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4306A - 접촉부가 개선된 전지 삽입 격실 덮개 - Google Patents

접촉부가 개선된 전지 삽입 격실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306A
KR19990064306A KR1019980702801A KR19980702801A KR19990064306A KR 19990064306 A KR19990064306 A KR 19990064306A KR 1019980702801 A KR1019980702801 A KR 1019980702801A KR 19980702801 A KR19980702801 A KR 19980702801A KR 19990064306 A KR19990064306 A KR 19990064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ttery
insertion compartment
battery insertion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칼 넬슨 죤
모건 밴스 게리
Original Assignee
랭스도프 로저 더블유.
인터내쇼날 스탠다드 일렉트릭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랭스도프 로저 더블유., 인터내쇼날 스탠다드 일렉트릭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랭스도프 로저 더블유.
Publication of KR1999006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30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수용하는 연관된 전지 삽입 격실용 착탈 가능한 덮개(60)에 관한 것으로, 전지 삽입 격실은 상기 전지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야시경(夜視鏡)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덮개(60)는 한 번의 동작으로 상기 덮개에 부착될 수 있는 하나의 부품으로된 접촉부(79)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79)는 일체형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데, 이는 덮개가 전지 삽입 격실에 장착될 때 전지와의 기계적 접촉 및 전기적 접촉을 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접촉부가 개선된 전지 삽입 격실 덮개
야시경(夜視鏡), 플래쉬 라이트(flash light), 카메라 라이트 미터(camera light meter)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전지를 수용하기 위한 전지 삽입 격실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지 삽입 격실의 설계는 착탈 가능한 전지 삽입 격실 덮개를 포함하고 있어서, 전지 삽입 격실 내에 포함된 전지 또는 전지들이 새로운 전지 또는 충전된 전지 또는 전지들로 교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착탈 가능한 종래 기술의 PVS-7B 전지 삽입 격실 덮개(10)에 의해 닫혀진 수평 방향의 PVS-7B 전지 삽입 격실(50)을 포함하고 있는 AN/PVS-7B 야시경 장치(58)(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음)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지 삽입 격실 덮개는 리테이너 스트랩(retainer strap, 57)에 의해 상기 야시경 장치에 연결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삽입 격실(50)에는 이산화황리튬 BA-5567/u 전지(52)(하나만 도시되어 있음) 또는 두 개의 AA 전지가 삽입된다.
도 1B는 도 1A의 착탈 가능한 전지 삽입 격실 덮개(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삽입 격실 덮개(10)는 통상 덮개 부재(12), 리테이너 스트랩(57), 리테이너 링크(59), O형 링(48) 및 접촉부 조립체(28)를 포함한다. 덮개 부재(12)는 원형인 상부(14) 및 상기 원형 상부(14)의 둘레에서 매달려 있는 환상(環狀)의 스커트(24)를 포함한다. 원형인 상부(14)의 전지 삽입 격실의 측면은 환상의 접촉부 고정 플랜지(18) 및 주변 립(circumferential lip, 20)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에 배치된 접촉부 위치 고정 포스트(16)를 포함한다. 주변 립(20)과 환상의 스커트(24)는 전지 삽입 격실 덮개(10)를 전지 삽입 격실(50)에 밀봉시키는 O형 링을 수용하기 위한 홈(22)을 이룬다. 원형 상부(14)의 외부 표면에는 전지 삽입 격실 덮개(10)를 리테이닝 스트랩(57)에 연결하기 위한 더 큰 단부(17)가 있는 중심에 위치한 돌출부(15)가 있다. 리테이닝 스트랩(57)은 리테이너 링크(59)에 의해 야시경(58)에 연결된다. 전지 삽입 격실 덮개(10)를 전지 삽입 격실(50)에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산 모양의 장치(thread arrangement, 26)가 환상 스커트(24)의 내부면에 구비된다.
