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1662A - 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 Google Patents

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1662A
KR19990051662A KR1019970071022A KR19970071022A KR19990051662A KR 19990051662 A KR19990051662 A KR 19990051662A KR 1019970071022 A KR1019970071022 A KR 1019970071022A KR 19970071022 A KR19970071022 A KR 19970071022A KR 19990051662 A KR19990051662 A KR 19990051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control unit
focus
output
electron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0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천희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7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1662A/en
Publication of KR19990051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662A/en

Links

Landscapes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실 내의 일측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접점이 변경되는 해제 스위치(10)와; 상기 해제 스위치(1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의 출력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운전자의 머리 뒷부분에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자동 포커스 조절부(20)와; 상기 자동 포커스 조절부(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판단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제어 유니트(30)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3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차실 내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시켜 운전자의 졸음을 깨우는 부저(40)로 구성되어, 차량의 주행시 운전자가 졸게 되면 자동으로 경고음을 발생시켜 운전자를 깨워 졸음 운전으로 인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drowsy driving of a driver, and in particular, a release switch (10) installed at one side of a vehicle compartment and changing a contact point according to a driver's operation; An auto focus control unit 20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release switch 10 and operated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thereof to automatically focus on a rear portion of a driver's head; An electronic control unit 30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auto focus control unit 20 for receiving an output signal thereof and comparing / determining the pre-stored data to output a control signal; 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in the vehicle interior is composed of a buzzer 40 to wake up the drowsiness of the driver by generating a warning sound according to its control signal, the warning sound automatically when the driver sleeps while driving the vehicle This can wake up the driver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drowsy driving.

Description

운전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운전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운전중 졸게되어 머리가 숙여지거나 젖혀지게면 경고음을 발생시켜 운전자를 깨우는 운전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that wakes up the driver by generating a warning sound when the driver's drowsiness while driving, the head is bowed or tilted.

일반적으로 장시간의 주행 특히, 고속도로나 국도에서의 장시간 주행은 운전자의 긴장을 무너트리고 그로 인해 졸음이 오는 경우가 빈번하다.In general, long driving, especially on highways or national highways, often breaks down the driver's tension and causes drowsiness.

운전자는 이러한 경우 차창을 열어 환기를 시키고 잠시 휴식을 취해야 하는 것이 원칙인 데 대부분의 운전자가 이를 무시하여 차량을 운전하므로 졸음으로 인하여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ase, the driver should open the car window to ventilate and rest for a while. Most drivers ignore the driver and drive the vehicle, causing an accident due to drowsiness.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 운전시 졸게 되어 머리 위치가 이동되면 자동으로 부저가 작동되어 경고음을 발생시켜 운전자를 깨워 졸음 운전으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ccidents caused by drowsy driving to wake up the driver to wake up the driver by automatically operating the buzzer when the driver is dozed off when the vehicle head is moved to move the head position There is a purpos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운전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의 블록 회로도,1 is a block circuit diagram of a 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운전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의 오토 포커스가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설치 상태도.Figure 2 is an installation state showing the state that the autofocus of the 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vehicl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해제 스위치 20 : 오토 포커스 조절부10: release switch 20: auto focus adjustment unit

21 : 오토 포커스 22 : 포커스 변화 감지 센서21: auto focus 22: focus change detection sensor

30 : 전자 제어 유니트 40 : 부저30: electronic control unit 40: buzz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운전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접점이 변경되는 해제 스위치와; 상기 해제 스위치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의 출력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운전자의 머리 뒷부분에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자동 포커스 조절부와; 상기 자동 포커스 조절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판단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제어 유니트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운전자의 졸음을 깨우는 졸음 방지 수단으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ease switch to change the contact point according to the driver's operation; An autofocus control unit connected to an output end of the release switch and operated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thereof to automatically focus on a rear portion of a driver's head; An electronic control unit connected to an output end of the automatic focus control unit and receiving an output signal thereof to compare / determine the pre-stored data to output a control signal; 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nd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its control signal to constitute a sleepiness preventing means for waking the drowsiness of the drive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운전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은 점화 스위치이고, B는 배터리이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n ignition switch, and B denotes a batter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운전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의 블록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운전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의 오토 포커스가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설치 상태도이다.1 is a block circuit diagram of a 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auto focus of the 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vehicle.

