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6296A -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6296A
KR19990056296A KR1019970076290A KR19970076290A KR19990056296A KR 19990056296 A KR19990056296 A KR 19990056296A KR 1019970076290 A KR1019970076290 A KR 1019970076290A KR 19970076290 A KR19970076290 A KR 19970076290A KR 19990056296 A KR19990056296 A KR 19990056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defrost water
refrigerator
accommodating
evaporation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강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76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6296A/ko
Publication of KR19990056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296A/ko

Links

Landscapes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압축기 냉매파이프에 고정되는 제상수 증발용기를 제공한다.
이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는, 냉장고의 압축기(12) 상부에 설치되어 제상수를 수용하여 증발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그 증발용기(30)는 : 상기 압축기(12)의 상부면에 대응한 형상으로 그 저면부가 오목부를 형성하여, 그 저면부와 상기 압축기(12)의 상부면이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하는 제상수를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부(32); 상기 제1수용부(32)의 주위에서 형성되고 제1수용부(32)에서 흘러넘치는 제상수를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부(34); 상기 제1수용부(32)의 저면부 일측에서 아래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설치되어, 압축기(12)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탄성지지부재(35); 및 상기 제1수용부(32)의 저면부 다른 일측에서 아래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설치되고, 압축기(12)의 냉매파이프(12a)에 끼워지는 고정홈(36a)이 형성되어, 그 고정홈(36a)에 냉매파이프(12a)를 끼운채 압축기(12)의 다른 일측면에 접촉되는 파이프고정부재(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제상수 증발용기내에 집수된 제상수를 증발하는데에 있어서, 압축기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열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서 그 제상수를 빠르게 증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
본 발명은 가정용 냉장고 본체의 기계실에서 제상수(除霜水)를 증발시키는 증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제상수 증발용기내에 집수된 제상수를 증발하는데에 있어서. 압축기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열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서 그 제상수를 빠르게 증발시킬 수 있도록 냉장고의 압축기 냉매파이프에 고정시키는 제상수 증발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정용 냉장고에 있어서는, 그 증발기 등의 표면에 서리가 과다하게 착상되면 별도의 제상히터를 작동시켜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상시스템에서는 증발기의 착상상태를, 예컨대 압축기의 운전시간을 체크하여 일정값에 도달한 것을 검지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착상이 검출되면, 압축기 및 팬 등의 작동이 정지되며, 증발기 등에 착상된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히터가 작동하여 서리를 녹이게 된다. 그런다음 온도센서 등에 의하여 증발기 주위의 온도가 소정의 일정한 값에 이른 것이 검출될 수 있다. 그러면, 히터의 동작이 정지되어 제상동작이 완료되고, 냉장고는 통상의 운전작동으로 되돌아온다.
이 때, 제상동작에 의하여 냉장고 내부에 착상된 서리가 녹으면서 발생된 제상수는 중력에 의해 냉장고의 하부로 집수되며, 이는 다시 배수호스에 안내되어 기계실 내부에 설치된 제상수 증발용기에 수용된다.
종래에는 그 증발용기의 하부에 압축기로부터 인출되는 냉매파이프가 설치되는 구조가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그 증발용기에 수용된 제상수는 제상동작이 완료되고 다시 압축기가 작동하면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응축기(condensor) 등으로 유출되는 도중에 그 증발용기의 하부에 설치된 냉매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제상수와 열교환을 하여 증발될 수 있었다.
