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2367A -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assembly for caterpillar power transmission that can be applied in parallel with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assembly for caterpillar power transmission that can be applied in parallel with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2367A
KR19990062367A KR1019970082703A KR19970082703A KR19990062367A KR 19990062367 A KR19990062367 A KR 19990062367A KR 1019970082703 A KR1019970082703 A KR 1019970082703A KR 19970082703 A KR19970082703 A KR 19970082703A KR 19990062367 A KR19990062367 A KR 19990062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ing
strain
assembly
assembl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27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현성일
Original Assignee
현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성일 filed Critical 현성일
Priority to KR1019970082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2367A/en
Publication of KR19990062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367A/en

Links

Landscapes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력과 압축력을 병행하여 가할 수 있는 무한궤도식 동력전달용 와이어 어셈브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6가닥의 와이어를 서로 교차시키면서 꼬을 때, 양측에 경사면(14)이 형성되고 6방향으로 와이어끼움홈(13)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연결턱(12)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에는 원형홈(15)과 구멍(16)이 형성되도록 한 후 2개소에 절개홈(17)이 형성되도록 한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10)의 6개의 와이어끼움홈 속으로 1가닥씩의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 따라 계속하여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을 일방향으로 연결조립시켜 갈 때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의 사이사이에는 시트링(60)이 하나씩 공급되도록 하면서 연결턱(12)은 원형홈(15) 속으로 강제삽입이 되도록 하는 제2공정과, 조립되는 상기의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 각각의 원주면에 와이어보호링(30)이 하나씩 조립되도록 하는 제3공정과, 상기와 같이 연결조립되는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의 사이에는 양측에 경사면(24)이 형성되고 6방향으로 와이어끼움홈(23)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연결턱(22)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에는 원형홈(25)과 구멍(26)이 형성되도록 한 후 2개소에 절개홈(27)이 형성되도록 하며 와이어조립링 보다 직경이 큰 치차날개(20)를 일정한 간격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조립시키는 제4공정과, 제4공정에 의해 정해진 와이어스트레인의 길이 전체에 걸쳐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과 치차날개가 연결조립이 되도록 하는 제5공정과, 상기한 6가닥의 와이어스트레인의 끝들이 서로 만날 때, 각각의 와이어스트레인이 만나는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여 안쪽 중앙과 양측에 돌출턱(43)(41)(42)이 형성된 6개의 와이어그리퍼(40)로써 6가닥의 와이어스트레인이 각기 다른 위치에서 견고히 연결되도록 그리핑시키는 제6공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ndless track power transmission wire assembly which can be applied in parallel with a tensile force and a compressive force, and when twisted while crossing six wires with each other, an inclined surface 14 is formed on both sides and is formed in six directions. The wire fitting groove 13 is formed and the connecting jaw 12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circular groove 15 and the hole 16 ar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and then the incision groove 17 is formed in two places. A first step of inserting one wire into each of the six wire fitting grooves of the wire strain assembly ring 10, and the wire strain assembly ring is continuously connected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step. The second step in which the connecting jaw 12 is forcedly inserted into the circular groove 15 while the seat ring 60 is supplied one by one between the strain assembly rings, and each of the wire strain assembly rings to be assembled. The third step of assembling the wire protection ring 30 one by on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d the inclined surface 24 is formed on both sides between the wire strain assembly ring to be assembled and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wire fitting groove 23 in six directions ) Is formed and the connecting jaw 22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circular groove 25 and the hole 26 ar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and then the incision grooves 27 are formed in two places, and the diameter is larger than the wire assembly ring. A fourth step of assembling the large toothed blades 20 at regular intervals as described above; and a second step of connecting the wire strain assembly ring and the toothed w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wire strain determined by the fourth step. Step 5 When the ends of the wire strands of the six strands meet each other, six wires having protruding jaws 43, 41, and 42 formed at the inner center and both sides by different positions where the respective wire strains meet. Gri The fur 40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ixth process for gripping so that the six wire strains are firmly connected at different positions.

Description

인장력과 압축력을 병행하여 가할 수 있는 무한궤도식 동력전달용 와이어 어셈브리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ckless power transmission wire assembly that can be applied in parallel with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본 발명은 인장력과 압축력을 병행하여 가할 수 있는 무한궤도식 동력전달용 와이어 어셈브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어셈브리는 통상적인 와이어의 사용목적과는 달리 치차날개를 통해 인장력과 압축력을 병행하여 가하여 줌으로써 3차원적인 동력전달이 가능하고 대용량형의 동력전달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는데, 물론 통상적인 와이어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ndless track power transmission wire assembly that can be applied in parallel with the tensile force and the compressive force, the wir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urpose of use of the conventional wire and the tension force through the tooth blades By applying the compressive force in parallel,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used for three-dimensional power transmission and large capacity power transmission, of course, can also be used for the same purpose as a conventional wire.

