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1164A - 무경보모드 자동 전환방법 - Google Patents

무경보모드 자동 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1164A
KR19990051164A KR1019970070440A KR19970070440A KR19990051164A KR 19990051164 A KR19990051164 A KR 19990051164A KR 1019970070440 A KR1019970070440 A KR 1019970070440A KR 19970070440 A KR19970070440 A KR 19970070440A KR 19990051164 A KR19990051164 A KR 19990051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mode
operation time
free
alarm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0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1164A/ko
Publication of KR19990051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164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경보모드 자동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경보모드와 무경보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경보모드 자동 전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무경보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무경보모드 동작시간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구비한 무선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무경보모드 동작시간이 되면 상기 무 경보 동작시간 동안 수신되는 무선호출에 대해 경보를 발생하지 않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호출기에 이용한다.

Description

무경보모드 자동 전환 방법
본 발명은 무선호출수신기의 경보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리 설정된 특정 시간이 되면 상기 특정시간 동안 무경보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무경보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호출기는 무선호출을 알리는 방법으로서 진동 및 사운드 모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무선호출기는 메시지는 수신하되 사용자가 진동 및 사운드 모드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방법인 무경보모드를 제공한다.
도1은 일반적인 무선호출 수신기의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수신부(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데이터를 출력한다. 메모리(30)는 호출기의 동작프로그램과 자기 아이디(ID)를 저장하고 있으며, 수신된 호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경보부(60)는 상기 소정의 제어를 받아 경보를 발생한다. 상기 경보부(60)는 진동부(62)와 비프(Beep)부(62)로 구성된다. 제어부(20)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부(1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인가 받아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로부터 아이디(이하"ID"라 한다)를 검출하며, 메모리(30)에 저장되어 있는 자기 아이디(ID)와 비교한다. 또한 제어부(20)는 내부에 타이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타이머는 시간 설정과 같이 다수의 시간을 설정한다. 디코딩된 아이디가 자기 아이디와 동일하면 제어부(20)는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경보부(60)를 동작시킨다. 표시부(40)는 동작모드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20)의 제어를 받아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키입력부(50)는 리드키(51), 기능선택키/메모키(52) 그리고 변수선택키(53)로 구성된다. 상기 리드키는 무선호출신호의 수신시 상기 수신된 데이터나 메모리(30)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부(30)에 표시하여 확인하는 키이다. 상기 기능선택키/메모키(52)는 무선호출기의 시간 설정, 경보모드 설정, 알람기능 설정 등의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된 기능을 저장하는 키이다. 그리고 변수선택키(53)는 상기 나열한 모드들 중 선택된 기능에 대한 부기능의 모드 전환이나 변수 값들을 설정하기 위한 키이다. 이러한 키들은 무선호출기 마다 약간씩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도2는 종래 무선호출기에서 무경보모드의 설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전원이 온 되면 제어부(20)는 수신 대기모드로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20)는 201단계에서 기능선택키/메모키(52)가 입력되어 경보모드 설정이 선택되었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201단계에서 경보모드 설정이 선택되면 제어부(20)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30)를 체크하여 이전 모드가 진동모드로 설정되어있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이전 모드가 경보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20)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40)에 무경보모드 온(On)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무경보모드 온이 선택되었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217단계에서 무경보모드 온이 기능선택키/메모키(52)가 입력되어 선택되면 제어부(20)는 219단계로 진행하여 무경보모드로 설정하고 종료한다. 그러나 무경보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20)는 일반 경보모드로 종료한다.
반면, 상기 203단계에서 이전 모드가 무경보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20)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30)에 경보모드 온(On)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경보모드가 온 되었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205단계에서 기능선택키/메모키(52)가 입력되어 경보모드가 온 되면 제어부(20)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30)에 설정되어 있는 이전 경보모드가 비프모드인지를 조사한다. 상기 경보모드가 비프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20)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진동모드 온을 표시부(40)에 표시하고, 비프모드가 온 되었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209단계에서 기능선택키/메모키(52)가 입력되어 진동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20)는 진동부(61)를 통해 진동을 한 후 진동모드로 설정한다.
