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8170B1 -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여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통신 관리망 방식에 의해 넘버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여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통신 관리망 방식에 의해 넘버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170B1
KR100358170B1 KR1020000077941A KR20000077941A KR100358170B1 KR 100358170 B1 KR100358170 B1 KR 100358170B1 KR 1020000077941 A KR1020000077941 A KR 1020000077941A KR 20000077941 A KR20000077941 A KR 20000077941A KR 100358170 B1 KR100358170 B1 KR 100358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sult
management
link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8712A (ko
Inventor
김성환
김태완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00077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170B1/ko
Publication of KR20020048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logs of notifications; Post-processing of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87Network testing or monito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6Common channel signaling, CCS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Service observation; Fault circuit;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 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여 비동기 전송 모드(ATM)교환기에서 통신관리망(TMN)방식에 의해 No.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기반의 교환망에 있어서, 통신관리망(TMN :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이하 TMN 이라 함)이라는 망 관리 표준에 의해서 통신망의 호 제어 정보, 과금 정보 및 운용 보전 정보를 전송하는 No.7 신호 링크 관리를 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 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여 ATM 교환기에서 TMN 방식에 의해 No.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비동기전송모드(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 이하 ATM 이라 함)교환망에 있어서, 로칼 교환기로부터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를 수신받는 제 1 단계; 상기 결과를 수신받은 에이전트가 관리객체를 이용해서 No.7 신호 링크 생성 수행 결과를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반영된 결과를 운용자에게 전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ATM 교환기에서의 No.7 신호 링크 관리에 이용됨.

Description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 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여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 통신 관리망 방식에 의해 넘버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The data consistency method between local switch and agent for No.7 signaling link network management by TMN in ATM switch}
본 발명은 ATM 교환기의 망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 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여 ATM 교환기에서 TMN 방식에 의해 No.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No.7 신호망은, 통신망의 호 제어 정보, 과금 정보 및 운용 보전 정보를 전송하므로 이 신호망 자체에 대한 망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No.7 신호망의 동작은 교환망의 동작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오늘날과 같이 통신망이 복잡해져 가는 추세에 있어서 No.7 망 관리의 표준화 및 상호 연동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No.7 신호 망 관리 서비스는, No.7 신호 망의 기반이 되는 교환 노드를 개발하거나 제작한 곳에서 제시하는 각자 고유한 방식에 의해서 구현되어 있다. 그래서, 상호 간의 통신이 되지 않아서 No.7 신호 망 관리 서비스간 연동이 되지 않으며, No.7 신호 망 관리간 물리적인 정합 및 논리적인 정합이 되지 않아서 상호 운용성의 보장이 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전체 망 관리 서비스 면에서 보면 망 관리 서비스가 체계적으로 구성되지 못하고, 고유한 No.7 신호망 관리 서비스간 정보 교환이 되지 못하여 전체적인 No.7 신호망 관리 서비스의 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TMN 방식으로 전체적인 No.7 신호망의 망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였지만, 망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에이전트와 로칼 교환기간에 No.7 신호 링크 데이터가 불일치하여 망 관리에 의한 No.7 신호 링크의 관리가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No.7 신호망 관리 서비스간의 상호 연동과 상호 운용성의 보장을 위하여,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 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여 ATM 교환기에서 TMN 방식에 의해 No.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No.7 신호 망에 적용되는 TMN 기능 기준 모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No.7 신호 망의 관리 객체의 포함 관계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No.7 망 관리 구현 기능 개념 예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로칼 교환기의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에 대해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일실시예 처리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로칼 교환기의 No.7 신호 링크 삭제 결과에 대해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일실시예 처리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망 요소 계층 12 : 망 요소 관리 계층
