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0314A -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 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 - Google Patents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 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0314A
KR19990050314A KR1019970069408A KR19970069408A KR19990050314A KR 19990050314 A KR19990050314 A KR 19990050314A KR 1019970069408 A KR1019970069408 A KR 1019970069408A KR 19970069408 A KR19970069408 A KR 19970069408A KR 19990050314 A KR19990050314 A KR 19990050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absorbent
absorption
reaction
ad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9461B1 (ko
Inventor
민병무
백일현
이종섭
남성찬
노승욱
Original Assignee
최수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최수현
Priority to KR1019970069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461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93Selection of liquid materials for use as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75Removing 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20Organic absorbents
    • B01D2252/204Amines
    • B01D2252/2041Di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20Organic absorbents
    • B01D2252/204Amines
    • B01D2252/20478Alkanolamines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 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의 이산화탄소 흡수용 화학흡수제로 사용되고 있는 제 3급 알칸올아민에 반응활성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흡수속도 및 흡수양을 증진시킨 혼합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흡수제는 한가지 이상의 제 3급 알칸올아민과 반응활성화제의 혼합 수용액으로써, 이산화탄소의 흡수속도를 18∼290%, 이산화탄소의 흡수능을 4∼238% 향상시킬 수 있는 흡수제이다.

Description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 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
본 발명은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 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구 온난화 가스 중의 하나인 이산화탄소 흡수를 위한 흡수제 개발을 위하여 상용화 되어 있는 이산화탄소 화학흡수제에 첨가제를 혼합함으로써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킨 흡수제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이용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지구 온난화 문제는 1994년부터 유엔의 기후 변화에 대한 기본 협약이 발효되어 선진국에서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지구 온난화 가스의 배출량을 2000년부터 1990년 수준으로 동결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는 등, 온난화 가스에 대한 국제적인 규제가 예상되며, 향후 선진국들이 탄소제 도입을 본격화하고 이를 무역 규제와 연결시킬 경우, 우리나라 산업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활동을 위축시키지 않으면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처리공정들이 연구되고 있는데 이를 크게 분류하면 이산화탄소의 분리, 회수공정과 고정화 및 자원화의 두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분리 회수 기술로는 흡수법, 흡착법 및 막분리법등이 연구개발되고 있으나, 최단 시일내에 적용 가능한 분리공정은 흡수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흡수법에 의한 공정 배가스에서의 이산화탄소 분리, 회수공정은 1970년 후반과 1980년 초반, 이미 미국에서 상용공정을 설치, 운전한 바 있으나, 장치에 대한 부식성, 흡수제의 열화 및 흡수제 재생에 필요한 별도의 에너지원에 의한 경제성등의 문제에 따른 개선의 여지가 많아, 이들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운 흡수제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 흡수제 개선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메틸디에탄올아민(methyldiethanolamine: 이하 MDEA라 칭함)에 집중되고 있다.
제 3급 알칸올아민인 MDEA는 황화수소와 빠른 반응을 가지며 이산화탄소와는 비교적 느리게 반응하기 때문에, 황화수소와 이산화탄소 모두를 함유하고 있는 가스 흐름에서 황화수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공정에 흔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MDEA는 증기압이 낮아 증발에 의한 용매의 손실이 거의 없을 뿐아니라, 열적, 화학적 변성에 강하고 부식성이 없으며, 열용량 및 이산화탄소와의 반응열이 작아 합성가스나 천연가스에서 이산화탄소의 벌크분리에도 유용하다.
또한, MDEA는 이산화탄소와 직접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압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의해서도 어느 정도의 탈거가 가능하며, 가열에 의한 탈거시에도 에너지 요구량이 MEA나 DEA에 비하여 대단히 작다는 장점을 가지므로, 습수식 분리법의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경제성 문제를 해결하는데 보다 유리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산화탄소와의 반응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높은 이산화탄소의 분압과 다량의 흡수제를 순환하여야 하기 때문에,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이와 MEA라 칭함)나 디에탄올아민(diethanolamine: 이하 DEA라 칭함)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높은 충전 높이와 큰 충전탑의 직경을 필요로 하게 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생에너지가 작고, 부식성이 작은 MDEA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면서 이산화탄소의 흡수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MDEA를 주 흡수제로 사용하면서, 소량의 반응활성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흡수제를 개발하여야한다.
