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910A - Spatial Databas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Spatial Index of Al * -TIAL on Internet - Google Patents

Spatial Databas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Spatial Index of Al * -TIAL on Inter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910A
KR19990046910A KR1019970065069A KR19970065069A KR19990046910A KR 19990046910 A KR19990046910 A KR 19990046910A KR 1019970065069 A KR1019970065069 A KR 1019970065069A KR 19970065069 A KR19970065069 A KR 19970065069A KR 19990046910 A KR19990046910 A KR 19990046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tial
data
database
index
qu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0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84573B1 (en
Inventor
김민수
김광수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70065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573B1/en
Publication of KR19990046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9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573B1/en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할 때에 인터넷상에서 R*-tree의 공간색인을 이용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단지 공간 데이터의 관리에만 편중되어 있으며, 빠른 검색을 위한 공간 검색이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할 때 서버측의 데이터베이스에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를 동시에 유지하고 관리하는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장치와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에 대한 신속한 검색을 위한 공간 색인 장치를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내에서의 신속한 공간 검색 기능,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의 연관관계 설정 기능, 질의 처리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tial databas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spatial index of R * -tree on the Internet when construct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n the Internet. There is a problem that no search is provid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tial database management device for simultaneously maintaining and managing spatial data and non-spatial data in a database on a server side and a spatial indexing device for rapid retrieval of a large amount of spatial data when build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n the Internet. It can be used to quickly perform spatial search in the database, establish correlation between spatial data and non-spatial data, and perform query processing.

Description

인터넷상에서 알*-티알이이의 공간색인을 이용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장치 및 방법Spatial Databas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Spatial Index of Al * -TIAL on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할 때의 인터넷상에서 R*-tree의 공간색인을 이용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장치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aging a spatial database management apparatus using a spatial index of R * -trees on the Internet when construct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n the Internet.

인터넷을 통한 WWW(World Wide Web)의 발전과 더불어 웹 환경하에서의 응용 프로그램 개발이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리정보시스템 역시 최근들어 웹을 통하여 지리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많은 인터넷/인트라넷 시스템들이 발표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World Wide Web (WWW) through the Internet, application development in a web environment is actively progres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also recently announced a number of Internet / intranet systems that can process geographic information through the Web.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상에서 기 개발된 대부분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장치는 단지 공간 데이터의 관리에만 편중되어 있으며, 빠른 검색을 위한 공간 검색이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Most spatial database management apparatuses developed on relational databases are focused only on the management of spatial data,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spatial search for fast searching is not provid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인터넷상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할 때 서버측의 데이터베이스에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를 동시에 관리하는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장치와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에 대한 신속한 검색을 위한 공간 색인 장치를 가지고 신속한 공간 검색 기능,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의 연관관계 설정 기능, 질의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whe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to be constructed on the Internet, a spatial database management apparatus for managing spatial data and non-spatial data at the same time on a server-side database and a rapid search for a large amount of spatial data are provid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quick spatial search function, an association setting function between spatial data and non-spatial data, and a query processing function.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R*-tree 공간색인을 이용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장치의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of a spatial database management apparatus using an R * -tree spatial ind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내의 공간 데이터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spatial data in a relational data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내의 비공간 데이터와 조인 테이블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non-spatial data and join table in a relational data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내의 공간 색인 데이터의 구성도.4 is a schematic diagram of spatial index data in a relational data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도 2 및 도 3과 도 4의 관계도.5 is a relational view of FIGS. 2 and 3 and 4;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색인 관리기의 공간 검색 방법의 유형도.6 is a type diagram of a spatial search method of a spatial index mana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장치의 흐름도.7 is a flowchart of a spatial databas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질의어 처리기 2 : 데이터베이스 관리기1: query handler 2: database manager

3 : 데이터베이스 구동기 4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3: database driver 4: relational database

5 : 공간색인 관리기 6 : 파일 시스템5: spatial index manager 6: file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첫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상에 공간, 비공간 데이터들의 객체지향적인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구성함으로써, 객체 지향 클라이언트를 쉽게 구축할 수 있게 하였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makes it easy to construct an object-oriented client by constructing an object-oriented database schema of spatial and non-spatial data on a relational database.

둘째,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의 구성을 별개로 하였으며 연관관계의 설정을 위해서 비공간-공간 조인 테이블을 구성하였다. 비공간-공간 조인 테이블은 하나의 비공간 객체에 여러개의 공간 객체가 또는 하나의 공간 객체에 여러개의 비공간 객체가 연결될 수 있도록 N : M의 연관관계를 구성하고 있다.Second, the spatial data and non-spatial data are organized separately, and the non-spatial-spatial join table is constructed to establish the correlation. The non-spatial-space join table forms an association of N: M so that multiple spatial objects can be connected to one non-spatial object or multiple non-spatial objects can be connected to one spatial object.

