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9539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9539A
KR19990059539A KR1019970079747A KR19970079747A KR19990059539A KR 19990059539 A KR19990059539 A KR 19990059539A KR 1019970079747 A KR1019970079747 A KR 1019970079747A KR 19970079747 A KR19970079747 A KR 19970079747A KR 19990059539 A KR19990059539 A KR 19990059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motor
vacuum cleaner
cove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중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19970079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9539A/ko
Publication of KR1999005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539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모터조립체와 코드릴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부품수가 줄어들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도 우수하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도록 된 흡입장치와, 이 흡입장치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포집장소로 원활히 이송시키도록 된 연통수단 및, 이 연총수단에 의해 이동된 먼지가 포집되도록 된 본체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조립체(200)와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조립체(300)에 모터팩키지상하부커버(400,500)를 매개로 코드릴조립체(600)와 모터조립체(700)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본 발명은 기계적인 수단을 매개로 공기를 순간적으로 흡입함과 더불어 먼지나 쓰레기등을 청소하도록 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조립체와 코드릴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부품수가 줄어들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도 우수하도록 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의 주요 구성부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도록 된 흡입장치와, 이 흡입장치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포집장소로 원활히 이송시키도록 된 연통수단 및, 이 연통수단에 의해 이동된 먼지가 포집되도록 된 본체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뚜껑등이 설치된 상부조립체와 먼지봉투등이 설치되는 하부조립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진공청소기용 모터는 회전에 따른 소음이 발생되는 바, 작업의 정숙성과 주위사람의 작업 또는 휴식을 방해하지 않도록 감쇠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 모터의 소음감쇠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바, 모터(10)의 전방에는 전방패킹링(20)과 전방모터케이스(30) 및 모터패킹(40)이 순차적으로 끼워지고 후방에는 모터필터(50)와 패킹링(60) 및 후방모터케이스(70)가 끼워진 다음 상기 전방모터케이스(30)와 후방모터케이스(70)가 보울트(80)로 체결되고, 이 전후방모터케이스(30,70)는 모터커버(90)에 삽입되어 너트(100)로 고정되며, 이 모터커버(90)는 베이스바디(110)의 안쪽에 구비된 안착부(111)에 보울트(120)를 매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10)의 뒤쪽에 형성된 소음배출공(11)으로 부터 배출된 소음은 모터필터(50)의 사이로 통과하여 후방모터케이스(70)의 원주면에 형성된 4각배출공(71)을 통과하한 후 모터커버(90)의 양쪽측면에 형성된 4각배출공(91)을 통해서 베이스바디(110)의 도시않된 배출구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92는 모터패킹(40)이 끼워지는 홈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10)에서 발생된 소음의 감쇠경로는, 상기 모터(10)의 소음배출공(11)을 통해 밖으로 나온 소음은 모터필터(50)의 내주면과 후방모터케이스(70)의 4각배출공(71)을 통해서 모터커버(90)의 4각배출공(91)로 배출되고, 이어서 이 배기소음은 별도의 유로를 통해 베이스바디(110)의 배출구로 배출되게 되어, 상기 모터(10)의 소음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터의 소음감쇠경로는, 진공청소기의 소음을 완전히 줄이는 데에는 역부족인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베이스바디(110)의 하부에 설치된 도시않된 코드릴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도 크게 발생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터조립체와 코드릴조립체가 모터팩키지상하부커버를 매개로 본체를 구성하는 상하부조립체에 안착되도록 설치되어, 모터조립체 및 코드릴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부품수가 줄어들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도 우수하도록 된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진공청소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하부조립체에 모터조립체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조립체와 모터조립체 및 코드릴조립체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하부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상부조립체210 : 커버부재
