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4987A - Vehicle conditio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Vehicle conditio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987A
KR19990064987A KR1019970078073A KR19970078073A KR19990064987A KR 19990064987 A KR19990064987 A KR 19990064987A KR 1019970078073 A KR1019970078073 A KR 1019970078073A KR 19970078073 A KR19970078073 A KR 19970078073A KR 19990064987 A KR19990064987 A KR 19990064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unit
vehicle status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0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충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8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4987A/en
Publication of KR19990064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987A/en

Link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상태 점검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A vehicle condition che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차량상태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상태 점검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 vehicle condition che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a vehicle state through a liquid crystal displa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Solution of the Invention

차량상태 점검시스템에 있어서, 시동 오프시 차량의 차체 충격 여부 및 창문 또는 도어의 락 상태 여부에 따른 각기 다른 소정의 센서검출신호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자동차부와, 상기 자동차부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면 경보를 발생하고, 상기 수신된 소정의 신호에 대한 해당 차량상태 메시지를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 vehicle state checking system comprising: a vehicle unit for transmitting a radio signal including a predetermined sensor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whether a vehicle is impacted or a window or a door is locked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An alarm is generated when a signal is receiv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gured to display a corresponding vehicle status message for the received predetermined signal.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차량상태 점검에 이용한다.Used to check vehicle status.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상태 점검시스템 및 방법Vehicle conditio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응용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상태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에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상태 점검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condition che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the state of a vehicle on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about.

통상적으로 자동차를 운전하는 사람은 좀더 편리하게 자동차를 사용하고저 원거리에서 자동차의 시동을 걸거나 혹은 원격 도어 락/언락(Door Lock/UnLock)을 할 수 있는 자동차리모콘을 사용한다.Typically, a car driver uses a car remote control that can more conveniently use the car, start the car from a distance, or remotely lock or unlock the door.

또한 자동차를 가지고 있는 운전자는 자동차의 도난 방지를 위해 자동차에 도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상기 도난 방지 장치는 자동차 차체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자동차 자체에서 경보음을 발생하고, 자동차리모콘의 발광다이오드(LED)의 점멸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In addition, a driver having a car is often installing a device having an anti-theft function in the car to prevent theft of the car. The anti-theft device generates an alarm sound in the vehicle itself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vehicle body, and informs the user through the blinking of the LED of the remote controller.

도 1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의 차량 전용 리모콘을 이용한 차량 원격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conventional vehicle-specific remote control that performs the above function.

도 1에서 참조된 부호 10은 자동차이고, 20은 자동차 리모콘이다. 상기 자동차(10)는 자동차 리모콘(20)으로부터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중간주파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원격 시동, 원격 도어락/언락에 대한 각각의 특정 데이터를 가지고, 상기 데이터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한다.Reference numeral 10 in FIG. 1 denotes a vehicle, and 20 denotes a vehicle remote controller. The vehicle 10 receives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from the vehicle remote controller 20 and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band. That is, each of the specific data for the remote start, remote door lock / unlocked, and performs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data.

또한 도난 방지 기능의 경우에는 상기 자동차(10)의 차체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자동차(10)에 외부로부터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고, 내부의 경보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며, 소정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상기 자동차 리모콘(20)으로 송신한다. 이에 응답하여 자동차 리모콘(20)은 LED를 점멸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nti-theft function, a sensor (not shown)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10 detects a shock applied to the vehicle 10 from the outside, and an alarm sound through an internal alarm unit (not shown). And a radio signal including predetermin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remote controller 20. In response, the car remote controller 20 blinks the LED.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주가 자동차의 상태를 파악함에 있어서 차량과 다소 떨어진 거리에 있을 경우 차량주는 차에서 발생한 경보음을 듣지 못하고, 자동차리모콘의 발광다이오드의 점멸을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wner of the vehicle grasps the state of the vehicle, the owner of the vehicle does not hear the alarm sound generated by the vehicle and does not recognize the blinking of the LED of the remote controller.

