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0557A - 통신관리망 연결 관리를 위한 관리대행자와 교환시스템간의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관리망 연결 관리를 위한 관리대행자와 교환시스템간의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0557A
KR19990050557A KR1019970069689A KR19970069689A KR19990050557A KR 19990050557 A KR19990050557 A KR 19990050557A KR 1019970069689 A KR1019970069689 A KR 1019970069689A KR 19970069689 A KR19970069689 A KR 19970069689A KR 19990050557 A KR19990050557 A KR 19990050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anagement
information
indicat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6671B1 (ko
Inventor
황희산
이길행
우왕돈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69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671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52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using 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e.g.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TMN] or unifi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 [UN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hierarchical management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통신관리망 연결 관리를 위한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관리대행자와 교환시스템간에 전송되는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를 정형화하므로써 관리 실체인 교환시스템과 무관하게 논리적으로 동일한 통신관리망(TMN) 시스템에 의해 연결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연결 관리 데이터 구조를 정형화시키는 제 1 단계; 정형화된 데이터를 패킹한 후 교환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처리 가능한 패킹 데이터를 언패킹하여 처리해야할 연결 정보 설명자로부터 위치 정보 및 트래픽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프로세서에서 연결관리 처리를 수행한 후 관리대행자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수신된 연결관리 처리결과 데이터를 언패킹한 후, 명령 수행결과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통신관리망의 연결관리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통신관리망 연결 관리를 위한 관리대행자와 교환시스템간의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
본 발명은 통신관리망(TMN :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연결 관리 기능을 위해 관리대행자(Agent)와 비동기전달모드(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시스템간에 전송되는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를 정형화하여 관리 실체인 ATM 교환시스템과 무관하게 논리적으로 동일한 종류의 TMN에 의해 연결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공중교환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ISDN :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공중육상이동망(PLMN : Public Land Mobile Network), 및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ISDN : Broadband-ISDN)과 같은 다양한 통신망의 등장과 이들 망을 구성하는 망 구성요소의 이종성 및 다양성은 망 사업자들에게 망 또는 장비간의 개방적이고 상호 운용적이며, 효율적인 관리를 보장해줄 수 있는 망 관리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정보 모델을 갖는 TMN은 이러한 필요성을 만족시켜줄 수 있는 망 관리 도구로서 상당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TMN은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한 관리자와 관리대행자간의 관리 정보 교환을 그 기본 개념으로 하고 있지만, 실제 TMN의 관리 대상이 되는 관리 실체인 ATM 교환시스템과 관리대행자간의 인터페이스는 TMN 범주밖의 개발자들이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종래에는, TMN과 이들간의 인터페이스를 정형화된 표준으로 규정하기엔 너무나 다양하고 이질적인 망요소(Network Element)들이 산재하여 있기 때문에 개발자의 의사에 따라 임의로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으며, 필요없는 정보를 전달하므로써 시스템 자원을 낭비하고 불필요한 절차를 실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관리대행자와 교환시스템간에 전송되는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를 정형화하므로써 관리 실체인 교환시스템과 무관하게 논리적으로 동일한 통신관리망(TMN) 시스템에 의해 연결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의 일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연결 정보 데이터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통신관리망(TMN) 운용자 12 : 관리자(Manager)시스템
13 : 관리대행자 시스템 14 : 비동기전달모드(ATM) 교환시스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관리망 연결 관리를 위한 관리대행자와 교환시스템간의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행자와 상기 교환시스템간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연결 관리 데이터 구조를 정형화시키는 제 1 단계; 관리자로부터 수신된 연결관리 명령에 따라 연결 정보 설명자를 작성한 후, 연결 정보 설명자 수를 파악하여 상기 정형화된 데이터를 패킹하여 상기 교환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교환시스템이 처리 가능한 패킹 데이터를 언패킹하여 연결관리 명령에 따라 처리해야할 연결 정보 설명자로부터 위치 정보 및 트래픽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프로세서에서 연결관리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관리대행자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관리대행자가 상기 교환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연결관리 처리결과 데이터를 언패킹한 후, 명령 수행결과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객체의 속서을 변경시킨 후 그 결과를 상기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의 일예시도로서, 통신관리망(TMN) 시스템과 ATM 교환시스템(14)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TMN은 TMN을 운용하는 TMN 운용자(11), 실제 통신망의 관리 정보들을 관리하는 관리자시스템(12), 관리자시스템(12)에게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대행자 시스템(13), 및 실제 TMN의 관리 대상이 되는 ATM 교환시스템(14)으로 구성된다.