와이어는 내인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무거운 물건을 달아 올리거나 또는 끌고 이동시킬 때 또는 무거운 물건을 매단 채 지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주로 사용되는데, 이 경우는 윈치나 크레인 그리고 현수교 등에 해당된다. 한편, 동력전달의 목적으로 사용될 때는 소용량형에 국한되는데, 중심이 서로 어긋나 있는 두 축(구동축과 피동축) 사이에 와이어를 연결시켜 동력을 전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예에 해당된다. 이는 축에 와이어를 연결시키는 수단이 불안정함은 물론 동력전달시 와이어가 심하게 트위스팅되기 때문에 대용량용으로 사용될 수가 없고 내구성이 불량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 방식은 와이어가 무한궤도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닌 단순 연결식이다.Because of its excellent endurance, the wire is mainly used as a means of lifting, dragging and moving heavy objects, or for supporting heavy objects, such as winches, cranes and suspension bridges. On the other hand, when used for the purpose of power transmission, it is limited to a small capacity type, which corresponds to an example used to transfer power by connecting a wire between two axes (drive shaft and driven shaft) whose centers are shifted from each other. This is because the means for connecting the wire to the shaft is unstable as well as the wire is severely twisted during power transmission can not be used for large capacity and has the disadvantage of poor durability. And this is not a wire consisting of a caterpillar, but a simple connection.

한곳의 동력을 다른 곳으로 전달시키는 통상적인 동력전달방식으로서는 기어연결식과 체인연결식, 벨트연결식, 링크연결식, 캐터필러식 등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들 방식의 단점은 구동쪽과 피동쪽의 거리가 멀수록 사용하기가 곤란하고 정밀성이 저하되며 장치가 매우 복잡해진다는 점이다. 게다가 구동쪽과 피동쪽 사이의 공간적인 상태가 복잡하고 입체적인 성격 즉, 3차원적인 시스템을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기술로는 장거리와 3차원적인 시스템상 조건하에서 정밀하고 효율적으로 큰 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는 별 다른 수단이 없어 여러 가지의 단점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상기의 통상적인 동력전달 수단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런데 탄성과 내인장성이 탁월하고 어떤 방향으로든지 자유롭게 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 통상의 와이어를 무한궤도식으로 제작하여 동력전달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상술한 단점과 문제점은 간단히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체인, 벨트 등은 양쪽의 끝을 무리없이 서로 연결시킬 수 있지만 와이어는 양쪽의 끝을 매끈하게 연결시킬 방법이 없다. 와이어의 양쪽 끝을 서로 연결시키고저 할 때는, U자 타입의 와이어버클과 너트를 사용, 강하게 조여 체결시키거나(I), 혹은 와이어의 양쪽 끝을 풀어헤친 다음 한가닥씩 서로 꼬아서 연결시키는 방법(II)이 있다.Conventional power transmission methods for transmitting power from one place to another are geared, chained, belted, linked, caterpillar, etc. The disadvantages of these methods are that the farther the drive and driven side is, It is difficult to use, the precision is lowered, and the device is very complicated. Moreover,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the spatial state between the driving and driven sides is complex and requires a three-dimensional system. However, to date, there is no other means capable of transmitting large power precisely and efficiently under long distance and three-dimensional system conditions. Therefore, the conventional power transmission means having various disadvantages and problems can be used. There is no choice but to be. However,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and problems may be easily solved if the conventional wire having excellent characteristics of elasticity and toughness and having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freely bent in any direction can be used for power transmission. However, chains, belts, etc. can be seamlessly connected at both ends, but there is no way to connect the wires smoothly at both ends. To connect both ends of the wire to each other, use a U-shaped wire buckle and nut to tighten them (I), or loosen both ends of the wire and twist them together one by one. II)