한편, 다른 방식으로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계실에 설치되는 압축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증발용기(20)의 구성도 있다. 그 증발용기(20)는 대체로 접시 또는 그릇모양의 오목한 부분인 제상수가 집수되는 수용부(22)를 가지며, 너무 많은 제상수가 모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플로파이프(28), 그리고 증발용기(2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정리브(26) 및 나사(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하는 종래의 증발용기(20)는 냉장고(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기계실의 압축기(12) 상부에서, 냉장고(10)의 캐비넷 베이스 브라켓(16) 등에 나사체결방식 등으로 고정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압축기(12)는 작동중에 고온상태로 되며, 압축기(12)가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 하부 및 상부에는 개공부가 있어서 외기의 출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하부의 개공부로부터 유입된 외기는 압축기(12)에 의하여 가열되어 상승하고 상부의 개공부로 배출됨으로써 압축기(12) 주위에는 고온의 상승기류가 생긴다. 그러므로, 압축기(12) 상부에 설치하는 증발용기(20)내의 제상수는 그 고온의 상승기류 및 압축기(12)에서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여 증발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압축기(12) 상부에 고정되는 증발용기(20)에 있어서는, 그 중발용기(20)가 압축기(12)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캐비넷 베이스 브라켓(16)에 부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증발효율이 저조하였다. 즉, 압축기(12)는 작동중 진동하기 때문에 증발용기(20)와의 접촉되면 진동음이 발생되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증발용기(20)는 압축기(12)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있었다. 따라서, 압축기(12)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직접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복사 또는 대류에 의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증발효율이 저하될 수 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증발용기(20)에 유입되는 1회분의 물을 다음번 제상시까지 완전히 증발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를 예상하여 용적이 큰 용기를 필요로 하였었고 또한 증발용기(20)의 주위에 공기가 유통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었으므로 물을 증발시키기 위하여는 기계실에 큰 공간이 필요하였고, 기계실이 커지는만큼 냉장고 본체의 냉장실의 용적이 감소되어 냉장고 본체의 용적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증발용기(20)는 나사(25)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있었으므로 조립작업에 있어서도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제상수 증발용기내에 집수된 제상수를 증발하는데에 있어서. 압축기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열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증발용기와 압축기의 사이의 공간을 없애고 밀착하여 그 증발효율을 극대화한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증발용기를 나사식으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작업공정을 없애고, 압축기의 냉매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고정작업이 용이하게 된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정용 냉장고에 있어서 제상수 증발용기의 구성을 간단하게 보여주는 부분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증발용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증발용기의 파이프고정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10 : 냉장고 12 : 압축기(compressor)
14 : 배수호스 16 : 브라켓
20 : 증발용기(종래) 22 : 수용부
25 : 나사 26 : 고정리브
28 : 오퍼플로파이프 30 : 증발용기(본발명)
32 : 제1수용부 33 : 격판리브
34 : 제2수용부 35 : 탄성지지부재
36 : 파이프고정부재 36a : 고정홈
38 : 오버플로파이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냉장고의 기계실에서 압축기 상부에 설치되어 배수호스 등을 통하여 유입하는 제상수를 수용하여 증발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그 증발용기는 : 상기 압축기의 상부면에 대응한 형상으로 그 저면부가 오목부를 형성하여, 그 저면부와 상기 압축기의 상부면이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하는 제상수를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의 주위에서 형성되고 제1수용부에서 흘러넘치는 제상수를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의 저면부 일측에서 아래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설치되어, 압축기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탄성지지부재; 및 상기 제1수용부의 저면부 다른 일측에서 아래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설치되고, 압축기의 냉매파이프에 끼워지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그 고정홈에 냉매파이프를 끼운채 압축기의 다른 일측면에 접촉되는 파이프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증발용기의 