또한, 자동차로부터 발생한 경보음을 들었을 지라도 차량주는 경고음 발생원이, 즉 경고음 발생이 단순충격 때문인지 아니면 차가 침범을 당한상태인지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the alarm sounds from the car, the owner of the vehicle has a problem that the source of the alarm sound, that is, whether the alarm sound is due to a simple impact or whether the car is invad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상태를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고, 차량의 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상태 점검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state che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s a state of a vehicl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차량상태 점검시스템에 있어서, 시동 오프시 차량의 차체 충격 여부 및 창문 또는 도어의 락 상태 여부에 따른 각기 다른 소정의 센서검출신호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자동차부와, 상기 자동차부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면 경보를 발생하고, 상기 수신된 소정의 신호에 대한 해당 차량상태 메시지를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signal including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sensor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vehicle body impact and whether the window or door is locked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when the vehicle is started off.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enerating an alarm when a predetermine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unit and displaying a corresponding vehicle status message for the received predetermined sig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상태 점검시스템에서 차량상태 점검방법에 있어서,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되면 감시모드로 설정하는 제 1과정과, 상기 감시모드 하에서 자동차부의 센서에 의해 이상이 검출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에서 센서에 의해 자동차부의 이상이 검출되면 해당 상태정보호를 발생하고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송신하는 제 3과정과, 상기 무선신호의 송신 후에 소정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hecking a vehicle state in a vehicle state check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econd step of checking whether an abnormality is detected by a negative sensor, a third step of generating a corresponding state information call and modulating and transmitting the state signal when the abnormality is detected by the sensor in the second step; And a fourth process of perform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by checking whether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s received after the signal is transmitted.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상태 점검시스템의 차량상태 표시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차량상태신호가 수신되면 경보음을 발생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소정의 차량상태신호로부터 차량상태를 판단하고 해당 차량상태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 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isplaying a vehicle status of a vehicle status check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first process of generating an alarm sound when a predetermined vehicle status signal is received; And a second process of determining a vehicle state from the vehicle state signal and displaying a corresponding vehicle state message.

도 1은 종래 차량 전용 리모콘을 이용한 차량 원격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conventional vehicle-specific remote contro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상태 점검시스템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 vehicle state check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상태 점검시스템의 블록 구성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state che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차량상태 점검방법을 나타낸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state checking metho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싱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차량상태 표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vehicle stat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상태 점검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vehicle state check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참조된 부호 10은 자동차이고, 30은 이동통신단말기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는 상기 자동차로부터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중간주파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에 대한 차량상태 메시지를 LCD에 표시한다.In FIG. 2,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car and 30 denot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 receives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from the vehicle, and displays a vehicle status message for the frequency band on the LC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상태 점검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condition che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면에 참조된 부호 10은 자동차부이고, 30은 이동통신단말기이다. 우선 자동차부(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제 1센서(11)는 자동차의 4개의 창문에 설치되며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되었을 시 창문의 개패상태를 센싱하고 제 1펄스신호를 발생한다. 제 2센서(12)는 차체부 센서로서, 차체에 충격이 가해질 시 상기 충격을 센싱하고, 제 2펄스 신호를 발생한다. 밧데리(13)는 자동차의 전반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검출부(14)는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되었을 때, 상기 밧데리(13)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검출하고, 제 3펄스신호를 발생한다. 라이트부(15)는 상기 밧데리(13)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자동차의 전조등, 미등, 브레이크 등의 조명을 제어한다. 스위치부(18)는 노멀 클로즈(Normal Close) 스위치로서,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라이트부(15)로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한다. 제 1무선주파수부(이하 제 1RF부라 함)(17)는 소정의 제어를 받으며, 안테나(ANT1)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변복조한다. 제 1제어부(10)는 상기 시동부(19)가 온/오프되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 1제어부(10)는 상기 시동부(19)가 오프되면 상기 제 1센서(11)와, 제 2센서(12)와, 전원검출부(14)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1센서(11)와, 제 2센서(12)와, 전원검출부(14)로부터 펄스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펄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각 펄스 신호에 대한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 1RF부(17)에서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로부터 송신된 소정의 제어명령을 상기 안테나(ANT1)와 제 1RF부(17)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스위치부(18)를 오프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reference numeral 10 in the drawings is an automobile unit, and 3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unit 10 will be described. The first sensor 11 is installed in four windows of the vehicle and senses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window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and generates a first pulse signal. The second sensor 12 is a vehicle body sensor. When the shock is applied to the vehicle body, the second sensor 12 senses the shock and generates a second pulse signal. The battery 13 supplies power to the first half of the vehicle. The power supply detecting unit 14 detects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13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and generates a third pulse signal. The light unit 15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13 to control lighting of headlights, taillights, brakes, and the like of the vehicle. The switch unit 18 is a normal close switch, and under the predetermined control, turn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light unit 15. The first radio frequency unit 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RF unit) 17 receives predetermined control and modulates and demodulates a radio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T1. The first controller 10 determines whether the starter 19 is on / off. In addition, when the starting unit 19 is turned off, the first control unit 10 monitors the first sensor 11, the second sensor 12, and the power detector 14, and the first sensor 11. And the second sensor 12 and the power detector 14 to check whether a pulse signal is input, and when the pulse signal is input, outputs predetermined data for each pulse signal, and outputs the first RF unit ( In 17), a radio signal is modulated and transmitted through an antenna.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 receives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 through the antenna ANT1 and the first RF unit 17 and turns off the switch unit 18.