13 : 망 관리 계층 101 : 관리대상교환요소
102 : 관리정보베이스(MIB) 103 : 에이전트프로세스
104 : 매니저프로세스 105 : 운용시스템기능(OS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동기전송모드(ATM)교환기에서 통신관리망(TMN)방식에 의해 No.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로칼 교환기로부터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를 수신받는 제 1 단계; 상기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를 수신받은 에이전트가 관리객체를 이용해서 No.7 신호 링크 생성 수행 결과를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수행 결과를 운용자에게전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동기전송모드(ATM)교환기에서 통신관리망(TMN)방식에 의해 No.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로칼 교환기로부터 No.7 신호 링크 삭제 결과를 수신받는 제 1 단계; 상기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를 수신받은 에이전트가 관리객체를 이용해서 No.7 신호 링크 삭제 수행 결과를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수행 결과를 운용자에게 전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ATM 교환 시스템에, 로칼 교환기로부터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를 수신받는 제 1 기능; 상기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를 수신받은 에이전트가 관리객체를 이용해서 No.7 신호 링크 생성 수행 결과를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제 2 단계의 수행 결과를 운용자에게 전달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ATM 교환 시스템에, 로칼 교환기로부터 No.7 신호 링크 삭제 결과를 수신받는 제 1 기능; 상기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를 수신받은 에이전트가 관리객체를 이용해서 No.7 신호 링크 삭제 수행 결과를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제 2 단계의 수행 결과를 운용자에게 전달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No.7 신호 망에 적용되는 TMN 기능 기준 모델 구성도이다.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은 통신망 관리를 5계층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망 요소 계층(Network Element Layer), 망 요소 관리 계층(Network Element Management Layer), 망 관리 계층(Network Management Layer), 서비스 관리 계층(Service Management Layer), 그리고, 사업 관리 계층(Business Management Layer)이다.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Telecommunication) 권고안 Q.750에 언급된 CCS(Common Channel Signaling network)No.7 신호망의 망 관리 기준 모델은 도 1 과 같이 하위 3계층을 기술하고 있다.
망 요소 계층(11)는 관리대상교환요소(Managed Switching Element)(101), 관리정보베이스(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102) 및 에이전트프로세스(Agent Process)(103)를 구비하고 있다. 관리대상교환요소(101)는 망 관리 대상이 되는 교환 시스템이며, 관리정보베이스(MIB)(101)는 관리 대상 망 자원의 추상화이며, 관리 객체의 집합이다. 에이전트프로세스(Agent Process)(103)는 매니저(Manager)-에이전트(Agent) 개념 중에서, 망 요소 관리 계층에 대해 에이전트(Agent)로 동작하며, 관리정보데이터(MIB)(102)에 관리 객체를 가짐으로써, 관리 대상인 ATM 교환기의 No.7 신호망 자원에 대한 관리를 할 수 있다. 상기의 관리 대상 No.7 신호망의자원은 신호점, 신호 링크셋, 신호 링크, 신호 데이터 링크 및 신호 단말 등이다.
망 요소 관리 계층(12)은 망 요소 계층(11)에 대해 매니저(Manager)로 동작하여 망 요소 관리 기능을 담당한다. 관리 객체에 대한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망 요소 관리 계층(12)의 매니저프로세스(Manager Process)(104)에서 관리 시나리오에 의해 에이전트프로세스(Agent Process)(103)에 망 관리 명령을 주어야 한다. 이 경우, 매니저프로세스(Manager Process)(104)와 에이전트프로세스(Agent Process)(103)간은 q3 기준점으로 정의되며, 최상위의 보통 관리 정보 프로토콜(CMIP)을 쓰는 통신관리망(TMN)표준 프로토콜 스택인 큐3 인터페이스(Q3-Interface)로 정의된 방식에 의거해 상호간 통신을 한다. 본 발명인 No.7 신호망의 망 관리 기능은 매니저프로세스(Manager Process)(104)에서 망 관리 명령을 발생시켜 에이전트프로세스(Agent Process)(103)의 No.7 신호망의 망 관리 기능을 동작시킴으로 수행된다. 상기의 CCS(Common Channel Singnaling network) No.7 망 관리 명령은 신호점에 대한 생성, 삭제 및 검색에 대한 것과 신호 링크에 대한 생성, 삭제, 검색, 동작 상태 변경, 관리 상태 변경 및 시험에 대한 것들이 있다.
망 관리 계층(13)는 운용 시스템 기능(OSF : Operation System Function)을 포함하며, 여러 노드에 걸친 망 관리 정보를 필요로 할 때 사용되며, 망 관점에서의 망 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Q.750 에서 제시된 망 관리 기준 모델에서 망 관리 계층(13)의 기능은 신호점들간의 일치를 위해 망 내에서 조정, 동기 및 조화를 위한 활동을 하는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No.7 신호 망의 관리 객체의 포함 관계도이다.