역시 도 1B를 참조하면, 접촉부 조립체(28)는 스탬프 가공된 금속 접촉부(30), 와셔(washer, 38), 원형의 리테이닝 클립(40) 및 원추 형상의 코일 스프링(42)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는 중앙에 구멍(33)이 있는 허브(32) 부분을 포함한다. 3 개의 스포크(spoke) 부재(34)는 허브 부분(32)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한다. 상기 3 개의 스포크 부재의 임의의 두 개의 스포크 사이에 탭(36)이 있다. 각각의 탭(36)은 허브 부분(32)의 외주로부터 스프링(42) 방향의 축으로 연장한다. 접촉부(30)를 접촉부 위치 고정 포스트(16)에 유지시키는 원형 리테이닝 클립(40)은 위치 고정 포스트(16)에 삽입되는 예리한 돌출부(41)를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42)은 직경이 큰 단부(44) 및 직경이 작은 단부(46)를 포함한다.
접촉부 조립체(28)의 각각의 구성 요소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12)에 별도로 조립되어야 한다. 먼저, 접촉부 조립체(28)의 접촉부(30)는 허브(32) 부분이 환상의 고정 플랜지(18)와 결합하고 접촉부 위치 고정 포스트(16)가 허브 부분(32)의 구멍(33)을 통과하여 연장되도록 덮개 부재(12)에 조립된다. 다음으로, 와셔(24)가 접촉부(30)의 허브 부분(32)에 끼이도록 와셔(24)가 접촉부 위치 고정 포스트(16)에 장착된다. 이어서, 리테이닝 클립(40)이 접촉부 위치 고정 포스트(16)에 압압 고정된다. 리테이닝 클립(40)이 압압 고정된 후 접촉부 위치 고정 포스트(16)의 자유단을 스테이킹(staking)하는 열(熱)에 의해 종종 추가로 고정이 이루어지는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코일 스프링(42)이 3 개의 탭(36)에 의해 접촉부(30)에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이 작업은 코일 스프링(42)을 접촉부(30)에 기계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42)의 직경이 큰 단부(44)의 제1 코일 부분 주위의 각각의 탭(36)을 구부림으로서 이루어 진다. 그 다음으로, 코일 스프링(42)과 접촉부(30)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탭(36)은 코일에 납땜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52)가 삽입된 전지 삽입 격실(50)에 전지 삽입 격실 덮개(10)가 장착되면 완전한 전기 회로가 이루어 진다. 이 전기 회로는 코일 스프링의 직경이 작은 부분(46)과 전지(52)의 음극 단부 간의 기계적 접촉과 전기적 접촉 및 코일 스프링(42)과 접촉부(30) 간의 납땜 연결에 의하여 생성된다. 상기 회로는 접촉부(30)를 전지 삽입 격실(50) 내의 접지 단자(54)에 물리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완성된다.
도 1A 내지 도 1C의 전지 삽입 격실 덮개(10)가 통상 만족스러울 정도로 동작하지마는, 그 자체의 효용성을 떨어 뜨리는 단점들이 있다.
