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8278A - Optical pickup with light shield - Google Patents

Optical pickup with light shiel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8278A
KR19990048278A KR1019970066928A KR19970066928A KR19990048278A KR 19990048278 A KR19990048278 A KR 19990048278A KR 1019970066928 A KR1019970066928 A KR 1019970066928A KR 19970066928 A KR19970066928 A KR 19970066928A KR 19990048278 A KR19990048278 A KR 19990048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pickup
shielding film
optical
light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종삼
조건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6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8278A/en
Publication of KR1999004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278A/en

Links

Landscapes

  • Optical Head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트랙신호를 보정하기 위해 광픽업에 별도의 광차폐막을 구성하는 광픽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레이저광원과, 레이저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상에 최적이 되는 광스폿으로 집광시키는 기능을 갖는 대물렌즈와, 광스폿이 집광된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으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광을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수단 및 대물렌즈와 광검출수단의 사이에 위치하여 광검출수단에 맺히는 광의 일부를 차폐하여 트랙신호 검출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차폐막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랙오프셋이 발생하는 불량 광픽업의 경우, 광차폐막의 조정으로 트랙오프셋의 조정이 용이하여 광픽업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으며, 광픽업장치의 트랙신호의 안정화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optical pickup that configures a separate light shielding film for the optical pickup to correct a track signal.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aser light source, an objective lens having a function of conden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light source into an optimal light spot on the information recording surface of the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of the optical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optical spot is focused. Ligh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light reflected from the recording surface and passing through the objective lens, and a light shielding film positioned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light detecting means to shield a part of the light that is formed on the light detecting means, thereby controlling the amount of track signal detection light. It consists of.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defective optical pickup in which the track offset occurs, the track offset can be easily adjusted by adjusting the light shielding film, thereby lowering the defective rate of the optical pickup, and stabilizing the track signal of the optical pickup apparatus.

Description

광차폐막을 구비한 광픽업Optical pickup with light shield

본 발명은 트랙신호 보정을 위한 광픽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신호를 보정하기 위해 광픽업에 별도의 광차폐막을 구성하는 광픽업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pickup for correcting a track sig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tical pickup for configuring a separate light shielding film in an optical pickup to correct a track signal.

일반적으로 광픽업의 트랙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3빔(1개의 주빔, 2개의 부빔) 사용법으로 이는 격자에 의해 나누어진 3개의 빔중 두 개의 부빔을 이용하여 트랙킹하는 것이다.In general,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tracking the optical pickup is to use three beams (one main beam and two subbeams), which are tracked using two subbeams out of three beams divided by a grating.

도 1은 종래의 3빔 사용법의 광픽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광픽업은 전형적인 광학계구조를 갖는 것으로, 레이저다이오드(1)는 특정파장의 레이저광을 출사한다. 격자(2)는 입사된 레이저광을 3개의 갈라진 빔형태로 하여 광분할기(3)로 출사한다. 광분할기(3)는 3개의 갈라진 빔을 반사하여 반사경(4)으로 출사한다. 반사경(4)은 입사되는 3개의 빔을 반사하여 대물렌즈(5)로 출력한다. 대물렌즈(5)는 디스크(6)의 정보기록면에 광스폿을 형성한다. 또한, 디스크(6)로부터 반사된 광은 다시 대물렌즈(5)를 통과하고 반사경(4)과 광분할기(3)를 차례로 거치면서, 투과되어 수광렌즈(7)에서 집광된다. 포토다이오드(8)는 수광렌즈(7)에서 집광된 반사광을 검출한다. 포토다이오드(8)에는 3개의 빔이 집광되어 형성된다.1 is a view showing an optical pickup of the conventional three-beam usage. The optical pickup of FIG. 1 has a typical optical system structure, and the laser diode 1 emits laser light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The grating 2 emits the incident laser light into the splitter 3 in the form of three split beams. The light splitter 3 reflects three split beams and exits the reflector 4. The reflector 4 reflects three incident beams and outputs them to the objective lens 5. The objective lens 5 forms a light spot on the information recording surface of the disk 6. In addition,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disk 6 passes through the objective lens 5 again, passes through the reflecting mirror 4 and the light splitter 3, and then passes through and is condensed by the light receiving lens 7. The photodiode 8 detects the reflected light collected by the light receiving lens 7. The photodiode 8 is formed by condensing three beams.