TMN 운용자(11)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관리자시스템(12)을 관리/제어한다.
관리자시스템(12)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그래픽 또는 문자 형태로 전송되는 관리 명령들을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할되어 있는 관리대행자 시스템(13)으로 표준화된 큐(Q)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거나, 관리대행자 시스템(13)으로부터 관리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관리 명령의 수행결과나 ATM 교환시스템(14)의 상태 보고들을 수집 및 평가하여 유용한 망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관리대행자 시스템(13)은 객체 지향 모델에 의해 모델링된 관리객체(Managed Object)들의 집합인 관리정보베이스(MIB : Management Information Base)를 사용하여 ATM 교환시스템(14)과 동일한 형상 및 상태 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관리대행자 시스템(13)은 MIB를 조작하는 일련의 작업들을 수행한다. 여기서, MIB를 조작하기 위한 정보들을 ATM 교환시스템(14)으로부터 수집하거나 보고받기 위해서는 관리대행자 시스템(13)과 ATM 교환시스템(14)간에 통신 인터페이스가 필요한다.
즉, TMN을 위해 관리자시스템(13)이 관리하는 관리정보 형태는 Q인터페이스에 기초한 메시지 형태이고, ATM 교환시스템(14)이 보고하거나 입력받는 정보의 형태는 인간-기계 언어(MML : Man-Machine Language)에 기초한 메시지 형태로 서로 상이한 정보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양자간에 상호 호환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통신관리망(TMN) 규약에서는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임의로 규정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TMN을 개발하는 개발자는 나름대로 각기 다른 인터페이스를 정의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더라도 TMN 시스템이 망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모든 관리 정보들은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므로 이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의 정형화된 데이터 구조가 요구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연결 정보 데이터의 일실시예 구조도로서, 관리대행자 시스템(13)과 ATM 교환시스템(14)간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연결 관리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시작시간(Begin Time)(21)은 정해진 특정 시간에 연결을 설정하고자 하는 예약 연결 관리 기능에서의 시작 시간 정보를 나타내며, 예약 연결이 개시되는 연도를 나타내는 시작연도(BYR : Begin YeaR)(211), 개시월을 나타내는 시작월(BMO : Begin MOnth)(212), 개시일을 나타내는 시작일(BDY : Begin Date)(213), 개시하고자 하는 시를 나타내는 시작시(BHR : Begin HouR)(214), 및 개시하고자 하는 분을 나타내는 시작분(BMI : Begin MInute)(215)로 구성된다.
종료시간(End Time)(22)은 설정된 연결의 예약된 해지 시점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연결이 종료되는 예약 시점의 연도를 나타내는 종료년(EYR : Edn Year)(221), 종료월을 나타내는 종료월(EMO : End MOnth)(222), 종료일을 나타내는 종료일(EDY : EnD Year)(223), 종료하고자 하는 시를 나타내는 종료시(EHR : End HouR)(224), 종료하고자 하는 분을 나타내는 종료분(EMI : End MInute)(22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시작시간(Begin Time)(21) 및 종료시간(End Time)(22)은 예약모드 연결 설정 및 해지를 위한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설명자 수(Number of Descriptor)(23)는 연결 정보를 나타내는 연결정보 설명자(Connection Information Descriptor)(a 내지 n)의 개수를 나타낸다. 예컨대, 한 발신자로부터 여러명의 착신자가 연결되었을 경우에 각 착신자와의 연결에 대한 각각의 연결 정보(a 내지 n)가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에 이들 연결 정보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가 설명자 수(Number of Descriptor)(23)이다. 즉, 한 발신에 대해 착신이 5개인 경우에 5개의 연결 정보 설명자(a 내지 n)가 필요하며, 설명자 수(23)는 5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ATM 교환시스템(14) 및 관리대행자 시스템(13)은 설명자 수(23)에 5를 세팅하므로써 수신측이 설명자 수(23)로부터 5개의 연결 정보 설명자(a 내지 n)가 전달되었음을 확인하고, 5개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연결 정보 설명자(Connection Information Descriptor)(a 내지 n)는 연결 위치 설명자(Connection Descriptor)(24), 출방향 트래픽 설명자(Egress Traffic Descriptor(25), 및 입방향 트래픽 설명자(Ingress Traffic Descriptor(26)로 구성된다.