셋째, R*-tree의 공간 색인 방법을 이용하여 네가지 유형의 공간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검색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Third, a search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four types of spatial search using a spatial indexing method of R * -tree is constructed.

넷째, 인터넷용 언어인 자바를 이용함으로써 넷스케입과 같은 웹 브라우져용 클라이언트 장치를 이용하여 쉽게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Fourth, by using Java, the language for the Internet, the server can be easily accessed using a client device for a web browser such as Netscape.

본 발명은 이러한 웹 환경하에서의 지리정보시스템중에서 사용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 장치의 개발이며, 이 장치는 크게 공간 색인 관리기, 데이터베이스 관리기, 질의처리기로 구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evelopment of a server database device used i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under such a web environment, and the device is largely composed of a spatial index manager, a database manager, and a query processor.

이에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상에서 R*-tree의 공간색인을 이용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장치는 인터넷상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할 때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내에서의 신속한 공간검색기능과 공간데이터 및 비공간데이터의 연관관계의 설정기능과 질의 처리기능을 수행하도록 서버측의 데이터 베이스에 공간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를 동시에 유지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수단과;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에 대한 신속한 공간검색을 수행하는 공간색인수단으로 구성된다.Therefore, the spatial database management apparatus using the spatial index of R * -tree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the quick spatial search function and the spatial and non-spatial data in the database of the server when construct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n the Internet. Database management means for simultaneously maintaining and managing spatial data and non-spatial data in a database on a server side to perform a relationship setting function and a query processing function; It is composed of spatial indexing means for performing a quick spatial search for a large amount of spatial data.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상에서 R*-tree의 공간색인을 이용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은 인터넷상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할 때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와 색인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와, 색인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시스템을 구비하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내에서의 신속한 공간검색기능과 공간데이터 및 비공간데이터의 연관관계의 설정기능과 질의 처리기능을 수행하도록 R*-tree의 공간색인을 이용하여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데 그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The spatial databas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patial index of R * -tree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base for storing spatial data, non-spatial data, and index data when build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n the Internet. Spatial database using R * -tree's spatial index to perform spatial search function, setting relation of spatial data and non-spatial data, and query processing function with file system that stores The specific procedure for managing this is as follows.

우선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면 클라이언트가 직접 데이터 액세스를 요구하는지 질의어 형태인지를 조사하여 질의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질의어를 분석한 다음 공간 질의어의 형태로 처리한다. 상기 공간 질의어에 의거하여 공간 색인 정보를 파일 시스템내에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고, 색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 정보를 읽어오고, 존재하는 경우는 색인 정보를 로딩한다. 색인 정보의 로딩후에 색인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 데이터에 대한 공간 검색을 수행하여 공간 질의 조건을 만족하는 공간 데이터 집합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들인다. 공간 질의를 만족하는 공간 데이터 집합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후에 비공간 데이터와의 연결을 위하여 공간-비공간 데이터를 조인한다. 조인 조건을 만족하는 비공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한다.First, when the client accesses the database, it checks whether the client requires direct data access or query form. If a query exists, the query is analyzed and processed as a spatial query form. Based on the spatial query, it is checked whether the spatial index information exists in the file system. If the index information does not exist, the index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database, and if there is, the index information is loaded. After loading the index information, a spatial search is performed on the spatial data using the index information to read a spatial data set satisfying the spatial query condition from the database. After the spatial data set that satisfies the spatial query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the spatial-nonspatial data is joined for connection with the non-spatial data. Nonspatial data that satisfies the join condition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and returned to the cli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R*-tree 공간색인을 이용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장치의 전체적인 블록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오는 질의문을 파악하여 공간 질의문 형태로 변환하는 질의어 처리기(1)와; 클라이언트로부터 직접 들어온 데이터 액세스 요구 또는 상기 질의어 처리기(1)에서 전달된 공간 질의문을 가지고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기(2)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 관리기(2)가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공간/비공간/색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삭제하고 변경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연결하여 주는 데이터베이스 구동기(3)와; 공간 테이블, 비공간 테이블, 공간 색인 테이블들을 이용하여 내부에 데이터 집합들을 가지고 있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4)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기(2)에 접속하여 상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4)으로부터 공간 색인 데이터를 읽어들이거나 데이터베이스(4)로 공간 색인 데이터를 알려주는 공간 색인 관리기(5)와; 상기 공간 색인 관리기(5)가 읽어들인 색인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색인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색인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 시스템(6)으로 구성된다.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a spatial database using an R * -tree spatial ind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 query processor 1 for capturing a query from a client and converting the query into a spatial query form is shown. ; A database manager (2) for managing a database with a data access request directly from a client or a spatial query sent from the query processor (1); A database driver (3) for connecting the database manager (2) to store, delete, and change spatial / non-spatial / index data for the database; A relational database 4 having data sets therein using spatial tables, non-spatial tables, and spatial index tables; A spatial index manager (5) connected to said database manager (2) for reading spatial index data from said relational database (4) or reporting spatial index data to said database (4); It consists of a file system 6 in which index data for storing or providing index data read by the spatial index manager 5 is stored.