그러나 상술한 통상의 방법을 통해 연결된 와이어는 동력전달용으로는 사용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즉, 상기한(I)의 방법은, 와이어끼리 연결되는 부분에 와이어버클이 체결되기 때문에 이것이 큰 방해가 되어 와이어시이브에 걸어서 사용할 수 없고, 상기한(II)의 방법 또한 와이어끼리 연결된 부분의 직경이 원래의 상태보다 커지고 울퉁불퉁해지기 때문에 역시 와이어시이브에 걸어서 사용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한(I)과 (II)의 방법 모두는 와이어의 연결부분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한편, 와이어의 양쪽 끝을 상기한(I)과 (II)의 방법을 통하지 않고 양쪽의 끝을 서로 매끈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방법(III)이 안출된다고 가정하더라도 이것 역시 동력전달용으로는 사용될 수가 없다. 그 이유는, 와이어와 와이어시이브의 접촉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계수가 낮기 때문에 상기한 (III)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와이어를 제10도와 같이 와이어시이브에 걸어서 동력전달용으로 사용코저 하여도 와이어시이브와 와이어는 심한 슬립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와이어는 외관이 매끈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 가공시 투여된 오일(윤활유)이 침투되어 있고, 와이어시이브 또한 기계가공을 통해 비교적 정밀하게 가공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제10도와 같이 연결시키고 와이어시이브를 회전시키면 와이어시이브의 표면상에서 와이어는 심한 슬립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III)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와이어라 할지라도 그 자체로는 동력전달용으로 사용될 수 없다. 만일 와이어시이브에 와이어를 걸고 와이어에 무리한 텐션을 가한 후 와이어시이브를 회전시키게 되면 슬립현상이 약간 감소되어 단시간 동안에는 가벼운 동력전달용으로 사용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정확성을 기대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불과 몇시간 정도만 경과하더라도 와이어가 와이어시이브를 갉아먹는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와이어의 텐션이 저하되어 정확한 동력전달은 고사하고 단시간내에 장치의 파손 내지는 고장을 유발할 것이 분명하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wires connected through the conventional method described above cannot be used for power transmission. That is, in the above-mentioned method (I), since the wire buckle is fastened to the portions to which the wires are connected, this is a great obstacle and cannot be used on the wiresave. Since the diameter becomes larger and rugged than the original state, it cannot be used on wiresive too. And both of the above (I) and (II)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wire is weak. On the other hand, even if it is assumed that a method (III) can be obtained in which both ends of the wire can be smoothly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using the methods (I) and (II) described above, this can also be used for power transmission. none. The reason is that the friction coefficient acting between the wire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wire sheave is low, so that the wire produced by the method of the above (III) can be used for power transmission by hanging on the wire sheave as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wiresaves and wires cause severe slippage. More specifically, the wires are not only smooth in appearance, but also infiltrated with oil (lubricating oil) administered during the wire processing, and the wire sheave is processed relatively precisely through machining. If the wiresave is rotated and the wiresave is rotated, the wires may cause severe slipping on the surface of the wiresave. Therefore, even the wire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III) cannot be used for power transmission by itself. If the wire sheaves are wired and the wires are rotated after applying excessive tension to the wires, the slip will be slightly reduced, which may not be used for light transmission in a short time, but accuracy cannot be expected. However, even after only a few hours, the wires will eat up the wiresave, as well as the tension of the wires will be lowered, leading to accurate power transmission and causing device breakdown or failure within a short time.

따라서, 본 발명은 양호한 내구성을 가지면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병행하여 가할 수 있으며 정확하게 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도록 치차날개가 형성된 동력전달용 와이어 어셈브리를 제공키 위해 안출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provide a power transmission wire assembly having a toothed wing so as to be able to apply a tensile force or a compressive force in parallel with good durability and to transmit power accurately.

본 발명은 6가닥의 와이어를 서로 교차시키면서 꼬을 때, 양측에 경사면(14)이 형성되고 6방향으로 와이어끼움홈(13)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연결턱(12)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에는 원형홈(15)과 구멍(16)이 형성되도록 한 후 2개소에 절개홈(17)이 형성되도록 한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10)의 6개의 와이어끼움홈 속으로 1가닥씩의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 따라 계속하여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을 일방향으로 연결조립시켜 갈 때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의 사이사이에는 시트링(60)이 하나씩 공급되도록 하면서 연결턱(12)은 원형홈(15) 속으로 강제삽입이 되도록 하는 제2공정과, 조립되는 상기의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 각각의 원주면에 와이어보호링(30)이 하나씩 조립되도록 하는 제3공정과, 상기와 같이 연결조립되는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의 사이에는 양측에 경사면(24)이 형성되고 6방향으로 와이어끼움홈(23)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연결턱(22)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에는 원형홈(25)과 구멍(26)이 형성되도록 한 후 2개소에 절개홈(27)이 형성되도록 하며 와이어조립링 보다 직경이 큰 치차날개(20)를 일정한 간격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조립시키는 제4공정과, 제4공정에 의해 정해진 와이어스트레인의 길이 전체에 걸쳐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과 치차날개가 연결조립이 되도록 하는 제5공정과, 상기한 6가닥의 와이어스트레인의 끝들이 서로 만날 때, 각각의 와이어스트레인이 만나는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여 안쪽 중앙과 양측에 돌출턱(43)(41)(42)이 형성된 6개의 와이어그리퍼(40)로써 6가닥의 와이어스트레인이 각기 다른 위치에서 견고히 연결되도록 그리핑시키는 제6공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wisting while crossing the six wires with each other, the inclined surface 14 is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wire fitting groove 13 is formed in the six directions, the connecting jaw 12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circular After the groove 15 and the hole 16 are formed, one wire is inserted into the six wire fitting grooves of the wire strain assembly ring 10 in which the cut grooves 17 are formed in two places. The connecting jaw 12 is circular while the seat ring 60 is supplied one by one between the first process and the wire strain assembly ring as the wire strain assembly ring is continuously assembled in one direction. A second step of forcibly inserting into the groove 15, a third step of assembling the wire protection ring 30 one by on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wire strain assembly rings to be assembled, and assembling as described above Wire strain Between the lip ring, the inclined surface 24 is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wire fitting groove 23 is formed in six directions, and the connecting jaw 22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circular groove 25 and the hole 26 ar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he fourth step of assembling and assembling the toothed blades 20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wire assembly ring as described above at regular intervals after the cutting grooves 27 are formed in two places after being formed, is determined by the fourth step. The fifth step of connecting the wire strain assembly ring and the toothed wing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wire strain, and when the ends of the six wire strands meet each other, the position where each wire strain meets Six wire grippers 40 with protruding jaws 43, 41 and 42 formed on the inner center and both sides, and are composed of a sixth step of gripping six wire strains to be firmly connected at different positions. It characterized.