첫 번째 연결 정보 설명자(a)는 발신측의 연결정보를 나타내고, 두 번째부터 설명자 수(23) 개수만큼의 연결 정보 설명자(b 내지 n)는 발신측의 연결 정보를 나타낸다.
연결 위치 설명자(24)는 연결의 발/착신 위치 정보를 니타낸다. 즉, 연결이 이루어지는 특정 가상경로(VP : Virtual Path) 또는 가상채널(VC : Virtual Channel)이 위치하는 물리적/논리적 위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연결 관리의 위치 정보란 발/착신 VP 또는 VC 연결이 존재하는 VP 또는 VC의 번호를 나타내는 가상경로식별자(VPI : Virtual Path Identifier)(246), 가상채널식별자(VCI : Virtual Channel Identifier)(247), VPI(246) 및 VCI(247)가 속해 있는 링크의 번호를 나타내는 링크(Link)번호(245), 해당 링크가 속해있는 특정 보드의 번호인 보드(Board)번호(244), 보드가 실장되어 있는 랙(Rack)번호(241), 셀프(Shelf)번호(242), 및 슬롯(Slot)번호(243)를 의미한다.
출방향 트래픽 설명자(Egress Traffic Descriptor)(25)는 출력 방향의 연결에 대한 트래픽 정보(251 내지 255)를 나타내며, 입방향 트래픽 설명자(Ingress Traffic Descriptor)(26)는 입력 방향의 연결에 대한 트래픽 정보를 나타낸다.
출방향 트래픽 설명자(25) 및 입방향 트래픽 설명자(26)는 트래픽 정보로서, 셀지연 허용치(CDV : Cell Delay Variation)(251), 최대순간 전송셀 수(MBS : Maximum Burst Size)(252), 초당 최대 셀 수(PCR : Peak Cell Rate)(253), 최대 평균순간 전송셀 수(SCR : Sustainable Cell Rate)(254), 및 서비스품질(QoS : Quality of Servise)(255)로 구성된다.
셀지연 허용치(CDV : Cell Delay Variation)(251)는 동일한 연결에서 평균 셀 전송 지연에 대해 관찰하고자 하는 특정 셀의 전송 지연의 편차를 나타내는 셀지연 허용치값을 나타낸다. 이는 평균 셀 전송 지연에 대해 한 연결에서 허용될 수 있는 셀 전송 지연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하나의 연결을 설정하는 경우에 셀지연 허용치(251)값에 따라 셀 전송 지연 허용치가 결정된다.
최대순간 전송셀 수(MBS : Maximum Burst Size)(252)는 순간 최대 셀 전송률에서 전송될 수 있는 최대 셀 수를 나타낸다.
초당 최대 셀 수(PCR : Peak Cell Rate)(253)는 한 연결이 최대로 제공할 수 있는 초당 최대 셀 수를 나타낸다.
최대 평균순간 전송셀 수(SCR : Sustainable Cell Rate)(254)는 한 버스트(Burst)가 갖는 최대 평균 셀 전송수 정보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관리대행자 시스템(13)이 관리자시스템(12)으로부터 연결관리 명령을 수신하면(301), 수신된 연결관리 명령이 예약모드 연결에 관련된 명령인지를 분석한다(302).