파이프고정부재와 탄성지지부재가 압축기의 서로 대향되는 측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또한 파이프고정부재의 고정홈에 압축기의 냉매파이프를 끼워서 상기 증발용기의 제1수용부의 저면부가 압축기의 상부면을 밀착하여 덮어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는, 상기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파이프고정부재의 고정홈은 다수개가 상하로 연속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증발용기(30)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증발용기(30)의 파이프고정부재(36)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30)는, 냉장고의 기계실에서 압축기(12) 상부에 설치되어 배수호스(14) 등을 통하여 유출하는 제상수를 수용하여 증발하기 위한 그릇이다. 그 제상수 증발용기(30)는 제상수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32)와 제2수용부(34), 탄성지지부재(35) 및 고정홈(36a)이 설치된 파이프고정부재(36)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제1수용부(32)와 제2수용부(34)의 공간을 나누며 제상수가 유동되도록 하는 격판리브(33) 및 과도하게 수용되는 제상수를 흘러넘치게 하는 유동홈(33a)과 오버플로파이프(3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용부(32)는 제상수가 배수호스(14) 등에 의하여 1차로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냉장고의 압축기(12)의 상부면에 대응한 형상으로 그 저면부가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수용부(32)의 저면부와 압축기(12)의 상부면이 밀착될 수 있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수용부(32)의 저면부가 압축기(12)의 상부면에 씌워지는 모자와 같은 구조를 할 수 있다. 이 때, 제1수용부(32)의 저면부의 가장자리는 진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기(12)의 상부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밀착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수용부(34)는 예컨대 격판리브(33)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상술한 제1수용부(32)와는 구별되는 제상수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다. 그 제2수용부(34)의 저면부는 제1수용부(32)의 주위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격판리브(33)의 유동홈(33a) 등을 통하여 제1수용부(32)에서 흘러넘치는 제상수를 수용할 수 있다. 이 제2수용부(34)의 외측벽 상단에는 오버플로파이프(38)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그 제2수용부(34)가 제1수용부(32)의 일부에서만 연장되어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냉장고(10)에서 1회에 발생되는 제상된 물의 양을 참작하여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재(35)는 제1수용부(32)의 저면부 일측에서 아래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설치되는 지지 리브이다. 그 탄성지지부재(35)는 압축기(12)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파이프고정부재(36)와 함께 압축기(12)의 측면을 탄성적으로 붙잡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에는 하나의 탄성지지부재(35)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두 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파이프고정부재(36)는, 상술한 탄성지지부재(35)에 대향하여 제1수용부(32)의 저면부 다른 일측에서 아래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 파이프고정부재(36)에는 압축기(12)의 냉매파이프(12a)에 끼워지는 고정홈(36a)이 형성될 수 있는데, 그 고정홈(36a)에 압축기(12)의 냉매파이프(12a)를 끼운채 압축기(12)의 다른 일측면에 접촉되어진다. 이때, 그 고정홈(36a)이 끼워지는 냉매파이프(12a)는 냉장고(10)를 순환한 저온 저압의 냉매가 압축기(12)로 유입되는 흡입파이프(suction pipe)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그 파이프고정부재(36)의 고정홈(36a)은 다수개가 상하로 연속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세 개의 고정홈(36a)이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있다. 이는 압축기(12)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제1수용부(32)의 저면부와 압축기(12)의 냉매파이프(12a)와의 거리가 기종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다양한 기종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발용기(30)를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증발용기(30)의 파이프고정부재(36)와 탄성지지부재(35)는 서로 탄성적으로 압축기(12)의 측면에 끼워져 증발용기(30)를 압축기(12)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증발용기(30)의 제1수용부(32)의 저면부는 파이프고정부재(36)의 고정홈(36a)에 끼워지는 냉매파이프(12a)에 의하여 압축기(12)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증발용기(30)에 의하면, 일단 냉장고의 제상동작에 의하여 발생된 제상수는 종래와 같이 배수호스(14) 등에 의하여 증발용기(30)내로 유입될 수 있다. 그 증발용기(30)내로 유입되는 제상수는 먼저 압축기(12)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있는 제1수용부(32)에 수용되며, 제1수용부(32)가 채워진 후 넘치는 제상수는 계속해서 격판리브(33)의 유동홈(33a) 등을 통하여 제2수용부(34)로 수용될 수 있다.
