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9378A -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9378A
KR19990049378A KR1019970068315A KR19970068315A KR19990049378A KR 19990049378 A KR19990049378 A KR 19990049378A KR 1019970068315 A KR1019970068315 A KR 1019970068315A KR 19970068315 A KR19970068315 A KR 19970068315A KR 19990049378 A KR19990049378 A KR 19990049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medium
layer
photosensitive
clean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4611B1 (ko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8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611B1/ko
Publication of KR19990049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9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8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removing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58Liquid develop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26Cleaning of foreign matter, e.g. paper powder, from imaging member
    • G03G2221/0068Cleaning mechan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습식 현상제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표면의 잔류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그 외주면에 접착제층을 가지며 상기 감광매체와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시에 상기 감광매체상의 잔류현상제가 상기 접착제층에 묻어나도록 된 클리닝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용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 등에 적용된다. 이것은 현상제로 분말 토너(toner)를 사용하는 건식과, 액상의 캐리어에 혼합된 액체 토너를 사용하는 습식이 있는데, 인쇄 품질이 좋으며 유해한 토너 분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습식의 이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 두가지 방식은 모두 정전 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 매체에 대전 상태의 토너나 액체토너를 전사시킨 후, 그 감광매체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전사 롤러 사이로 용지를 통과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용지에 인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의 순환에 의해 깨끗한 인쇄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감광매체에 도포된 현상제가 전사과정에서 기록용지 또는 기록용지로의 화상전이를 중계하는 전사롤러로의 100%전이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전사과정에서 기록용지 또는 상기 전사롤러로 현상제가 100%전이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렵고, 전사과정 이후에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소량의 현상제가 상기 감광매체에 잔류하게 된다.
제거되지 않은 잔류 현상제는 이후 계속적인 인쇄횟수에 비레하여 누적되어 인쇄화상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러한 잔류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의 클리닝 장치는,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감광매체상의 잔류 현상제를 긁어내고, 클리닝 리퀴드를 이용하여 감광매체표면과 상기 블레이드에 묻어있는 잔류 현상제를 씻어주어 클리닝한다. 상기 클리닝 리퀴드 공급장치는 상기 클리닝 리퀴드를 공급하고 회수하는데 피요한 펌프와 필터, 상기 클리닝 리퀴드를 저장하는 저장조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는 클리닝 리퀴드 공급장치와 펌프, 필터, 저장조등 많은 부품이 필요하다. 따라서 클리닝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원가가 높아진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감과매체와 접촉하면서 감광매체상의 잔류 현상제를 클리닝하기 때문에 감광매체표면이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인해 감광매체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구조가 간단해진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가 설치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제 1도의에 도시된 클리닝 롤러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가 설치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전사 롤러 16...압축 롤러
20...감광 벨트 21...전사 백업 롤러
22...스티어링 롤러 23...구동 롤러
24...히팅 장치 25...제전기
26...대전기 30...클리닝 롤러
30a...접착제층 30b...지지층
30c...탄성층 30d...지지축
30e...절취선 32...압축코일 스프링
34...백업 롤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과매체 클리닝 장치는, 습식 현상제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표면의 잔류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그 외주면에 접착제층을 가지며 상기 감광매체와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시에 상기 감광매체상의 잔류현상제가 상기 접착제층에 묻어나도록 된 클리닝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리닝 롤러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층; 상기 탄성층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접착제층을 가지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지지층은 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층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고, 교환이 용이하도록 절취선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는 상기 감광매체와의 접촉향상을 위해 상기 클리닝 롤러를 상기 감광매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습식 현상제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표면의 잔류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그 외주면에 접착제층을 가지며 상기 감광매체와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시에 상기 감광벨트상의 잔류현상제가 상기 접착제층에 묻어나도록 된 클리닝 롤러; 상기 감광매체와의 접촉향상을 위해 상기 클리닝 롤러를 상기 감광매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 상기 감광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클리닝 롤러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클리닝 롤러로부터 상기 감광벨트에 전달되는 압력을 지지하는 백업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 롤러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접착제층을 가지는 지지층;을 포함하고, 특히 상기 백업 롤러가 상기 감광매체에 탄력접촉되도록, 상기 백업 롤러의 외주면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가 설치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2는 제 1도에 도시된 클리닝 롤러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구동 롤러(23), 전사 백업 롤러(21), 및 스티어링 롤러(22)등에 지지된 상태로 무한 궤도 상을 회전하는 감광 벨트(20)를 포함한다. 