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5380A - 중복 채널 자동 삭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중복 채널 자동 삭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5380A
KR19990055380A KR1019970075313A KR19970075313A KR19990055380A KR 19990055380 A KR19990055380 A KR 19990055380A KR 1019970075313 A KR1019970075313 A KR 1019970075313A KR 19970075313 A KR19970075313 A KR 19970075313A KR 19990055380 A KR19990055380 A KR 19990055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main
coefficient
channel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기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75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5380A/ko
Publication of KR1999005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5380A/ko

Links

Landscapes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복 채널 자동 삭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채널 자동 설정시 불필요하게 설정된 약전계의 중복 채널을 자동으로 삭제함으로써 수동 조작에 의한 채널 삭제의 번거로움을 제거함은 물론 최적의 채널을 선국할 수 있도록 창안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복 채널 탐색시 비교의 기준이 되는 채널의 신호를 선국하는 주화면 튜너(201)와, 중복 채널 탐색시 비교의 상대가 되는 채널의 신호를 선국하는 부화면 튜너(202)와, 상기 주/부화면 튜너(201)(202)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와, 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출력신호에 대해 유사 계수를 계산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와, 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계산된 유사 계수가 기설정된 특정 범위내에 속하는지를 비교하는 계수 비교부(206)와, 이 계수 비교부(206)의 비교 결과 유사 계수가 특정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주/부화면 튜너(201)(202)의 출력 신호의 이득(AGC)의 크기를 비교하는 이득 비교부와, 채널 자동 설정시 상기 주/부화면 튜너(201)(202)의 선국 채널을 제어하면서 상기 계수 비교부(206)와 이득 비교부(207)의 비교 결과를 점검하여 유사 계수가 특정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기설정된 채널 설정에 의해 탐색된 채널을 기억시키고 중복 채널로 판단된 경우 약전계의 중복 신호를 삭제함과 동시에 나머지 채널만을 저장하는 제어부(208)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중복 채널 자동 삭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티브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복 채널 자동 삭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 은 종래 기술을 위한 장치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중에서 영상신호 주파수(fo)를 기준으로 채널을 선국하는 튜너(102)와, 이 튜너(102)에서 선국된 채널의 신호(RF)를 중간주파 처리하는 중간주파 처리부(103)와, 이 중간주파 처리부(103)의 출력신호(IF)를 입력받아 동기신호(SYNC)를 검출하는 동기 검출부(104)와, 채널 자동 설정을 위한 특정 키가 입력되면 상기 튜너(102)로 채널 선국을 위한 영상신호 주파수(fo)를 출력하고 상기 동기 검출부(104)의 출력신호(SYNC)를 점검하여 원하는 동기 신호가 있는 경우 현재 채널을 저장하는 제어부(101)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종래 기술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 상태에서 채널 자동 설정을 위한 특정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1)는 각각의 채널 선국을 위한 영상신호 주파수(fo)를 튜너(102)로 전송한다.
이때, 튜너(102)는 영상신호 주파수(fo)에 해당하는 채널을 선국하며 중간주파 처리부(103)는 상기 튜너(102)의 출력신호(RF)를 중간주파 처리한다.
이에 따라, 동기 검출부(104)는 중간주파 처리부(103)의 출력신호(IF)를 입력받아 수평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따라서, 제어부(101)는 동기 검출부(104)의 출력신호(SYNC)를 튜너(102)로 전송한 영상신호 주파수(fo)를 기준으로 동기 유무를 판단하여 동기가 있는 경우 원하는 채널로 판단하여 그 채널을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만일, 동기 검출부(104)의 출력신호(SYNC)를 점검하여 동기가 없어 원하는 채널이 로킹(locking)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01)는 튜너(102)에 전송한 영상신호 주파수(fo)를 기준으로 ' ± 1.25MHz' 범위내에서 영상신호 주파수(fo)를 상기 튜너(102)로 전송한 후 상기 동기 검출부(104)의 출력 신호(SYNC)를 점검하여 동기 신호가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의 과정은 전 채널에 대해 반복적으로 실행되며 이 과정동안 원하는 채널을 제어부(101)의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에 기억시키게 된다.
상기 동기 검출부((104))에서 제어부(101)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 방식은 특정 기간내에서 수평동기신호의 갯수로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동기 입력 방식과 하이/로우 형태로 입력되는 방식이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실행하는 종래 기술은 도2 의 신호 흐름과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채널 자동 설정을 선택하면 제어부(101)는 튜너(102)로 초기 채널 선국을 위한 영상신호 주파수(fo)를 출력한 후 동기 검출부(104)의 출력 신호(SYNC)를 점검하여 동기 유무를 판단한다.