제1도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제작된 와이어 어셈브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assembly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제작된 와이어 어셈브리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단면도.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abricated wi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제2도의 1-1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1 of FIG.

제4도는 제2도의 2-2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2-2 of FIG.

제5도는 와이어그리퍼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gripper.

제6도는 제5도의 종단면도.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와이어 어셈브리를 무한궤도식으로 완성시킨 일례를 나타낸 참고도.7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ompleting the wire assembly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rbital equation.

제8도는 각각의 와이어스트레인을 연결시키는 요령을 나타낸 참고도.8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tips for connecting the respective wire strain.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제작된 와이어 어셈브리의 치차날개가 와이어 시이브(Sheave)에 걸리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oth blade of a wire assembly manufactur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ught by a wire sheave.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제작된 와이어 어셈브리가 와이어 시이브에 걸려 회전하는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re assembly produc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ught on the wire sheave and rotated.

제11, 12, 13도는 본 발명의 구성품인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을 나타낸 정면도 및 좌측면도, 우측면도.11, 12, and 13 are a front view, a left side view, and a right side view showing a wire strain assembly ring a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4, 15, 16도는 본 발명의 구성품인 치차날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좌측면도, 우측면도.14, 15, and 16 are a front view, a left side view, and a right side view showing a toothed wing that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 12 : 연결턱10: wire strain assembly ring 12: connection jaw

13 : 와이어끼움홈 14 : 경사면13: wire fitting groove 14: inclined surface

15 : 원형홈 16 : 구멍15: circular groove 16: hole

17 : 절개홈 20 : 치차날개17: incision groove 20: toothed wing

22 : 연결턱 23 : 와이어끼움홈22: connecting jaw 23: wire fitting groove

24 : 경사면 25 : 원형홈24: slope 25: circular groove

26 : 구멍 27 : 절개홈26: hole 27: incision groove

30 : 와이어보호링 40 : 와이어그리퍼(Wire-gripper)30: wire protection ring 40: wire-gripper

41, 42, 43 : 돌출턱 50 : 와이어시이브(Wire sheave)41, 42, 43: protruding jaw 50: wire sheave

51 : 치차날개걸림홈 60 : 시트링51: toothed wing locking groove 60: seat ring

100, 200, 300, 400, 500, 600 : 와이어스트레인100, 200, 300, 400, 500, 600: Wire strain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y attached drawing.

상기한 바와 같이 제6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있어서, 와이어그리퍼(40)는, 6가닥의 와이어스트레인의 끝이 각기 다른 위치에서 만날 때 와이어스트레인의 끝이 만나는 위치에 정확히 머물고 있어야만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sixth step as described above, the wire gripper 40 must stay exactly at the position where the ends of the wire strain meet when the ends of the six strands of wire strain meet at different positions.

그러므로 상술한 방법을 통해 정해진 길이의 와이어스트레인에 와이어조립링과 시트링, 치차날개 그리고 와이어보호링을 끼워 나갈 때 와이어스트레인들의 양쪽 끝 부분이 만날 때가 가까워지면 제8도와 같이 6가닥의 와이어스트레인의 끝이 각기 다른 위치에서 만나도록 양쪽의 끝 부분을 정확하게 절단시켜야 한다.Therefore, when the wire assembly ring, the seat ring, the toothed wing, and the wire protection ring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wire assembly ring, the seat ring, the toothed wing, and the wire protection ring are close to each other 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as shown in FIG. Both ends must be cut precisely so that the ends meet at different positions.

