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7719A - 안내대의 리콜 방법 - Google Patents

안내대의 리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7719A
KR19990047719A KR1019970066228A KR19970066228A KR19990047719A KR 19990047719 A KR19990047719 A KR 19990047719A KR 1019970066228 A KR1019970066228 A KR 1019970066228A KR 19970066228 A KR19970066228 A KR 19970066228A KR 19990047719 A KR19990047719 A KR 19990047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guide
call
extension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명희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66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7719A/ko
Publication of KR19990047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719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안내대의 운용중에 호 전환을 요구했던 임의의 가입자와 다시 통화하도록하는 안내대의 리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안내대(26)의 운용중에 임의의 가입자가 임의의 내선 가입자로 호 전환을 요구함에 따라 안내대(26)가 호 전환을 시도할 경우 그 임의의 내선 가입자가 응답이 없을 때 호 전환을 요구했던 임의의 가입자와 다시 통화하도록함으로써 안내대(26)의 서비스가 효율적으로 될뿐만아니라 그 서비스의 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안내대의 리콜 방법
본 발명은 안내대(attendant console)의 리콜(recall)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안내대의 운용중에 호 전환을 요구했던 임의의 가입자와 다시 통화하도록하는 안내대의 리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안내대의 운용중에 임의의 가입자가 임의의 내선 가입자로 호 전환을 요구함에 따라 안내대가 호 전환을 시도할 경우 그 임의의 내선 가입자가 응답이 없을 때 호 전환을 요구했던 임의의 가입자와 다시 통화하도록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안내대의 운용중에 임의의 가입자가 임의의 내선 가입자로 호 전환을 요구함에 따라 안내대가 호 전환을 시도할 경우 그 임의의 내선 가입자가 응답이 없을 때 호 전환을 요구했던 임의의 가입자와 다시 통화하도록하는 안내대의 리콜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대의 리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안내대의 리콜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라인 제어 서브시스템 12 : 센트릭스 라인 서브시스템
14 : 가입자 라인 서브시스템 16 : 트렁크 라인 서브시스템
18 : 번호 번역부 20 : 센트릭스 데이터 처리부
22 : 안내대 호 처리부 24 : 안내대 라인 인터페이스
26 : 안내대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대의 리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라인 제어 서브시스템(line control subsystem)(10)은 내선 가입자, 일반 가입자 및 트렁크(trunk)를 타고 인입되는 가입자의 호를 교환 시스템 내부로 연결시켜준다.
다음, 센트릭스 라인 서브시스템(CENTREX line subsystem)(12)은 라인 제어 서브시스템(10)으로부터 인입되는 호 중에서 센트릭스 가입자에 대한 교환 서비스를 수행하며, 가입자 라인 서브시스템(subscriber line subsystem)(14)은 라인 제어 서브시스템(10)으로부터 인입되는 호 중에서 일반 가입자에 대한 교환 서비스를 수행하고, 트렁크 라인 서브시스템(trunk line subsystem)(16)은 라인 제어 서브시스템(10)으로부터 인입되는 호 중에서 중계선을 타고 들어오는 가입자에 대한 교환 서비스를 수행한다.
또한, 번호 번역부(18)는 상술한 인입되는 호를 해당 서브시스템을 통해 인가받아 해당 발신자의 번호 번역을 실시하여 그 해당 서브시스템에게 알려줌으로써 교환 서비스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하며, 안내대 호 제어부(22)는 안내대 라인 인터페이스(attendant line interface)(24)를 통해 안내대(26)와 접속되어 교환 시스템과 안내대(26)와의 호 접속을 제어한다.
