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7157A -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의 마이크로/피코셀을 위한 전송손실 예측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의 마이크로/피코셀을 위한 전송손실 예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7157A
KR19990057157A KR1019970077203A KR19970077203A KR19990057157A KR 19990057157 A KR19990057157 A KR 19990057157A KR 1019970077203 A KR1019970077203 A KR 1019970077203A KR 19970077203 A KR19970077203 A KR 19970077203A KR 19990057157 A KR19990057157 A KR 19990057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oss
loss value
los
building
predi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7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8671B1 (ko
Inventor
김준철
배영호
황원택
정현민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77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671B1/ko
Publication of KR19990057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7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의 마이크로/피코셀을 위한 전송손실 예측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전송손실 모델을 가시지역과 비가시지역으로 2분화하여 각기 전송손실값의 계산을 달리 수행하므로써 수행 속도 향상 및 정확한 전송 결과를 예측하기 위한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의 마이크로/피코셀을 위한 전송손실 예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망 설계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송손실 예측 방법에 있어서, 해석의 대상이 되는 전파환경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전체방향에서 임의의 방향에 대한 가시지역 전송손실값을 계산하여 저장한 후, 기지국과 수신점 사이의 건물에 의한 전송손값 및 저장된 전송손실값을 참조하여 전방향에 대해 전송손실값을 계산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망 설계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의 마이크로/피코셀을 위한 전송손실 예측 방법
본 발명은 지형정보시스템(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플랫폼 기반의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 전송손실 모델의 2분 가능한 구조(즉, 가시지역(LOS : Line Of Sight)과 비가시지역(NLOS))를 이용하여 수행 속도를 향상시키고 정확한 전송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의 마이크로/피코셀을 위한 전송손실 예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전송손실 예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종래에는, 대부분의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 구현된 전송손실 예측 방법은, 우선 기지국(BS : Base Station) 주위의 360도 전 방향에 걸쳐 방향(Radial)을 그린 후, 각 방향에 대하여 방향을 기지국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 각 간격점(1a,1b, 및 1c)에서의 전송손실값(PL)을 구하였다.
예컨대, 방향1에 대하여 간격점(1a,1b, 및 1c)에 대하여 전송 손실값을 구한다. 이때, 전송손실값(PL)은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에 건물 전송손실값(PL_Building)을 더한 형태의 전파모델식(PL = PL_LOS(d) + PL_Building)을 이용한다. 여기서, PL_Building은 각 수신점에서 기지국과의 직선 경로상의 건물에 의한 손실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송손실 예측 방법은 기지국 주변의 모든 간격점에 대한 전송손실을 예측하기 위해 반드시 상기 전파모델식(PL = PL_LOS(d) + PL_Building)을 계산하여만 하였다.
이러한 상기 전파모델식(PL = PL_LOS(d) + PL_Building)의 경우에 가시지역 전송손실(PL_LOS(d)) 성분은 건물(Building)과는 단지 거리에 대해서만 다른값을 갖기 때문에 모든 방향에 대한 계산에서 동일한 계산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수행 속도를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전송손실 모델을 가시지역과 비가시지역으로 2분화하여 각기 전송손실값의 계산을 달리 수행하므로써 수행 속도 향상 및 정확한 전송 결과를 예측하기 위한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의 마이크로/피코셀을 위한 전송손실 예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전송손실 예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 는 가상의 셀 커버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 은 실제의 마이크로/피코셀에서의 커버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무선망 셀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마이크로/피코셀을 위한 전송손실 예측 모델의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전송손실 예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송손실 예측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의 마이크로/피코셀을 위한 전송손실 예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1 : 컴퓨터 72 : 마우스