그러한 단점들 중의 하나는, 전지 삽입 격실 덮개(10)를 제조하는 데 복잡성을 더하게 되는 3 개의 구부림 동작과 3 개의 납땜 동작을 포함하는 공정에서 조립되어야 하는 4 개의 별도의 구성 요소들을 접촉부 조립체(28)가 포함한다는 것이다. 전지 삽입 격실 덮개(10)와 관련된 또 다른 문제점은 전지(52)를 바꿔 끼우기가 불편하다는 것이다. 특히, 전지 삽입 격실 덮개(10)를 전지 삽입 격실에 끼울 때, 비교적 긴 자유 길이의 신장(伸長)된 코일 스프링(42)(도 1C에 점선으로 표시됨)이 전지 삽입 격실 덮개(10)의 나사산(26)이 전지 삽입 격실(50)의 나사산과 결합하기 전에 전지(52)와 접촉하게 되어 전지 삽입 격실 덮개(10)를 끼우기 위해서는 상당한 압축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는 전지를 교환할 때, 특히 환경이 좋지 않는 곳에서 불편함을 야기한다. 상기 구조와 관련된 또 다른 문제점은 특정 타입의 전지를 장착할 때 접촉이 불량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어떤 타입의 전지들은 그 직경이 전지 삽입 격막의 직경보다 상당히 더 작다. 전지 삽입 격실이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을 때 이러한 전지들이 전지 삽입 격실에 삽입되는 경우, 전지가 전지 삽입 격실 내에 중심이 어긋난 채로 장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지 삽입 격실 덮개를 전지 삽입 격실에 끼울 때 스프링의 직경이 작은 단부가 전지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종래 기술의 전지 삽입 격실 덮개와 관련된 단점들을 실질적으로 해소하는 하나의 부품으로 된 접촉부 조립체가 있는 개선된 전지 삽입 격실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지 삽입 격실 덮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부품 접촉부 조립체로 된 착탈(着脫, removable) 가능한 전지 삽입 격실 덮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상세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첨부 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야 한다.
도 1A는 점선으로 표시된 예시적인 야시경의 사시도이다. 상기 야시경은 종래 기술의 전지 삽입 격실 덮개를 포함하는 전지 삽입 격실에 수용되는 전지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도 1B는 도 1A의 종래 기술 전지 삽입 격실 덮개의 부분 분해 단면도.
도 1C는 도 1A의 종래 기술 전지 삽입 격실 덮개 및 전지 삽입 격실을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전지 삽입 격실 덮개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 분해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전지 삽입 격실 덮개에서 사용되는 접촉부 조립체의 저면도.
도 2C는 도 2B의 접촉부 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2D는 전지 삽입 격실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전지 삽입 격실 덮개의 단면도.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수용하는 연관된 전지 삽입 격실을 닫기 위한 착탈 가능한 덮개가 개시된다. 상기 덮개는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에 접속되어 전지 삽입 격실 내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지와의 전기 회로를 형성하는 접촉부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 수단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활주 편향(sliding biasing) 부재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지와의 기계적 접촉 및 전기적 접촉을 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만들어지며 참조 부호 60으로 표시된 착탈 가능한 전지 삽입 격실 덮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삽입 격실 덮개(60)는 통상 덮개 부재(62), 리테이너 스트랩(102), 리테이너 링크(104), O형 링(100) 및 하나의 부품으로된 접촉부 조립체(78)를 포함한다. 전지 삽입 격실 덮개(60)의 구성 요소는 임의의 공지된 통상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62), 리테이너 스트랩(102) 및 리테이너 링크(104)는 임의의 적합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O형 링(100)은 고무 등의 임의의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접촉부 조립체(78)는 베릴륨동(beryllium copper) 또는 스테인레스강 등의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지 삽입 격실 덮개(60)에 채용되는 덮개 부재(62)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덮개와 유사하고, 따라서 원형 상부(64) 및 원형 상부(64)의 외주에 매달려 있는 환상 스커트(74)를 포함한다. 원형 상부(64)의 전지 삽입 격실 측면은 환상 접촉부 고정 플랜지(68)와 주변 립(70)에 의해 에워싸여 있으며, 중앙에 위치한 접촉부 위치 고정 포스트(66)를 포함한다. 환상 스커트와 주변 립(70)은 전지 삽입 격실 덮개(60)를 연관된 전지 삽입 격실(106, 도 2D에 도시됨)에 밀봉시키는 O형 링(100)을 수용하기 위한 홈(72)을 형성한다. 그러나, 전지 삽입 격실 덮개(60)를 전지 삽입 격실(106)에 밀봉시키는 데에 임의의 다른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 O형 링(100)은 전지 삽입 격실 덮개의 조립 비용을 더 줄이기 위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밀봉 립(ribs)으로 교체될 수 있다.