따라서 알칸올아민을 이용한 가스 세정공정에 있어서, 1) 새로운 화학구조를 갖는 아민을 사용하는 방법과 2) 첨가제의 혼합을 이용한 기존 흡수제의 개선과 3) 공정 설계변수 및 운전 방법의 최적화에 의한 흡수제의 열회 및 손실 저감 및 4) 열화된 아민의 리클레이밍 방법의 개선 등의 방법이 필요하다.
이들 방법 중 공정 설계 변경과 리클레이밍 개선의 방법은 새로 설치된 공정에의 적용을 검토하여야 하며, 이미 설치되어 있는 흡수장치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흡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흡수제의 개방 및 기존 흡수제의 문제점을 개선하여야 한다.
그러나, 새로운 흡수제를 개발하는 경우, 그에 따른 문제점의 도출 등 추후 진행되어야 할 문제들이 많기 때문에 최단 시일내에 실제 공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미 도출된 기존 흡수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첨가제의 혼합에 의한 흡수제의 개선방법이 가장 유리하다.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의 흡수제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MDEA는 장치에 대한 부식성이 적으며, 흡수제의 재생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량이 작은 등, 흡수장치의 운전비에 대한 경제성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산화탄소와의 흡수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흡수장치의 직경과 높이가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설치비의 측면에서는 불리하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의 흡수제로서 MDEA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흡수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이산화탄소 흡수용 화학흡수제로 사용되고 있는 제 3급 알칸올아민에 반응활성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흡수속도 및 흡수양을 증진시킨 혼합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제1도는 이산화탄소 흡수반응시간에 따른 계 내의 압력변화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제2도는 MDEA의 개선 흡수제의 흡수 평형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이산화탄소 흡수반응시간에 따른 계 내의 압력변화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도, 도 2는 MDEA의 개선 흡수제의 흡수 평형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최근 이산화탄소의 화학흡수제로 주목받고 있는 MDEA에 반응활성화제 중 분자량이 MDEA와 유사한 헥사메틸렌디아민(Hexamethylenediamine: 이하 HMDA라 칭함)을 첨가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흡수속도 및 흡수능이 향상된 흡수제를 개발하였다(분자량 : MDEA : 119.17, HMDA : 116.21).
우선 비교 물질은 MDEA와 개발된 흡수제의 이산화탄소 흡수 메커니즘 차이를 살펴보면, MDEA는 아민기 중의 H가 탄소로 완전히 치환되어 있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와 직접 반응하지 못하며, 이산화탄소의 가수분해 반응에 대한 연기 촉매반응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반응의 총괄 반응 메커니즘은
로 주어지며 이러한 반응 메커니즘은 물 분자에 의한 MDEA 분자의 회합이 제 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반응에 대하여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Versteeg와 van Swaaij는 수용액 상태가 아닌 에탄올과 MDEA의 혼합용액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흡수반응은 물리흡수 현상만이 나타난다는 실험결과를 발표하였으며, 이들의 결과에 의하면 이산화탄소 흡수제로서 제 3급 알칸올아민을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수용액 상태로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반면, 반응 활성화제롤 첨가된 HMDA는 NH2(CH2)6HN2의 구조를 갖는 물질로, 양끝단에 1개씩, 2개의 제 1급 아민기를 가지고 있어, 기-액 계면에서 이산화탄소와 직접 반응함에 의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이 반응에 의한 반응 생성물의 농도차에 확산에 의하여 벌크 액상으로 이동하여 MDEA와 반응한다.