다음, 절단된 와이어스트레인의 끝 부분이 만나는 포인트를 체킹하고 그 위치에는 와이어보호링 대신에 상기한 와이어그리퍼를 끼운다.Next, check the point where the ends of the cut wire strain meet and fit the wire gripper described above in place of the wire protection ring.

그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을 통해 와이어조립링과 와이어보호링 그리고 치차날개를 끼워 전체를 무한궤도식으로 연결시킨다.In this state, the wire assembly ring, the wire protection ring and the toothed blade are fitted 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to connect the whole in an orbital manner.

다음, 6개의 와이어그리퍼 안쪽에 6가닥의 와이어스트레인의 두 끝이 만나서 머물고 있는 상태를 체킹한 후 통상의 와이어그리퍼 압착장치를 사용하여 와이어그리퍼를 도시와 같이 외경이 축소됨과 동시에 중앙부분이 함몰되도록 압착시킨다.Next, check the state where the two ends of the 6-strand wire strain meet and stay inside the six wire grippers, and then use the conventional wire gripper crimping device to reduce the outer diameter as shown in the figure and at the same time to indent the central part. Squeeze.

이때 압착되기 전의 와이어그리퍼의 직경은 와이어조립링의 직경보다 큰 상태인데, 와이어그리퍼의 돌출턱(41)(42)(43)의 내경이 와이어조립링의 외경보다 0.5m/m정도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wire gripper before being crimped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assembly ring,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protruding jaws 41, 42 and 43 of the wire gripper is about 0.5 m / m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wire assembly ring. Good to do.

와이어그리퍼를 압착시키면 와이어그리퍼의 외경은 축소되어 와이어보호링의 외경과 동일하게 되며 돌출턱(41)(42)은 와이어스트레인의 양쪽 끝을 강하게 그리핑하여 연결시킨다.When the wire gripper is compressed, the outer diameter of the wire gripper is reduced to be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wire protection ring, and the protruding jaws 41 and 42 strongly grip and connect both ends of the wire strain.

이 상태는 6가닥의 와이어스트레인 전체가 와이어그리퍼에 의해 강하게 조여지고 특히 6가닥의 와이어스트레인들은 서로 교차하면서 꼬여 있으며, 6가닥의 와이어스트레인의 끝이 연결되는 부분의 위치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완성된 상태에서는 큰 인장력을 받아도 와이어스트레인의 연결부위는 아무런 하자가 없이 인장력을 감수할 수 있다.This state is completed because all 6 wire strains are tightly tightened by the wire gripper, especially 6 wire strains are twisted while crossing each other, and the positions where the ends of the 6 wire strains are connected are different. Even in the case of large tension, the connection of the wire strain can bear the tension without any defect.

물론 와이어스트레인에 가해지는 인장력은 6가닥의 와이어스트레인이 견딜 수 있는 범위내의 힘일 것이므로 본 발명을 실제로 사용할 때 와이어스트레인의 직경에 따른 전단력을 능가하는 힘이 가해질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에 안전한 것이다.Of course, since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wire strain will be a force within a range that can be endured by six wire strains, it is safe because the force that exceeds the shear force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wire strain cannot be applied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used.

이상의 방법을 통해 제작된 본 발명은 제5도와 같이 무한궤도식으로 연결된 채 완성이 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is completed while connected in an orbital manner as shown in FIG.

이때 와이어조립링과 치차날개는 6가닥의 와이어스트레인이 꼬이면서 끼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함과 동시에 와이어스트레인에 인장력이 가해질 때 그 인장력을 받아주는 보조역할을 수행하여 와이어스트레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the wire assembly ring and the toothed wing play an important ro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wire strain by providing a place where 6 wire strands can be pinched and pinched, and at the same time, perform a secondary role to receive the tensile force when the wire strain is applied. do.

그리고 와이어보호링은 제3도와 같이 와이어조립링과 치차날개의 와이어끼움홈 속에 끼워져 있는 와이어스트레인이 제자리를 이탈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마찰로부터 와이어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wire protection ring plays an important role to prevent the wire strain inserted in the wire assembly ring and the toothed wire fitting groove of the gears from being in place and to prevent the wire from being damaged from impact or friction from the outside. .

그리고 본 발명이 제10도와 같이 와이어시이브(50)를 통해 마찰되면서 회전 이동될 때 와이어스트레인의 표면이 시이브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와이어스트레인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lays an important role of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wire strain by preventing the surface of the wire strain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sheave when it is rotated while rubbing through the wire sieve 50 as shown in FIG. 10.

물론 와이어그리퍼도 와이어스트레인의 양 끝 부분을 강하게 그리핑하여 연결시켜 주는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와이어보호링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Of course, the wire gripper also performs the basic role of strongly gripping and connecting both ends of the wire strain, and also plays the role of the wire protection ring.