역시 도 2A를 참조하면, 원형 상부(64)의 외부 표면에는 전지 삽입 격실 덮개(60)를 리테이닝 스트랩(102)의 한 쪽 단부에 연결시키기 위한 더 큰 단부(67)가 있는 중심에 배치된 돌출부(65)가 있다. 리테이닝 스트랩(102)의 다른쪽 단부는 전지 삽입 격실 덮개(60)를 도 1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야시경에 연결시키는 리테이너 링크(104)에 연결된다. 전지 삽입 격실 덮개가 전지 삽입 격실에서 분리될 때, 리테이닝 스트랩과 리테이닝 링크는 상호 협력하여 전지 삽입 격실 덮개를 야시경에 연결한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환상 스커트(74)의 내부면에 나사산 모양의 장치(76)가 마련된다. 나사산 모양의 장치(76)는 전지 삽입 격실(106)(도 2D 참조)의 대응 나사산 모양의 장치(108)와 함께 동작하여 거기에 전지 삽입 격실 덮개(6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도 2B를 참조하면, 접촉부 조립체(78)는 중앙에 배치된 구멍(88) 및 편평한 부분(94)과 궁형(弓形) 부분(96)이 있는 낮은 측단면의 판 스프링(low profile leaf-spring, 92)이 마련된 X형의 하나의 부품으로 스탬프 가공되어 형성된 금속 접촉부(79)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하나의 부품으로 된 접촉부 조립체(78)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전지 삽입 격실 덮개에서 필요하였던 분리된 스프링, 와셔 및 원형 클립 구성 요소 및 6 개의 탭 구부림 동작/남땜 동작이 필요 없다. 상기 X형의 접촉부(79)는 4 개의 날개(80), (82), (84) 및 (86)로 구성되며, 이들 4 개의 날개는 중앙에 배치된 구멍(88) 주위를 대략 90도의 각도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접촉부 조립체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스탬핑 다이(stamping die)의 복잡성을 줄일 필요가 있는 경우, 날개(82) 및 (86)은 없어도 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92)의 일단부는 날개(8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92)의 편평한 부분(94)은 날개(80)로부터 대략 33도의 각도로 돌출되어 궁형 부분(96)과 결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궁형 부분(96)은 스프링(92)의 자유단이 날개(84)의 면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날개(84)를 향하여 만곡되고 립(lip) 또는 만곡부(98)에서 종지된다. 판 스프링(92)의 넓고 평면인 표면적은 본 발명의 배경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전술한 종래 기술의 코일 스프링에 비해서 두 배 이상의 접촉 면적을 제공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전지 삽입 격실 덮개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전지와의 접촉이 잘못되는 문제점이 크게 줄어든다. 더욱이,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스프링의 압압되지 않은 측단면에 비해서, 상기 판 스프링(92)은 도 2D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당히 압압되지 않은 더 낮은 측단면을 가진다. 이는 판 스프링(92)을 전지(110)에 결합하기 전에, 전지 삽입 격실 덮개(60)의 나사산(76)이 전지 삽입 격실 (106)의 나사산(108)과 결합하도록 한다. 이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전지 삽입 격실 덮개에 비해 전지 교환을 훨씬 용이하게 하도록 해주며, 특히 한 손으로 전지를 교환해야 하는 악 조건에서 그러하다.