그리고 센트릭스 데이터 처리부(20)는 안내대 라인 인터페이스(24) 및 안내대(26)를 통해 차례로 접속되어 운용자의 안내대(26)의 조작에 의한 센트릭스 기능에 관련된 데이터를 인가받아 교환 시스템에 적용되도록 적절한 처리를 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안내대의 리콜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로, 임의의 가입자 A가 라인 제어 서브시스템(10)을 거쳐 센트릭스 라인 서브시스템(12), 가입자 라인 서브시스템(14) 및 트렁크 라인 서브시스템(16)을 선택적으로 통하여 안내대 호 제어부(22) 및 안내대 라인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안내대(26)로 착신을 요구해서 안내대(26)가 응답을 하게 되면 임의의 가입자 A와 안내대(26)는 통화중 상태가 된다(101,102,103).
다음, 상술한 단계(101,102,103)를 수행한 후, 그 임의의 가입자 A가 호 전환을 요구하면 안내대(26)는 그 호 전환 요구에 따른 임의의 내선 가입자 B의 DN(Directory Number)을 다이얼링해서 그 내선 가입자 B의 상태가 아이들(idle)이 아니면 안내대(26)에 비지톤(busy tone)을 연결하고 안내대(26)가 디스크(disc) 키를 입력하면 그 임의의 가입자 A와 경로를 다시 연결한다(104,105,106,107,109,111).
이에, 상술한 단계(104,105,106,107,109,111)를 수행한 후, 상술한 임의의 가입자 A가 다시 호 전환을 요구하면 상술한 단계(104,105,106,107,109,111)의 그 호 전환 요구에 따른 임의의 내선 가입자 B의 DN을 다이얼링하는 단계(105)로 가서 다시 절차를 따르고 아니면 호를 복구한다(113,115).
상술한 단계(104,105,106,107,109,111)의 내선 가입자 B의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106)에서 그 내선 가입자 B가 아이들이면 안내대(26)에는 링백톤이 연결되고 그 임의의 내선 가입자 B는 링 상태로 되고 안내대(26)에서 트랜스퍼(transfer) 키를 입력하게 되면 안내대(26)는 아이들 상태가 되고 상술한 가입자 A에는 링백톤이 들리고 가입자 B는 링 상태가 된다(108,110,112,114).
그리고 상술한 단계(108,110,112,114)를 수행한 후, 상술한 가입자 B가 일정 시간 동안 응답이 없으면 그 가입자 B의 링을 절단하고 안내대(26)로 재착신을 요구해서 안내대(26)가 리콜 키를 눌러 응답을 하게 되면 상술한 가입자 A와 안내대(26)는 통화중 상태가 된다(116,117,120,121,122).
상술한 단계(116,117,120,121,122)의 가입자 B가 일정 시간 동안 응답하는 것을 체크하는 단계(116)에서 일정 시간 안에 임의의 내선 가입자 B가 응답을 하게 되면 상술한 임의의 가입자 A,B는 통화중 상태가 된다(118,119).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안내대(26)의 운용중에 임의의 가입자가 임의의 내선 가입자로 호 전환을 요구함에 따라 안내대(26)가 호 전환을 시도할 경우 그 임의의 내선 가입자가 응답이 없을 때 호 전환을 요구했던 임의의 가입자와 다시 통화하도록함으로써 안내대(26)의 서비스가 효율적으로 될뿐만아니라 그 서비스의 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임의의 가입자 A가 착신을 요구해서 응답하게 됨으로써 안내대가 임의의 가입자 A와 통화중 상태가 되는 제1 단계(101,102,103);
    상기 제1 단계(101,102,103)를 수행한 후, 상기 임의의 가입자 A가 호 전환을 요구하면 상기 호 전환 요구에 따른 임의의 내선 가입자 B의 DN(Directory Number)을 다이얼링해서 상기 내선 가입자 B의 상태가 아이들(idle)이 아니면 상기 안내대에 비지톤(busy tone)을 연결하고 상기 안내대가 디스크(disc) 키를 입력하면 상기 임의의 가입자 A와 경로를 다시 연결하는 제2 단계(104,105,106,107,109,111);
    상기 제2 단계(104,105,106,107,109,111)를 수행한 후, 상기 임의의 가입자 A가 다시 호 전환을 요구하면 상기 제2 단계(104,105,106,107,109,111)의 상기 호 전환 요구에 따른 임의의 내선 가입자 B의 DN을 다이얼링하는 단계(105)로 가서 다시 절차를 따르고 아니면 호를 복구하는 제3 단계(113,115);
