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7973A -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자동 재 발신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자동 재 발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7973A
KR19990057973A KR1019970078054A KR19970078054A KR19990057973A KR 19990057973 A KR19990057973 A KR 19990057973A KR 1019970078054 A KR1019970078054 A KR 1019970078054A KR 19970078054 A KR19970078054 A KR 19970078054A KR 19990057973 A KR19990057973 A KR 19990057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service area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6250B1 (ko
Inventor
김영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8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250B1/ko
Publication of KR19990057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7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2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e.g. messages transmitted or received in proximity of a certain spot or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 자동 발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일정시간 주기로 쇼트메시지를 재발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 자동 발신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 자동 발신방법에 있어서, 쇼트메시지와 쇼트메시지 착신자 다이얼링 번호가 입력되고, 소정의 키가 입력되어 쇼트메시지의 발신을 시도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쇼트메시지 발신이 시도되면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 판단에서 해당 지역이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이 아니면 상기 입력된 쇼트메시지를 저장하고,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제 3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 일정 시간 주기로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인지를 자동 반복하여 재 판단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인지의 재판단에서 서비스 지역이면 쇼트메시지를 발신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동통신단말기의 쇼트메시지 전송에 이용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 자동 재 발신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쇼트메시지 발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주기적으로 재 발신을 시도하는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 자동 재 발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쇼트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함)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쇼트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모빌 터미네이팅 쇼트메시지(SMS-MT)와 포인트 투 포인트(SMS-PP)는 서로 구분되어 진다. 또한 쇼트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모빌 오리지네이팅 쇼트메시지(SMS-MO)와 포인트 토 포인트(SMS-PP)를 가지며, 이는 서로 구분된다. 이하 후술될 SMS 서비스는 상기 SMS-MT 서비스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쇼트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원 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 구현할 수 이다. 메모리(20)는 소정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상기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옵션데이터를 저장하는 이이피롬(EEPROM)으로 이루어진다. 키입력부(30)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하며, 상기 키들에 대한 키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표시부(4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키입력부(30)로부터 입력된 키데이터에 대한 표시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로 표시한다. 신호처리부(60)는 상기 제어부(10)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하고, 마이크로폰(MIC)과 스피커(SP)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처리하여 출력한다. 무선주파수부(이하 "RF부"라 함)(50)는 안테나(ANT)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분리하는 듀플렉서(55)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복조하여 상기 신호처리부(60)로 출력하는 수신부(51)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신호처리부(6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송신부(53)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쇼트메시지 발신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제어부(10)는 201단계에서 키입력부(30)를 통해 SMS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키입력부(30)로부터 쇼트메시지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203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SMS를 송신하기 위한 상대측 다이얼링 번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다이얼링 번호가 키입력부(30)로부터 입력되면 제어부(10)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키입력부(30)로부터 SMS 발신하기 위한 키(이하 "발신키"라 함)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05단계에서 발신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SMS 발신을 하기 위한 채널을 설정을 시도한다. 상기 SMS 발신이 시도되면 제어부(10)는 209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이 SMS 서비스 지역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SMS 서비스 지역인지의 판단은 SMS 서비스센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송신되는 파일럿 신호의 검출여부로 판단한다. 상기 209단계의 판단에서 SMS 서비스 지역이면 제어부(10)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SMS 메시지를 발신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0)는 213단계에서 SMS 발신 완료 메시지(예: "쇼트메시지를 전송했습니다" 또는 "Transfer SMS")를 표시부(40)에 표시하고, SMS 메시지 전송을 완료한다. 그러나 상기 209단계에서 SMS 서비스 지역이 아니면 제어부(10)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40)에 에러메시지(예: "쇼트메시지 전송에 실패했습니다" 또는 "Error Transfer SMS")를 표시하고 종료한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는 SMS 서지스 지역으로 이동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SMS 발신을 재시도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에서 상대방에게 쇼트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항 상 이동통신단마기의 상태를 체크햐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급한 용무로 통화를 해야 하는 경우에 깜박 잊고 쇼트메시지 발신을 하지 않아 통화를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자동으로 재 발신을 시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 자동 발신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 자동 발신방법에 있어서, 쇼트메시지와 쇼트메시지 착신자 다이얼링 번호가 입력되고, 소정의 키가 입력되어 쇼트메시지의 발신을 시도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쇼트메시지 발신이 시도되면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 판단에서 해당 지역이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이 아니면 상기 입력된 쇼트메시지를 저장하고,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제 3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 일정 시간 주기로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인지를 자동 반복하여 재 판단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인지의 재판단에서 서비스 지역이면 쇼트메시지를 발신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송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 자동 발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상술한 일반적인 구성과 동일하며,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진 기능부는 SMS 메시지 발신 실패시 SMS 메시지 자동 재 발신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쇼트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20)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 자동 발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제어부(10)는 301단계에서 키입력부(30)를 통해 SMS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키입력부(30)로부터 쇼트메시지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303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SMS를 송신하기 위한 상대측 다이얼링 번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다이얼링 번호가 키입력부(30)로부터 입력되면 제어부(10)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키입력부(30)로부터 SMS 발신하기 위한 키(이하 "발신키"라 함)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305단계에서 발신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SMS 발신을 하기 위한 채널을 설정을 시도한다. 상기 SMS 발신이 시도되면 제어부(10)는 309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이 SMS 서비스 지역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SMS 서비스 지역인지의 판단은 SMS 서비스센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송신되는 파일럿 신호의 검출여부로 판단한다. 상기 SMS 서비스 지역 판단에서 SMS 서비스 지역이면 제어부(10)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SMS 메시지를 신호처리부(60)와 RF부(50)를 거쳐 안테나(ANT)를 통해 송신한다.