도 3에서 이동통신단말기(30)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 2RF부(32)는 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원래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 2제어부(37)는 상기 복조된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분석 처리한다. 경보부(36)는 상기 제 2제어부(37)의 제어를 받아 경보를 발생한다. 키입력부(34)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하며, 상기 키들에 대한 키데이터를 상기 제 2제어부(37)로 출력한다. 표시부(33)는 상기 키입력부(34)로부터 입력된 키에 대한 표시데이터를 상기 제 2제어부(37)를 통해 입력받아 표시하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표시한다. 메모리(35)는 소정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동작 프로그램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며, 상기 동작 프로그램에 대한 옵션 데이터를 저장한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 in Figure 3, the second RF unit 32 demodulates the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T2 and outputs the original signal. The second controller 37 analyzes the data from the demodulated signal. The alarm unit 36 generates an alarm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unit 37. The key input unit 34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and outputs key data for the keys to the second control unit 37. The display unit 33 receives and displays display data on a key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34 through the second control unit 37, and displays an operation state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mory 35 stores a predetermined operation program,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program, and stores option data for the operation program.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부에서의 차량상태 점검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state checking method in an automobile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자동차부에서의 차량상태 점검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제 1제어부(16)는 501단계에서 시동부(19)를 검사하여 시동이 오프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시동이 오프되면 제 1제어부(16)는 503단계에서 자동차부(10)를 감시모드로 설정한다. 상기 503단계에서 감시모드가 설정되면 제 1제어부(16)는 505단계와 506단계와 507단계에서 제 1센서(11), 제 2센서(12) 그리고 전원 검출부(14)로부터 펄스신호(이하 센서신호라 함)가 입력되는지를 순차적으로 검사한다. 상기 505단계에서 제 1차량상태신호가 검출되면 제 1제어부(16)는 508단계에서 제 1차량상태신호를 발생하고, 제 1RF부(17)에서 변조한 다음, 안테나(ANT1)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와 약속된 채널로 무선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506단계에서 제 2센서신호가 검출되면 제 1제어부(16)는 509단계에서 제 2차량상태신호를 발생하고, 제 1RF부(17)에서 변조하여 안테나(ANT1)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와 약속된 채널로 무선신호로 송신한다. 그리고 507단계에서 전원이 검출되면 제 1제어부(16)는 510단계에서 제 3차량상태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 1RF부(17)에서 변조한 다음, 안테나(ANT)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와 약속된 채널로 무선신호로 송신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the vehicle state checking method in the vehicle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the first controller 16 checks the starter 19 in step 501 to determine whether the start is turned off. When the start is turned off, the first controller 16 sets the vehicle unit 10 to the monitoring mode in step 503. When the monitoring mode is set in step 503, the first control unit 16 generates pulse signals from the first sensor 11, the second sensor 12, and the power detector 14 in steps 505, 506, and 507. Sequentially check whether a signal is input). When the first vehicle state signal is detected in step 505, the first controller 16 generates the first vehicle state signal in step 508, modulates the signal in the first RF unit 17, and then performs mobile communication through the antenna ANT1. It transmits a radio signal through a channel promised with the terminal. When the second sensor signal is detected in step 506, the first controller 16 generates a second vehicle state signal in step 509, modulates the signal in the first RF unit 17, and modulat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antenna ANT1. Transmit by radio signal on the channel promised with 30). When the power is detected in step 507, the first controller 16 generates a third vehicle state signal in step 510, modulates the first vehicle state signal in step 510, and then modulates the first vehicle state signal through the antenna ANT. Transmit by radio signal on the channel promised with 30).