도 2B를 다시 참조하면, 구멍(88)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잠금 돌출부(90)를 포함하는데, 이는 구멍(88)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내부로 연장되고, 덮개 부재가 조립될 때 접촉부 위치 고정 포스트(66)에 끼이게 되어 접촉부 조립체(78)를 덮개 부재(60)에 결합 및 보유한다. 일체형으로 형성된 잠금 돌출부(90) 및 접촉부 조립체(78)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스프링(92)은 하나의 동작으로 덮개 부재(62)에 조립되도록 하는데, 이는 도 1A 내지 도 1C의 종래 기술의 덮개에 비해 전지 삽입 격실 덮개(60)의 제조 비용을 크게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전지 삽입 격실 덮개(60)가 도 1A에 도시된 AN/PVS-7B 야시경에 사용되는 전지 삽입 격실에 특히 잘 맞는다고 하더라도, 이는 다른 많은 응용에 맞도록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으로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여러 구성 소자와 기능적으로 동등한 구성 소자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변형 및 변경을 행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한 임의의 모든 변형 또는 변경 뿐만 아니라 당업자에게 명백한 다른 것들도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하였다.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수용하는 전지 삽입 격실을 닫기 위한 착탈 가능한 덮개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a) 덮개 부재와,
    b) 전지 삽입 격실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전지와 전기 회로를 완성하기 위 하여 상기 덮개 부재에 부착되는 접촉부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 수단에는 상기 접촉부 수단을 상기 덮개 부재에 부착시키기 위한 평면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일체형을 이루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있는 편향 부재(biasing member)가 있으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덮개가 전지 삽입 격실에 장착될 때 상기 편향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전지의 단부에 압압 고정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 부재의 표면을 따라서 접촉하고 활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전지 삽입 격실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전지 삽입 격실에 장착될 때 상기 덮개 부재와 상기 전지 삽입 격실 사이에 실질적인 방수(防水) 밀봉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 부재에 연관된 밀봉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전지 삽입 격실 덮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상기 전지 삽입 격실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전지 삽입 격실 덮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접촉부 수단을 상기 덮개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위치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전지 삽입 격실 덮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수단은 상기 접촉부 수단을 상기 고정 수단에 유지하기 위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 잠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전지 삽입 격실 덮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부재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전지 삽입 격실 덮개.
  7.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수용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지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야시경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전지 삽입 격실과 결합되는 착탈 가능한 덮개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전지 삽입 격실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전지와 전기 회로를 완성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 부재에 부착된 접촉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 수단에는 상기 접촉부 수단을 상기 덮개 부재에 부착시키기 위한 평면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일체형을 이루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있는 편향 부재가 있으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덮개가 전지 삽입 격실에 장착될 때 상기 편향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전지의 단부에 압압 고정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 부재의 표면을 따라서 접촉하고 활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삽입 격실과 결합되는 착탈 가능한 덮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전지 삽입 격실에 장착될 때 상기 덮개 부재와 상기 전지 삽입 격실 사이에 실질적인 방수 밀봉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 부재에 연관된 밀봉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삽입 격실과 결합되는 착탈 가능한 덮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상기 전지 삽입 격실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삽입 격실과 결합되는 착탈 가능한 덮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접촉부 수단을 상기 덮개에 부착하기 위한 위치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삽입 격실과 결합되는 착탈 가능한 덮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수단은 상기 접촉부 수단을 상기 위치 고정 수단에 유지하기 위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삽입 격실과 결합되는 착탈 가능한 덮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부재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삽입 격실과 결합되는 착탈 가능한 덮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상기 전지 삽입 격실에 착탈 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와 상기 전지 삽입 격실 각각은 나사산 모양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편향 부재는 상기 편향 부재가 상기 전지 삽입 격실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전지와 결합하기 전에 상기 덮개 및 상기 전지 삽입 격실의 나사산 수단이 결합되도록 하는 압압되지 않은 측단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삽입 격실과 결합되는 착탈 가능한 덮개.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야시경은 AN/PVS-7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삽입 격실과 결합되는 착탈 가능한 덮개.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삽입 격실은 PVS-7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삽입 격실과 결합되는 착탈 가능한 덮개.