와이어조립링과 치차날개는 각각 형성되어 있는 연결턱이 각각의 원형홈 속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서로 조립되지만, 연결턱의 외경보다 원형홈 및 구멍의 내경이 약간 커서 공차가 있고, 와이어조립링의 양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사이사이에는 시트링이 조립되어 있어서 제10도와 같이 와이어시이브에 걸려서 회전이동을 할 때 자연스럽게 라운딩이 되므로 사용상의 문제는 없다.The wire assembly ring and the toothed wing are assemb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ng jaw is formed into each circular groove, but the inner diameter of the circular groove and the hole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jaw so that there is a tolerance.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and between each of the seat ring is assembled there is no problem in use because it is naturally rounded when the rotational movement is caught by the wire sieve as shown in FIG.

그리고 와이어그리퍼의 폭은 와이어조립링 2개를 연결시켰을 때의 폭과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역시 본 발명이 라운딩되는데는 문제가 없다.In addition, since the width of the wire gripper is almost similar to the width when two wire assembly rings are connected, there is no problem in the rou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물론 본 발명의 구성품 각각의 치수에 따라 라운딩이 가능한 최소의 반지름 즉, 와이어시이브의 반지름이 적절하게 결정될 것임은 당연한 이치이므로 무리한 조건하에서의 라운딩은 있을 수 없다.Of course, it is natural that the minimum radius that can be rounded, that is, the radius of the wire sheave, will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re can be no rounding under unreasonable conditions.

그리고 치차날개의 외경은 와이어조립링의 외경보다 무리하게 클 필요는 없으며 와이어시이브의 치차날개걸림홈(51) 속에 가장 적당한 깊이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외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tooth blade does not need to be excessive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wire assembly ring, it is good to have an outer diameter that can be inserted to the most suitable depth in the tooth blade engaging groove 51 of the wire sheave.

상기한 치차날개의 숫자는 장치의 규모나 사용되는 와이어시이브의 직경에 따라 가장 효율적으로 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는 설계상의 계산에 의해 정해진다.The number of tooth blades described above is determined by design calculations that can transmit power most efficient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evice or the diameter of the wire sheave used.

한편, 와이어조립링과 치차날개, 와이어보호링의 재질은 내마모성과 내충격성, 내인장성이 우수하면서 비중이 가벼운 금속으로 채택하는 것이 좋으며, 와이어그리퍼의 재질 역시 마찬가지이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of the wire assembly ring, the toothed wing, and the wire protection ring is good to adopt a metal with high specific gravity and high wear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tensile resistance, as well as the material of the wire gripper.

그리고 와이어그리퍼와 와이어스트레인을 제외한 부품 전체는 열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거칠기는 비교적 정밀하게 하여야 좋다.All parts except wire gripper and wire strain should be heat treated, and surface roughness should be relatively precise.

물론 와이어그리퍼 자체도 어느 정도는 열처리가 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리핑 작업을 종료한 후 적절한 마무리 열처리를 가할 수도 있을 것이나 상황에 따라 유효적절한 방법을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the wire gripper itself may be heat treated to some extent, and after finishing the gripping operation, appropriate finishing heat treatment may be applied, but an appropriate method may be adop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그리고 와이어그리퍼의 돌출턱(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와이어조임턱이 될 것이다)의 숫자는 증가시킬 수 있으며 기어의 이빨과 같이 요철식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number of protruding jaws of the wire gripper (in other words, wire tightening jaws) may be increased and may be concave and convex, such as the teeth of the gear.

와이어보호링은 와이어조립링의 외연상에서 서로 겹쳐져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스트레인을 보호함은 물론 이물질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Since the wire protection ring overlaps each other on the outer edge of the wire assembly ring, as well as protecting the wire strain as described above, foreign matters and the like do not penetrate.

본 발명은, 6가닥의 와이어스트레인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4가닥이나 8가닥 또는 그 이상의 와이어스트레인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와이어스트레인의 숫자가 증감되더라도 제작요령은 동일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using 6-wire wire strain has been described, but in some cases, 4 or 8 wire or more wire strains may be used,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is the same even if the number of wire strains is increased or decreased.

이때 와이어스트레인의 사용 숫자에 따라 와이어조립링 및 치차날개의 와이어끼움홈의 숫자가 조절될 것이며 와이어그리퍼의 숫자도 당연히 와이어스트레인의 숫자에 비례하여 증감된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wire fitting grooves of the wire assembly ring and the toothed blade will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wire strains used, and the number of wire grippers will naturally increase or decrease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wire strains.