분석결과, 수신된 연결관리 명령이 예약모드이면 데이터 포맷중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시작시간(21) 및 종료시간(22)에 관리자시스템(12)으로부터 수신된 시간 정보를 수록한 후(303) 연결 정보 설명자(a 내지 n)를 작성한다(304).
분석결과, 수신된 연결관리 명령이 예약모드가 아니면 바로 연결 정보 설명자(a 내지 n)를 작성한다(304). 여기서, 연결 정보 설명자(a 내지 n) 작성이란 연결 정보 설명자(a)에 위치정보, 입/출방향 트래픽 정보를 수록하는 것이다.
이후, 연결 정보 설명자(a 내지 n)의 개수를 수록한다(305).
다음으로, 작성된 연결 정보 데이터 포맷이 네트워크상으로 전송하기 위해 외부 데이터 표시(XDR : eXternal Data Representation) 또는 기타의 패킹 방식으로 패킹(Packing)되어(306) ATM 교한시스템(14)으로 전송되면(307), ATM 교환시스템(14)은 패킹된 데이터의 종류 및 포맷을 분석한다(308).
분석결과, 처리할 수 없는 데이터이면 처리를 중단하여 다시 관리자시스템(12)으로부터 연결관리 명령을 수신하고(301), 처리 가능한 데이터이면 확인된 데이터 포맷에 맞도록 패킹된 데이터를 언패킹(Unpacking)한 후(309) 처리해야 할 연결 정보 설명자(a 내지 n)가 몇 개인지를 확인한다(310). 이때, 확인된 개수만큼의 연결관리 처리를 수행한다.
먼저, 예약모드 연결관리인지를 분석한다(311).
만약, 예약모드이면 데이터 포맷으로부터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312), 연결 정보 설명자(a)로부터 위치 정보 및 트래픽 정보를 추출한 후(313) ATM 교환시스템(14)의 해당 프로세서가 연결관리 정보에 해당하는 연결관리 처리를 수행하도록한다(314).
한편, 예약모드가 아니면 바로 연결 정보 설명자(a)로부터 위치 정보 및 트래픽 정보를 추출한 후(313) ATM 교환시스템(14)의 해당 프로세서가 연결관리 정보에 해당하는 연결관리 처리를 수행하도록한다(314).
이후, 수행된 결과는 상기 단계(302 내지 306)와 동일한 절차를 거쳐 해당 데이터를 ATM 교환시스템(14)으로부터 관리대행자 시스템(13)으로 전송한다(315).
다음으로, 관리대행자 시스템(13)은 수행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316) 수신된 데이터가 처리 범주에 해당하는 올바른 데이터인지를 확인하여 처리할 것인지 또는 처리를 중단할 것인지를 분석한다(317).
분석결과, 유효한 데이터이고 연결관리에 해당하는 데이터임을 확인하면 연결관리 데이터 포맷에 맞도록 패킹(Packing)된 데이터를 언패킹(Unpacking)한다(318). 여기서, ATM 교환시스템(14)과 관리대행자 시스템(13)간에 네트워크상에 전송되는 연결관리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포맷외에 일반적으로 범용되고 있는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메시지 헤더들이 첨가된다.
이때, 헤더 메시지에는 명령의 수행 결과에 해당하는 정보가 실리게 되는데, 이를 확인하여 명령 수행결과를 분석한다(319).
한편, 명령을 중단할 것인지를 결정하면 다시 해당 데이터를 ATM 교환시스템(14)으로부터 관리대행자 시스템(13)으로 전송하는 단계(315)로 리턴한다.
분석결과, 수행결과가 실패이면 관리대행자 시스템(13)은 관리 객체의 처리를 생략하고 바로 관리자시스템(12)으로 전송한다(325).
분석결과, 수행결과가 성공이면 처리해야 할 연결 정보 설명자(a 내지 n)가 몇 개인지를 확인하여(320), 확인된 개수만큼의 데이터 처리를 한다.
이후, 에약 모드 연결관리인지를 분석한다(321).