상기 508단계와 509단계 중 어느 한 단계에서 센서검출신호가 송신되면 제어부(16)는 이동통신단말기(30)로부터 긴급잠금 명령이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긴급잠금 명령이 상기 안테나(ANT1)와 제 1RF부(17)를 통해 수신되면 제 1제어부(16)는 도어와 창문을 잠근다.When the sensor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in any one of steps 508 and 509, the controller 16 checks whether an emergency lock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 At this time, if the emergency lock command i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T1 and the first RF unit 17, the first control unit 16 locks the door and the window.

또한 상기 510단계에서 제 3차량상태신호를 송신한 다음, 5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로부터 라이트부 오프 명령이 안테나(ANT1)와 제 1RF부(17)를 통해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라이트부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제 1제어부(16)는 515단계에서 스위치(18)를 오프하여 라이트부(15)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In addition, after transmitting the third vehicle status signal in step 510,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514 to determine whether a write unit off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 through the antenna ANT1 and the first RF unit 17. do. In this case, when the write unit off command is received, the first controller 16 turns off the switch 18 in step 515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write unit 1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싱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차량상태 표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vehicle stat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차량상태 표시방법을 설명하면, 제 2제어부(37)는 601단계에서 상기 자동차부(10)와 약속한 채널로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약속한 채널을 통해 무선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면 제 2제어부(37)는 603단계에서 경보부(36)를 제어하여 경보음을 발생한다. 상기 경보음을 발생한 다음, 제 2제어부(37)는 605단계, 606단계, 607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가 어떤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즉, 제 1차량상태신호인지, 제 2차량상태신호인지 또는 제 3차량상태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605단계에서 제 1차량상태신호가 검출되면 제 2제어부(37)는 608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35)에 저장되어 있는 제 1차량상태 메시지를 독출하여 표시부(34)에 표시한다(예: 창문 열림 또는 WINDOW OPEN 등을 표시). 반면, 606단계에서 제 2차량상태신호가 검출되면 제 2제어부(37)는 609단계로 진행하고, 제 2차량상태 메시지를 메모리(35)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34)에 표시한다(예: 충격 감지 또는 IMPACT 등을 표시).Hereinafter, referring to FIG. 5, a method of displaying a vehicle stat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cond controller 37 checks whether a wireless signal is received through a channel promised with the vehicle unit 10 in step 601. In this case, when the wireless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through the promised channel, the second controller 37 controls the alarm unit 36 to generate an alarm sound in step 603. After generating the alarm sound, the second control unit 37 determines in step 605, 606, and 607 what signal the received radio signal is.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the first vehicle state signal, the second vehicle state signal, or the third vehicle state signal. When the first vehicle state signal is detected in step 605, the second control unit 37 proceeds to step 608 and reads the first vehicle state message stored in the memory 35 to display on the display unit 34 (eg, Window open or WINDOW OPEN etc.). In contrast, when the second vehicle state signal is detected in step 606, the second controller 37 proceeds to step 609, and reads the second vehicle state message from the memory 35 and displays the second vehicle state message on the display unit 34 (eg, an impact). Detect or indicate IMPACT, etc.).