그런다음, 냉장고가 통상의 동작으로 돌아가고, 압축기(12)가 구동되면 압축기(12)의 표면에서는 높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 열은 압축기(12)와 밀착되어 있는 증발용기(30)로 직접 전달될 수 있으므로, 증발용기(12)내의 제상수는 빠르게 증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압축기(12)가 구동되면서 발생되는 진동도 증발용기(3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증발용기(30)는 압축기(12)와 함께 진동하게 된다. 증발용기(30)가 진동하면서 그 제1수용부(32) 및 제2수용부(34) 등에 수용되어 있는 제상수로 고르게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더욱 증발을 촉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상수 증발용기(30)내에 집수된 제상수를 증발하는데에 있어서, 압축기(12)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열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서 그 제상수를 빠르게 증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원터치 딸각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증발용기(30)를 압축기(12)의 상부면 및 냉매파이프(12a)에 고정하는 구조를 하므로, 나사체결작업이 필요없고 또한 냉장고의 캐비넷 베이스 브라켓(16) 등이 필요없어 원가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의 통상적인 지식의 범위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2)

  1. 냉장고의 기계실에서 압축기(12) 상부에 설치되어 배수호스(14) 등을 통하여 유입하는 제상수를 수용하여 증발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그 증발용기(30)는 :
    상기 압축기(12)의 상부면에 대응한 형상으로 그 저면부가 오목부를 형성하여, 그 저면부와 상기 압축기(12)의 상부면이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하는 제상수를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부(32);
    상기 제1수용부(32)의 주위에서 형성되고 제1수용부(32)에서 흘러넘치는 제상수를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부(34);
    상기 제1수용부(32)의 저면부 일측에서 아래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설치되어, 압축기(12)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탄성지지부재(35); 및
    상기 제1수용부(32)의 저면부 다른 일측에서 아래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설치되고, 압축기(12)의 냉매파이프(12a)에 끼워지는 고정홈(36a)이 형성되어, 그 고정홈(36a)에 냉매파이프(12a)를 끼운채 압축기(12)의 다른 일측면에 접촉되는 파이프고정부재(36)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증발용기(30)의 파이프고정부재(36)와 탄성지지부재(35)가 압축기(12)의 서로 대향되는 측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또한 파이프고정부재(36)의 고정홈(36a)에 압축기(12)의 냉매파이프(12a)를 끼워서 상기 증발용기(30)의 제1수용부(32)의 저면부가 압축기(12)의 상부면을 밀착하여 덮어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고정부재(36)의 고정홈(36a)은 다수개가 상하로 연속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
KR1019970076290A 1997-12-29 1997-12-29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 KR19990056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290A KR19990056296A (ko) 1997-12-29 1997-12-29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290A KR19990056296A (ko) 1997-12-29 1997-12-29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296A true KR19990056296A (ko) 1999-07-15

Family

ID=6617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290A KR19990056296A (ko) 1997-12-29 1997-12-29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62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000A (ko) * 2014-11-21 2016-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000A (ko) * 2014-11-21 2016-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392B2 (en) Refrigerating appliance
KR19990056296A (ko)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
US20050126197A1 (en) Refrigeration apparatus and refrigerator with the refrigeration apparatus
KR19990056297A (ko) 냉장고의 압축기 상부면에 고정되는 제상수 증발용기
KR19990056258A (ko)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
KR101689611B1 (ko) 냉장고
KR19990056259A (ko)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
KR19990056295A (ko) 냉장고의 압축기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상수 증발용기
KR100681940B1 (ko) 부압 방지 밸브를 갖는 냉장고
EP3063481B1 (en)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defrost water collection receptacle
KR19990056294A (ko) 냉장고의 압축기 상부면을 겸한 제상수 증발용기
KR100419157B1 (ko) 증발촉진선반을지니는냉장고의제상수증발용기
RU20776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вода талой воды при оттайке испарителя бытового холодильного прибора
KR100684114B1 (ko) 냉장고의 제상수 제거구조
CN213713669U (zh) 冰箱
KR19990049537A (ko)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
JPH11287470A (ja) 空気調和機のドレインパネル
KR100200335B1 (ko) 증발장치
KR200317387Y1 (ko) 냉장고
KR19990056247A (ko) 냉장고의 다단계 유동식 구조의 제상수 증발용기
CN210980515U (zh) 衣柜
KR200159694Y1 (ko) 냉장고 증발접시의 배수호스 고정장치
KR0139330Y1 (ko)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
KR20000015876U (ko) 냉장고의 배수관 연결장치
KR200180838Y1 (ko) 냉장고용 증발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