따라서 와이어스트레인의 숫자가 변화되면 와이어조립링 및 치차날개의 형태는 달라질 것이며 제작치수도 변화될 수 있다.Therefore, if the number of wire strain is changed, the shape of the wire assembly ring and the toothed wing will be changed, and the fabrication dimension may be changed.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상의 특징으로 인해 동력전달용은 물론 관로 내부에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요구되는 산업장치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industrial devices requiring a tensile force or a compressive force in the pipeline as well as for power transmission due to the structural features as described above.

즉, 제10도의 상태를 기준하여 볼 때 와이어시이브 사이의 공간에 관로를 설치하고 그 관로 안으로 본 발명이 통과하도록 한다면 와이어시이브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되는 본 발명은 관로 안의 어떠한 물질에 대해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based on the state of FIG. 10, if the pipeline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wire sieves and the present invention passes through the pipeline,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oved as the wire sieve rotates, has a tensile force against any material in the pipeline. Or it can act as a compressive force.

물론 이 경우에는, 와이어스트레인을 치차날개의 와이어끼움홈 속에 끼운 다음 나머지의 공간을 다른 어태치먼트나 부착물을 사용하여 메꿀 수도 있다.In this case, of course, the wire strain can be inserted into the wire fitting groove of the toothed blade and then the remaining space can be filled with another attachment or attachment.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되는 본 발명에 있어서 또 다른 특징적인 부분을 제시한다면, 6가닥의 와이어스트레인을 서로 연결시키더라도 와이어스트레인들의 연결부분이 본 발명의 사용상 아무런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점이다.On the other hand, if you present another characteristic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wire strain does not cause any problem in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ix wire strai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다시말해서, 본 발명의 와이어스트레인들은 상기한 아이어그리퍼들에 의해 양쪽의 끝 부분이 서로 견고히 연결되고 와이어보호링의 외경과 와이어그리퍼의 외경이 동일하기 때문에 결국 와이어스트레인 어셈브리 전체의 외경은 와이어보호링의 외경과 동일한 상태가 되어서 앞서 설명한 (III)의 방법을 통해 제작된 것과 동일한 외형을 가지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the wire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ends of the wire strainer is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above-mentioned eye grippers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wire strainer is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wire strainer. This is because it is in the same stat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ring and has the same outer shape as that produced through the method of (III) described above.

따라서 본 발명은 6가닥의 와이어스트레인들의 끝이 완벽하게 서로 무한궤도식으로 연결된 것과 같은 작용을 하면서 치차날개에 의해 정확한 동력전달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ccurate power transmission by the gear blades while acting as if the ends of the six wire strai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n infinitely orbital manner.

이상과 같이 완성되는 본 발명은 실로 수 없이 다양한 동력전달분야 및 산업기계 전반에 걸쳐 매우 획기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제10도와 같이 치차날개(20)가 걸릴 수 있도록 제작된 와이어시이브(50)와 간단한 관련장치만 구비된다면 동력전달체계가 복잡하고 또한 3차원적이며, 구동쪽과 피동쪽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간단히 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very innovatively in numerous power transmission fields and industrial machines as many as possible, and as shown in FIG. 10, the wire sheave 50 made to take the gear blades 20 and If a simple related device is provided,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is complicated and three-dimensional, and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side and the driven side is far away, it is very economical and has a useful effect of simply transmitting power.

본 발명의 사용분야 또는 응용분야를 간략하게 제시한다면, 각종 동력전달분야(3차원방식 포함)와 어떤 물체 또는 물질의 이송, 운반 분야 그리고 하나의 구동선상에 보조동력원이 필요한 장치, 어떤 물체 또는 물질의 분쇄, 절단, 압축, 믹싱, 스크래핑 분야 또는 고체나 액체, 비교적 점도가 높은 유체, 슬러지, 퇴비, 분뇨 등의 이송 분야 및 스케일제거장치, 스크랩이송기, 콘베어장치 등 실로 광범위한데 거의 산업 전반에 걸쳐 응용되지 않는 분야가 없을 정도로 이용가치가 크다 할 것이다.Briefly presenting the field of use or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power transmission fields (including the three-dimensional method) and the transport and transportation of any object or material, and a device, any object or material requiring an auxiliary power source on one drive line Grinding, cutting, compacting, mixing, scraping, or conveying areas such as solids or liquids, relatively high viscosity fluids, sludge, compost, and manure, and descalers, scrap conveyors, conveyors, etc. It is worth noting that there is no field where it is not applied.