이때, 동기 신호가 있으면 제어부(101)는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에 현재 채널을 기억시키고 다음 채널의 탐색을 위해 영상신호 주파수(fo)를 튜너(102)로 전송한다.
만일, 동기 신호가 없으면 제어부(101)는 영상신호 주파수(fo)를 기준으로 ' ± 1.25MHz' 범위에서 영상신호 주파수(fo)를 튜너(102)로 전송한 후 동기 검출부(104)의 출력신호(SYNC)를 점검하여 동기 유무를 다시 판단함으로써 주파수 편이에 따른 채널 설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현재 채널이 마지막 채널이면 제어부(101)는 전체 채널에 대한 탐색 동작을 종료하고 마지막이 아니면 다시 현재 채널의 동기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신호 전계의 차이는 있지만 특정의 한 신호가 여러 채널에서 탐색되어 원하는 신호의 수에 비하여 불필요한 채널이 너무 많이 선국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는 수동 채널 절환시 불필요한 채널을 여러 번 거치고 난 후에 원하는 채널을 시청 가능하며 또한, 특정 채널에서 정상적으로 탐색된 신호가 아닌 비정상적인 약전계 상태로 중복 탐색되는 신호를 시청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은 채널 자동 설정 후 불필요한 채널을 수동 조작으로 한 채널씩 삭제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며 만일 사용자가 채널 삭제 방법을 모르는 경우 약전계 상태의 채널을 그대로 시청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채널 자동 설정시 불필요하게 설정된 약전계의 중복 채널을 자동으로 삭제함으로써 수동 조작에 의한 채널 삭제의 번거로움을 제거함은 물론 최적의 채널을 선국할 수 있도록 창안한 중복 채널 자동 삭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종래의 채널 자동 설정을 위한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전체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1,202 : 튜너 203,204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205 : 디지털 신호 처리부 206 : 이득 비교부
207 : 계수 비교부 208 : 제어부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채널 자동 설정시 초기 설정 채널을 주화면 튜너에 출력하고 다음 설정 채널을 부화면 튜너에 출력하는 초기 채널 설정 단계와, 상기에서 출력되는 주/부화면의 유사 계수를 계산하여 유사 계수가 설정 범위내에 속하는가를 판단하는 주/부화면 유사성 비교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 결과 유사 계수가 설정 범위내에 속하면 이득(AGC) 값을 비교하여 주화면 채널값이 크면 부화면 채널을 기억시킴과 동시에 주화면 채널을 삭제하고 부화면 채널값이 크면 주화면 채널을 기억시킴과 동시에 부화면 채널을 삭제하는 메인 채널 선택 저장 단계와, 상기에서 유사 계수가 설정 범위내에 들지 않거나 또는 채널 선택 저장 동작이 종료되면 다음 채널과의 비교를 위해 부화면 채널을 증가시킨 후 이 채널이 최종 채널인지 판단하여 최종 채널이 아니면 상기 주/부화면의 유사 계수를 계산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부화면 종료 단계와, 상기에서 부화면 채널이 최종 채널이면 다음 채널과의 비교를 위해 주화면 채널을 증가시킨 후 이 채널이 최종 채널인지 판단하여 최종 채널이 아니면 상기 주/부화면의 유사 계수를 계산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며 최종 채널이면 채널 자동 설정 동작을 종료하는 주화면 종료 확인 단계를 실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복 채널 탐색시 비교의 기준이 되는 채널의 신호를 선국하는 주화면 튜너와, 중복 채널 탐색시 비교의 상대가 되는 채널의 신호를 선국하는 부화면 튜너와, 상기 주/부화면 튜너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와, 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2개의 출력신호에 대해 유사 계수를 계산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와, 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계산된 유사 계수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특정 범위내에 속하는지를 비교하는 계수 비교부와, 이 계수 비교부의 비교 결과 유사 계수가 특정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두 채널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득(AGC)의 크기를 비교하는 이득 비교부와, 채널 자동 설정시 상기 주/부화면 튜너의 선국 채널을 제어하면서 상기 계수 비교부와 이득 비교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유사 계수가 특정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기설정된 채널 설정에 의해 탐색된 채널을 기억시키고 중복 채널로 판단된 경우 이를 삭제한 후 나머지 채널만을 저장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복 채널 탐색시 비교의 기준이 되는 채널의 신호를 선국하는 주화면 튜너(201)와, 중복 채널 탐색시 비교의 상대가 되는 채널의 신호를 선국하는 부화면 튜너(202)와, 상기 주/부화면 튜너(201)(202)의 