상기 608단계와 609단계중 어느 한 단계에서 차량상태 메시지가 표시되면 제 2제어부(37)는 611단계로 진행하고, 키입력부(34)로부터 긴급 잠금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중에 긴급 잠금키가 입력되면 제 2제어부(37)는 긴급 잠금명령을 제 2RF부(17)와 안테나를 통해 상기 자동차부(10)와 약속된 채널로 무선신호로 송신한다.If the vehicle status message is displayed in one of steps 608 and 609, the second control unit 37 proceeds to step 611 and checks whether an emergency lock key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34. When the emergency lock key is input during the inspection, the second control unit 37 transmits the emergency lock command as a radio signal through a channel promised to the vehicle unit 10 through the antenna and the second RF unit 17.

그리고 상기 607단계에서 제 3차량상태신호가 검출되면 제 2제어부(37)는 610단계로 진행하여 제 3차량상태 메시지를 메모리(35)로부터 독출하고, 표시부(34)에 표시한다(예: 라이트 켜짐 또는 LIGHT ON 등을 표시). 상기 제 3차량상태 메시지를 표시한 다음 제 2제어부(37)는 615단계로 진행하여 키입력부(34)로부터 라이트 오프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키입력부(34)로부터 라이트 오프키가 입력되면 제어부(37)는 617단계로 진행하여 라이트 오프 명령신호를 제 2RF부(32)에서 복조한 다음, 안테나(ANT2)를 통해 무선신호로 송신한다.In operation 607, when the third vehicle state signal is detected, the second controller 37 proceeds to step 610 to read the third vehicle state message from the memory 35 and displays the third vehicle state message on the display unit 34 (eg, write). ON or LIGHT ON light). After displaying the third vehicle status message, the second controller 37 proceeds to step 615 to check whether the write off key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34. When the write off key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34, the control unit 37 proceeds to step 617 to demodulate the write off command signal in the second RF unit 32 and then transmits it as a wireless signal through the antenna ANT2. .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와, 차문이 강제 오픈된 경우를 따로 분리하여 차량의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자동차에 일어난 상황을 더 정확하게 판단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a situation in which a vehicle is more accurately determined by displaying the state of the vehicle by separately separating a case in which an impact is applied to the vehicle and a case in which the vehicle door is forcibly opened may be dealt with more accurately.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라이트의 온 상태 여부를 알려 줌으로써 밧데이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nother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in advance by indicating whether the light is on.

Claims (11)