이 반응 과정에서 HMDA와의 반응에 의하여 흡수되어 있던 이산화탄소가 MDEA로 전달되며, 반응 생성물로 유리 HMDA을 생성하여 생성된 유리 아민은 다시 이산화탄소와의 기-액 접촉 반응에 따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게 된다.
HMDA가 MDEA를 활성화시키는 흡수 메커니즘은 다음의 화학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흡수 메커니즘의 차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흡수반응 속도와 흡수능의 차이가 나타나는데, MDEA의 촉매반응에 의한 이산화탄소 흡수반응 속도에 비하여 HMDA의 이산화탄소 흡수반응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흡수속도의 향상이 일어나게 되며,MDEA와 이산화탄소가 1:1의 화학양론비로 반응하는데 비하여 1몰의 HMDA가 2몰의 이산화탄소와 반응하게 되므로, 흡수능 역시 증가하게 된다.
다시 한 번 설명하자면 이산화탄소를 분리 회수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제에 있어서, 한가지 이상의 제 3급 알칸올아민과 반응활성제의 혼합수용액으로써, 이산화탄소의 흡수제를 18∼290%, 이산화탄소의 흡수능을 4∼238%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 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 성능을 개선한 흡수제인데,
상기 제 3급 알칸올아민에는 메틸디에탄올아민(methyldiethanolamine),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디메틸에탄올아민(dimethylethanolethanolamine), 디에틸에탄올아민(diethylethanolamine), 메틸디이소프로판올아민(methyldiisopropanolamine)과 이들의 혼합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 3급 알칸올아민의 농도는 5∼75wt%수용액으로 하며,
상기 반응활성제는 화학구조상 양 끝단에 각각 하나의 제 1급 아민기를 가진 NH2-(CH2)m-NH2및 중간의 폴리메틸렌 구조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에 질소 원자가 치환된 구조를 갖고,
상기 반응활성화제에는 헥사메틸렌디아민(Hexamethyl enediamine),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 디에틸렌트리아민(Diethylenetri amine),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Tetraethylenepentaamine)과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반응활성화재의 농도는 0.7∼20wt%로 하고,
상기 이산화탄소의 흡수제는 수용액 상태로, 25% 이상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실시예)
이 장에서는 본 발명에서의 한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50℃의 실험온도에서, 20.5% MDEA 및 20.5%MDEA + 0.7%HMDA, 20.5%MDEA + 7.0%HMDA 및 20.5%MDEA + 14.4% HNDA 수용액에 의한 이산화탄소 흡수 속도 및 흡수능 측정실험을 수행함으로써, HMDA의 첨가에 의한 MDEA의 이산화탄소 흡수 속도와 흡수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시약은 제 3급 알칸올아민인 알드리치(Aldrich)사의 99% MDEA와, 첨가제로서 반응 활성화제 역할을 하는 알드리치(Aldrish)사의 70% HMDA수용액으로, 이들 시약을 1차 증류수와 혼합하여 수용액 상태의 흡수액으로 사용하였다.
실험장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량을 측정하기 위한 가스 저장조와 흡수반응시 가스의 순환을 위한 가스 저장조 및 알칸올아민에 의한 이산화탄소 흡수 반응이 일어나는 흡수 반응기로 구성되었으며, 실험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공기 항온조내에 설치하였다.
흡수실험은 전동기로 구동하는 내경 2.5cm, 행정거리 3cm의 실린더형 피스톤 펌프를 이용하여 가스를 순환시킴으로서 기-액 접촉을 통한 평형점에 빨리 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흡수 반응기 하단에는 주입되는 이산화탄소의 분산을 위하여 글래스 비드(glass bead)를 충진하였으며, 가스의 순환을 확인하기 위하여 흡수 반응기에 뷰셀(view cell)을 설치하였다.
가스 저장조 및 흡수 반응기는 원통형 스테인레스감으로 제작하였고, 양단부부은 원추형의 플랜지를 이용하여 가스 이송관과 연결하였다.
