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1490A - 교환기에 있어서의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 - Google Patents

교환기에 있어서의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1490A
KR19990061490A KR1019970081756A KR19970081756A KR19990061490A KR 19990061490 A KR19990061490 A KR 19990061490A KR 1019970081756 A KR1019970081756 A KR 1019970081756A KR 19970081756 A KR19970081756 A KR 19970081756A KR 19990061490 A KR19990061490 A KR 19990061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message
layer
protocol
proces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3381B1 (ko
Inventor
홍정욱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81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381B1/ko
Publication of KR19990061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3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5Interconnection of switching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기에 있어서의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접근망(Access Network)과 물리적 E1 링크로 접속하여, 실체 메시지를 주고받는 동작을 수행하며, 입력된 메시지에 V5.2 계층 1, 및 계층 2 프로토콜에 관한 처리를 수행하여 출력시키는 V5.2 인터페이스부, 상기의 V5.2 인터페이스부와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입력된 메시지에 V5.2 계층 3 프로토콜에 관한 처리를 하여, 출력시키는 디바이스 제어부, 상기의 디바이스 제어부와 V5.2 인터페이스 관련 메시지 및 상태/경보 처리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필요한 경우 IPC를 통해 메시지를 출력시키는 하위 프로세서부, 및 상기의 하위 프로세서부와 IPC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으면서, API, 호 처리, 유지보수, 통계, 및 과금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위 프로세서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교환기에 있어서의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V5.2 interface unit in a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교환기에 있어서의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역 교환기에 설치되어, V5.2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접근망과 지역 교환기 사이를 인터페이스시켜 주는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에 관한 것이다. V5.2 인터페이스는 광 가입자 장치나 WLL(Wireless Local Loop), PBX(Private Branch Exchange), 기타 원격지의 PSTN/ISDN 가입자를 수용하는 다양한 접근망을 전전자 교환기에 수용할 수 있는 개방형 인터페이스이다. 종래에는 2선을 사용하여 교환기와 가입자간 서비스를 하였으나, V5.2 인터페이스는 E1 라인을 사용함으로서, 경쟁적 이득으로 현재 국내외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여러나라에서 개발 상용화 준비 중에 있는데, 이 V5.2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접근망과 지역 교환기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V5.2 인터페이스를 실현시켜줄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 가입자 장치나 WLL(Wireless Local Loop), PBX(Private Branch Exchange), 기타 원격지의 PSTN/ISDN 가입자를 수용하는 다양한 접근망과 지역 교환기 사이를 V5.2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시켜 주는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에 있어서의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는 지역 교환기에서 V5.2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접근망(Access Network)과 물리적 E1 링크로 접속하여, 실체 메시지를 주고받는 동작을 수행하며, 입력된 메시지에 V5.2 계층 1, 및 계층 2 프로토콜에 관한 처리를 수행하여 출력시키는 V5.2 인터페이스부; 상기의 V5.2 인터페이스부와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입력된 메시지에 V5.2 계층 3 프로토콜에 관한 처리를 하여, 출력시키는 디바이스 제어부; 상기의 디바이스 제어부와 V5.2 인터페이스 관련 메시지 및 상태/경보 처리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필요한 경우 IPC를 통해 메시지를 출력시키는 하위 프로세서부; 및 상기의 하위 프로세서부와 IPC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으면서, API, 호 처리, 유지보수, 통계, 및 과금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위 프로세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V5.2 인터페이스에 대한 물리적 형태도,
도 2는 V5.2 인터페이스의 기능적 모델에 관한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를 갖는 교환기의 구성도,
도 4는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의 운용방법에 관한 개요도,
도 5는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의 상위 응용프로세서부에서 구현되는 API에 관한 각 계층간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접근망(Access Network) 120: 지역 교환기
130: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 131: V5.2 인터페이스부
132: 디바이스 제어부 133: 하위 프로세서부
134: 상위 프로세서부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ITU-T 권고안 G.965에 규정된, 접근망(110:Access Network)과 지역 교환기(120:Local Exchange) 사이에서의 계층 1로부터 계층 3 까지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그널링(signaling) 프로토콜인 V5.2 인터페이스에 대한 물리적 형태도로서, V5.2 인터페이스는 1묶음 당, 최대 16개 까지의 2,048Kbps 링크를 가지며, 각각의 2,048Kbps 링크 당, 32개의 타임슬롯이 할당된다. 각 2,048Kbps 링크의 타임슬롯 15, 16, 및 31은 물리적인 통신채널로 사용 가능하고, 물리적 통신채널로 할당되지 않은 타임슬롯은 베어러 채널로 사용할 수 있으며, 첫 번째 및 두 번째 링크의 체널 16은 보호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도 2는 V5.2 인터페이스의 기능적 모델에 관한 개요도로서, V5.2 인터페이스의 계층 3 프로토콜은 PSTN 시그널링(signaling)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 링크 제어 프로토콜, 보호 프로토콜, 및 베어러 채널 프로토콜로 구성된다.