차량상태 점검시스템에 있어서,In the vehicle condition checking system, 시동 오프시 차량의 차체 충격 여부 및 창문 또는 도어의 락 상태 여부에 따른 각기 다른 소정의 센서검출신호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자동차부와,An automobile unit for transmitting a radio signal including predetermined sensor detection signals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body is impacted and whether the window or the door is locked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상기 자동차부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면 경보를 발생하고, 상기 수신된 소정의 신호에 대한 해당 차량상태 메시지를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상태 점검시스템.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ing an alarm when a predetermine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unit and displaying a corresponding vehicle status message for the received predetermined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부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tomobile unit, 밧데리와,Battery, 자동차의 등화를 제어하는 라이트부와,A light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car, 창문부의 개패 여부를 센싱하고, 제 1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제 1센서와,A first sensor for sensing whether a window is opened or closed and generating a first pulse signal; 차량 차체의 충격을 센싱하과 제 2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제 2센서와,A second sensor for sensing an impact of the vehicle body and generating a second pulse signal; 상기 밧데리와 라이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밧데리에서 라이트부로 제공되는 전원을 검출하고, 제 3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검출부와,A power detection unit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the light unit, detecting a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light unit, and outputting a third pulse signal;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밧데리에서 라이트부로 제공되는 전원을 온 및 오프하는 스위치부와,A switch unit for turning on and off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light unit under predetermined control;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제 1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제 1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무선주파수부와,A first radio frequency unit which receives a predetermined signal, modulates the signal into a wireless signal, transmits the same through a first antenna, demodulates a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and outpu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상기 제 1펄스신호, 제 2펄스신호 및 제 3펄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각 펄스신호에 대한 센서검출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 1무선주파수부로 출력하고, 상기 소정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제 1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상태 점검시스템.When the first pulse signal, the second pulse signal, and the third pulse signal are input, a sensor detection signal for each pulse signal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first radio frequency unit, and the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s input to receive the switch. Vehicle status check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trol unit to turn on / of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소정의 차량상태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a predetermined vehicle status message; 상기 무선신호를 제 2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복조하여 상기 무선신호로부터 소정의 센서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 2무선주파수부와,A second radio frequency unit for receiving and demodulating the radio signal through a second antenna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sensor detection signal from the radio signal;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차량상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vehicle status message under predetermined control; 소정의 제어를 받아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와,An alarm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under predetermined control; 긴급명령키와 라이트 오프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와,A key input unit having an emergency command key and a write off key; 상기 소정의 센서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경보부를 제어하여 경보를 발생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센서검출신호에 대한 해당 차량상태 메시지를 독출하고, 표시부를 제어하여 표시하며, 상기 긴급명령키 및 라이트 오프키가 입력되면 해당 제어신호를 상기 제 2무선주파수부와 제 2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상태 점검시스템.When the predetermined sensor detection signal is input, the alarm is controlled to generate an alarm, the corresponding vehicle status message for the sensor detection signal is read from the memory, the display is controlled and displayed, the emergency command key and the light off.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hrough the second radio frequency unit and the second antenna when a key is input.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상태 점검시스템에서 차량상태 점검방법에 있어서,In a vehicle condition checking method in a vehicle condition check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되면 감시모드로 설정하는 제 1과정과,A first process of setting the monitoring mode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상기 감시모드 하에서 자동차부의 센서에 의해 이상이 검출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2과정과,A second process of inspecting whether an abnormality is detected by a sensor of an automobile unit under the monitoring mode; 상기 제 2과정에서 센서에 의해 자동차부의 이상이 검출되면 해당 상태정보호를 발생하고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송신하는 제 3과정과,A third process of generating a corresponding state information call and modulating the state information call to a wireless signal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by the sensor in the second process; 상기 무선신호의 송신 후에 소정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a fourth process of checking whether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s received after transmitting the radio signal and perform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제 4항에 있어서, 센서검출신호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nsor detection signal, 창문부의 열림에 의한 제 1차량상태신호와,The first vehicle status signal due to the opening of the window; 자동차 차체부의 충격에 의한 제 2차량상태신호와,The second vehicle state signal caused by the impact of the vehicle body part; 밧데리에서 라이트부로 제공되는 전원의 검출에 의한 제 3차량상태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a third vehicle state signal by detecting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light unit.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상태 점검시스템의 차량상태 표시방법에 있어서,In the vehicle status display method of the vehicle status inspec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소정의 차량상태신호가 수신되면 경보음을 발생하는 제 1과정과,A first process of generating an alarm sound when a predetermined vehicle status signal is received; 상기 소정의 차량상태신호로부터 차량상태를 판단하고 해당 차량상태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 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determining a vehicle state from the predetermined vehicle state signal and displaying a corresponding vehicle state messag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상태 메시지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vehicle status message, 제 1차량상태 메시지와, 제 2차량상태 메시지와, 제 3차량상태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a first vehicle status message, a second vehicle status message, and a third vehicle status messag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차량상태 메시지가 창문열림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vehicle status message is a window open messag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차량상태 메시지가 도어 열림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vehicle status message is a door open message. 제 7항에 있어서, 제 3차량상태메시지가 라이트 온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hird vehicle status message is a write on message.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차량상태 메시지가 표시되면 긴급 잠금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긴급 잠금키가 입력되면 긴금잠금 멸영을 송신하는 제 7과정과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Determining whether an emergency lock key is input when the vehicle status message is displayed; and transmitting a long lock ruin when the emergency lock key is input.
KR1019970078073A 1997-12-30 1997-12-30 Vehicle conditio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99900649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073A KR19990064987A (en) 1997-12-30 1997-12-30 Vehicle conditio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073A KR19990064987A (en) 1997-12-30 1997-12-30 Vehicle conditio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987A true KR19990064987A (en) 1999-08-05