상기 감광 벨트(20)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차례대로 제전기(25), 대전기(26), 최소한 하나 이상의 현상장치(18), 히팅 장치(24), 전사 롤러(14), 및 본 발명의 특징부인 클리닝 롤러(30)와 백업 롤러(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광 벨트(20)가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전기(25)위치에서는 제전기(25)의 램프가 점등되어 감광 벨트(20)에 잔류되어 있는 잠상 전위가 제거된다. 대전기(26)에서는 고압이 인가된 코로나 전류에 의해 감광 벨트(20) 표면에 균일한 전하가 축적되어 감광 벨트(20) 표면은 균일하게 대전이 된다. 감광 벨트 표면의 대전상태는 각각의 현상기(18)에 근접 설치된 레이저 주사 장치(미도시)로부터 레이저 비임(beam)을 주사함으로써 전위가 변화될 수 있다. 레이저 주사장치에 의한 비임 주사는 감광 벨트(20)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킨다. 상기 정전 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와 액상의 케리어로 된 현상액을 부착시켜 현상하는 현상 장치(18)가 있다. 특히, 칼라프린터인 경우에는 안료의 색상에 따라 블랙(black), 옐로우(yellow), 시안(cyan) 및, 마젠타(magenta) 컬러를 현상할 수 있는 다수의 현상 장치(18)와 다수개의 레이저 주사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상술한 정전 잠상의 형성과 현상액의 부착을 반복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현상장치(18)에 의해 감광 벨트(20)에 부착된 현상액은 현상장치(18) 내에서 여분의 현상액이 제거된 얇은 현상액만을 형성하게 되고, 또다시 마련된 상기 히팅 장치(24)는 감광 벨트(20)상에 현상된 현상액중의 액체 캐리어만을 흡수, 건조시켜 감광 벨트(20) 표면상의 현상액은 거의 제거되고 현상액은 건조상태로 되어 토너 이메이지(T)만 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너 이메이지(T)는 상기 전사 롤러(14)에 의해 열과 압력을 받아 전사 롤러(14) 표면으로 전이된다. 전사 롤러(14)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사 롤러(14)상의 토너 이메이지(T)는 압력 롤러(16)와 전사 롤러(14)사이로 공급되는 용지(P)면으로 전사되어 최종 화상이 완성된다.
여기서 감광 벨트(20) 표면이 오염되거나, 전사시 온도와 압력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감광 벨트(20)상의 토너 이메이지(T)가 전사롤러(14) 표면으로 100% 전사되지 못하여 일부 토너가 감광 벨트(20) 표면상에 잔류한다. 이렇게 잔류된 토너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장치에 의해서 클리닝 된다.
이러한 클리닝 장치는 전사 롤러(21)와 제전기(25) 사이에 설치된 클리닝 롤러(30), 백업롤러(34), 및 압축 코일 스프링(32)을 포함한다.상기 클리닝 롤러(30)는 항상 감광 벨트(20)와 접촉하고 있다. 클리닝 롤러(30)는 도면에서와 같이 압축코일 스프링(32)을 포함하는 가압 수단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20)쪽으로 가압된다. 상기 클리닝 롤러(30)는 지지축(30d)과 상기 지지축(30d)의 외주면에 마련된 탄성층(30c)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층(30c)의 외주면에는 그 외주면에 접착제층(30a)을 가지는 지지층(30b)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층(30b)에는 절취선(30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백업 롤러(34)는 상기 감광벨트(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클리닝 롤러(30)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동작을 살표보면, 상기 감광벨트(20)는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백업 롤러(34)는 그 감광 벨트와의 마찰력에 의해 감광 벨트(20)의 이동 방향에 따라 회전한다. 이때 클리닝 롤러(30)도 상기 감광벨트(20)와 접촉하면서 감광벨트(20)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탄성층(30c)은 탄성 변형가능하며, 그 탄성변형시에 복원력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클리닝 롤러(30)는 감광 벨트(20)를 가압하게 되어, 클리닝 롤러(30)와 감광 벨트(20)와의 접촉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32)은 상기 클리닝 롤러(30)를 감광 벨트(20)쪽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클리닝 롤러(30)는 감광벨트(20)에 밀착하여 접촉하게 된다. 백업 롤러(34)는 클리닝 롤러(30)를 통해 감광벨트(20)로 전해지는 가압력을 지지하면서 클리닝 롤러(30)와 감광벨트(20)의 접촉을 향상시킨다. 이렇게 감광벨트(20)와 클리닝 롤러(30)가 접촉하면서, 감광 벨트(20)상의 잔류 토너는 클리닝 롤러(30)에 마련된 상기 접착제층(30a)에 의해 제거된다. 접착제층(30a)은 통상 접착테이프에 사용하는 접착물질등을 상기 지지층(30b)에 도포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접착제층(30a)의 수명이 다하였을 경우에 접착제층(30a)을 교환하여야 한다. 그런데 접착제층(30a)은 상기 지지층(30b)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지지층(30b)을 교환하면 된다.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층(30b)을 상기 탄성층(30c)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깨끗한 접착제층(30a)을 구비한 다른 지지층(30b)을 탄성층(30c)에 결합함으로써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교환이 용이하도록 지지층(30b)에는 절취선(30e,도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층(30b)을 교환할 때 상기 절취선(30e)을 따라 지지층(30b)의 일부를 뜯어낸 후에 지지층(30b)을 제거한다. 깨끗한 접착제층(30a)을 가지는 지지층(30b)을 탄성층(30c)에 결합할때, 탄성층(30c)의 복원력이 지지층(30b)에 작용하도록 지지층(30b)의 내경을 탄성층(30c)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층(30b)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탄성층(30c)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층(30b)이 탄성층(30c)에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 롤러(30)는 지지축(30d)의 외주면에 지지층(30b)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층(30b)은 그 외주면에 접착제층(30a)을 구비하고 있다. 백업 롤러(34)는 지지축(30d)과 그 외주면에 결합된 탄성층(30c)을 구비하면서, 감광벨트를 사이에 두고 클리닝 롤러(30)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로부터 얻어지는 작용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한정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으나,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부품에 의해 구성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 더욱이 일부 부품을 교환하면서 상기 클리닝 장치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운용비용도 저렴하다.