PSTN 시그널링 프로토콜은 PSTN 사용자 포트들의 시그널링 정보를 양 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 프로토콜은 사용자 포트 상태 변화와 사용자 포트 제어를 위한 정보, 2,048Kbit/s 링크(E1 링크)의 프레임 할당, 멀티프레임 할당, 경보 암시 및 CRC에 관한 제어정보, 계층 2 링크의 제어와 PSTN 시그널링을 이동시키기 위한 정보, 및 일반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비져닝의 동기화와 재시동 능력을 제어하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링크 제어 프로토콜은 2,048Kbit/s 링크의 상태 확인, 관리개체에 의한 링크의 블록킹(Blocking) 및 블록킹 해제(Unblocking) 등의 정보를 양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보호 프로토콜은 보호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 채널로서 사용되고 있는 2,048Kbit/s 링크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V5.2 인터페이스 상의 각종 정보의 보호를 위하여, k개의 다중화 구조를 가지는 정보를 양 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베어러 채널 프로토콜은 베어러 채널의 할당 및 해제 등의 정보를 양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V5.2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 교환기의 구성도로서,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310), 스위칭 장치(320), 접근망 가입자 및 중계선에 대한 각종 톤이나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인 신호장치(321:Signaling Device), 가입자 서비스를 위한 안내방송이나 회의통화와 같은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장치(322:Voice Device), 타 교환기와 연동하는 E1 중계선과 정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CEPT 인터페이스 장치(323), 및 시스템에 망동기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동기장치(324) 등으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310)는 V5.2 계층 1, 및 계층 2 서비스를 위한 V5.2 인터페이스부(311), 계층 3 서비스를 수행하는 디바이스 제어부(312), 디바이스 제어부(312)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에 대한 실시간 처리를 수행하는 하위 프로세서부(313), 호처리, 번호번역, 과금, 유지보수, 통계, 입출력 장치 제어, 및 통신관리망(TMN)과의 연동 등의 상위레벨 작업을 수행하는 상위 프로세서부(314)로 이루어진다.
V5.2 인터페이스부(311)는 접근망(110)과 물리적 E1 링크로 접속하여, 실체 메시지를 주고받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베어러 채널 및 통신채널을 제공하며, 디바이스 제어부(312)와 V5.2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메시지 및 상태/경보 처리에 관련된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V5.2 계층 1, 및 계층 2 서비스를 제공한다.
V5.2 인터페이스는 기본적으로 16개의 E1 링크로 구성되고, 통신 채널은 1차(Primary) 링크를 위한 3개의 채널, 및 2차(Secondary) 링크를 위한 3개의 채널, 즉 최소 6개의 채널로 구성된다.
예로서, 하나의 V5.2 인터페이스부(311)가 16개의 E1 링크를 수용하고, 통신 채널로서 3개의 1차 채널, 3개의 2차 채널을 가지는 경우, 가입자 수용용량은 490 채널이 된다(16개의 E1 링크32 채널-16개의 동기 채널-3 개의 1차 통신 채널-3개의 2차 통신 채널). 만약 접근망(110)이 1000 가입자를 수용하였다면, 지역 교환기(120)에는 3개의 V5.2 인터페이스부(311)가 필요하며, 세 번째 모듈의 링크는 2개의 E1 링크만이 필요하게 된다.