TMN 은 객체 지향 기법을 활용하여 관리 객체를 정의하고, 망 자원에 대한 추상화를 하여 망 관리를 수행하는데, 상기 관리 객체의 집합은 관리정보베이스(MIB)(102)이며, 관리정보베이스(MIB)(102)에 대한 제어 동작에 의해 망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 에이전트프로세스(Agent Process)(103)이다. 도 1 에서 보인 바와 같이, 망 관리 기능 기준 모델에 의거해서 망 관리 기능을 설계하면, ATM 교환기의 No.7 신호망 중 MTP(Message Transfer Part)부분에 대한 망 관리를 위해서는 다음 객체들이 있을 수 있다. 즉, No.7 신호에 관련하여 "MTP(Message Transfer Part)계층 신호점(mtpSignPoint : MTP Signaling Point)"(202), "신호 링크셋(signLinkSetTp : Signaling Link Set Termination Point)"(203),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 : Signaling data Link Termination Point)"(208),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 : Signaling Link Termination Point)"(204) 및 "신호 처리 단말(signTerm : Signaling Terminal)"(205)이며, ATM 교환기에 관련하여 "쌍방향 적응 트레일 구성(tcAdaptorTTPBid : Transmission Convergence Adaptor Trail Termination Point Bidirectional)"(206), "쌍방향 가상 경로 연결 구성(vpCTPBid : Virtual Path Connection Termination Point Bidirectional)"(209), "쌍방향 가상 경로 트레일 구성(vpTTPBid : Virtual Path Trail Termination Point Bidirectional)"(207) 및 "쌍방향 가상 채널 연결 구성(vcCTPBid : Virtual Channel Connection Termination Point Bidirectional)"(210) 등이다.
No.7 신호에 관련한 관리 객체들은 도 2 의 포함 관계(ContainmentRelation)를 가진다. No.7 신호 망의 망 관리는 관리 객체들로 망 자원을 추상화한다. "MTP(Message Transfer Part)계층 신호점(mtpSignPoint)"(202)는 각 신호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의 코드를 가지며, 각 신호 노드별로 값을 달리하는 신호점 종단 점이다. "신호 링크셋(SignLinkSetTp)(203)"는 목적지를 같이 하는 신호 링크의 집합이다.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204)는 신호 링크로서 신호 메시지를 전송 에러없이 전달하는 개념적인 신호 링크 회선이다.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208)는 물리적인 신호 전달 회선으로서 망 관리에서는 연결 종단점(Connection Termination Point)을 표시하는 관리 객체이며, 관리 객체내의 어튜리뷰트(Attribute)에서 ATM 교환기의 물리적인 연결점을 포인팅(Pointing)하는 관리 객체이다. "신호 처리 단말(SignTerm)"(205)은 신호 처리 단말로서 통신망 노드 내에서는 신호 링크를 종단하며, 신호 링크상에서 전달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처리 기능을 가진 물리적인 처리 장치이다.
상기 관리 객체들간의 관계를 보면 "MTP(Message Transfer Part)계층 신호점(mtpSignPoint)"(202)는 교환기내의 "최상위 관리 요소(managedElementR1)"(201) 또는 "관리 대상 교환 요소(managedSwitchingElement)"(101)의 한 관리 객체이며 "관리 객체 신호 링크셋(sigLinkSetTp)"(203)이 그 아래 연결된다. "관리 객체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204)는 "관리 객체 신호 링크 셋(signLinkSetTp)"(203)아래 연결되며, 신호 링크를 표시하는 관리 객체로서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신호처리단말(signTerm)"(205)과 신호 링크의 회선을 표시하는 "신호 데이터링크(signDataLinkTp)"(208)를 포인팅한다.