    상기 제2 단계(104,105,106,107,109,111)의 내선 가입자 B의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106)에서 상기 내선 가입자 B가 아이들이면 상기 안내대에는 링백톤이 연결되고 상기 임의의 내선 가입자 B는 링 상태로 되고 상기 안내대에서 트랜스퍼(transfer) 키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안내대는 아이들 상태가 되고 상기 가입자 A에는 링백톤이 들리고 상기 가입자 B는 링 상태가 되는 제4 단계(108,110,112,114);
    상기 제4 단계(108,110,112,114)를 수행한 후, 상기 가입자 B가 일정 시간 동안 응답이 없으면 상기 가입자 B의 링을 절단하고 상기 안내대로 재착신을 요구해서 상기 안내대가 리콜 키를 눌러 응답을 하게 되면 상기 가입자 A와 상기 안내대는 통화중 상태가 되는 제5 단계(116,117,120,121,122);
    상기 제5 단계(116,117,120,121,122)의 가입자 B가 일정 시간 동안 응답하는 것을 체크하는 단계(116)에서 일정 시간 안에 상기 임의의 내선 가입자 B가 응답을 하게 되면 상기 임의의 가입자 A,B는 통화중 상태가 되는 제6 단계(118,119)를 포함하는 안내대의 리콜 방법.
KR1019970066228A 1997-12-05 1997-12-05 안내대의 리콜 방법 KR19990047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228A KR19990047719A (ko) 1997-12-05 1997-12-05 안내대의 리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228A KR19990047719A (ko) 1997-12-05 1997-12-05 안내대의 리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719A true KR19990047719A (ko) 1999-07-05

Family

ID=6608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228A KR19990047719A (ko) 1997-12-05 1997-12-05 안내대의 리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77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47719A (ko) 안내대의 리콜 방법
KR100241883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과 통화중인 국선 호의 전환 방법
KR1002853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KR100210763B1 (ko)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및 방법
KR100229436B1 (ko) 사설 교환기의 시에프비(cfb) 리콜 방법
KR100229435B1 (ko) 사설교환기의 시에프엔(cfn) 리콜 방법
KR0162432B1 (ko) 종합정보통신망의 복수채널을 이용한 시리얼 콜링 방법
KR100242697B1 (ko) 안내대를 이용한 회의 통화 방법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KR100202988B1 (ko)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안내대 호 전환 방법
KR19990076312A (ko) 전전자 교환기의 호 보류 방법
KR100255311B1 (ko) 사설교환기의전용선인입호착신방법
KR10020829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오피에스 즉시 요구 호 처리 방법
KR10021076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호전환제어방법
KR980007385A (ko) 디지털 셀룰러 이동전화 교환기에서의 호 전환 서비스 방법 (Call Transfer Service in the Digital Cellualr Mobile Exchange)
KR100250669B1 (ko) 사설 교환기의 안내대 회의 통화 서비스 방법
KR19990042279A (ko) 전전자 교환기의 통화중 대기 방법
CA2255848C (en) Holding party call back subscriber feature
KR19990042278A (ko) 전전자 교환기의 부재중 안내 서비스 방법
JPH06177988A (ja) 交換機
JPH01228362A (ja) 発呼側操作による被呼側転送方式
KR20010037614A (ko) 교환기의 상호 헌팅 구현 방법
KR980007001A (ko) 디지털 셀룰러 이동전화교환기에서의 고정 가입자 호 제어 방법
KR20050010523A (ko) 교환기에서 회의 통화 장치 및 그의 스위칭 방법
KR20000046380A (ko) 변경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안내방송하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