Claims (1)

6가닥의 와이어를 서로 교차시키면서 꼬을 때, 양측에 경사면(14)이 형성되고 6방향으로 와이어끼움홈(13)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연결턱(12)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에는 원형홈(15)과 구멍(16)이 형성되도록 한 후 2개소에 절개홈(17)이 형성되도록 한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10)의 6개의 와이어끼움홈 속으로 1가닥씩의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 따라 계속하여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을 일방향으로 연결조립시켜 갈 때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의 사이사이에는 시트링(60)이 하나씩 공급되도록 하면서 연결턱(12)은 원형홈(15) 속으로 강제삽입이 되도록 하는 제2공정과, 조립되는 상기의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 각각의 원주면에 와이어보호링(30)이 하나씩 조립되도록 하는 제3공정과, 상기와 같이 연결조립되는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의 사이에는 양측에 경사면(24)이 형성되고 6방향으로 와이어끼움홈(23)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연결턱(22)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에는 원형홈(25)과 구멍(26)이 형성되도록 한 후 2개소에 절개홈(27)이 형성되도록 하며 와이어조립링 보다 직경이 큰 치차날개(20)를 일정한 간격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조립시키는 제4공정과, 제4공정에 의해 정해진 와이어스트레인의 길이 전체에 걸쳐 와이어스트레인조립링과 치차날개가 연결조립이 되도록 하는 제5공정과, 상기한 6가닥의 와이어스트레인의 끝들이 서로 만날 때, 각각의 와이어스트레인이 만나는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여 안쪽 중앙과 양측에 돌출턱(43)(41)(42)이 형성된 6개의 와이어그리퍼(40)로써 6가닥의 와이어스트레인이 각기 다른 위치에서 견고히 연결되도록 그리핑시키는 제6공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력과 압축력을 병행하여 가할 수 있는 무한궤도식 동력전달용 와이어 어셈브리의 제조방법.When twisting while crossing the six wires with each other, the inclined surface 14 is formed on both sides, the wire fitting groove 13 is formed in the six directions, the connecting jaw 12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circular groove (15) on the opposite side The first step of inserting the wires one by one into the six wire fitting grooves of the wire strain assembly ring 10 in which the cutting grooves 17 are formed in two places after the holes 16 are formed. And, when connecting the wire strain assembly ring in one direction continuously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process, the connecting jaw 12 is a circular groove 15 so that the seat ring 60 is supplied one by one between the wire strain assembly ring. A second step of forcibly inserting into the wire), a third step of assembling the wire protection ring 30 one by on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wire strain assembly rings to be assembled, and the wire strain being assembled and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Of assembly ring The inclined surface 24 is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wire fitting groove 23 is formed in six directions, and the connecting jaw 22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circular groove 25 and the hole 26 ar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hereof. After the cutting grooves 27 are formed in two places, the fourth step of assembling and assembling the tooth blades 20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wire assembly ring as described above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wire strain determined by the fourth step. The fifth step of connecting the wire strain assembly ring and the toothed blade assembly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wire, and when the ends of the six wire strands meet each other, the position where each wire strain meets differently to the inner center And six wire grippers 40 having protruding jaws 43, 41, and 42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comprising a sixth process of gripping six wire strains to be firmly connected at different positions. The method of assembly for the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to Tracked power transmission which can be added in parallel to the wire debris.
KR1019970082703A 1997-12-31 1997-12-31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assembly for caterpillar power transmission that can be applied in parallel with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KR199900623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703A KR19990062367A (en) 1997-12-31 1997-12-31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assembly for caterpillar power transmission that can be applied in parallel with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703A KR19990062367A (en) 1997-12-31 1997-12-31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assembly for caterpillar power transmission that can be applied in parallel with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367A true KR19990062367A (en) 1999-07-26

Family

ID=6618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2703A KR19990062367A (en) 1997-12-31 1997-12-31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assembly for caterpillar power transmission that can be applied in parallel with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236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7721A (en) Belt drive conveyor system
US5464374A (en) Chain having improved load distribution
US4214488A (en) Positive drive system
US5242334A (en) Rocker pin type friction transmission chain
JPH0621604B2 (en) Toothed belt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using the belt
JPS5999143A (en) Improved power transmitting chain
US6306055B1 (en) Multi-ribbed CVT belt
CN1279299C (en) Flexible driving ring belt
EP0279645B1 (en)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U2001238605A1 (en) Multi-ribbed CVT belt
KR1999006236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assembly for caterpillar power transmission that can be applied in parallel with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JP5261719B2 (en) Link plate chain
EP0947735B1 (en) Pulley with controlled surface irregularit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499385B1 (en) Chain belt
KR830009408A (en) Drive Chain
US3313167A (en) Toothed belt drive
JP5347290B2 (en) Power transmission chain pretension method
US4295837A (en) Synchronous belt drive system
US4804353A (en) Sprocket wheel
EP0448208A1 (en) Chain-belt
EP1748221A2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USRE30591E (en) Rope pulling device
US4424619A (en) Positive drive system
RU2253773C1 (en) Drive belt
US801451A (en) Chain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