만약, 예약모드이면 데이터 포맷내의 시간 정보를 판독하고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관리객체(212,222)의 속성값을 변경한 후(322), 데이터 포맷내의 위치정보(24)(즉, 랙(241), 셀프(242), 슬롯(243), 보드(244), 링크(245), 가상경로식별자(246), 및 가상채널식별자(247))를 판독하여 해당 관리객체(즉, 양방향 전송변환 적응 가상경로 트레일(tcAdaptorTTPBidirectional), 양방향 가상경로 연결 종단점(vpCTPBidirectional), 및 양방향 가상채널 연결 종단점(vcCTPBidirectional)를 찾는다(323).
한편, 예약모드가 아니면 바로 데이터 포맷내의 위치정보(24)를 판독하여 해당 관리객체를 찾는다(323).
다음으로, 데이터 포맷으로부터 트래픽 정보를 판독하여 앞서 찾은 관리객체(tcAdaptorTTPBidirectional, vpCTPBidirectional, 및 vcCTPBidirectional)(212,222)의 해당 속성에 기록한다(324).
마지막으로, 처리 결과를 관리자시스템(12)으로 보고한다(325).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정형화된 데이터 포맷을 사용하므로써 다양한 기종의 ATM 교환시스템 등에 대한 연결 관리를 한 종류의 TMN 시스템이 별다른 구조적 변형없이 수행할 수 있고, 데이터 포맷은 연결 관리 정보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 구조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통신관리망 연결 관리를 위한 관리대행자와 교환시스템간의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행자와 상기 교환시스템간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연결 관리 데이터 구조를 정형화시키는 제 1 단계;
    관리자로부터 수신된 연결관리 명령에 따라 연결 정보 설명자를 작성한 후, 연결 정보 설명자 수를 파악하여 상기 정형화된 데이터를 패킹하여 상기 교환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교환시스템이 처리 가능한 패킹 데이터를 언패킹하여 연결관리 명령에 따라 처리해야할 연결 정보 설명자로부터 위치 정보 및 트래픽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프로세서에서 연결관리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관리대행자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관리대행자가 상기 교환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연결관리 처리결과 데이터를 언패킹한 후, 명령 수행결과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객체의 속서을 변경시킨 후 그 결과를 상기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관리대행자가 상기 관리자로부터 연결관리 명령을 수신하는 제 5 단계;
    수신된 연결관리 명령이 예약모드 연결에 관련된 명령인지를 분석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의 분석결과, 수신된 연결관리 명령이 예약모드이면 데이터 포맷중 시간 정보에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된 시간 정보를 수록한 후 연결 정보 설명자를 작성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6 단계의 분석결과, 수신된 연결관리 명령이 예약모드가 아니면 바로 연결 정보 설명자를 작성하는 제 8 단계;
    작성된 연결 정보 설명자의 개수를 수록하는 제 9 단계; 및
    네트워크상으로 전송하기 위해 패킹 상기 교환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교환시스템에서 패킹된 데이터의 종류 및 포맷을 분석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1 단계의 분석결과, 처리할 수 없는 데이터이면 처리를 중단하여 다시 상기 관리자로부터 연결관리 명령을 수신하는 제 12 단계;
    상기 제 11 단계의 분석결과, 처리 가능한 데이터이면 확인된 데이터 포맷에 맞도록 패킹된 데이터를 언패킹한 후 처리해야 할 연결 정보 설명자의 개수를 파악하는 제 13 단계;
    연결관리 처리를 위해 예약모드 연결관리인지를 판단하는 제 14 단계;
    상기 제 14 단계의 판단결과, 예약모드이면 데이터 포맷으로부터 시간 정보를 추출한 후 위치 정보 및 트래픽 정보를 추출하는 제 15 단계;
    상기 제 14 단계의 판단결과, 예약모드가 아니면 바로 위치 정보 및 트래픽 정보를 추출하는 제 16 단계; 및
    해당 프로세서에서 연결관리 정보에 해당하는 연결관리 처리를 수행하는 제 1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관리대행자가 상기 교환시스템으로부터 연결관리 처리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8 단계;
    수신된 데이터가 처리 범주에 해당하는 유효한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제 20 단계;
    상기 제 20 단계의 판단결과, 유효한 데이터이면 연결관리 데이터 포맷에 맞도록 패킹된 데이터를 언패킹하고, 명령을 중단할 것인지를 결정하면 다시 상기 교환시스템에서 수행결과를 송신하는 제 21 단계;