ATM 망 요소(Network Element) 관점에서 본 관리 객체의 포함 관계는 도 2 에 나타내지며, 상기 도 2 는, ATM 망을 MTP(Message Transfer Part)신호 메시지의 전달을 위한 물리 경로로서 사용할 때에 VPI(Virtual Path Identification), VCI(Virtual Channel Identification) 값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 관점에서 본 ATM 교환기의 관리 객체간 관계를 요약하고 있다. 관리 대상인 ATM 교환기 시스템을 표시하는 관리 객체인 "최상위 관리 요소(managedElementR1)"(201) 밑에 "쌍방향 적응 트레일 구성(tcAdaptorTTP Bidirectional)"(206), "쌍방향 가상 경로 트레일 구성(vpTTP Bidirectional)"(207)이 있으며, "쌍방향 적응 트레일 구성(tcAdaptorTTP Bidirectional)"(206) 밑에는 "쌍방향 가상 경로 연결 구성(vpCTP Bidirectional)"(209)이 있다. 또, "쌍방향 가상 경로 트레일 구성(vpTTP Bidirectional)"(207) 밑에는 "쌍방향 가상 채널 연결 구성(vcCTP Bidirectional)"(210)이 있다. 상기 "쌍방향 적응 트레일 구성(tcAdaptorTTPBid)"(206)은 발신측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며, "쌍방향 가상 경로 연결 구성(vpCTPBid)"(209)은 가상 경로 인식자(VPI)값을 포함하고, "쌍방향 가상 채널 연결 구성(vcCTPBid)"(210)은 가상 채널 인식자(VCI)값을 포함한다. 또한 "쌍방향 가상 경로 트레일 구성(vpTTPBid)"(207)은 가상 채널(VC)연결들이 다중화되는 가상 경로(VP)트레일을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No.7 신호망 관리 구현 기능 개념도이다.
TMN 기능은 자체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 Graphic User Interface)기능을 갖고 있으며, 그래픽 사용자 정합 단말(34)은 매니저시스템간의 통신관리망(TMN) 표준 프로토콜 스택인 에프-인터페이스(F-interface)로 매니저(Manager)(31)와 상호 통신을 하고 있다. 매니저(Manager)(31)는 망 관리에 대한 전체 기능 관리를 하는 기능 모듈이며, 공통 관리 정보 프로토콜(CMIP : 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로써 에이전트(Agent)(32)와 통신을 하여 망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에이전트프로세스(Agent Process)(303)는 에이전트(Agent)(32)가 포함하는 관리 객체를 생성, 삭제, 변경 및 검색을 하며, ATM 교환기(33)내의 망 관리 자원에 대한 제어를 한다.
ATM 교환기(33)는 운용자와의 통신을 위해 자체적인 운용자-교환기 통신 수단 즉, HMI(Human Machine Interface)기능을 로칼하게 구비하고 있다. TMN 기능은 ATM 교환기(33)와의 통신을 위해서 별개의 인터페이스를 가지지 않으며, 교환기 망관리 정합 기능(CASS : Connector for TMN Agent and ATM Switching System)(306)의 정합 기능을 통해 HMI 기능의 명령을 보냄으로써 HMI의 정합 서버(310)을 이용하여 ATM 교환기(33)와 통신을 하게 된다.
No.7 신호 망의 망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TMN 망 요소 관리 계층의 매니저(Manager)(31)는 신호점 관리 모듈(Signaling Point Management Module)(301)과 신호 링크 관리 모듈(Signaling Link Management Module)(302)로 구성되며, 망 요소 계층에 위치한 에이전트프로세스(Agent Process)(303)로 명령을 내린다. 이 때 Q3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통 관리 정보 프로토콜(CMIP)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된다. 신호점 관리 모듈(301)은 No.7 신호점에 대해 망 요소 관리 관점의 관리를 하며, 신호 링크 관리 모듈(302)은 No.7 신호 링크에 대해 망 요소 관리 관점의 관리를 한다.
TMN 망 요소 계층의 에이전트프로세스(Agent Process)(32)도 신호점 관리 모듈(304)과 신호 링크 관리 모듈(305)로 구성되며, No.7 신호 망 관리 기능 중에서 TMN 망 요소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신호점 관리 모듈(304)은 No.7 신호점에 대한 망 요소 관점의 관리를 하며, 신호 링크 관리 모듈(305)은 No.7 신호 링크에 대한 망 요소 관점의 관리를 한다. 에이전트(Agent)(32)가 관리하는 No.7 신호용 관리정보베이스(MIB)(309)에 대해 관리 객체의 생성, 삭제, 변경 및 검색 등의 처리를 하며, 상기 처리 결과는 매니저(Manager)(31)에게 보고하고, ATM 교환기(33)의 자원에서 변동 사항이 있을 때도 매니저(Manager)(31)에게 보고를 한다. 에이전트(Agent)(32)가 관리하는 관리 객체는 객체 지향 기법으로 만들어지며, ATM 교환기(33)의 자원에 대한 관리를 위해 대응 관계로 구성된다.