73 : 프린터 74 : 플로터(Plott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망 설계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송손실 예측 방법에 있어서, 해석의 대상이 되는 전파환경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처음 계산되는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가시지역(LOS) 전송손실값(PL_LOS(d))을 계산하는 제 2 단계; 상기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을 거리 및 손실값의 표의 형태로 컴퓨터내의 기억공간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기지국과 수신점 사이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결과, 장애물이 없으면(즉, 가시지역에 있으면) 상기 기억공간에 저장된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에 영을 더하여 전체 전송손실값을 구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결과, 장애물이 있으면(즉, 비가시지역에 있으면) 상기 기억공간에 저장된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에 건물에 의한 전송손실값(PL_Building)을 더하여 전체 전송손실값을 구하는 제 6 단계; 및 전체 방향에 대해 계산된 전송손실값을 출력장치에 출력하여 최종 서비스 영역을 도시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가상의 셀 커버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전방향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는 한 무선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지국을 중심으로 반경(d)을 갖는 원으로 도시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의 셀 커버리지의 모양은 지형 및 건물의 특성에 따라 불규칙한 모양을 갖는다. 이러한 실제의 마이크로/피코셀에서의 커버리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반경이 1km이내인 마이크로/피코셀의 경우에, 커버리지는 건물 등에 의해 영향을 매우 많이 받으며, 디지털 지형 모델(DTM : Digital Terrain Model) 데이터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DTM 데이터의 사용은 보통 무시한다. 여기서, DTM 은 지형의 프로필을 디지털화한 수치 지형 모델이다. 즉, 용도에 따라 적절한 간격의 격자를 만들고, 격자 눈금마다 해발 높이값 및 속성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에서 송신된 전파 신호는 기지국에서 멀어질수록 약해지고, 어느 일정 신호전력 이하로 떨어지면 통화가 불가능하게 되는데 이 지점이 셀 커버리지 경계가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무선망 셀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망 설계(Cell Planning)시 고려할 사항은 각각의 기지국에 대해 분석된 셀 커버리지를 바탕으로 무선통신 서비스(즉, 개인휴대서비스(PCS), 셀룰라, 및 제2세대 무선전화(CT-2) 등)를 제공하려는 지역 전체에 몇 개의 기지국을 적절히 배치하여 서비스 영역(4a)내의 어떤 지점도 1개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을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서비스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필요한 기지국의 개수를 최대한 줄일수록 투자비가 절감되므로 기지국간 거리를 최대로 멀리해야 한다.
반면,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너무 멀리하면 전파의 음영지역이 발생하여 통화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한 기지국이 담당하는 셀 커버리지의 정확한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기지국의 위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한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를 분석하는데는 무선망 설계시스템을 이용한다. 이러한 무선망 설계 시스템은 지리정보시스템(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지국 주변의 각 지점에 대한 수신전계 강도를 예측한다. 이때, 각 지점의 수신전계 강도는 전파모델을 사용하므로써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GIS는 시설물 관리(FM : Facilities Management) 및 지리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방대한 지물 및 지형의 정보를 다루는 시스템을 통칭한다. 따라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설계 및 관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부분 디지털 형태로 다루어 진다.
그리고, 무선망 설계를 위한 GIS는 지형 및 지물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특히 건물의 위치, 고도, 방향, 및 재질 등의 정보와 DTM 및 지형의 특성정보(Morphology)등을 다룬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마이크로/피코셀을 위한 전송손실 예측 모델의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에서 멀어질수록 전파의 전송손실이 커진다. 특히, 전파가 건물(5g)을 지날때는 보다 큰 전송손실이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기지국 주변 지역의 전송손실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전파모델 수식을 사용하여 각 지점(5a 내지 도 5d)에서의 전송손실값을 구한다.