반면, 상기 309단계에서 SMS 서비스 지역이 아니라면 제어부(10)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SMS 메시지를 메모리(20)에 저장하고, 313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313단계에서 대기상태로 전환하면 제어부(10)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10)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타이머(도시하지 않음)의 시간을 체크하여 일정시간이 초과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일정시간이 초과되면 제어부(10)는 317단계에서 다시 SMS 서비스 지역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317단계에서 SMS 서비스 지역이라면 제어부(10)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SMS 메시지를 발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자신 또는 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 상태를 사용자가 항상 직접 체크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다른 본 발명의 이점은 주기적으로 자동 쇼트메시지를 재발신을 시도함으로서 사용자는 쇼트메시지의 발신을 잊어버려 연락이 두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 자동 발신방법에 있어서,
    쇼트메시지와 쇼트메시지 착신자 다이얼링 번호가 입력되고, 소정의 키가 입력되어 쇼트메시지의 발신을 시도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쇼트메시지 발신이 시도되면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 판단에서 해당 지역이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이 아니면 상기 입력된 쇼트메시지를 저장하고,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제 3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 일정 시간 주기로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인지를 자동 반복하여 재 판단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인지의 재판단에서 서비스 지역이면 쇼트메시지를 발신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 판단에서 쇼트메시지 서비스 지역이면 쇼트메시지를 발신하는 제 6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78054A 1997-12-30 1997-12-30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자동 재 발신방법 KR100506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054A KR100506250B1 (ko) 1997-12-30 1997-12-30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자동 재 발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054A KR100506250B1 (ko) 1997-12-30 1997-12-30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자동 재 발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7973A true KR19990057973A (ko) 1999-07-15
KR100506250B1 KR100506250B1 (ko) 2005-10-21

Family

ID=3730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054A KR100506250B1 (ko) 1997-12-30 1997-12-30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자동 재 발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2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923B1 (ko) * 2001-04-10 2003-12-0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call 실패에 따른 단문 메시지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6929A (en) * 1990-06-18 1992-11-24 Northern Telecom Limited Multiple access protocol
KR0164364B1 (ko) * 1995-12-30 1999-02-01 김광호 쌍방향 무선호출기의 송신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KR970063992A (ko) * 1996-02-24 1997-09-12 이봉훈 문자와 숫자 전송 및 수신이 가능한 무선호출기
KR100251783B1 (ko) * 1997-10-18 2000-06-01 윤종용 이동무선단말기의단축메시지전송상태정보표시장치및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923B1 (ko) * 2001-04-10 2003-12-0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call 실패에 따른 단문 메시지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6250B1 (ko) 200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874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전송 실패 단축메시지 재전송 방법
KR100350455B1 (ko) 수신자의 메시지 확인을 발신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방법
KR10054783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통화시도진행상태표시장치및방법
KR10050625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자동 재 발신방법
KR2003008049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KR19990082058A (ko) 전기 통신 시스템, 채널 선택 프로토콜, 및 무선 스테이션
KR100986266B1 (ko) 에스엠에스메시지의 전송제어방법
KR100315711B1 (ko) 통신 단말기에서 호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KR20010056414A (ko) 무선 단말기에서 호 연결 방법
JP2001196997A (ja) 携帯電話機
KR101002208B1 (ko)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2007007963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접속 모드 변경 방법
KR1010638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KR2000001379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 문자서비스 메시지 확인방법
KR20060075972A (ko) 이동통신단말에서 통화 내역 세부 정보 제공방법
KR19990059599A (ko) 통신신호의에러체크와재전송방법
KR100650647B1 (ko) 차등 재전송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03520B1 (ko) 투넘버 서비스를 제공받은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서비스방법
KR1006182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19990048982A (ko) 자동 통화절단 장치 및 방법
KR19990032086U (ko) 통신단말기에서 수신자 정보 송출방법
KR20020090798A (ko) 문자메시지확인기능이 구비된 무선전화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40029553A (ko) 휴대폰의 sms 서비스 재송신 방법
KR20040051217A (ko) 메시지 수신 확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