TMN 과 ATM 교환기(33)간 인터페이스 기능을 하는 교환기 망관리 정합 기능(CASS)(306)는 관리 인터페이스 모듈(FCAPS(Fault, Configuration, Account, Performance and Security) Management IM(Interface Module))(307)과 명령 연결자 관리 모듈(Connector Module)(308)로 구분된다. 명령 연결자 관리 모듈(Connector Module)(308)은 TMN 과 로칼한 HMI(Human Machine Interface)기능과 ATM 교환기(33)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한다. 관리 인터페이스 모듈(FCAPS Management IM)(307)은 TMN 의 5개 주요 기능들을 처리하며, No.7의 망 관리 기능은 구성 기능(Configuration)을 통하여 교환기와 연동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로칼 교환기의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에 대해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일실시예 처리 흐름도이다.
망 요소 계층의 망 관리 기능 수행 에이전트간의 No.7 신호 링크 데이터의 일치를 위하여, 로칼 교환기에서 수행한 No.7 신호 링크의 생성 수행 결과를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에이전트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알고리즘에 대한 것이다. 에이전트에 있는 No.7 신호 링크를 새로이 생성하기 위해서는 도 2 에 근거하여 본 도 4 에 있는 순서대로 진행되어야 한다.
매니저에 우선 로칼 교환기에서 보내 온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가 수신되면(401), 에이전트에서는 수신된 메시지의 정보에 의해서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 관리 객체를 생성한다(402). 관련된 "신호 처리 단말(signTerm)"이 생성되어 있는 지를 확인한 후(403), 생성되어 있지 않으면 "신호 처리 단말(signTerm)"을 생성하고(404), 도 2 에서 제시된 것과 같이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 관리 객체에 "신호 처리 단말(signTerm)"에 대한 포인팅을 수행하여(405),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 관리 객체에서 "신호 처리 단말(signTerm)"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신호 처리 단말(signTerm)"에 대한 포인팅을 수행한 후, 또는 상기 403 의 확인 결과 "신호 처리 단말(signTerm)"이 생성되어 있으면,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 관리 객체를 생성하고(406), 정상적으로 생성되면 도 2 에서와 같이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 관리 객체에서, 생성된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을 포인팅하는 처리를 하며(407),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않으면 이전에 생성된 "신호처리 단말(signTerm)" 관리 객체와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 관리 객체를 삭제하고(409),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 반영 실패를 출력한 후 종료한다(410). 다음으로 "쌍방향 가상 경로 연결 구성(vpCTPBid)" 관리 객체를 생성하고(411), 정상적으로 생성되면 다음 처리(414)를 하며, 비정상적이면(412) 이전에 생성된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과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 "신호 처리 단말(signTerm)" 관리 객체를 삭제하고(413),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 반영 실패를 출력한 후 종료한다(410). 다음으로 "쌍방향 가상 경로 트레일 구성(vpTTPBid)" 관리 객체를 생성하고(414), 정상적으로 생성되면 다음 처리(417)를 하며, 비정상적이면(415) 이전에 생성된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과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 "신호 처리 단말(signTerm)", "쌍방향 가상 경로 연결 구성(vpCTPBid)" 관리 객체를 삭제하고(416),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 반영 실패를 출력한 후 종료한다(410). 다음으로 "쌍방향 가상 채널 연결 구성(vcCTPBid)" 관리 객체를 생성하고(417), 정상적으로 생성되면 다음 처리(420)를 하며, 비정상적이면(418) 이전에 생성된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과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 "신호 처리 단말(signTerm)", "쌍방향 가상 경로 연결 구성(vpCTPBid)", "쌍방향 가상 경로 트레일 구성(vpTTPBid)" 관리 객체를 삭제하고(419),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 반영 실패를 출력한 후 종료한다(410). 다음으로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 관리 객체에서, 생성된 "쌍방향 가상 채널 연결 구성(vcCTPBid)"에 대한 포인팅을 하고(420), 매니저로 No.7 신호 링크에 대한 생성 결과를 보내 지역 망 관리자로 하여금 로칼 교환기에서 No.7 신호링크에 대한 변경이 있었음을 알리고(421) 처리가 완료되면 종료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로칼 교환기의 No.7 신호 링크 삭제 결과에 대해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일실시예 처리 흐름도이다.