계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흡수반응기 및 가스저장조에 0.001kgf/cm2의 정밀도를 가지는 3개의 압력변화기를 설치하였으며, 온도 측정을 위하여 흡수 반응기의 기상 및 액상온도와 저장조에 K형 열전대를 설치하였다.
측정온도와 압력은 요코가와(Yokogawa)사의 30채널 하이브리드 레코더(30 Channel Hybrid Recorder : Model HR2300)를 이용하여 기록하였으며, 이를 전송하여 컴퓨터에 데이터 파일로 저장토록 구성하였다.
가스상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Model HP5890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가스상에 존재하는 흡수제의 응축을 위하여 가스시료 채취부분에 응축기를 설치하였다.
GC는 표준가스(3.06% O2, 16.02% CO2, N2balanced)를 사용하여 검징하였다.
실험을 수행하기에 앞서, 밴트(vent)밸브를 열어준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질소가스를 가스 저장조 및 흡수 반응조에 주입함으로써 내부의 공기 및 불순기체를 제거하고, 질소 대기상태를 유지하였으며, GC분석을 통하여 장치 내부에 질소 이외의 다른 성분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흡수제 주입구를 통해 준비된 혼합용액을 주입한 후, 가스 순환용펌프를 작동시키면서, 실험온도로 승온시켜 이때의 평형 압력을 측정하였다.
평형온도 및 압력에 도달한 후, 이산화탄소 주입용 가스 저장조의 밸브를 열어 일정량의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고, 펌프를 작동시켜 기-액 접촉을 통한 이산화탄소의 흡수반응을 개시하였다.
초기상태의 이산화탄소 분입은 이산화탄소 주입 전후의 압력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이산화탄소 주입 이전의 평형 압력은 질소 가스압, 수증기압과 아민 증기압의 합이며, 주입된 이산화탄소의 양은 이산화탄소 주입 전후의 이산화탄소 주입용 가스 저장조 압력변화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흡수 반응기 및 저장조 내부의 압력은 알칸올아민 수용액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흡수에 따라 감소하게 되며, 더 이상의 압력 변화가 나타나지 않으면 흡수 평형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때의 압력을 측정하여 이산화탄소의 평형 부하 및 분압을 계산하였다.
혼합 흡수액의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속도의 비교를 위하여, 동일한 초기 조건에서의 흡수평형 실험을 수행하였다.
흡수 속도의 비교실험은 50℃에서 수행하였으며, 초기압려 P=215kPa, 이산화탄소의 분율 y=0.536의 조건에서 14.7ℓ/min의 일정한 속도로 가스를 순환하였다.
또한, 이산화탄소 흡수능의 향상 실험은 이산화탄소를 추가로 주입하면서 각 단계에서의 흡수평형 실험을 반복 수행하였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 3급 알칸올아민은 예를 들어 MDEA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같은 제 3급 알칸올아민인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이하 TEA라 칭함)도 사용할 수 있으며, 반응 활성화제로 HMDA를 예로 들었으나. NH2-(CH2)m-NH2및 중간의 폴리메틸렌 구조 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에 질소 원자가 치환된 구조를 갖는 화학물질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 3급 알칸올아민(MDEA)의 농도는 예를 들어 20.5%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5%∼75%수용액도 사용할 수 있다.
가) 흡수반응속도의 효과
이산화탄소의 분압이 매우 크거나 흡수액의 전환율이 높은 경우가 아니라면, 액상 흡수액의 벌크 농도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액상 계면에서의 흡수액의 농도는 일정하다고 가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반응은 다음과 같은 이산화탄소 분압에 대한 가역 의사 1차반응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위 식을 적분하여 정리하면 다음의 (8)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흡수액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겉보기 속도상수의 도출을 위하여 초기압력 P=215kPa, 이산화탄소의 분율 y:0.536의 조건에서 흡수에 따른 시간에 대한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평형 도달시의 이산화탄소 분압과 2분 간격을 측정, 저장된 이산화탄소 분압과(2)식으로부터 Marquardt-Leverberg 희귀분석법을 사용하여 Kapp를 최적화하였다.