그러나 상기 207단계의 메모리(30)의 설정이 비프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20)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비프모드 온(Beep On)을 디스플레이하고 비프 모드가 온 되었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213단계에서 기능선택키/메모키(52)가 입력되어 비프모드가 온 되면 제어부(20)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비프 경보를 발생하고 비프모드로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무경보모드 선택은 별도의 모드를 따로 두고 있다. 즉, 사용자가 무경보모드로 들어가 이를 온/오프 함으로써 한번 모드가 정해지면 다시 사용자가 선택하기 전 까진 이전의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사용자는 무경보모드로 설정해 놓고 활동시간에 상기 무경보모드를 오프하지 않아 수신되는 메시지 수신 사실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경보모드는 현재 수동으로 사용자가 온/오프 해야 하므로써 다소 이 기능을 사용함에 있어서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방해받고 싶지 않은 시간, 예를 들면, 수면시간에만 무경보모드로 자동 전환하였다가 사용자가 수면에서 깨어날 시간에 경보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무경보모드 자동 전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무경보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무경보모드 동작시간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구비한 무선통신단말기의 무경보 모드 자동 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무경보모드 동작시간이 되면 상기 무경보모드 동작시간 동안 수신되는 무선호출에 대해 경보를 발생하지 않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무선호출 수신기의 블록구성도.
도2는 종래 무경보모드 전환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경보모드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경보모드 자동 전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경보모드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경보모드 자동 전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제3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무경보모드 설정 방법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키입력부(50)의 기능선택키/메모키(52)의 입력에 의해 경보모드 설정 기능을 선택하고, 무경보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20)는 301단계에서 무경보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301단계에서 키입력부(50)로부터 변수선택키(53)가 입력되어 무경보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20)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40)에 수동모드 온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수동모드가 온 되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키입력부(40)의 변수선택키(53)가 입력되어 수동모드가 온 되면 제어부(20)는 304단계로 진행하여 수동 동작모드를 실행한다. 수동모드는 상술한 도2의 방법과 동일하다.
상기 303단계에서 수동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20)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무경보 타임아웃 설정이 선택되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305단계에서 무경보 타임아웃 설정이 선택되면 제어부(20)는 표시부(40)에 무경보 시작 시간(예, 12:00A)을 점등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A는 오전을 뜻하며, 여기에 P가 올 경우 이는 오후를 나타낸다. 상기 무경보 시작 시간이 설정되면 제어부(10)는 표시부(40)에 무경보 종료 시간(예, 12:00A)을 상술한 무경보 시작 시간의 설정과 동일하게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40)에 상기 무경보모드 종료 시간이 표시되면 제어부(20)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무경보 동작 시간이 입력되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무경보모드 종료 시간이 입력되어 무경보 동작 시간이 설정되면 제어부(20)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무경보 동작 시간을 메모리(30)에 저장한다.
그러나 상기 305단계에서 무경보 타임아웃 설정이 선택되지 않고 변수선택키(53)가 입력되면 제어부(20)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자동 무경보모드 설정 온을 표시부(30)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자동 무경보모드 설정이 온 되는지를 조사한다. 기능선택키/메모키(52)의 입력에 의해 상기 자동 무경보모드 설정이 온 되면 제어부(20)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자동 무경보 동작 시간이 입력되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313단계에서 자동 무경보 동작 시간이 입력되면 제어부(20)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자동 무경보 동작 시간을 메모리(30)에 저장한다. 상기 자동 무경보 동작 시간의 입력은 상술한 무경보 타이 아웃 설정의 시간 설정과 동일하다.
상술한 305단계에서 309단계와 311단계에서 315단계의 차이점은, 전자는 하루에 한해서만 동작하며, 후자는 자동 무경보모드 설정을 오프할 때까지 매일 설정된 시간에 무경보모드를 실행한다.
이하 무경보모드의 동작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401단계에서 제어부(20)는 무선호출이 수신되었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401단계에서 무선호출이 수신되면 제어부(20)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경보모드 설정이 무경보모드로 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403단계에서 경보모드 설정이 무경보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20)는 405단계로 진행하고, 경보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411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경보모드 실행하고 종료한다. 405단계로 진행한 제어부(20)는 현재시간이 무경보모드 동작시간인지를 검사하고, 무경보모드 동작시간이면 407단계로 진행하여 경보를 울리지 않고 무선호출 데이터를 메모리(30)에 저장한다. 상기 407단계에서 무선호출 데이터가 메모리(30)에 저장된 후에 제어부(20)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무선호출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그러나 무경보모드 동작시간이 아니면 제어부(20)는 411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경보모드를 실행하고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호출을 받기 싫은 시간에만 무경보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시간 이후에는 경보모드로 자동 전환되므로써 사용자의 실수로 수신되는 메시지에 응답하지 못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사용자가 규칙적으로 메시지 수신은 하고 싶어하지만 경보 발생을 꺼려하는 시간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한다.