도 2는 도 1의 포토다이오드에 맺힌 3빔상태도로서, 도 1의 포토다이오드(8)에 3개의 빔이 집광된 상태이며, 여기서, A는 실제 트랙에서 신호를 읽어들이는 주빔을 나타내며, B와 C는 트랙킹을 위한 부빔이다. 따라서, 트래킹신호는 포토다이오드의 B와 C에 맺힌 빔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의 차로서 얻게된다. 여기서 검출되는 신호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FIG. 2 is a three-beam state diagram formed on the photodiode of FIG. 1, in which three beams are focused on the photodiode 8 of FIG. 1, where A represents a main beam reading a signal from an actual track, and B And C are the boost beams for tracking. Therefore, the tracking signal is obta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s detected by the beams bound to B and C of the photodiode. The signals detected here are as shown in FIGS. 3 and 4.

도 3은 도 1의 포토다이오드 B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4는 도 1의 포토다이오드 C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과 도 4의 신호가 각각 서로 180°만큼의 위상차이를 갖는다. 이 두 신호의 차신호가 도 5이며, 도 5는 검출된 트랙에러신호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즉, 대물렌즈(5)가 원하고자하는 트랙을 계속해서 따라가면 본 신호는 직류성분만을 갖으며, 여러 트랙을 가로지를 경우 이와 같은 교류의 신호를 갖게된다. 본 교류신호의 중심치가 원하고자하는 트랙의 중심을 나타내는 것으로 회로적인 중심(일반적으로 0의 값을 갖는다)과 일치하여야 한다.FIG. 3 is a graph showing a signal detected by the photodiode B of FIG. 1, and FIG. 4 is a graph showing a signal detected by the photodiode C of FIG. 1. The signals of Figs. 3 and 4 each have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with each other. The difference signal between these two signals is Fig. 5, and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detected track error signal. That is, if the objective lens 5 continues to follow the desired track, this signal has only a direct current component, and if it crosses several tracks, it will have such an alternating signal. The center value of this AC signal represents the center of the desired track and should coincide with the circuit center (usually 0).

그러나, 포토다이오드(8) B, C 에 맺히는 광의 광량이 서로 다르거나 도 9와 같이 한쪽으로 치우쳐 맺힐 경우 트랙에러신호의 오프셋이 발생한다. 도 6에 도시한 오프셋이 발생된 트랙에러신호에서 보여주듯이 광픽업에서 여러 광부품의 조립과 조정시 발생하는 오차로 검출된 트랙신호의 중심이 회로적인 중심과 일치하지 않게 된다.However, when the amount of light to be formed on the photodiodes 8, B and C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is biased to one side as shown in Fig. 9, the offset of the track error signal occurs. As shown in the track error signal having the offset shown in FIG. 6, the center of the track signal detected by an error occurring during assembly and adjustment of various optical components in the optical pickup does not coincide with the circuit center.

하지만, 위와 같은 특성 조정을 하는 데 있어서 실제 물리적인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신호가 발생되어야 회로적인 조정이 가능하며 일정량의 미소신호를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을 경우(오프셋발생의 경우)재생신호가 매우 열화되어 성능에 나쁜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 characteristics adjustment, when the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actual physical center pos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ircuit and if the signal itself has a certain amount (if offset occurs), the playback signal is very deteriorated. There was a problem that adversely affects performan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트랙신호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발생하는 트랙에러신호의 오프셋을 개선할 수 있는 광차폐막을 구비한 광픽업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pickup having a light shielding film which can improve the offset of an optically generated track error signal in a track signal so a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도 1은 종래의 3빔 사용법의 광픽업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optical pickup of the conventional three-beam usage;

도 2는 도 1의 포토다이오드에 맺힌 3빔상태도,2 is a three-beam state diagram formed on the photodiode of FIG.

도 3은 도 1의 포토다이오드 B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보여주는 그래프,3 is a graph showing a signal detected by the photodiode B of FIG.

도 4는 도 1의 포토다이오드 C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보여주는 그래프,4 is a graph showing a signal detected by the photodiode C of FIG.