Family

ID=66180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073A KR19990064987A (en) 1997-12-30 1997-12-30 Vehicle conditio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4987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691A (en) * 2000-09-15 2000-12-05 이종락 Vehicle monitoring system using a camera-type rearview mirror and video mobile phone.
KR20020095353A (en) * 2001-06-14 2002-12-26 (주)알에프텔레콤 System for providing handsfree including function of automobile condition display and its position information
US7102535B2 (en) 2001-08-10 2006-09-05 Omron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monitor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monitoring program
KR100723361B1 (en) * 2005-03-08 2007-05-30 (주) 엘지텔레콤 A remote control system for a car
KR100748146B1 (en) * 2005-02-25 2007-08-09 주식회사 마이텍코리아 A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a ca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691A (en) * 2000-09-15 2000-12-05 이종락 Vehicle monitoring system using a camera-type rearview mirror and video mobile phone.
KR20020095353A (en) * 2001-06-14 2002-12-26 (주)알에프텔레콤 System for providing handsfree including function of automobile condition display and its position information
US7102535B2 (en) 2001-08-10 2006-09-05 Omron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monitor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monitoring program
KR100726702B1 (en) * 2001-08-10 2007-06-1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monitor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monitoring program
KR100748146B1 (en) * 2005-02-25 2007-08-09 주식회사 마이텍코리아 A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a ca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KR100723361B1 (en) * 2005-03-08 2007-05-30 (주) 엘지텔레콤 A remote control system for a c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272B1 (en) Wireless key and door remote control system
US6724322B2 (en) Remote system for providing vehicle information to a user
US20070262853A1 (en) Vehicle alarm
US20090261969A1 (en) Vehicle state notifying system, its constituent device, and notifying method
US20040049325A1 (en) Vehicle control system with selectable vehicle style image and associated methods
JP2525905B2 (en) Security remote control device
US7973649B2 (en) Method of an apparatus for sensing the unauthorized movement of vehicles and the like and generating an alarm or warning of vehicle theft
KR19990064987A (en) Vehicle conditio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H1059131A (en) Keyless system
JP2002129794A (en) Remote-controlled onboard apparatus
JPH01114298A (en) Remote controller
KR100243884B1 (en) A device for preventing a car from being robbed
JPH1130064A (en)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JP3233697B2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locking and unlocking cars
JP2919625B2 (en) Car remote monitoring system
JP2001180444A (en) Theft informing device
JP2006062649A (en) Antitheft device
JP2002002374A (en) Vehicular lighting system
KR100398217B1 (en) A controling method of keyless entry system
KR100360070B1 (en) Monitoring method of remote control apparatus in automobile
WO2007130670A2 (en) Vehicle alarm
KR100246242B1 (en) A bidirection warning system for car and notice method of battery's leakage current
KR100372450B1 (en) Lighting System Of Automotive Vehicles
JP2001254546A (en) Battery exhaustion state determining apparatus
JP3024035B2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