본 발명에 의한 운전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는 해제 스위치(10)와, 오토 포커스 조절부(20)와, 전자 제어 유니트(30)와, 부저(40)로 구성된다.The 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ease switch 10, an auto focus control unit 20, an electronic control unit 30, and a buzzer 40.

먼저, 상기 해제 스위치(10)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접점이 변경되도록 차실 내의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해제 스위치(10)는 최초 접점이 접촉된 상태로 구성된다.First, the release switch 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compartment so that the contact poin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er's selection. Here, the release switch 10 is configured in a state where the initial contact is in contact.

그리고, 상기 오토 포커스 조절부(20)는 오토 포커스(21)와, 포커스 변화 감지 센서(22)로 구성된다.The auto focus controller 20 includes an auto focus 21 and a focus change sensor 22.

상기 오토 포커스(21)는 상기 해제 스위치(1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운전자의 뒤통수에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도록 상기 해제 스위치(1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후방 시트 중앙 상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오토 포커스(21)의 초점은 항시 운전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auto focus 21 is connected to the output end of the release switch 10 so as to automatically focus on the driver's rear hea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release switch 10, and is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er upper end of the rear seat. In this case, the focus of the auto focus 21 is configured to be changed by the driver at all times.

상기 포커스 변화 감지 센서(22)는 상기 오토 포커스(21)의 초점 변화량을 검출하도록 이의 출력단에 연결된다.The focus change detection sensor 22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thereof to detect an amount of change in focus of the auto focus 21.

또한,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30)는 상기 오토 포커스(21)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 시간동안 고정 초점이 변경되지 않으면 이를 기준 초점으로 자동으로 변경시키고, 또한 상기 포커스 변화 감지 센서(22)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운전자의 머리가 졸음으로 이동되어 초점의 변화량이 크면 운전자의 졸음으로 판단하여 상기 부저(40)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오토 포커스 조절부(20)의 오토 포커스(21)와 포커스 변화 감지 센서(22)의 출력단에 연결된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auto focus 21 and automatically changes it to a reference focus if the fixed focus is not chang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focus change detection sensor 22 When the driver's head is moved to drowsiness by receiving an output signal and the amount of focus change is large, the autofocus 21 and the focus change of the auto focus control unit 20 are determined to be the drowsiness of the driver to operate the buzzer 40. 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nsing sensor 22.

한편, 상기 부저(40)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30)의 출력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시켜 운전자를 깨우도록 이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차실 내의 일측에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buzzer 40 is connected to its output terminal to wake up the driver by generating a warning soun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is installed on one side in the vehicle compartment.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운전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차량에 시동을 걸면 오토 포커스 조절부(20)의 오토 포커스(21)가 작동되어 상기 운전자의 뒤통수에 자동으로 초점을 맞춘다.First, when the driver boards the vehicle and starts the vehicle, the auto focus 21 of the auto focus control unit 20 is operated to automatically focus on the head of the driver.

그러면, 전자 제어 유니트(30)는 일정 시간동안 초점의 변화가 없으면 이를 기준 초점으로 설정한다.Then, if there is no change in focu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sets it as the reference focus.

상기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중 졸음으로 인하여 고개가 떨궈지거나 뒤로 젖혀져서 상기 오토 포커스(21)의 초점의 변화량을 상기 오토 포커스 조절부(20)의 포커스 변화 감지 센서(22)에서 검출하면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30)는 운전자의 졸음으로 판단하여 부저(40)를 작동시킨다.When the driver detects an amount of change in focus of the autofocus 21 by the focus change detection sensor 22 of the autofocus controller 20, the head is dropped or tilted backward due to drowsiness while driving the vehicle. 30 determines the driver's drowsiness to operate the buzzer 40.