에이전트에 있는 No.7 신호 링크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도 2 에 근거하여 본 도 5 에 있는 순서대로 진행되어야 한다. 우선 로칼 교환기에서 보내 온 No.7 신호 링크 삭제 결과가 수신되면(501), 에이전트에서는 수신된 메시지의 정보에 의해서 "쌍방향 가상 채널 연결 구성(vcCTPBid)" 관리 객체를 삭제한다(502). 다음으로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에서 삭제된 "쌍방향 가상 채널 연결 구성(vcCTPBid)" 관리 객체에 대한 포인팅을 삭제한다(503). 이로써 신호 링크 연결에 사용된 ATM 교환기의 가상 채널 연결을 삭제하고, "쌍방향 가상 경로 트레일 구성(vpTTPBid)"를 삭제한다(504). 다음으로 "쌍방향 가상 경로 연결 구성(vpCTPBid)" 관리 객체에 대한 삭제를 수행(505)하여 No.7 신호 링크를 다른 신호점과 연결하는 데 사용된 가상 경로 연결에 대한 데이터를 삭제한다. 다음으로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 관리 객체를 삭제하고(506),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 관리 객체에서 삭제된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에 대한 포인팅을 삭제하므로써(507) No.7 신호 링크의 물리적인 구성 데이터를 삭제한다. 다음으로 "신호 처리 단말(signTerm)" 관리 객체를 삭제하여(508), No.7 신호 링크의 처리 단말에 대한 데이터를 삭제한다. 다음으로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 관리 객체를 삭제한다(509). 끝으로 망 요소 관리 계층에 있는 매니저로 No.7 신호 링크가 로칼 교환기에서 삭제되었음을 전달하여 지역 망 관리자에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 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여 ATM 교환기에서 TMN 방식에 의해 No.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No.7 신호망 관리 서비스들간에 연동이 가능해지며, No.7 신호망 관리 서비스들간에 상호 운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No.7 신호망 관리 서비스들을 종합적으로 통합하여 통합 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본 발명에 의해서 No.7 신호 링크의 생성, 삭제의 No.7 신호망 노드의 관리가 TMN 방식으로 가능해지게 될뿐만 아니라 TMN 방식의 No.7 신호 망의 망 관리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로칼 교환기에서도 No.7 신호 링크의 생성, 삭제 등의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긴급을 요하는 ATM 교환기의 유지 보수 등을 수행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의해서 TMN 에 의한 No.7 신호 망 관리 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고 로칼 교환기에서 로칼한 No.7 신호 망에 대한 유지 보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비동기전송모드(ATM)교환기에서 통신관리망(TMN)방식에 의해 No.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로칼 교환기로부터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를 수신받는 제 1 단계;
    상기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를 수신받은 에이전트가 관리객체를 이용해서 No.7 신호 링크 생성 수행 결과를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수행 결과를 운용자에게 전달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관리망(TMN :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이하 TMN 이라 함)방식에 의해 No.7 신호 링크 관리를 위한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 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관리 객체는,
    No.7 신호에 관련된 관리 객체와 ATM 망 요소와 관련된 관리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통신관리망(TMN :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이하 TMN 이라 함)방식에 의해 No.7 신호 링크 관리를 위한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 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No.7 신호에 관련된 관리 객체는,
    각 신호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의 코드를 가지며, 각 신호 노드별로 값을 달리하는 신호점 종단 점인 "MTP(Message Transfer Part)계층 신호점(mtpSignPoint)", 목적지를 같이 하는 신호 링크의 집합인 "신호 링크셋(SignLinkSetTp)", 신호 링크로서 신호 메시지를 전송 에러없이 전달하는 개념적인 신호 링크 회선인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 물리적인 신호 전달 회선으로서 망 관리에서는 연결 종단점(Connection Termination Point)을 표시하고 관리 객체내의 어튜리뷰트(Attribute)에서 ATM 교환기의 물리적인 연결점을 포인팅(Pointing)하는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 신호 처리 단말로서 통신망 노드 내에서는 신호 링크를 종단하며, 신호 링크상에서 전달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처리 기능을 가진 물리적인 처리 장치를 표시하는 "신호 처리 단말(SignTerm)"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관리망(TMN :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이하 TMN 이라 함)방식에 의해 No.7 신호 링크 관리를 위한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 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TM 망 요소와 관련된 관리 객체는,
