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202B1 -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202B1
KR100618202B1 KR1020040049587A KR20040049587A KR100618202B1 KR 100618202 B1 KR100618202 B1 KR 100618202B1 KR 1020040049587 A KR1020040049587 A KR 1020040049587A KR 20040049587 A KR20040049587 A KR 20040049587A KR 100618202 B1 KR100618202 B1 KR 100618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ecipient
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0658A (ko
Inventor
김민식
Original Assignee
김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식 filed Critical 김민식
Priority to KR102004004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202B1/ko
Publication of KR2006000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 수신자에게 문자메시지를 연속하여 전송하는 경우, 매회 전송 시마다 수신자 전화번호를 반복하여 입력해야만 했던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직전 수신자에게 다시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추가 구비함으로써 동일 수신자에게 문자메시지를 연속하여 신속,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자 메시지, 수신자, 이동 통신 단말기, 전송, 전화 번호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a는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1b는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가 도시된 블록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3은 도 2의 과정이 화면에 표시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5는 도 4의 과정이 화면에 표시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일 수신자에게 문자메시지를 연속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이 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셀룰러폰, PCS, PDA 등)의 보급률이 급속하게 증가되어 국민 한 사람당 한 대의 이동통신단말기를 보유하는 시대에 이르렀고, 이 시대적인 흐름에 부응하고자 이동통신사는 초창기 단순 음성전달의 범위를 넘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의 하나가 바로 문자메시지서비스이다.
문자메시지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기 가입자들 사이에 문자 및 숫자로 구성된 짧은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이용료가 저렴하고 전송과 거의 동시에 전달이 이뤄지는 등의 장점으로 젊은 계층에서는 음성통화에 비해 훨씬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고, 그들을 <엄지세대>라 칭하는 신조어를 낳기도 했다.
한편 문자메시지서비스의 활발한 이용은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의 여러 개선을 가져왔는데, 그 기본은 적은 횟수의 키 누름(손놀림)으로 전송을 신속히 이루는 데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도 여러 타입의 단축키가 개발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함축적 의미의 신조어가 지속적으로 탄생하고 있으며, 신속한 전송수단이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신조어는 사용자들에 의해 자체적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게 현실이고 전송수단은 이동통신기술의 문제이므로 이동통신사에게 책임을 지울 수가 있으나, 단축키는 이동통신단말기 제조사만의 문제로 귀결된다.
때문에 각 이동통신단말기 제조사는 단축키 개발에 특히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성상 키의 구조에 대한 하드웨어적 변경에 한계가 있어 대개 소프트웨어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여기에서 도 1a, 1b를 참조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원을 온(on)시키면 제어부(1)는 표시부(2)에 초기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상태(유휴모드)에서 일련의 순서에 따라 키입력부(3)를 조작, 문자메시지를 입력하고, 이 입력된 문자메시지의 전송을 지시한다. 그러면 무선회로부(4)는 그 즉시 문자메시지를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전송한다. 이때 메모리(5)는 문자메시지의 신속한 전송을 위해 다양한 기능들을 전개하고, 이 기능들은 제어부(1)와 메모리(5)에 설정되어 있는 알고리즘에 따라 진행된다.
따라서 문자메시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알고리즘을 개선하면 된다.
이하 도 2, 3을 참조로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a)에서와 같이 유휴모드 상태에서 키입력부(3)를 조작하여 (b)와 같이 문자메시지 메뉴로 이동, 여기에서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선택한다. 그리고 (c)에서와 같이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d)와 같이 회신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e)에서와 같이 문자를 입력하여 문장을 작성한 다음 송신한다. 그러면 표시 부(2)에는 (f)와 같이 문자메시지를 전송 중임을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문자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유휴모드 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c), (d) 및 (e)단계는 이동통신단말기 제조사 별로 그 순서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d)단계는 그 사용빈도가 가장 많은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를 기본값으로 하여 입력조작이 편리하도록, (e)단계는 문자를 저장함과 아울러 이 저장된 문자를 불러와 활용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문자메시지의 전송을 완료한 후 계속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사용하여 직전의 수신자에게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수신자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매회 전송 시마다 일일이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문자메시지는 대화의 연속성, 문장 크기의 제한(통상 이동통신단말기는 일정 용량(예 : 80바이트)을 초과한 크기의 문장이 입력되지 못하게 제한되어 있다) 등의 특성으로 동일 수신자에게 연속하여 전송하는 경우가 빈번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감안하지 못하여 초래된 문제점인 것이다.
특히 많은 회원을 관리하는 동시동보 문자메시지 전송의 경우, 그 불편의 정도는 더욱 컸다.