따라서, 상기 부저(40)에서 경고음이 발생되어 졸고 있는 상기 운전자를 깨운다.Therefore, a warning sound is generated in the buzzer 40 to wake up the dozing driver.

반대로, 상기 운전자가 해제 스위치(10)를 작동시켜 접점을 개방시키면 상기 오토 포커스 조절부(20) 및 전자 제어 유니트(30)로 신호가 인가되지 않아 이들이 작동하지 않게 되어 불필요한 오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driver opens the contact by operating the release switch 10, the signals are not applied to the auto focus control unit 20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so that they do not operate,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malfun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시 운전자가 졸게 되면 자동으로 경고음을 발생시켜 운전자를 깨워 졸음 운전으로 인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er becomes sleepy while driving the vehicle, a warning sound is automatically generated to wake up the driver,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caused by drowsy driving.

Claims (3)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접점이 변경되는 해제 스위치와; 상기 해제 스위치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의 출력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운전자의 머리 뒷부분에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자동 포커스 조절부와; 상기 자동 포커스 조절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판단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제어 유니트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운전자의 졸음을 깨우는 졸음 방지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A release switch for changing the contact point according to the driver's operation; An autofocus control unit connected to an output end of the release switch and operated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thereof to automatically focus on a rear portion of a driver's head; An electronic control unit connected to an output end of the automatic focus control unit and receiving an output signal thereof to compare / determine the pre-stored data to output a control signal; And drowsiness preventing mean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nd oper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hereof to wake up the drowsiness of the dri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포커스 조절부는 후방 시트 중앙 상단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머리 뒷부분에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오토 포커스와; 상기 오토 포커스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초점 변화량을 검출하는 포커스 변화 감지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utomatic focus control unit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rear seat and automatically focuses on a rear portion of the driver's head; And a focus change detection sensor configured to receive an output signal of the auto focus and detect an amount of change in foc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졸음 방지 수단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차실 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의 출력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The driver of claim 1, wherein the sleepiness preventing means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compartment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buzzer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KR1019970071022A 1997-12-19 1997-12-19 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KR199900516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022A KR19990051662A (en) 1997-12-19 1997-12-19 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022A KR19990051662A (en) 1997-12-19 1997-12-19 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662A true KR19990051662A (en) 1999-07-05

Family

ID=6609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022A KR19990051662A (en) 1997-12-19 1997-12-19 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166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51662A (en) Driver's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US11472336B2 (en) Electronically operated forward and reverse warning / sound signalling device
KR19980047319A (en) Lane change guide device of car
KR100191035B1 (en) Sleep prevention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for motor driving
KR100391663B1 (en) The preventing drive device at an automotive door open status
KR200205962Y1 (en) Anti-sleeping system for driving
JP3931376B2 (en) Vehicle fuel gauge
JPH11189066A (en) Alarm device for vehicle
KR1011586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urning on brake lamp of automobile
KR950004928Y1 (en) Accelerator safety device
KR100405343B1 (en) A brakelamp light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19980030211A (en) Driver's Drowsiness Seat Vibrator
KR19980037709A (en) Burglar Alarm Using Existing Memory Sheet
KR19990050660A (en) Drowsy driving alarm
KR100210032B1 (en) Auto power ON/OFF and alram devices for car
KR950026735A (en) Automatic operation of emergency light in case of sudden braking and collision / collision
KR19980029973A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utomobile emergency light
KR0146579B1 (en) Warning device by speed
JP2002308011A (e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horn for automobile
KR20040008393A (en) drowsiness warning method during cruise driving
KR19980047758U (en) Car taillight auto light off device
KR19990055639A (en) Power Window Safet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KR19990026680U (en) Alarm for side rear access object when door is opened
KR19990052066A (en) Emergency light auto lighting device
KR20000008795U (en) Auto off device of tail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