출력신호를 각기 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3)(204)와, 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3)(204)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유사 계수를 계산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5)와, 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5)에서 계산된 유사 계수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특정 범위내에 속하는지를 비교하는 계수 비교부(206)와, 이 계수 비교부(206)의 비교 결과 유사 계수가 특정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주/부화면 튜너(201)(202)에서 두 채널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득(AGC)의 크기를 비교하는 이득 비교부(207)와, 채널 자동 설정시 상기 주/부화면 튜너(201)(202)의 선국 채널을 제어하면서 상기 계수 비교부(206)의 비교 결과 유사 계수가 특정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이득 비교부(207)의 비교 결과 주화면 채널값이 크면 부화면 채널을 기억시킴과 동시에 주화면 채널을 삭제하고 부화면 채널값이 크면 주화면 채널을 기억시킴과 동시에 부화면 채널을 삭제하는 제어부(208)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채널 자동 설정을 실행하면 일정수의 채널의 신호가 제어부(208)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여기서 , 일정수의 채널을 'A,B,C,D,...,N'이라고 가정하면 초기에 제어부(208)는 비교를 위한 2개의 신호'A,B'를 읽어 기준이 되는 신호(A)를 주화면 튜너(201)에 기억시키고 비교가 되는 신호(B)를 부화면 튜너(202)에 기억시킨다.
이때, 주/부화면 튜너(201)(202)가 선국한 2개의 신호(A,B)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3)(204)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205)에 입력되어 양자화 및 상관 관계 계산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된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이유는 각각의 신호의 잡음 성분이나 기타의 간섭 신호 성분들을 최대한 배제하면서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한 것이다.
만일, 양자화 및 상관 관계 계산 과정을 거친 데이터를 'M'이라 하고 그 데이터(M)와 비교할 수 있는 상수값을 'm'이라 가정할 때 상수(m)가 너무 크면 탐색할 신호도 스킵(skip)할 수 있으며 상수(m)가 너무 작으면 필요없는 신호를 삭제하지 못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수(m)는 불필요한 중복 채널을 얼마만큼 정확하게 제거 가능한지를 결정하는 인자로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소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계수 비교부(206)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5)에서 계산된 유사 계수 데이터(M)가 기설정된 상수(m)의 범위내에 속하는지를 비교한다.
이에 따라, 계수 비교부(206)의 비교 결과 데이터(M)가 특정 범위의 상수(m)보다 큰 경우(M>m) 비교된 2개의 신호가 많은 차이를 가진다는 것으로 동일 신호의 중복 채널이 아니고 완전히 다른 신호라는 것을 의미함으로 제어부(208)는 상대 비교 신호(B)를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켜야 한다.
반대로, 데이터(M)가 상수(m)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M m) 2개의 신호(A,B)는 동일 신호로서 중복 채널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복 채널로 판단되면 두 신호(A,B)중 어느 신호가 원래의 신호이고 어느 신호가 약전계의 중복 신호인지를 확인하는데, 이득 비교부(207)는 주/부화면 튜너(201)(202)의 출력 신호의 이득(AGC) 전압을 측정하여 중복 신호를 판단한다.
이때, 두 신호(A,B)의 이득(AGC) 전압을 측정한 결과 레벨이 높은 신호가 약전계의 중복 신호이며 레벨이 낮은 신호가 원래의 고유 신호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208)는 2개의 신호(A,B)가 구분되면 이득(AGC) 전압이 낮은 신호를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이득(AGC) 전압이 높은 신호는 삭제시킨다.
이 후, 제어부(208)는 다음 비교 신호인 'C'를 읽어 부화면 튜너(202)에 전송하며 'A'와 'C' 두 신호를 상기 과정과 동일한 동작으로 반복하여 비교한다.
만약, 상기 과정에서 'A'가 기억되고 'B'가 삭제되면 다시 'C'를 받아서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하며 'A'가 삭제되고 'B'가 기억되면 다음번 신호 비교시에는 주화면의 신호는 'B'를 저장시키고 'C'부터 부화면의 비교 신호로 불러 들인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 실행하다가 'N-1' 채널이 주화면에 오고 'N' 채널이 부화면의 비교 신호로 와서 두 신호의 비교 과정이 완료되면 전체 프로그램 진행을 중단시킨 후 채널 비교 설정을 종료한다.