220 : 손잡이부재230 : 백커버
240 : 백그릴250 : 상부바디
260 : 패킹270 : 보턴부재
300 : 하부조립체310 : 바퀴
320 : 필터그릴330 : 밴드
340 : 프론트커버부재350 : 전방휠부재
360 : 하부바디370 : 댐퍼
400 : 모터팩키지상부커버410 : 코드릴커버부
420 : 모터커버부430 : 보턴부재안착부
440 : 하부바디끼움안착부500 : 모터팩키지하부커버
510 : 코드릴수용부520 : 모터수용부
530 : 하부바디끼움안착부540 : 배기구
600 : 코드릴조립체700 : 모터조립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도록 된 흡입장치와, 이 흡입장치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포집장소로 원활히 이송시키도록 된 연통수단 및, 이 연통수단에 의해 이동된 먼지가 포집되도록 된 본체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조립체와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조립체에 모터팩키지상하부커버를 매개로 코드릴조립체와 모터조립체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조립체와 모터조립체 및 코드릴조립체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하부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도 1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도록 된 흡입장치와, 이 흡입장치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포집장소로 원활히 이송시키도록 된 연통수단 및, 이 연통수단에 의해 이동된 먼지가 포집되도록 된 본체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조립체(200)와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조립체(300)에 모터팩키지상하부커버(400,500)를 매개로 코드릴조립체(600)와 모터조립체(700)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조립체(200)는,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커버부재(210)와, 회동가능하도록 되어 파지가 용이하도록 설치된 손잡이부재(220)와, 뒤쪽에 설치되는 백커버(230)와 백그릴(240)과, 상기 컵버부재(210)와 손잡이부재(220) 및 백커버(230)와 백그릴(240)이 설치되는 상부바디(250)와, 이 상부바디(250)의 하부에 설치되는 패킹(260)과, 상기 상부바디(250)의 상부에 상하작동되도록 설치된 보턴부재(270)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조립체(300)는, 후술하는 하부바디(360)의 좌우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바퀴(310)와, 먼지등의 이물질을 재차 걸러주도록 설치된 필터그릴(320)과, 충격을 완화시켜 주도록 설치되는 밴드(330)와, 연통수단이 끼워져 연통수단에서 상기 모터조립체(70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프론트커버부재(340)와, 전후좌우로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설치된 전방휠부재(350)와, 상기 각각의 부재들이 설치되는 하부바디(360)와, 이 하부바디(360)의 흡입구(361)에 끼워지는 댐퍼(370)와, 상기 하부바디(36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먼지봉투의 보드를 파지하기 위한 오닫힘방지레버(38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모터팩키지상부커버(400)는, 상기 코드릴조립체(600)의 상부를 덮도록 된 코드릴커버부(410)와, 상기 모터조립체(700)의 상부를 덮도록 된 모터커버부(420)와, 상기 코드릴커버부(410)에는 보턴부재(270)가 상하도록 작동되도록 된 보턴부재안착부(430)와, 상기 코드릴커버부(410)와 모터커버부(420)의 각각의 구석에는 하부바디(360)의 조립돌기(362)가 끼워져 안착되는 하부바디끼움안착부(440)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모터팩키지하부커버(500)는, 상기 코드릴조립체(600)의 하부가 수용되도록 된 코드릴수용부(510)와, 상기 모터조립체(700)의 하부를 수용하도록 된 모터수용부(520)와, 상기 코드릴수용부(510)와 모터수용부(520)의 각각의 구석에는 하부바디(360)의 조립돌기(362)가 끼워지는 하부바디끼움안착부(530)와, 상기 모터수용부(520)의 하부에 상기 하부바디(360)와 백그릴(240)을 통해 외부로 공기가 배기되도록 배기구(54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조립체(200)와 하부조립체(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을 조립한 다음, 상기 코드릴조립체(600)와 모터조립체(700)를 모터팩키지상하부커버(400,500)로 감싸서 하부바디끼움안착부(440,530)를 하부조립체(300)를 구성하는 하부바디(360)의 조립돌기(362)에 끼운다.
이후 상기 상부조립체(200)를 구성하는 상부바디(250)를 덮어서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부조립체(200)와 하부조립체(300)를 2개의 조립 공정으로 나누고, 상기 코드릴조립체(600)와 모터조립체(700)를 모터팩키지상하부커버(400,500)로 팩키지화하는 작업공정으로 나눔으로써 분업화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므로 제조공정의 단순화와 작업능률이 상승되게 된다.