도 5는 검출된 트랙에러신호를 보여주는 그래프,5 is a graph showing a detected track error signal;

도 6은 중심어긋남(OFFSET : 이하 오프셋 이라 함)이 발생된 트랙에러신호를 보여주는 그래프,FIG. 6 is a graph showing a track error signal in which an offset occurs (offs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ffse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차폐막을 구비한 광픽업,7 is an optical pickup having a light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차폐막을 구비한 광픽업,8 is an optical pickup having a light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포토다이오드에 맺힌 3빔이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도,9 is a state in which three beams formed on the photodiode are biased to one side;

도 10은 광차폐막의 일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ight shielding film;

도 11은 포토다이오드 B부분에 맺히는 입사광을 차폐한 상태도,11 is a state diagram of shielding incident light formed on the photodiode B portion;

도 12는 포토다이오드 C부분에 맺히는 입사광을 차폐한 상태도.Fig. 12 is a state diagram in which incident light formed on the photodiode C portion is shield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71 : 레이저다이오드 72 : 격자71: laser diode 72: grating

73 : 광분할기 74 : 반사경73: light splitter 74: reflector

75, 83 : 대물렌즈 76, 84 : 디스크75, 83: objective lens 76, 84: disk

77 : 수광렌즈 78, 82 : 광차폐막77: light receiving lens 78, 82: light shielding film

79 : 포토다이오드 81 : 홀로그램모듈79: photodiode 81: hologram modul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차폐막을 구비한 광픽업은 레이저광원과, 레이저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상에 최적이 되는 광스폿으로 집광시키는 기능을 갖는 대물렌즈와, 광스폿이 집광된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으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광을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수단 및 대물렌즈와 광검출수단의 사이에 위치하여 광검출수단에 맺히는 광의 일부를 차폐하여 트랙신호 검출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차폐막을 포함한다.The optical pickup having the light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function of condensing the laser light source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light source into an optimal light spot on the information recording surface of the optical recording medium. Optical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nformation recording surface of the optical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optical spot is collected and the light spot has passed through the objective lens, and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optical detection means and formed on the optical detection means And a light shielding film that shields a part and adjusts the amount of light of the track signal detection ligh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차폐막을 구비한 광픽업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의 장치에서 레이저다이오드(71)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은 격자(72)를 통해 광분할기(73)로 입사되도록 연결되며, 광분할기(73)는 입사광이 반사경(74)에서 반사되도록 연결된다. 반사경(74)에서 반사된 광은 대물렌즈(75)를 거쳐 디스크(76)의 정보기록면에 광스폿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포토다이오드(79)는 디스크(76)의 정보기록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며 이에 앞서 반사광을 집광하는 수광렌즈(77)와 수광렌즈(77)에서 집광되어 포토다이오드(79)상에 맺히는 트랙신호검출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광차폐막(78)으로 구성된다.7 is an optical pickup having a light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laser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diode 71 in the apparatus of FIG. 7 is connected to be incident to the light splitter 73 through the grating 72, the light splitter 73 is the incident light is reflected mirror 74 Connected to reflect from.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74 is configured to form an optical spot on the information recording surface of the disk 76 via the objective lens 75. In addition, the photodiode 79 detec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nformation recording surface of the disk 76, and is condensed by the light receiving lens 77 and the light receiving lens 77 to condense the reflected light prior to the photodiode 79. And a light shielding film 78 for adjusting the amount of track signal detection light.