이와 같이 수신자 전화번호를 반복 입력하는 행위가 문자메시지의 신속한 전송이라는 문자메시지서비스가 추구하는 기본목적에 역행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사용하여 동일 수신자에게 문자메시지를 연속하여 전송하는 경우,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도록 알고리즘을 구성함으로써 문자메시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를 입력하여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동일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계속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 확인하고 새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새 문자메시지를 상기 동일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선택하여 수신자 전화번호, 회신 전화번호 그리고 문자메시지를 차례로 입력하는 단계(S1~S4 참조)와, <2>이 입력단계가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수신자 전화번호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S5 참조)와, <3>이 전송단계가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수신자 전화 번호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계속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S6, S7 참조)와, <4>이 확인단계에서 상기 수신자 전화번호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문자메시지를 계속 전송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새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S4 참조)와, <5>이 새 문자메시지 입력단계가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입력된 새 문자메시지를 상기 수신자 전화번호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S5 참조)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 전송과정이 화면에 표시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도 5와 도 1a, 1b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5의 (a)와 같이 유휴모드 상태에서 키입력부(3)의 메뉴키(3a) 및 이동키(3b)를 눌러 (b)에서와 같이 표시부(2)에 문자메시지 메뉴가 표시되도록 한 후 선택키(3c)를 눌러 문자메시지 메뉴에서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선택한다.(S1 참조) 그러면 표시부(2)에는 (c)와 같이 수신자 전화번호의 입력을 권고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다음 문자키(3d)를 눌러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이 완료되면 완료를 신호(확인)하기 위해 선택키(3c)를 누른다.(S2 참조) 그러면 (d)에서와 같이 다음 단계에 해당하는, 즉 연락받을 전화번호의 입력을 권고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그 다음 마찬가지로 문자키(3d)를 눌러 회신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선택키 (3c)를 누른다.(S3 참조) 그러면 (e)와 같이 문자메시지의 입력을 권고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다음 문자키(3d)를 눌러 문자를 입력하여 문장을 작성, 작성이 완료되면 선택키(3c)를 누른다.(S4 참조) 그러면 (f)에서와 같이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된다. 물론 잠시 후 문자메시지는 S2단계에서 입력된 수신자 전화번호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된다.(S5 참조)
이와 같이 문자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표시부(2)에는 (g)와 같이 "발신메시지를 계속 사용합니까?"와 같이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계속하여 사용할 것인지 확인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S6 참조)
여기서 선택키(3c)를 누름으로써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계속하여 사용할 것을 신호하는 "예"를 선택할 경우, (h)에서와 같이 수신자 전화번호가 직전에 문자메시지가 전송된 수신자 전화번호와 동일한지 확인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S7 참조)
이때 수신자 동일 여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 가능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2)에 직전의 수신자 전화번호를 표시하고, 이 수신자 전화번호로 문자메시지를 발신할 것인지 질문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다음 S7단계에서 수신자 전화번호가 동일한 경우, 수신자 전화번호가 동일하다는 것을 신호하기 위해 선택키(3c)를 눌러 "예"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수신자 전화번호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S3단계로 이동하여 표시부(2)에 (d)와 같이 회신 전화번호의 입력을 권고하는 화면이 표시되고, 회신 전화번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e)에서와 같이 새 문자메시지의 입력을 권고하는 화면이 표시되며,(S4 참조) 새 문자메시지의 입력이 완료되면 문자메시지는 (f)과정을 지나 직전 수신자의 전화번호로 전송된다.(S5 참조) 한편 상기 S7단계에서 "아니오"를 선택하면 계속해서 다른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것으로 판단하고 새로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S2단계)로 이동하며, 이후 앞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그 다음 표시부(2)에는 다시 (g)와 같이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계속 사용할 것인지 확인하는 화면이 표시된다.(S6 참조) 이때 상기와는 달리 "아니오"를 선택할 경우,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계속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은 종료된다. 그리고 표시부(2)에는 (a)에서와 같이 유휴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초기화면이 표시된다.
한편 S7단계(수신자 전화번호가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수신자 전화번호가 상이한 경우, 즉 다른 수신자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때에는 S2단계(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로 이동하여 표시부(2)에는 (c)의 화면이 표시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동일한 수신자에게 연속하여 문자메시 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매회 전송 시마다 수신자 전화번호를 반복하여 입력할 필요 없이 새로운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문자메시지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활용범위를 확장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의 조작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한편 매출 또한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키입력부(3)를 조작하여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선택하고,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회신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보내고자 하는 문자를 입력하여 문장을 작성한 다음, 입력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지고 나면,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계속해서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계속사용을 선택하면, 동일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계속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동일 수신자(예)를 선택하면 직전의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로 이동하고, 다른 수신자(아니오)를 선택하면 새로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1020040049587A 2004-06-29 2004-06-29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100618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587A KR100618202B1 (ko) 2004-06-29 2004-06-29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587A KR100618202B1 (ko) 2004-06-29 2004-06-29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658A KR20060000658A (ko) 2006-01-06
KR100618202B1 true KR100618202B1 (ko) 2006-09-01

Family

ID=3710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587A KR100618202B1 (ko) 2004-06-29 2004-06-29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2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658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394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정보 송수신 방법
JPH1056666A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サービスのメッセージのメニュー駆動入力方法
KR100500537B1 (ko) 하나의 문자 메시지를 다수의 수신자 단말기에 전송하는방법
US6278886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transmitting messages in a predetermined sequence in a portable telephone
KR10070350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자 식별정보 기능 서비스 방법
KR1006182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20060132254A (ko) 애칭 전송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3008049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KR2004001228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중전화부 관리 방법
KR1004969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방법
KR1008192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개수 표시 방법
KR1006368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문자답변시스템 및 방법
KR1010638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KR1008346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KR1005956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표시방법
KR20060075972A (ko) 이동통신단말에서 통화 내역 세부 정보 제공방법
KR2004007706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송신 방법
KR200900170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KR100276812B1 (ko) 통신 단말기에서 라스트콜 차단방법
KR20050028761A (ko) 유,무선통신 단말기시스템의 에스엠에스메시지입력보안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048652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088077B1 (ko) 문자입력에러 알람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7050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5005677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송신 방법
KR2004006767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내역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