만일, 이전 과정에서 'N' 채널이 중복 채널로 판단되어 삭제되면 주화면에 'N-2' 채널이 오고 부화면에 'N-1' 채널이 왔을 때 채널 기억을 종료하면 된다.
즉, 'A,B,C,D,E'와 같이 5개의 채널이 있다고 가정하면 'A'를 'B,C,D,E'와, 'B'를 'C,D,E'와, 'C'를 'D,E'와 'D'를 'E'와 순차적으로 반복 비교할 경우 양자화 및 상관 관계 계산 과정을 거친 데이터(M)가 특정 범위의 상수(m)보다 크면 상기의 비교 동작을 종료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는 본 발명은 처음 초기 단계에서는 기억된 채널이 많기 때문에 다소 시간을 필요로 하지만 두 신호의 비교가 이루어질 경우마다 불필요한 중복 채널로 판단되면 즉시 삭제시키기 때문에 시행 횟수를 급속히 줄이면서 동시에 제어부(208)의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킨 전체 채널의 비교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도 상대적으로 줄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도4 에 도시한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초기 채널 설정 단계에서 제어부(208)는 채널 자동 설정에 의해 설정된 채널에 대하여 초기 설정 채널을 주화면 튜너(201)에 출력하고 다음 설정 채널을 부화면 튜너(202)에 출력한다.
이때, 주/부화면 튜너(201)에서 선국된 신호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3)(204)에서 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5)는 각 디지털 신호를 양자화 및 상관 관계 과정 처리를 통해 주/부화면의 유사 계수(M)를 계산한다.
이에 따라, 계수 비교부(206)가 디지털 신호 처리부(205)에서 계산된 주/부화면의 유사 계수(M)가 소정 설정 범위(m)내에 속하는가를 판단하는 주/부화면 유사성 비교 과정에서 유사 계수(M)가 특정 설정 범위(m)에 속하지 않는 경우(M>m) 제어부(208)는 중복 채널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부(208)는 부화면의 신호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시키고 부화면 튜너(202)에 다음 채널의 선국을 제어한다.
만일, 유사 계수(M)가 소정 설정 범위(m)에 속하는 경우(M m)로서 계수 비교부(206)가 중복 채널을 판단하면 이득 비교부(207)는 주/부화면 튜너(201)(202)의 출력 신호의 이득(AGC) 전압을 비교하여 어느 것이 원래의 메인 신호인지 판단하는 메인 채널 저장 과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주화면 채널값이 크다고 판별하면 제어부(208)는 부화면 채널을 기억시킴과 동시에 주화면 채널을 삭제하고 반대로, 부화면 채널값이 크다고 판별하면 주화면 채널을 기억시킴과 동시에 부화면 채널을 삭제한다.
상기에서 중복 채널 여부를 판별하여 임의의 채널의 저장이 종료되면 제어부(208)는 주/부화면 튜너(201)의 선국 채널을 제어하여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 실행시킨다.
이 후, 중복 채널 여부를 판별하여 임의의 채널을 자동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부화면의 채널을 증가시켰을 때 현재의 부화면 채널이 최종 채널이 아니면 제어부(208)는 주/부화면의 유사 계수(M)를 계산하여 중복 채널 여부를 판별하는 상기의 과정을 반복 수행시킨다.
만일, 현재의 부화면 채널이 최종 채널로 판별된 경우 제어부(208)는
주화면 채널을 증가시키고 현재의 주화면 채널이 최종 채널인지 판별한다.
이때, 현재의 주화면 채널이 최종 채널이 아닌 경우 제어부(208)는 주/부화면의 유사 계수(M)를 계산하여 중복 채널 여부를 판별하는 상기의 과정을 반복 수행시킨다.