특히, 마이크로/피코셀을 위한 전파모델들의 경우에 지형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지점(5a,5b)에서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가시지역(LOS : Line Of Sight)에 있을 경우에는 전송손실값(PL)은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의 전파모델로 표현되고(PL_LOS(d))(5e), 지점(5c,5d)에서와 같이 건물들에 가려져 기지국으로부터 비가시지역(NLOS)에 있을 경우에는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에 건물 전송손실값(PL_Building)을 더한 형태의 전파모델로 표현된다(PL-LOS(d) + PL_Building)(5f). 여기서, PL_LOS(d) 및 PL_Building은 공통적으로 거리에 대한 함수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전송손실 예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일반적인 전파예측 모델에서, 전송손실값(PL)은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에 건물 전송손실값(PL_Building)을 더한 형태로 구성된다(PL = PL_LOS(d) + PL_Building). 여기서, PL_LOS(d)는 마이크로/피코 셀 환경에서는 기지국과 수신점간 거리만의 함수로 가정할 수 있고, PL_Building은 각 수신점에서 기지국과의 직선 경로상의 건물에 의한 손실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가시지역 성분과 건물 손실을 분리할 수 있는 전파모델은 각 방향에 대해 같은 거리에 있는 수신점에서의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은 동일한 값을 갖는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방향1,2, 및 3상에 같은 거리(2·Δd)에 있는 수신점(6a 내지 6c)의 전송손실값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신점(6a)의 전송손실값(PL(6a))은 가시지역(2·Δd)의 전송손실값(PL_LOS(2·Δd))에 영(zero)을 더한 값이다(PL_LOS(2·Δd) + 0).
수신점(6b)의 전송손실값(PL(6b))은 가시지역(2·Δd)의 전송손실값(PL_LOS(2·Δd))에 수신점(6(b))에서 건물(B1)에 의한 전송손실값(PL_Building(B1))을 더한값이다(PL_LOS(2·Δd) + PL_Building(B1)).
수신점(6c)의 전송손실값(PL(6c))은 가시지역(2·Δd)의 전송손실값(PL_LOS(2·Δd))에 수신점(6c)에서 건물(B2) 및 건물(B3)에 의한 전송손실값(PL_Building(B1) 및 PL_Building(B3))을 더한값이다(PL_LOS(2·Δd) + PL_Building(B2) + PL_Building(B3)).
상기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거리가 같은 수신점(6a,6b, 및 6c)에서의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은 동일한 전송손실값(PL_LOS(2·Δd))을 갖는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각 수신 경로상의 건물에 의한 전송손실값이(PL_Building)이 추가되므로 각 수신점(6a,6b, 및 6c)에서의 최종 전송손실값은 다른값이 된다.
따라서, 임의의 방향에 대해 일정한 간격(Δd)으로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 을 미리 구해 놓는다면, 다음 방향에 대한 계산을 할 경우에 전송손실의 거리에 따른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의 계산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 주변 전파해석을 위한 전송손실값의 계산 시간을 줄일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송손실 예측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송손실 예측시스템은 수행에 필요한 계산을 수행하는 컴퓨터(71)와, 기지국의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인 마우스(72)와, 최종 서비스 영역을 도시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인 프린터(73) 또는 플로터(74)를 포함한다.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 전송손실 예측 기능은 효과적인 기지국 위치 설정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빠른 수행속도 및 정확한 예측결과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의 마이크로/피코셀을 위한 전송손실 예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기지국을 중심으로한 전파해석을 시작하면, 미리 정의된 방향(Radial)갯수, 거리간격(Δd), 및 해석반경을 가져와 전파환경 파라미터를 설정한다(801). 예컨대, 방향(Radial) 갯수는 1도 간격의 계산을 위해 360개로 하고 반경 300m내에서 2m 간격의 각 점에서 전송손실값들을 계산한다.
이후, 처음 계산되는 방향(Radial)에 대하여 상기 미리 정의된 간격으로 가시지역(LOS) 전송손실값(PL_LOS(d))을 계산하여(802) 거리(순서) 및 손실값의 표의 형태로 컴퓨터(71)내의 기억공간에 저장한다(803). 여기서, 계산된 결과는 기억공간내에서 데이터 테이블의 형태로 존재한다.
다음으로, 해석반경내 다른 각도 방향상의 각 수신점에 대한 전송손실값(PL)을 계산하는 경우에, 전체 전송손실값(PL)은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과 건물에 의한 전송손실값(PL_Building)을 더한다(804).
