL CONTROL MACHINE AND AUTOMATIC SE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