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4853A - 일회용 접철식 스탠딩 컵 - Google Patents

일회용 접철식 스탠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853A
KR19990064853A KR1019990017434A KR19990017434A KR19990064853A KR 19990064853 A KR19990064853 A KR 19990064853A KR 1019990017434 A KR1019990017434 A KR 1019990017434A KR 19990017434 A KR19990017434 A KR 19990017434A KR 19990064853 A KR19990064853 A KR 19990064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up
disposable folding
support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1999001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4853A/ko
Publication of KR19990064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853A/ko

Link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회용 접철식 스탠딩 컵에 관한 것이다.
(2)발명의 목적
종래의 일회용 접철식 컵은 그 사용시 세워 놓을 수 없는 단점으로 기인 그 용처가 제한된 단점이 제기 되었으나, 본 발명은 그 저부에 받침을 두어 이를 개선함을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구성
컵(가)은 본체(10)와 받침판(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상기 본체(10)는 그 상단은 개봉되어 있고, 각 단면은 접착부(11)로 형성되어 있음과,상기 본체(10)의 저부에는 사용시 펼쳐지는 형의 받침판(20)을 내입하여 각각의 양단부(21)와 하단(22)을 일정폭으로 상기 본체(10)의 양측 하단 양단부(12)와 하단(13)에 각각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것이다.
(4)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컵이 세워질 수 있는 특징이 있는 바,그 용처의 선택이 넓음은 물론,그 사용 방법 또한 매우 용이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접철식 스탠딩 컵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일회용 컵의 저부에 받침판을 두어,그 사용시 컵이 넘어지지 않고 안정되게 설 수 있도록 한 특징의 일회용 접철식 스탠딩 컵에 관한 것이며,종래의 기술로서는,컵의 하부를 단순하게 양면 접착한 것이나,또는 받침판을 두어 설 수 있도록한 그 상부를 봉합한 형의 스탠딩 파우치가 있었다.
종래의 일회용 접철식 컵은,저부가 단순 봉합된 형을 하고 있는 바, 그 사용시 필요에 따라 컵을 세워 놓을 수 없는 단점으로 말미암아 그 컵은 용량을 크게 할 수 없는 등 많은 폐단이 있었으며,또한 종래의 스탠딩 파우치는 그 상부가 봉합된 형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일회용 컵과는 근본적인 기술적 차이가 있음은 물론,상기 봉합된 형의 스탠딩 파우치는 받침대를 중심으로 하여 그 양면을 상당한 폭으로 접착하였기 때문에 그 접착부위에 입을 대고 음용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여 스트로우 등을 사용하여 음용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이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개량하여 컵이 용이하게 세워질 수 있게 개선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접철식 스탠딩 컵의 일 측면도.
도 2는 스탠딩 컵의 저부에 접착되어지는 받침판의 전개도.
도 3은 받침판을 접어 보인 것의 일 정면도.
도 4는 도 3선4-4에 따른 확대된 횡단면도.
도 5는 도 3선5-5에 따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접철식 스탠딩 컵을 사용상의 상태로 펼쳐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접철식 스탠딩 컵을 사용상의 상태로 펼쳐 보인 저부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봉합부 10 : 본체 11 : 접착부
12,21 : 양단부 13,22 : 하단 14,15,24 : 봉합부
16 : 절단선(홈) 23 : 접철선 25,S : 공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컵은,본체의 저부에 그 사용시 펼쳐지는 형의 받침판을 부설하되,그 받침판의 양단부에는 별도의 밀폐부를 형성하여 기밀을 보강하였으며,이로기인 본 발명의 컵은 본체의 양측을 일정폭으로 봉합하지 않아도 누수가 되지 않은 큰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컵(가)은 본체(10)와 받침판(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상기 본체(10)는 그 상단이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고,각 단면은 일정 폭으로 포개지는 형으로 접착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그 접착부(11)의 내측은 기밀이 잘될 수 있도록 별도의 수지로 코팅처리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체(10)의 저부에 사용시 펼쳐지는 형의 받침판(20)을 내입하여 각각의 양단부(21)와 하단(22)을 일정폭으로 상기 본체(10)의 양측 하단 양단부(12)와 하단(13)에 각각 접착시킨 것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컵(가)의 양단부를 내측으로 움켜 쥐게 되면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받침판(20)의 접철선(23)이 펼쳐지면서 도 6과 같이 공간(S)이 형성되는 것이며,상기와 같이 형성된 공간(S)에 음용수 등을 담아 내용물을 마시되,필요에 따라서는 컵(가)을 세워(도 6 참고) 놓을 수 있는 특징도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받침판(20)의 양단부(21)에는 별도의 봉합부(24)를 형성한 것이며,그 특징은 봉합부(24)가 본체(10)의 양당부(12)의 내측 모서리에 긴히 접착되어지기 때문에 기밀이 매우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에서 점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본체(10)의 양단부(12)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 길이 만큼 상향되게 봉합부(14)를 형성한 것이며,특징은 도 3에서와 같이 양단부(21)를 봉합부(24)로 처리하지 않아도 기밀이 유지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단을 봉합부(15)로 처리하고 임의 일측에는 개봉을 위한 절단홈(선)(16)을 형성한 것이며,그 사용시는 절단홈(16)을 통해 봉합부(15)를 찢은 후,제 1 실시와 같이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단홈(16)은 봉합부(15)의 일측이 약간 하향되게 한 후 그 절단홈(16)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컵이 세워질 수 있는 특징이 있는 바,그 용처의 선택이 넓음은 물론,그 사용 방법 또한 매우 용이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컵(가)은 본체(10)와 받침판(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상기 본체(10)는 그 상단은 개봉되어 있고,각 단면은 접착부(11)로 형성되어 있음과,상기 본체(10)의 저부에는 사용시 펼쳐지는 형의 받침판(20)을 내입하여 각각의 양단부(21)와 하단(22)을 일정폭으로 상기 본체(10)의 양측 하단 양단부(12)와 하단(13)에 각각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일회용 접철식 스탠딩 컵.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받침판(20)의 양단부(21)에는 별도의 봉합부(2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일회용 접철식 스탠딩 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10)의 양단부(12)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 길이 만큼 상향되게 봉합부(1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일회용 접철식 스탠딩 컵 .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10)의 상단을 봉합부(15)로 처리하고 임의 일측에는 개봉을 위한 절단홈(선)(16)을 형성하되,절단홈(16)은 봉합부(15)의 일측이 약간 하향되게 한 후 그 절단홈(1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일회용 접철식 스탠딩 컵.
KR1019990017434A 1999-05-10 1999-05-10 일회용 접철식 스탠딩 컵 KR19990064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434A KR19990064853A (ko) 1999-05-10 1999-05-10 일회용 접철식 스탠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434A KR19990064853A (ko) 1999-05-10 1999-05-10 일회용 접철식 스탠딩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853A true KR19990064853A (ko) 1999-08-05