이때,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은 상기 컴퓨터(71)내의 기억공간에 저장된 가시지역 전송손실값을 참조하므로써 다시 가시지역 전송손실값을 계산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수신점에서는 기지국과 수신점 사이의 건물의 유무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전송손실값(PL_Building)만을 계산한면 된다.
만약, 건물이 없으면 전체 전송손실값(PL)은 저장된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에 영을 더한값(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 + 0)이되고, 한편 건물이 있으면 전체 전송손실값(PL)은 저장된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에 건물에 의한 전송손실값(PL_Building)을 더한값(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 + PL_Building)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수신점에 대해 전송손실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거리에만 의존하는 가시지역 전송손실(PL_LOS(d)) 및 장애물(즉, 건물)에 대한 전송손실값(PL_Building)을 각각 구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중 거리에 따라 일정한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을 한 방향(Radial)에 대해서만 계산하고 다른 방향 해석시 그대로 사용하므로써 계산량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계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기존의 일반적인 해석방법에 의하면 360도 전방향을 1도 간격으로 해석하고 300m 반경과 2m 간격을 가정하면.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식에 대한 계산회수는 360*(300/2)이므로 54,000회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손실 예측 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방향에 대해 300/2이므로 150회만 계산하여 이를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전체 방향에 대해 계산된 전송손실값(PL)을 프린터(73) 또는 프로터(74)에 출력하여 최종 서비스 영역을 도시한다(805).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예측방법에 비해 계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매우 빠른 수행 결과를 예측할 수 있고, 셀 커버리지의 예측 수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체 무선망 설계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무선망 설계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송손실 예측 방법에 있어서,
    해석의 대상이 되는 전파환경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처음 계산되는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가시지역(LOS) 전송손실값(PL_LOS(d))을 계산하는 제 2 단계;
    상기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을 거리 및 손실값의 표의 형태로 컴퓨터내의 기억공간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기지국과 수신점 사이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결과, 장애물이 없으면(즉, 가시지역에 있으면) 상기 기억공간에 저장된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에 영을 더하여 전체 전송손실값을 구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결과, 장애물이 있으면(즉, 비가시지역에 있으면) 상기 기억공간에 저장된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에 건물에 의한 전송손실값(PL_Building)을 더하여 전체 전송손실값을 구하는 제 6 단계; 및
    전체 방향에 대해 계산된 전송손실값을 출력장치에 출력하여 최종 서비스 영역을 도시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송손실 예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3, 5, 및 6 단계의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은 각각,
    거리에만 의존하도록 하여 거리가 같은 수신점에서의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은 동일하게 취급되어 다른 방향 해석시 그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손실 예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 및 제 5 단계는 각각,
    지형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기지국으로부터 가시지역(LOS : Llne Of Sight)에 있을 경우의 전체 전송손실값(PL)은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이되고, 건물들에 가려져 기지국으로부터 비가시지역(NLOS)에 있을 경우의 전체 전송손실값(PL)은 상기 가시지역 전송손실값(PL_LOS(d))에 건물에 의한 전송손실값(PL_Building)을 더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손실 예측 방법.