도 7은 광원으로 레이저다이오드(71)를 사용하는 경우로 레이저다이오드(71)에서 출사한 광이 격자(72)로 입사된다. 격자(72)는 입사된 광을 3개의 빔형태로 회절시켜 광분할기(73)로 출사한다. 광분할기(73)는 회절광을 반사하여 반사경(74)으로 출사한다. 대물렌즈(75)는 반사경(74)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입력받아 디스크(76)의 정보면에 광스폿을 형성한다. 디스크(76)의 정보기록면에서 반사된 광은 대물렌즈(75), 반사경(74)을 통과한 다음, 광분할기(73)로 입사한다. 광분할기(73)는 이 광을 대략 50%를 투과시키며, 투과된 광은 수광렌즈(77)에 의해 포토다이오드(79)에 집광된다. 여기서, 포토다이오드(79)의 집광 직전에 트랙신호 검출 광량을 조절하는 광차폐막(78)이 구성되어 있으며, 광차폐막(78)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한다.7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laser diode 71 is used as a light source,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diode 71 is incident on the grating 72. The grating 72 diffracts the incident light into three beams and exits the beam splitter 73. The light splitter 73 reflects the diffracted light and exits the reflector 74. The objective lens 75 receives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74 to form a light spot on the information surface of the disk 76.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nformation recording surface of the disk 76 passes through the objective lens 75 and the reflecting mirror 74 and then enters the light splitter 73. The light splitter 73 transmits approximately 50% of this light, and the transmitted light is condensed on the photodiode 79 by the light receiving lens 77. Here, a light shielding film 78 for adjusting the amount of track signal detection light is configured just before the light collecting of the photodiode 79.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ight shielding film 78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차폐막을 구비한 광픽업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8은 전형적인 광픽업장치를 도시하며 광원으로 레이저다이오드와 포토다이오드가 일체화된 홀로그램모듈(81)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광차폐막(82)은 홀로그램모듈(81)의 앞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8 is an optical pickup having a light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FIG. 8 shows a typical optical pickup device and is configured to use a hologram module 81 in which a laser diode and a photo diode are integrated as a light source. Here, the light shielding film 82 is configured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hologram module 81.

도 8은 홀로그램모듈을 사용하는 경우로 홀로그램모듈(81)의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의 레이저광이 대물렌즈(83)를 통해 디스크(84)에 광스폿을 형성한다. 디스크(84)로부터 반사된 광은 대물렌즈(83)를 통과해 홀로그램모듈(81)내의 포토다이오드에 집광하게 되는데, 여기서, 포토다이오드의 집광 직전에 트랙신호 검출 광량을 조절하는 광차폐막(82)이 있어, 포토다이오드에 맺히는광의 차폐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광차폐막(82)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한다. 도 8의 광픽업 광학계는 도 7에 관련한 설명에 근거하여 당업자들이 잘 이해할 것이므로 간략히 살펴보았다.8 shows a case where a hologram module is used, the laser light from the laser diode of the hologram module 81 forms an optical spot on the disk 84 through the objective lens 83.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disk 84 passes through the objective lens 83 and focuses on the photodiode in the hologram module 81, where the light shielding film 82 adjusts the amount of track signal detection light immediately before the photodiode. As a result, the degree of shielding of light incident on the photodiode is controlled. Likewis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ight shielding film 82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optical pickup optical system of FIG. 8 will be well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description related to FIG.

도 7 및 도 8의 광픽업의 일예에서 사용되는 광차폐막(78, 82)에 대해서 도 10,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light shielding films 78 and 82 used in the example of the optical pickup of FIGS. 7 and 8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11 and 12.

도 10은 광차폐막의 일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차폐영역과 광투과영역으로 구성되며, 그 형상은 원, 타원, 직사각형, 사각형등의 임의의 모양으로된 구조이다. 또한, 광차폐막(78, 82)은 도 7 및 도8과 같은 광픽업의 포토다이오드 앞에 위치시키며, 포토다이오드 B, C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B, C로 입사하는 광량을 조절 가능하다. 즉, 도 11은 포토다이오드 B부분에 맺히는 입사광을 차폐한 상태도로서, B와 C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여(화살표표기) 포토다이오드 B로 가는 광의 일부만을 차폐하여 C에서의 검출신호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2는 포토다이오드 C부분에 맺히는 입사광을 차폐한 상태도로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여(화살표표기)포토다이오드 C로가는 광의 일부만을 차폐하여 B에서의 검출신호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광차폐막을 이용하여 입사광량을 조절하여 트랙에러신호의 오프셋을 방지할 수 있다.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light shielding film, and is composed of a light shielding area and a light transmitting area, as shown in the figure, and has a shape having an arbitrary shape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 rectangle, a rectangl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light shielding films 78 and 82 are positioned in front of the photodiodes of the optical pickup as shown in FIGS. 7 and 8, and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hotodiodes B and C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B and C. That is, FIG. 11 is a state diagram of shielding incident light formed on the photodiode B, which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 and C (arrows) to shield only a part of the light going to the photodiode B to increase the detection signal at C. Can be. 12 is a state diagram in which incident light formed on the photodiode C portion is shielded, and only a portion of the light moving to the photodiode C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row notation) can be shielded to increase the detection signal at B. FIG. Accordingly, the offset of the track error signal can be preven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using the light shielding fil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랙오프셋이 발생하는 불량 광픽업의 경우 광차폐막의 조정으로 트랙오프셋의 조정이 용이하여 광픽업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으며, 광픽업장치의 트랙신호의 안정화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bad optical pickup in which a track offset occurs, the track offset can be easily adjusted by adjusting the light shielding film, thereby lowering the defective rate of the optical pickup, and stabilizing the track signal of the optical pickup apparatus. have.