  16.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수용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지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AN/PVS-7B 야시경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전지 삽입 격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착탈 가능한 덮개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전지 삽입 격실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전지와 전기 회로를 완성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 부재에 부착되며 하나의 부품으로 된 접촉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 수단에는 상기 접촉부 수단을 상기 덮개 부재에 부착시키기 위한 평면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일체형을 이루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있는 편향 부재가 있으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덮개가 전지 삽입 격실에 장착될 때 상기 편향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전지의 단부에 압압 고정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 부재의 표면을 따라서 접촉하고 활주 가능하며, 상기 편향 부재에는 이 편향 부재가 상기 전지 삽입 격실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전지와 결합하기 전에 상기 덮개를 상기 전지 삽입 격실에 장착하는 동안 상기 덮개를 상기 전지 삽입 격실과 결합하도록 하는 압압되지 않은 측단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전지 삽입 격실 덮개.
KR1019980702801A 1995-10-20 1996-04-22 접촉부가 개선된 전지 삽입 격실 덮개 KR199900643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46,298 US6194097B1 (en) 1995-10-20 1995-10-20 Battery compartment cap having an improved contact
US8/546298 1995-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306A true KR19990064306A (ko) 1999-07-26

Family

ID=24179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801A KR19990064306A (ko) 1995-10-20 1996-04-22 접촉부가 개선된 전지 삽입 격실 덮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94097B1 (ko)
KR (1) KR19990064306A (ko)
AU (1) AU704072B2 (ko)
IL (1) IL118055A0 (ko)
TR (1) TR199800727T1 (ko)
WO (1) WO19970150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6683B2 (en) * 2002-02-05 2004-10-19 Litton Systems, Inc. Battery adapter for night vision device
JP4651965B2 (ja) * 2003-06-09 2011-03-16 株式会社リコー 電源収納室及び当該電源収納室を有する装置
US7417403B2 (en) * 2006-05-04 2008-08-26 Nait Distributing, Inc. Compartment adaptor assembly for receiving an alternate sized battery into night vision goggles
US7576515B2 (en) * 2007-04-03 2009-08-18 Knight's Armament Co. Battery adapter system and night-vision scope using same
CN101895019B (zh) * 2009-05-18 2012-10-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弹片结构
US10901198B2 (en) 2019-01-31 2021-01-26 Trijicon, Inc. Internal retain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5757A (en) * 1916-06-13 1917-02-13 William L White Flash-light.
US1286800A (en) * 1918-06-25 1918-12-03 Burgess Battery Co Battery lighting outfit.
US5108847A (en) * 1990-09-27 1992-04-28 Gates Energy Products, Inc. Rechargeable cell terminal configuration and charging device
US5186665A (en) * 1992-05-15 1993-02-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94097B1 (en) 2001-02-27
IL118055A0 (en) 1996-08-04
AU704072B2 (en) 1999-04-15
WO1997015083A1 (en) 1997-04-24
AU5700396A (en) 1997-05-07
TR199800727T1 (xx) 199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4343A (en) Lamp socket assembly
CN108206367B (zh) 滑动式连接器
US3977907A (en) Rechargeable battery enclosure
US4731712A (en) Squeezable flashlight
US10333116B2 (en) Top loading battery holder
US5211128A (en) Automotive meter device having self-acting light-emitting pointer
JPH10247540A (ja) 電気コネクタ
JP3178210B2 (ja) バルブソケット
KR19990064306A (ko) 접촉부가 개선된 전지 삽입 격실 덮개
US4428034A (en) Light bulb mounting unit
US5006073A (en) Snap fit contact assembly
KR100212598B1 (ko) 램프 소켓
US3758773A (en) Flashlight
CN113141781B (zh) 包含可配置端子座的电池组
JPS62249301A (ja) 携帯用照明器
JP3349407B2 (ja) バッテリ用接続具
US3949217A (en) Electric bulb holder
US4722036A (en) Flashlight
JPS5841672Y2 (ja) フラツト型螢光灯用ソケツト
US3539797A (en) Waterproof lantern with novel reflector assembly
KR200397391Y1 (ko) 스타트 램프용 소켓
KR950009905B1 (ko) 스냅 끼워맞춤 접점부재 조립체
CN210441015U (zh) 线条灯
US3110539A (en) Bulb holder carried by plug button
JPH042253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