KR1019970077203A 1997-12-29 1997-12-29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의 마이크로/피코셀을 위한전송손실 예측 방법 KR100248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203A KR100248671B1 (ko) 1997-12-29 1997-12-29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의 마이크로/피코셀을 위한전송손실 예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203A KR100248671B1 (ko) 1997-12-29 1997-12-29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의 마이크로/피코셀을 위한전송손실 예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7157A true KR19990057157A (ko) 1999-07-15
KR100248671B1 KR100248671B1 (ko) 2000-04-01

Family

ID=1952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7203A KR100248671B1 (ko) 1997-12-29 1997-12-29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의 마이크로/피코셀을 위한전송손실 예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86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518B1 (ko) * 1999-07-31 2002-03-23 이계철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의 전파해석방법
KR100775284B1 (ko) * 2001-06-13 2007-11-08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측위 시스템을 위한 비가시경로 오차 보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7727B2 (en) 2013-03-15 2019-04-09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having databases and automated report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US10271233B2 (en) 2013-03-15 2019-04-23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utomatic signal detection with temporal feature extraction within a spectrum
US10237770B2 (en) 2013-03-15 2019-03-19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having databases and automated report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US11646918B2 (en) 2013-03-15 2023-05-09 Digital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for identifying open space
US10219163B2 (en) * 2013-03-15 2019-02-26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US10231206B2 (en) 2013-03-15 2019-03-12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for identifying signal-emitting devices
US9622041B2 (en) 2013-03-15 2017-04-11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CN106411437B (zh) * 2016-08-24 2018-11-20 深圳无线电检测技术研究院 基于3d几何模型的视距传输概率预测方法
US10459020B2 (en) 2017-01-23 2019-10-29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utomatic signal detection based on power distribution by frequency over time within a spectrum
US10498951B2 (en) 2017-01-23 2019-12-03 Digital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unmanned vehicle detection
US10700794B2 (en) 2017-01-23 2020-06-30 Digital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utomatic signal detection based on power distribution by frequency over time within an electromagnetic spectrum
US10529241B2 (en) 2017-01-23 2020-01-07 Digital Global Systems, Inc. Unmanned vehicle recognition and threat management
US10943461B2 (en) 2018-08-24 2021-03-09 Digital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utomatic signal detection based on power distribution by frequency over ti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518B1 (ko) * 1999-07-31 2002-03-23 이계철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의 전파해석방법
KR100775284B1 (ko) * 2001-06-13 2007-11-08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측위 시스템을 위한 비가시경로 오차 보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8671B1 (ko) 200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8671B1 (ko) 무선망 설계시스템에서의 마이크로/피코셀을 위한전송손실 예측 방법
EP0763313B1 (e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lanning
US6088522A (en) Computer-implemented inbuilding prediction modeling for cellular telephone systems
US11902799B2 (en) Station placement designing method, station placement designing apparatus and station placement designing program
JP7096495B2 (ja) 置局設計方法、置局設計装置、及びプログラム
Hoppe et al. Advanced ray‐optical wave propagation modelling for urban and indoor scenarios including wideband properties
Athanasiadou et al. Path loss characteristics for UAV-to-ground wireless channels
CN108259097B (zh) 基于mr数据的修正无线传播模型的方法及装置
JP6696859B2 (ja) 品質推定装置及び品質推定方法
Kim et al. Geometric optics-based propagation prediction model in urban street canyon environments
KR20210026520A (ko) 측정 데이터 기반의 무선 통신 커버리지 예측 시스템 및 방법
Abdulrasool et al. Calculation algorithm for diffraction losses of multiple obstacles based on Epstein–Peterson approach
CN114025372B (zh) 基于mr数据的5g rsrp计算方法及系统
Ullah et al. Outdoor-to-indoor and indoor-to-indoor propagation path loss modeling using smart 3D ray tracing algorithm at 28 GHz mmWave
US9635562B2 (en) Method for predicting the radio field level and/or the duration of propagation of cellular telephone networks using high-resolution terrain databases
EP1714512B1 (en) Method and system for radio coverage planning with multiple resolution profile approach
US8358305B2 (en) Method for 3D preprocessing for ray tracing
Hoppe et al. Fast 3D ray tracing for the planning of microcells by intelligent preprocessing of the database
Hussain et al. A visibility matching technique for efficient millimeter-wave vehicular channel modeling
JP2013026884A (ja) 伝搬損失推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伝搬損失推定装置
KR100248670B1 (ko) 무선망 설계 시스템에서의 셀 커버리지 추정 방법
Korbel et al. Application of evolutionary approach for multi-objective improvement of indoor access point placement
ALMĂJANU et al. Radio coverage analysis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ics telecom
US1109603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phasizing and deemphasizing radio beams from base stations
Hoppe et al. Fast and enhanced ray optical propagation modeling for radio network planning in urban and indoor scenari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