Claims (7)

  1. 무경보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무경보모드 동작시간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구비한 무선통신단말기의 무경보 모드 자동 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무경보모드 동작시간이 되면 상기 무경보모드 동작시간 동안 수신되는 무선호출에 대해 경보를 발생하지 않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기능선택키/메모키와, 변수선택키를 가지는 키입력부와, 메모리를 구비하는 무선통신단말기의 무경보 모드 자동 전환방법에 있어서,
    무경보 동작시간을 입력하여 무경보모드를 설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무경보 동작시간 동안 수신되는 무선호출에 대해 무경보모드로 동작하고, 무선호출이 수신되었음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이,
    기능선택키/메모키의 입력에 의해 무경보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무경보모드가 선택되면 무경보 타임아웃 설정여부를 검사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무경보 타임아웃 설정이 선택되지 않으면 자동 무경보모드 설정을 온 할 것인지를 검사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자동 무경보모드 설정이 온 되면 자동 무경보 동작 시간이 입력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자동 무경보 동작시간이 입력되면 자동 무경보 동작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무경보 타임아웃 설정이 선택되면 무경보 동작 시간이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 후에 무경보 동작시간이 입력되면 무경보 동작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자동 무경보 동작시간에 매일 무경보모드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이,
    무선호출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에 설정된 경보모드 설정이 무경보모드로 설정되는지를 검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무경보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현재시간이 무경보모드 설정 시간인지를 검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무경보모드 설정 시간이면 수신된 무선호출에 대해 경보를 발생하지 않고, 무선호출이 수신되었음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메모리에 설정된 경보모드 설정이 경보모드로 설정되어 있거나, 상기 제2단계에서 무경보모드 설정 시간이 아니면 일반 경보모드를 실행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70440A 1997-12-19 1997-12-19 무경보모드 자동 전환방법 KR19990051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440A KR19990051164A (ko) 1997-12-19 1997-12-19 무경보모드 자동 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440A KR19990051164A (ko) 1997-12-19 1997-12-19 무경보모드 자동 전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164A true KR19990051164A (ko) 1999-07-05

Family

ID=6609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440A KR19990051164A (ko) 1997-12-19 1997-12-19 무경보모드 자동 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11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021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무선호출기의 무경보 메시지 표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021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무선호출기의 무경보 메시지 표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7575B1 (ko) 경보 신호 발생 페이징 수신기
US5650776A (en) Communication receiver having user configuration control functions
US63516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message which has been received
US6397088B1 (en) Location search auxiliary system for cellular radio telephon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950007971B1 (ko) 무선호출 수신기의 타임 경보 방법
KR20000040305A (ko) 휴대통신단말기의 시간 스케줄링에 의한 착신 경보 자동전환방법
JP3157774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及びその表示オートリセットの制御方法
KR2003004952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알람 장치 및 방법
KR19990051164A (ko) 무경보모드 자동 전환방법
KR100678168B1 (ko) 무음 모드 진입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00020591A (ko) 전원 자동 온/오프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및 그 제어방법
KR100617735B1 (ko) 휴대폰의 알람 발생 방법
US7026914B1 (en) Selective calling receiver and method of switching alert operation thereof
US5734331A (en) Input control for radio selective calling receiver
KR19990057979A (ko) 시간대에 따른 다중 경보 발생방법
KR100233168B1 (ko) 페이져에서 선택된 알람음 발생 방법
KR100263072B1 (ko) 이동통신기기의 메시지 고정 표시방법
KR100294046B1 (ko) 무선호출기의미수신메시지알림방법
KR100255387B1 (ko) 무선호출기의게임장치및방법
KR100237441B1 (ko) 무선호출기에서 수신메시지 표시방법
JPH1141642A (ja) ページャ
JP3280494B2 (ja) 受信機
KR19990081501A (ko) 문자 페이져에서 수신되는 문자정보에 따른 아이콘 표시방법
KR20040000548A (ko) 정보 메시지 알람 기능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그의정보 메시지 알람 방법
KR2004005933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강제 슬립 모드 설정을 통한 전원 절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