    수신된 헤더 메시지로부터 명령 수행결과를 분석하는 제 22 단계;
    상기 제 22 단계의 분석결과, 수행결과가 실패이면 관리 객체의 처리를 생략하고 바로 상기 관리자로 실패되었음을 보고하는 제 23 단계;
    상기 제 22 단계의 분석결과, 수행결과가 성공이면 처리해야 할 연결 정보 설명자를 파악하여 확인된 개수만큼의 데이터 처리한 후 에약 모드 연결관리인지를 판단하는 제 24 단계;
    상기 제 24 단계의 판단결과, 예약모드이면 데이터 포맷내의 시간 정보를 판독하고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관리객체의 속성값을 변경한 후, 데이터 포맷내의 위치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연결관련 관리객체를 탐색하는 제 25 단계;
    상기 제 24 단계의 판단결과, 예약모드가 아니면 바로 데이터 포맷내의 위치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연결관련 관리객체를 탐색하는 제 26 단계; 및
    데이터 포맷으로부터 트래픽 정보를 판독하여 구한 연결관련 관리객체의 해당 속성에 기록한 후, 처리 결과를 상기 관리자에게 보고하는 제 2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정형화된 데이터 구조는,
    예약 모드 연결 설정 및 해지를 위한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과, 연결 정보를 나타내는 연결 정보 설명자의 개수를 나타내는 설명자 수와, 연결의 발/착신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연결 위치 설명자, 출력 방향의 연결에 대한 트래픽 정보를 나타내는 출방향 트래픽 설명자, 및 입력 방향의 연결에 대한 트래픽 정보를 나타내는 입방향 설명자로 구성된 연결 정보 설명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화된 데이터 구조는,
    예약 연결이 개시되는 연도를 나타내는 시작연도(BYR), 개시월을 나타내는 시작월(BMO), 개시일을 나타내는 시작일(BDY), 개시하고자 하는 시를 나타내는 시작시(BHR), 및 개시하고자 하는 분을 나타내는 시작분(BMI)로 구성되어 정해진 특정 시간에 연결을 설정하고자 하는 예약 연결 관리 기능에서의 시작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시작시간(Begin Time)과;
    연결이 종료되는 예약 시점의 연도를 나타내는 종료년(EYR), 종료월을 나타내는 종료월(EMO), 종료일을 나타내는 종료일(EDY), 종료하고자 하는 시를 나타내는 종료시(EHR), 종료하고자 하는 분을 나타내는 종료분(EMI)으로 구성되어 설정된 연결의 예약된 해지 시점을 나타내는 종료시간(End Time)과;
    연결 정보를 나타내는 연결 정보 설명자(Connection Information Descriptor)의 개수를 나타내는 설명자 수(Number of Descriptor)와;
    발/착신 가상경로(VP) 또는 가상연결(VC) 연결이 존재하는 가상경로 또는 가상채널의 번호를 나타내는 가상경로식별자(VPI) 및 가상채널식별자(VCI), 가상경로식별자(VPI) 및 가상채널식별자(VCI)가 속해 있는 링크의 번호를 나타내는 링크(Link)번호, 해당 링크가 속해있는 특정 보드의 번호인 보드(Board)번호, 보드가 실장되어 있는 랙(Rack)번호, 셀프(Shelf)번호, 및 슬롯(Slot)번호로 구성되어 연결의 발/착신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연결 위치 설명자; 및 동일한 연결에서 평균 셀 전송 지연에 대해 관찰하고자 하는 특정 셀의 전송 지연의 편차를 나타내는 셀지연 허용치(CDV), 순간 최대 셀 전송률에서 전송될 수 있는 최대 셀 수를 나타내는 최대순간 전송셀 수(MBS), 한 연결이 최대로 제공할 수 있는 초당 최대 셀 수를 나타내는 초당 최대 셀 수(PCR), 한 버스트(Burst)가 갖는 최대 평균 셀 전송수 정보를 나타내는 최대 평균순간 전송셀 수(SCR), 및 서비스 품질(QoS : Quality of Servise)로 각각 구성된 출방향 트래픽 설명자(Egress Traffic Descriptor) 및 입방향 트래픽 설명자(Ingress Traffic Descriptor)로 구성된 연결 정보 설명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
KR1019970069689A 1997-12-17 1997-12-17 통신관리망 연결 관리를 위한 관리대행자와 교환시스템간의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 KR100256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689A KR100256671B1 (ko) 1997-12-17 1997-12-17 통신관리망 연결 관리를 위한 관리대행자와 교환시스템간의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689A KR100256671B1 (ko) 1997-12-17 1997-12-17 통신관리망 연결 관리를 위한 관리대행자와 교환시스템간의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557A true KR19990050557A (ko) 1999-07-05
KR100256671B1 KR100256671B1 (ko) 2000-05-15

Family