Claims (6)

광기록매체의 기록/재생을 위한 광픽업에 있어서,In the optical pickup for recording / reproduction of the optical recording medium, 레이저광원;Laser light source; 상기 레이저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상에 최적이 되는 광스폿으로 집광시키는 기능을 갖는 대물렌즈;An objective lens having a function of conden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light source into an optimal light spot on the information recording surface of the optical recording medium; 광스폿이 집광된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으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광을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수단; 및Ligh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bjective lens after being reflected from the information recording surface of the optical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light spot is focused; And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광검출수단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검출수단에 맺히는 광의 일부를 차폐하여 트랙신호 검출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차폐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막을 구비한 광픽업.And a light shielding film positioned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light detecting means to shield a part of the light that is formed on the light detecting means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of the track signal detection ligh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폐막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ght shielding film 광차폐영역과 광투과영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막을 구비한 광픽업.An optical pickup having a light shield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shielding area and the light transmitting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폐막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ght shielding film 그 위치를 이동하여 광의 차폐정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막을 구비한 광픽업.The optical pickup having a light shield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shielding degree of light by moving its 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폐막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ght shielding film 원, 타원, 직사각형, 사각형등의 임의의 모양으로 광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막을 구비한 광픽업.An optical pickup having a light shielding film having a structure for shielding a part of light in an arbitrary shape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 rectangle, a rectangle, and the lik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원과 상기 광검출수단을 일체형인 홀로그램모듈로 구성된 광픽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막을 구비한 광픽업.The optical pickup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tical pickup comprising a hologram module in which the laser light source and the light detecting means are integr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수단으로 하나의 주빔과 두 개의 부빔이 집광하여 집광된 두 개의 부빔신호를 검출하여 트랙에러신호를 산출하는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광픽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막을 구비한 광픽업.[2] The optical detection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tical pickup using a photodiode which detects two sub-beam signals that are collected by concentrating one main beam and two sub-beams as the light detecting means and calculates a track error signal. Optical pickup having a light shielding film.
KR1019970066928A 1997-12-09 1997-12-09 Optical pickup with light shield KR199900482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928A KR19990048278A (en) 1997-12-09 1997-12-09 Optical pickup with light shie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928A KR19990048278A (en) 1997-12-09 1997-12-09 Optical pickup with light shiel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278A true KR19990048278A (en) 1999-07-05

Family

ID=66088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928A KR19990048278A (en) 1997-12-09 1997-12-09 Optical pickup with light shiel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827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5060A (en) Optical pickup device with tracking and focusing utilizing a photodetector having four regions
JPH0758559B2 (en) Optical pickup device
EP0463295B1 (en) Optical pickup head
KR930005785B1 (en) Optical pick-up device
KR950030064A (en) Optical pickup device
US7272083B2 (en) Optical head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spherical aberration
EP1115111B1 (en) Optical pickup
KR19990048278A (en) Optical pickup with light shield
KR950005033B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JPH0612573B2 (en) Relative position control device for recording track and pickup in track orthogonal direction in information reading device
JP3127974B2 (en) Optical pickup device
JP2507023B2 (en) Optical head device
JP371313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pickup device
US6335809B1 (en) Optical pickup and hologram device
JP2594903B2 (en) Focus error detector
JP3010801B2 (en) Information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JP4634627B2 (en) Optical pickup device
JP3161129B2 (en) Optical pickup head device
JP2766348B2 (en) Optical head
JPH0863778A (en) Optical pickup
JP2654091B2 (en) Light head
KR930002128Y1 (en) Optical pick-up lenz
JPS60242524A (en) Optical pickup
JP3091266B2 (en) Optical pickup device
JP2000057591A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its stray beam component corr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