도 1에 흡수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농도(분압)변화를 나타내었으며, 겉보기 속도상수(Kapp)를 이용한 계산값을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HMDA농도의 증가에 따라 이산화탄소 흡수에 의한 압력강하가 급격히 일어남을 볼 수 있었으며, 이는 HMDA농도의 증가에 따라 흡수 속도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계산된 Kapp는 HMDA농도에 따라 0.57%∼1.80×103의 값을 가지고 있으며, HMDA농도 증가에 따라 20.5% MDEA 수용액에 비하여 18∼292%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었다.
각 흡수제에 대하여 구한 겉보기 속도상수 Kapp를 사용하여 흡수반응에 따른 이산화탄소 분압의 계산값과 실측값을 비교한 결과, 각 혼합용액에 대한 백분율 평균편차는 0.29∼8.30%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따라서 이산화탄소와 이들 흡수제의 반응속도는 가역 의사 1차 반응식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평형 흡수능의 향상
50℃, 이산화탄소 분말 80kPa 이내의 범위에서 HMDA 농도에 따른 흡수평형의 변화물 도 2에 나타내었으며, 비교를 위하여 14.4% HMDA의 이산화탄소 흡수농도를 함께 도시하였다.
도를 통하여 HMDA의 농도 증가에 따라 이산화탄소 흡수능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으며, HMDA을 첨가한 혼합 흡수액의 이산화탄소 흡수능을 20.5% MDEA의 흡수능과 징량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다음의 (3)식과 같이 정의되는 증진인자(E)를 도입하였다.
증진인자는 동일한 이산화탄소 농도(분압)에서 HMDA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있으며, 연소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해당하는 이산화탄소 분압이 10kPa인 경우의 증진인자를 계산한 결과, HMDA농도의 증가에 따라 205wt% MDEA 수용액에 비하여 13∼238%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본 연구 범위중 최고 이산화탄소 농도인 이산화탄소 분압 80kPa의 경우 20.5% MDEA의 흡수속도 및 흡수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통하여 개발된 흡수제를 사용함으로써 MDEA에 비하여 이산화탄소의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흡수처리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MDEA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흡수탑의 직경과 높이를 줄일 수 있어 장치의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흡수제의 순환을 위한 동력비가 절감되어 흡수공정의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던 경제성 향성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구성과 작용효과를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예시의 목적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제시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7)

  1. 이산화탄소 분리 회수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제에 있어서,
    한가지 이상의 제 3급 알칸올아민과 반응활성제의 혼합수용액으로써, 이산화탄소의 흡수속도를 18∼290%, 이산화탄소의 흡수능을 4∼238%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 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급 알칸올아민에는 메틸디에탄올아민(methyldiethanolamine),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디메틸에탄올아민(diemethylethanolamine), 디에틸에탄올아민(diethylethanolamine), 메틸디이소프로판올아민(methydiisopropanolamine)과 이들의 혼합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 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급 알칸올아민의 농도는 5∼75wt%수용액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 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활성제는 화학구조상 양 끝단에 각각 하나의 제 1급 아민기를 가진 NH2-(CH2)m-NH2및 중간의 폴리메틸렌 구조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에 질소 원자가 치환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 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활성화제에는 헥사메틸렌디아민(Hexamethylenediamine),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 디에틸렌트리아민(Diethylenetriamine),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Tetraethylenepentaamine)과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 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활성화제의 농도는 0.7∼20wt%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 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의 흡수제는 수용액 상태로, 25% 이상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 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
KR1019970069408A 1997-12-17 1997-12-17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 KR100259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408A KR100259461B1 (ko) 1997-12-17 1997-12-17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408A KR100259461B1 (ko) 1997-12-17 1997-12-17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314A true KR19990050314A (ko) 1999-07-05