디바이스 제어부(312)는 V5.2 인터페이스부(311)로부터의 계층 1, 계층 2 및 MDL, MPH 메시지, 그리고 경보/상태관련 메시지를 수신하여 PCM 버스를 통해 하위 프로세서부(313)로 전송하고, MDU, 및 경보/상태 관련메시지를 PCM 버스를 통해 하위 프로세서부(313)로부터 수신한다.
하위 프로세서부(313)는 디바이스 제어부(312)와 V5.2 인터페이스 관련 메시지 및 상태/경보 처리 메시지를 주고 받으면서, 디바이스 제어부(312)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에 대한 실시간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 프로세서부(314)의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로 메시지를 전달시킨다. 디바이스 제어부(312)와의 통신 경로로는 PCM 버스(2Mbps)를 사용하고, 상위 프로세서부(314)와는 프로세서간 통신(IPC: InterProcessor Communication)을 통하여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상위 프로세서부(314)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호 처리, 유지보수, 통계, 과금 및 통신관리망(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과의 연동 등의 상위 레벨 기능을 수행한다. V5.2 인터페이스 관련 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타 블록과의 메시지 통신을 필요로 하는데, 교환기의 상위 프로세서부(314)는 여러개의 블록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다른 부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해서는 IPC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하위 프로세서부(313)로부터의 IPC를 통한 V5.2 인터페이스 관련 메시지를 받는데, 일부는 시스템 관리자와 일부는 기존 소프트웨어 블록과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또한 기존 소프트웨어 블록과는 IPC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의 운용방법에 관한 개요도로서, 디바이스 제어부(312)에서 V5.2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 3을 처리하게 하고, 교환기의 운용에 사용되는 응용 소프트웨어는 하위 프로세서부(313)와 상위 프로세서부(314) 모두에 위치시키며, 상위 프로세서부(314)에는 API(Application Interface Software)를 포함시킨다.
디바이스 제어부(312)는 V5.2 인터페이스부(311)로부터 V5.2 인터페이스의 계층 2 메시지를 입력 받은 후, V5.2 인터페이스의 계층 3 프로토콜에 관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 처리 후의 데이터들은 PCM 버스에 실려서, 하위 프로세서부(313)로 전송되는데, 이 데이터들은 이미 디바이스 제어부(312)에서 V5.2 프로토콜의 계층 3 관련 처리가 되어있는 데이터이며,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서, 그대로 통과시키거나, IPC를 통하여 상위 응용 프로세서부(314)로 전송된다.
IPC에 의하여 상위 프로세서부(314)로 전송된 메시지는 상위 응용 프로세서부(314)에 있는 API에 의하여 분석된 후, 메시지 내용에 따라 각 소프트웨어 블록으로 송신된다.
도 5는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310)의 상위 응용프로세서부(314)에서 구현되는 API에 관한 각 계층간 구조도로서, 하위 프로세서부(313)의 VSI(V5.2 Subscriber Interface Software)가 V5.2 계층 3의 메시지를 API 기능을 수행하는 VSC(V5.2 Subscriber Control Software)로 전송하면, VSC는 V5.2 계층 3 관련 메시지를 시스템 관리자로 전송하고, 기존 응용 소프트웨어와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경우, ASI(Analog subscriber Interface)를 통하여, 기존 응용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는 시스템 관리자로 인터페이스 된다. ASI는 기존에 존재하는 아날로그 가입자 처리에 관련한 응용 소프트웨어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310)를 운용하면, 디바이스 제어부(312)에서 V5.2 프로토콜의 계층 3을 처리함으로서, 하위계층에 있어서의 메시지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하위 프로세서부(313)에 걸리는 부하를 줄임으로서, 응용 소프트웨어로 보다 많은 네트워크 자원을 제공할 수 있게 하여, API의 설계를 용이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에 있어서의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를 사용하면, 광 가입자 장치나 WLL(Wireless Local Loop), PBX(Private Branch Exchange), 기타 원격지의 PSTN/ISDN 가입자를 수용하는 다양한 접근망과 지역 교환기를 V5.2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인터페이스 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지역 교환기에서 V5.2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접근망(Access Network)과 물리적 E1 링크로 접속하여, 실체 메시지를 주고받는 동작을 수행하며, 입력된 메시지에 V5.2 계층 1, 및 계층 2 프로토콜에 관한 처리를 수행하여 출력시키는 V5.2 인터페이스부(311);
    상기의 V5.2 인터페이스부(311)와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입력된 메시지에 V5.2 계층 3 프로토콜에 관한 처리를 하여, 출력시키는 디바이스 제어부(312);