    발신측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쌍방향 적응 트레일 구성(tcAdaptorTTPBid)", 가상 경로 인식자(VPI)값을 포함하는 "쌍방향 가상 경로 연결 구성(vpCTPBid)", 가상 채널 인식자(VCI)값을 포함하는 "쌍방향 가상 채널 연결 구성(vcCTPBid)" 및 가상 채널(VC)연결들이 다중화되는 가상 경로(VP)트레일을 나타내는 "쌍방향 가상 경로 트레일 구성(vpTTPBi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통신관리망(TMN :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이하 TMN 이라 함)방식에 의해 No.7 신호 링크 관리를 위한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 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된 생성 결과 정보에 의해서 에이전트에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의 하위 관리 객체인 "신호 처리 단말(signTerm)"이 생성되어 있는 지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 결과 생성되어 있지 않으면 "신호 처리 단말(signTerm)"을 생성하고,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 관리 객체에 "신호 처리 단말(signTerm)"에 대한 포인팅을 수행한 후,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 를 생성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생성되어 있으면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 를 생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 의 생성 확인 결과, 정상적이면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 에서 생성된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을 포인팅하는 처리를 한 후 "쌍방향 가상 경로 연결 구성(vpCTPBid)" 을 생성하고,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않으면 상기에서 생성된 "신호 처리 단말(signTerm)" 과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 을 삭제하고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 반영 실패를 출력하는 제 5 단계;
    상기 "쌍방향 가상 경로 연결 구성(vpCTPBid)" 의 생성 확인 결과, 정상적이면 "쌍방향 가상 경로 트레일 구성(vpTTPBid)" 을 생성하고,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않으면 상기에서 생성된 "신호 처리 단말(signTerm)",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 및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 를 삭제하고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 반영 실패를 출력하는 제 6 단계;
    상기 "쌍방향 가상 경로 트레일 구성(vpTTPBid)" 의 생성 확인 결과, 정상적이면 "쌍방향 가상 채널 연결 구성(vcCTPBid)" 을 생성하고,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않으면 상기에서 생성된 "신호 처리 단말(signTerm)",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 및 "쌍방향 가상 경로 연결 구성(vpCTPBid)"를 삭제하고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 반영 실패를 출력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쌍방향 가상 채널 연결 구성(vcCTPBid)" 의 생성 확인 결과, 정상적이면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 에서 생성된 "쌍방향 가상 채널 연결 구성(vcCTPBid)" 을 포인팅하고,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않으면 상기에서 생성된 "신호 처리 단말(signTerm)",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 "쌍방향 가상 경로 연결 구성(vpCTPBid)" 및 "쌍방향 가상 경로 트레일 구성(vpTTPBid)"를 삭제하고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 반영 실패를 출력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TMN 방식에 의해 No.7 신호 링크 관리를 위한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 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방법.
  6. 비동기전송모드(ATM)교환기에서 통신관리망(TMN)방식에 의해 No.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로칼 교환기로부터 No.7 신호 링크 삭제 결과를 수신받는 제 1 단계;
    상기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를 수신받은 에이전트가 관리객체를 이용해서 No.7 신호 링크 삭제 수행 결과를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수행 결과를 운용자에게 전달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관리망(TMN :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이하 TMN 이라 함)방식에 의해 No.7 신호 링크 관리를 위한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 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된 삭제 결과 정보에 의해, 에이전트에서 "쌍방향 가상 채널 연결 구성(vcCTPBid)"을 삭제하고,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에서 "쌍방향 가상 채널 연결 구성(vcCTPBid)"에 대한 포인팅을 삭제하는 제 4 단계;
    "쌍방향 가상 경로 트레일 구성(vpTTPBid)"을 삭제한 후, "쌍방향 가상 경로 연결 구성(vpCTPBid)"을 삭제하고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 를 삭제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 수행후,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에서 "신호 데이터 링크(signDataLinkTp)"에 대한 포인팅을 삭제하는 제 6 단계 및
    "신호 처리 단말(signTerm)"을 삭제하고 "신호 링크 종단(signLinkTp)"을 삭제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TMN 방식에 의해 No.7 신호 링크 관리를 위한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 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방법.