Claims (10)

  1. 습식 현상제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표면의 잔류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그 외주면에 접착제층을 가지며 상기 감광매체와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시에 상기 감광매체상의 잔류현상제가 상기 접착제층에 묻어나도록 된 클리닝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층;
    상기 탄성층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접착제층을 가지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층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상기 지지층에는 절취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매체와의 접촉향상을 위해 상기 클리닝 롤러를 상기 감광매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클리닝 롤러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클리닝 롤러를 통해 상기 감광벨트에 전달되는 압력을 지지하는 백업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
  7. 습식 현상제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표면의 잔류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그 외주면에 접착제층을 가지며 상기 감광매체와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시에 상기 감광벨트상의 잔류현상제가 상기 접착제층에 묻어나도록 된 클리닝 롤러;
    상기 감광매체와의 접촉향상을 위해 상기 클리닝 롤러를 상기 감광매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 상기 감광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클리닝 롤러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클리닝 롤러로부터 상기 감광벨트에 전달되는 압력을 지지하는 백업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롤러는 지지축과, 그 외주면에 상기 접착제층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롤러가 상기 감광매체에 탄력접촉되도록, 상기 백업 롤러의 외주면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층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상기 지지층에는 절취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
KR1019970068315A 1997-12-12 1997-12-12 화상형성장치의감광매체클리닝장치 KR100304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315A KR100304611B1 (ko) 1997-12-12 1997-12-12 화상형성장치의감광매체클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315A KR100304611B1 (ko) 1997-12-12 1997-12-12 화상형성장치의감광매체클리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378A true KR19990049378A (ko) 1999-07-05
KR100304611B1 KR100304611B1 (ko) 2001-11-02

Family

ID=3752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315A KR100304611B1 (ko) 1997-12-12 1997-12-12 화상형성장치의감광매체클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320B1 (ko) * 2002-01-12 2004-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기의 전사벨트 클리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320B1 (ko) * 2002-01-12 2004-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기의 전사벨트 클리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4611B1 (ko) 200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0424B2 (en) Cleaning mechanism for an intermediate transfer body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19990069625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 롤러 클리닝장치
US5999778A (en) Developing device of wet type printer
KR200168977Y1 (ko) 화상형성장치
KR100304611B1 (ko) 화상형성장치의감광매체클리닝장치
US6445898B2 (en) Cleaning structure for a developing unit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20030235441A1 (en)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subsidiary intermediate transfer unit for improving transfer efficiency
JP2005215321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0829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KR100243237B1 (ko) 전사사진방식프린터용현상기
KR100354064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클리닝장치 및 이 클리닝장치를가지는 인쇄기
KR100335427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전사롤러크리닝장치
KR200321605Y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 벨트 크리닝장치
KR200259771Y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액체캐리어제거장치
KR10038157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클리닝장치 및 이 클리닝장치를 가지는 인쇄기
KR100327204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감광매체크리닝장치
KR100425321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
KR10038598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KR100243120B1 (ko) 습식전자사진프린터
KR100261101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10034671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KR200160903Y1 (ko)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KR100477664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
KR100538206B1 (ko)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KR19990012050U (ko)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