    상기의 디바이스 제어부(312)와 V5.2 인터페이스 관련 메시지 및 상태/경보 처리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필요한 경우 IPC를 통해 메시지를 출력시키는 하위 프로세서부(313); 및
    상기의 하위 프로세서부(313)와 IPC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으면서, API, 호 처리, 유지보수, 통계, 및 과금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위 프로세서부(3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 있어서의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
KR1019970081756A 1997-12-31 1997-12-31 교환기에 있어서의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 KR100263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756A KR100263381B1 (ko) 1997-12-31 1997-12-31 교환기에 있어서의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756A KR100263381B1 (ko) 1997-12-31 1997-12-31 교환기에 있어서의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490A true KR19990061490A (ko) 1999-07-26
KR100263381B1 KR100263381B1 (ko) 2000-08-01

Family

ID=1953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756A KR100263381B1 (ko) 1997-12-31 1997-12-31 교환기에 있어서의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3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436B1 (ko) * 1999-12-29 2002-03-16 박종섭 브이5.2 계층3 처리 장치와 호제어 프로세서 간 메시지정합 기능의 부하분담 방법
KR100328435B1 (ko) * 1999-12-29 2002-03-16 박종섭 브이5.2 계층3 처리 장치와 호제어 프로세서 간 메시지라우팅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436B1 (ko) * 1999-12-29 2002-03-16 박종섭 브이5.2 계층3 처리 장치와 호제어 프로세서 간 메시지정합 기능의 부하분담 방법
KR100328435B1 (ko) * 1999-12-29 2002-03-16 박종섭 브이5.2 계층3 처리 장치와 호제어 프로세서 간 메시지라우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3381B1 (ko)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1591A (en) Signaling network gateway device and method for use in a signaling network
KR0150651B1 (ko) Isdn 비디오 전화기를 이용한 isdn 오디오 및 비디오 호출 방법 및 장치
KR100281090B1 (ko)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US490326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xisting telephone switching equipment wit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capability
JPH0448844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0852095B1 (en) Procedure and system for ensuring emergency communication
EP0542705A2 (en) An arrangement for interface adaptation to a digital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0196772A2 (en) Digital telecommunication system
EP0361822B1 (en) Automatic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263381B1 (ko) 교환기에 있어서의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
KR970000071B1 (ko) 협대엽 종합정보통신망 교환기에서의 가입자 호전환 서비스 처리 방법
KR100237473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에서 패킷 영구 가상채널 설정방법
KR0146997B1 (ko) 디지탈 가입자 톤지정 경로 구성방법
KR100198925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자국호 지정경로 구성을 위한 발신 디지탈 가입자 호제어방법
KR100263384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뱅크 제어 및 관리유니트 제어방법
KR100198923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자국호 지정경로 구성을 위한 착신 디지탈 가입자 호제어 방법
KR100385218B1 (ko) 발신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940007917B1 (ko) Isdn 사용자부의 구현방법
KR940003244A (ko) Isdn 전전자 교환기 시스팀에서 가상회선 서비스 b-채널 패킷 자국 호 처리를 위한 메시지 처리 방법
KR960008428B1 (ko) 디지틀가입자 회선호 발신처리시 통신로 설정 및 해제 방법
KR100219945B1 (ko) Tdx-100 교환기의 시스템 구조
KR0123063B1 (ko) 패킷 중계호에서의 중계 링크 설정 및 해제 방법
KR20000007441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v5.2 인터페이스 장치
JP3607582B2 (ja) 加入者アクセス方式
KR100314354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합정보통신망의 기본속도정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