이 후, 현재의 주화면 채널이 최종 채널로 판별된 경우 제어부(208)는 채널 자동 설정위한 모든 동작을 종료시킨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불필요한 중복 채널을 자동으로 삭제함으로써 수동으로 불필요한 채널을 삭제시키는 번거로움을 배제함은 물론 항상 최적의 상태로 설정된 채널을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튜너를 이용한 채널 선국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텔레비젼 장치에는 사용 가능하며 특히, PAL 처럼 다양한 채널을 적용하고 있는 지역에서 획기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채널 자동 설정시 주/부화면 튜너에 비교의 기준과 상대가 되는 채널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출력되는 주/부화면의 유사 계수를 계산하여 그 유사 계수가 특정 설정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유사 계수가 특정 설정 범위에 속하는 경우 주/부화면의 이득 크기를 서로 비교하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 결과 이득이 큰 화면의 채널을 삭제하고 이득이 작은 화면의 채널을 저장하는 제4 단계를 반복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복 채널 자동 삭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유사 계수가 특정 설정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주/부화면의 채널은 중복 채널이 아닌 서로 다른 채널로 판단하여 모두 기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중복 채널 자동 삭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부화면의 채널이 최종 채널이 아니면 주/부화면의 유사 계수를 계산하여 유사 계수가 설정 범위내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부화면의 채널이 최종 채널이면 주화면의 채널이 최종 채널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주화면의 채널이 최종 채널이 아니면 주/부화면의 유사 계수를 계산하여 유사 계수가 설정 범위내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주화면의 채널이 최종 채널이면 채널 자동 설정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중복 채널 자동 삭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비교의 기준과 상대가 되는 채널 설정은 N개의 채널이 있는 경우 순서적으로 임의의 한채널을 비교 기준 채널로 설정하고 그 나머지 채널을 비교 상대 채널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복 채널 자동 삭제 방법.
  5. 중복 채널 탐색시 비교의 기준 및 상대가 되는 채널의 신호를 선국하는 튜닝 수단과, 이 튜닝 수단의 주/부화면 신호를 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와, 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출력신호에 대해 유사 계수를 계산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와, 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계산된 유사 계수가 기설정된 특정 범위내에 속하는지를 비교하는 계수 비교부와, 이 계수 비교부의 비교 결과 유사 계수가 특정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튜닝 수단의 주/부화면 신호의 이득(AGC)의 크기를 비교하는 이득 비교부와, 채널 자동 설정시 상기 튜닝 수단의 선국 채널을 제어하면서 상기 계수 비교부와 이득 비교부를 점검하여 유사 계수가 특정 범위내에 속하지 않아 중복 채널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기설정된 채널 설정에 의해 탐색된 채널을 기억시키고 유사 계수가 특정 범위내에 속하여 중복 채널로 판단된 경우 약전계의 중복 신호를 삭제하고 그 나머지 채널만을 기억시키는 제어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복 채널 자동 삭제 장치.
KR1019970075313A 1997-12-27 1997-12-27 중복 채널 자동 삭제 방법 및 장치 KR19990055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313A KR19990055380A (ko) 1997-12-27 1997-12-27 중복 채널 자동 삭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313A KR19990055380A (ko) 1997-12-27 1997-12-27 중복 채널 자동 삭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380A true KR19990055380A (ko) 1999-07-15

Family

ID=6617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313A KR19990055380A (ko) 1997-12-27 1997-12-27 중복 채널 자동 삭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53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140A (ko) * 2001-11-27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탈방송수신장치 및 그 자동채널서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140A (ko) * 2001-11-27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탈방송수신장치 및 그 자동채널서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4819A (en) Channel selecting apparatus and method used in a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and capable of memorizing channel data
KR20020019542A (ko) 선국장치
US5771080A (en) Television signal tuning device
US7643098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0176719B1 (ko) 안정상태 검출 장치를 갖는 동조 시스템
KR19990055380A (ko) 중복 채널 자동 삭제 방법 및 장치
US5245437A (en) Method for selecting channels in a video system using a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NTSC) system
KR20000008677A (ko) 자동 채널 설정 장치와 방법
KR100503264B1 (ko) Kbps데이타에 의한 현재시각 설정방법
KR100322583B1 (ko) 고속 채널 탐색 방법과 장치
US6721486B1 (en) Automatic time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device
KR920000887B1 (ko) Ntsc의 전방송지역 대응의 채널선국회로
KR0155711B1 (ko) 케이블 텔레비젼의 방송모드 자동선택 및 선국시간 단축방법
KR0170263B1 (ko) 멀티시스템을 위한 채널써치방법 및 장치
KR20000006388A (ko) 텔레비전수신기
KR0143136B1 (ko) Av 장치의 자동 튜닝 방법 및 그 장치
KR0129153B1 (ko) 영상신호 수신장치의 자동 채널 기억방법
KR10101083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채널 설정장치 및 방법
KR950007721Y1 (ko) 2튜너를 가지는 tvcr의 개선된 채널 서치 튜닝 시스템
KR0158324B1 (ko) Kbps코드를 이용한 채널 자동설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07553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
KR100724469B1 (ko) 티브이의 자동 채널 기억 설정방법
JP3035107B2 (ja) 自動選局装置
KR930008469B1 (ko) 윈도우 검색에 의한 주파수 합성튜우닝 방법
KR19980067954A (ko) 자동서치시의 불요채널 메모리 방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