KR100259461B1 KR100259461B1 (ko) 2000-07-01

Family

ID=1952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408A KR100259461B1 (ko) 1997-12-17 1997-12-17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4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627B1 (ko) * 2001-10-29 2004-02-11 한국전력공사 혼합가스로부터의 이산화탄소 분리용 흡수제
KR100470959B1 (ko) * 2002-11-15 2005-03-11 한국화학연구원 중공사막 접촉기용 이산화탄소 흡수제
KR20220108582A (ko) * 2021-01-27 2022-08-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 포집용 고성능 흡수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273B1 (ko) 2019-02-27 2020-10-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 흡수제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4104A (en) * 1987-02-05 1989-03-21 Uop Tertiary alkanolamine absorbent containing an ethyleneamine promoter and its method of us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627B1 (ko) * 2001-10-29 2004-02-11 한국전력공사 혼합가스로부터의 이산화탄소 분리용 흡수제
KR100470959B1 (ko) * 2002-11-15 2005-03-11 한국화학연구원 중공사막 접촉기용 이산화탄소 흡수제
KR20220108582A (ko) * 2021-01-27 2022-08-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 포집용 고성능 흡수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US11666853B2 (en) 2021-01-27 2023-06-06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Highly efficient CO2 absorb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9461B1 (ko)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e et al. Hollow fiber membrane contactor absorption of CO2 from the flue gas: review and perspective
US8603226B2 (en) Cyclic-amine-comprising absorption medium for removing acid gases
Zhang et al. Regeneration of 2-amino-2-methyl-1-propanol used for carbon dioxide absorption
EP2618914B1 (en) Solvent composition for carbon dioxide recovery
Ma'mum et al. Selection of new absorbents for carbon dioxide capture
Yan et al. Biogas upgrading by CO2 removal with a highly selective natural amino acid salt in gas–liquid membrane contactor
Budzianowski Mitigating NH3 vaporization from an aqueous ammonia process for CO2 capture
Saidi Mathematical modeling of CO2 absorption into novel reactive DEAB solution in hollow fiber membrane contactors; kinetic and mass transfer investigation
JP2012530597A (ja) ストリッピング助剤を含有する吸収剤を用いる酸性ガスの除去
Mesbah et al. Theoretical study of CO2 separation from CO2/CH4 gaseous mixture using 2-methylpiperazine-promoted potassium carbonate through hollow fiber membrane contactor
Halim et al. High pressure CO2 absorption from natural gas using piperazine promoted 2-amino-2-methyl-1-propanol in a packed absorption column
Wu et al. Kinetics analysis and regeneration performance of 1-butyl-3-methylimidazolium glycinate solutions for CO2 capture
Niknam et al. Experimental and modeling study of CO2 absorption by L-Proline promoted potassium carbonate using hollow fiber membrane contactor
AU2016202116B2 (en) Acidic gas absorbing agent, method for removing acidic gas and apparatus for removing acidic gas
Resnik et al. Study of an ammonia-based wet scrubbing process in a continuous flow system
KR100635698B1 (ko) 혼합가스 중의 산성가스 분리용 흡수제 및 혼합가스로부터산성가스의 분리방법
Saidi Kinetic study and process model development of CO2 absorption using hollow fiber membrane contactor with promoted hot potassium carbonate
KR100259461B1 (ko)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
KR101151264B1 (ko)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흡수제
CN113101782B (zh) 一种功能化离子液体吸收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Awais Determination of the mechanism of the reaction between CO2 and alkanolamines.
Suda et al. Countercurrent absorption of CO2 in a real flue gas into aqueous alkanolamine solutions in a wetted wall column
CN104667714A (zh) 深度脱除工业混合气中酸性气体的装置及方法
US11612853B1 (en) Fully automated direct air capture carbon dioxide processing system
Abdeen et al. Improvement of biogas upgrading process using chemical absorption at ambient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