또한 상기 코드릴조립체(600)와 모터조립체(700)를 모터팩키지상하부커버(400,500)로 팩키지화하여 상하부조립체(200,300)에 안착시키게 되므로 코드릴조립체(600)와 모터조립체(700)에서 발생되는 작동소음이 최대한 감쇄되는 유로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바디(360)의 구성이 모터팩키지상하부커버(400,500)를 이용하게 되어 매우 간단하고 조립작업에 따른 공정시간이 단축되게 됨은 물론, 체결에 따르는 나사못등의 수가 크게 줄어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조립체와 코드릴조립체가 모터팩키지상하부커버를 매개로 본체를 구성하는 상하부조립체에 안착되도록 설치되어, 모터조립체 및 코드릴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부품수가 줄어들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도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도록 된 흡입장치와, 이 흡입장치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포집장소로 원활히 이송시키도록 된 연통수단 및, 이 연통수단에 의해 이동된 먼지가 포집되도록 된 본체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조립체와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조립체에 모터팩키지상하부커버를 매개로 코드릴조립체와 모터조립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조립체는,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커버부재와, 회동가능하도록 되어 파지가 용이하도록 설치된 손잡이부재와, 뒤쪽에 설치되는 백커버와 백그릴과, 상기 컵버부재와 손잡이부재 및 백커버와 백그릴이 설치되는 상부바디와, 이 상부바디의 하부에 설치되는 패킹과, 상기 상부바디의 상부에 상하작동되도록 설치된 보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조립체는, 좌우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바퀴와, 먼지등의 이물질을 재차 걸러주도록 설치된 필터그릴과, 충격을 완화시켜 주도록 설치되는 밴드와, 연통수단이 끼워져 연통수단에서 상기 모터조립체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프론트커버부재와, 전후좌우로 방향을 바꿀수 있도록 설치된 전방휠부재와, 상기 각각의 부재들이 설치되는 하부바디와, 이 하부바디의 흡입구에 끼워지는 댐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19970079747A 1997-12-30 1997-12-30 진공청소기 KR19990059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747A KR19990059539A (ko) 1997-12-30 1997-12-30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747A KR19990059539A (ko) 1997-12-30 1997-12-30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539A true KR19990059539A (ko) 1999-07-26

Family

ID=6618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747A KR19990059539A (ko) 1997-12-30 1997-12-30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95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479B1 (ko) * 2001-12-20 200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모터하우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479B1 (ko) * 2001-12-20 200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모터하우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7938B1 (ko) 사이클론식 전기청소기
EP0888742A1 (en) Noise absorb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WO2003022120A1 (en) Dust container for a vacuum cleaner
WO2021013206A1 (zh) 尘盒、尘盒组件和清洁装置
KR100232536B1 (ko) 진공청소기용 본체의 자외선램프설치구조
JPH07163490A (ja) 真空掃除機の吸入口体
KR19990003480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970061184A (ko) 전기청소기
KR19990059539A (ko) 진공청소기
KR19990031393U (ko) 진공청소기의 모터팩키지상하부커버
KR200161827Y1 (ko) 진공청소기용 본체의 자외선램프설치구조
KR200161828Y1 (ko) 진공청소기용 본체의 자외선램프설치구조
JP2000041909A (ja) 電気掃除機
KR200192864Y1 (ko) 진공청소기용 본체의 댐퍼
WO2021013202A1 (zh) 尘盒、尘盒组件和清洁装置
CN219166324U (zh) 污水箱及洗地机
KR200172938Y1 (ko) 진공청소기용 본체의 자외선램프설치구조
KR200192863Y1 (ko) 진공청소기용 본체의 댐퍼
KR100338889B1 (ko) 전기청소기
KR200214600Y1 (ko) 진공청소기용본체의모터소음저감구조
KR0132987Y1 (ko) 진공청소기의 방진장치
KR200154078Y1 (ko) 진공 청소기용 모터의 소음 감쇠 구조
KR20000000629U (ko) 진공청소기의 본체
KR200163948Y1 (ko) 휴대용 진공청소기의 흡입모터설치구조
KR200194410Y1 (ko) 진공청소기의흡입장치용샤프트조립체의샤프트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