Family

ID=5477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434A KR19990064853A (ko) 1999-05-10 1999-05-10 일회용 접철식 스탠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48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6967A (en) Fillable disposable drink bag
TW200535060A (en) Container having an integral lid
KR900014223A (ko) 액체 저장용 가요성 자립 봉지
NO325869B1 (no) Opprettstående beholderpose
RU1804427C (ru) Упаковка дл жидкости
DE60116324D1 (de) Versiegelbarer mehrkammerbehälter
PT1233915E (pt) Pacote de fundo chato, com elemento de fecho rebativel
DK1181205T3 (da) Ståpose til flyde- eller risledygtige produkter
EP0257281A3 (en) Liquid package with handle
KR101641534B1 (ko) 손잡이를 구비한 접이식 컵
KR19990064853A (ko) 일회용 접철식 스탠딩 컵
KR920001515Y1 (ko) 일회용 절첩식 종이컵
KR200420714Y1 (ko) 일회용 종이봉투컵
KR200184535Y1 (ko) 종이팩 부착용 스트로우
KR920001513Y1 (ko) 1회용 후지(厚紙)컵
KR200309763Y1 (ko) 건강식품의 포장
JPH0415616Y2 (ko)
KR200214218Y1 (ko) 일회용 접이컵
KR930004736Y1 (ko) 과자포장용 비닐포대
KR20030046346A (ko) 접철식 용기와 그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 배출장치
KR20020034105A (ko) 접철식 액체충전용기
KR20030051448A (ko) 음료용기의 스트로 결합구조
KR20010099045A (ko) 배출대가 달린 상광하협폭 구조의 포장용기의 구조
KR900001577A (ko) 일회용 컵이 수장된 병
JP2017019560A (ja) コ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