ID=1952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689A KR100256671B1 (ko) 1997-12-17 1997-12-17 통신관리망 연결 관리를 위한 관리대행자와 교환시스템간의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6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812B1 (ko) * 2001-10-16 2003-12-01 주식회사 넷브레인 가입자 연동 통신시스템과 통신망 관리 대행자 간의데이터 전송방법.
KR100626664B1 (ko) * 1999-12-24 2006-09-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책 기반 품질 관리 서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품질 관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664B1 (ko) * 1999-12-24 2006-09-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책 기반 품질 관리 서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품질 관리방법
KR100407812B1 (ko) * 2001-10-16 2003-12-01 주식회사 넷브레인 가입자 연동 통신시스템과 통신망 관리 대행자 간의데이터 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6671B1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98885C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communications networks
US5680390A (en) Broadband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of having operations systems support
US6222844B1 (en) Frame relay interworking service control method with ATM network using a permanent virtual connection
KR100256671B1 (ko) 통신관리망 연결 관리를 위한 관리대행자와 교환시스템간의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
US6396511B1 (en)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not requiring modifications or additions to manager and agent software
KR100243699B1 (ko) 통신관리망에서의 구성 관리를 위한 구성 관리 명령 수행 방법
Aldini et al. An algebraic model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n ATM switch with explicit rate marking
AU2002246078B2 (en) Method for the selective and collective transmission of messages in a tmn network
KR100256680B1 (ko) 통신관리망에서의 과금 관리를 위한 관리대행자와 교환시스템간의 과금 관리 명령 수행 방법
KR100358170B1 (ko)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여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통신 관리망 방식에 의해 넘버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KR100281662B1 (ko) 전기통신관리망 망관리요소계층에서의 가입자 주소 헤더정보 관리방법
KR100228403B1 (ko) 교환기용 통신관리망 에이전트 시스템에서의 초기 데이타 생성 방법
Crosby Performance management in ATM networks
Anderson et al. Operations standards for global ATM networks: Network element view
KR100251379B1 (ko) 교환시스템에있어서통신관리망관리자의사건보고메시지최적화방법및시스템
KR100375132B1 (ko) Imt-2000 핵심 망 환경에서 atm 기반 광대역 신호망접속시스템
Schieferdecker et al. Formal based testing of ATM signalling
KR100343772B1 (ko)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유엔아이/엔엔아이 정합 모듈 상태관리 방법
KR100243677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연결관리 관련 에러 표시 방법
KR100295747B1 (ko) 교환 시스템의 브이5.2 인터페이스에서 프로토콜 메시지분석방법
KR0123254B1 (ko) 서비스 교환기(ssp)에서 지능망 서비스 호를 시험하기 위한 응용 프로세스 시뮬레이션 방법
KR19990056206A (ko) 비동기전송모드교환기의 로컬관리를 이용한 통신관리망의 에이치엠아이의 운영결과 반영방법
Schuhknecht et al. Preventing Rather Repairing-A New Approach in ATM Network Management
Kim et al. An information model for performance monitoring of broadband network termination system
Florissi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automation in integrated distributed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