  8.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ATM 교환 시스템에,
    로칼 교환기로부터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를 수신받는 제 1 기능계;
    상기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를 수신받은 에이전트가 관리객체를 이용해서 No.7 신호 링크 생성 수행 결과를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제 2 단계의 수행 결과를 운용자에게 전달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9.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ATM 교환 시스템에,
    로칼 교환기로부터 No.7 신호 링크 삭제 결과를 수신받는 제 1 기능계;
    상기 No.7 신호 링크 생성 결과를 수신받은 에이전트가 관리객체를 이용해서 No.7 신호 링크 삭제 수행 결과를 에이전트에 반영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제 2 단계의 수행 결과를 운용자에게 전달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77941A 2000-12-18 2000-12-18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여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통신 관리망 방식에 의해 넘버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KR100358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941A KR100358170B1 (ko) 2000-12-18 2000-12-18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여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통신 관리망 방식에 의해 넘버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941A KR100358170B1 (ko) 2000-12-18 2000-12-18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여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통신 관리망 방식에 의해 넘버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712A KR20020048712A (ko) 2002-06-24
KR100358170B1 true KR100358170B1 (ko) 2002-10-25

Family

ID=2768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941A KR100358170B1 (ko) 2000-12-18 2000-12-18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여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통신 관리망 방식에 의해 넘버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720B1 (ko) * 2002-10-31 2005-08-17 주식회사 케이티 비동기 전송 모드 망의 연결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0310B1 (ko) 2019-02-28 2020-02-2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위상 배열 레이더의 표적 탐지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292202B1 (ko) 2020-02-21 2021-08-23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완전 디지털 능동 배열 레이더의 표적 탐지 방법 및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712A (ko) 200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3660B2 (ja) 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US6944657B1 (en) Automatic network synchronization of the network configuration with the management information database
US20020064159A1 (en) Establishment of designated S-PVC connection in PNNI operation ATM switching apparatus network
US6466583B1 (en) Integration of SNMP and CMIP
KR100358170B1 (ko) 로칼 교환기에서의 신호 링크 생성 및 삭제 결과를 망관리 에이전트에 반영하여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통신 관리망 방식에 의해 넘버7 신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KR100273061B1 (ko) 네트워킹 시스템과 교환기간 정합 장치 및 그 방법
JP3903264B2 (ja) 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Cisco 9.2.01 Version Software Release Notes Cisco WAN Switching System Software
KR20010063994A (ko) 비동기전송모드 망에서 티엠엔 방식에 의한 신호 링크의생성 및 삭제 방법
KR20020049766A (ko)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기에서 통신관리망에 의한 소프트고정 가상 회선 연결의 설정 및 해제 방법
KR100613963B1 (ko) 비동기식 전송 모드 초고속 정보 통신망 구성 장치 및 그구성관리 방법
Lin et al. Network information models and OneVision® architecture
KR100454179B1 (ko) 티엠엔 에이전트와 교환 시스템간의 연결 정보 일치 방법
KR100503412B1 (ko) Tmn 에이전트에서 점대점 vp 영구 가상 경로 연결방법 및 해제 방법
KR100281662B1 (ko) 전기통신관리망 망관리요소계층에서의 가입자 주소 헤더정보 관리방법
KR100256671B1 (ko) 통신관리망 연결 관리를 위한 관리대행자와 교환시스템간의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
KR100256700B1 (ko) 관리 대행자 시스템에서 전용선 가상 연결 설정 방법
KR100327116B1 (ko) 통신 관리망 기반의 통합 엑세스망 관리자 시스템 및 그를이용한 엑세스망 운용관리 방법
Fujii et al. An ATM transport network operation system based on TMN
KR100275530B1 (ko) 통신관리망 시스템에 의한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상태 관리 방법
KR20000046367A (ko)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기와 통신관리망 관리 시스템 사이의 비동기 전달 모드 관리 메시지 처리 방법
KR101034915B1 (ko) 비동기식 전송 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의 메트로이더넷-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복합 연결 관리 방법
JP2001313649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コネクション切替方法
KR20040051856A (ko) Atm 망에서 점대점 vc pvc의 설정 및 해제 방법
Ohta et al. Management information and its optimal allocation for ATM networks with a protection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