상기 질의어 처리기(1)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오는 질의문을 파악하여 공간 질의문 형태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기(2)에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기(2)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직접 들어온 데이터 액세스 요구 또는 상기 질의어 처리기(1)에서 전달된 공간 질의문을 가지고 데이터베이스 구동기(3)를 통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4)에 접속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기(2)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동기(3)를 통하여 반환된 결과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또는 공간 색인 관리기(5)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 관리기(2)는 자바-데이터 베이스 연결기를 구비하고 있어서 웹부라우저를 클라이언트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접속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동기(3)는 임의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자바 언어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4)는 공간 테이블, 비공간 테이블, 공간 색인 테이블들을 이용하여 내부에 데이터 집합들을 유지하고 있다. 공간색인관리기(5)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기(2)에 접속하여 상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4)으로부터 공간 색인 데이터를 파일 시스템(6)으로 옮겨오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또는 파일 시스템(6)으로부터 데이터베이스(4)으로 공간 색인 데이터를 옮기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네가지 유형의 공간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검색 결과를 데이터베이스(4)으로부터 읽어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query processor 1 grasps the query coming from the client, converts it into a spatial query form, and delivers it to the database manager 2. The database manager 2 connects to the relational database 4 via the database driver 3 with a data access request coming directly from a client or a spatial query sent from the query processor 1. The database manager 2 also serves to deliver the result data returned through the database driver 3 to the client or the spatial index manager 5. The database manager 2 is provided with a Java-database connector to provide a connection function so that a web browser can be used as a client. The database driver 3 serves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any relational database and the Java language. The relational database 4 maintains data sets therein using spatial tables, non-spatial tables, and spatial index tables. The spatial index manager 5 connects to the database manager 2 and transfers spatial index data from the relational database 4 to the file system 6 or from the file system 6 to the database 4. It is used to move spatial index data. Then, by performing four types of spatial search, the search result is read from the database 4.

도 2 는 도 1 에서 제시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4)내의 공간 데이터들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공간 테이블은 크게 노드 테이블(31), 체인 테이블(32), 폴리곤 테이블(33)의 세가지로 분류되며, 자신의 폴리곤 내부에 다른 폴리곤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를 표현하기 위하여 링 테이블(34)을 추가로 유지하고 있다. 공간 테이블들은 자신의 위치, 크기, 길이와 더불어 시작 노드, 끝 노드, 왼쪽 폴리곤 그리고 오른쪽 폴리곤 같은 위상정보를 가지고 공간 색인 데이터의 생성을 위하여 최소경계 사각형의 좌표값을 저장하고 있다.FIG. 2 shows a basic configuration of spatial data in the relational database 4 shown in FIG. The spatial table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node table 31, the chain table 32, and the polygon table 33. A ring table 34 is added to represent the case where another polygon is included in its polygon. To keep. Spatial tables have their position, size, and length, along with topological information such as start node, end node, left polygon and right polygon, and store the coordinates of the minimum bounding rectangle for generating spatial index data.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4)내의 비공간 정보(속성)들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공간 정보 정의 테이블(35)과, 비공간 정보 테이블(36)과, 그리고 비공간-공간 조인 테이블(3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비공간 정보 정의 테이블(35)은 공간데이터베이스 관리 장치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든 비공간 정보에 대한 정의 및 부가 설명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비공간 정보 테이블(36)은 유형에 따라 노드 속성 테이블, 체인 속성 테이블, 폴리곤 속성 테이블로 나뉘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들을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연구소는 노드 유형, 도로는 체인 유형을, 동경계는 폴리곤 유형을 나타내는 속성들이다.FIG. 3 shows a basic configuration of non-spatial information (attributes) in the relational database 4 shown in FIG. 1, and as shown, the non-spatial information definition table 35 and the non-spatial information table ( 36) and a non-spatial-space join table 37. The non-spatial information definition table 35 holds definitions and additional description information for all non-spatial information used in the spatial database management apparatus. The non-spatial information table 36 is divided into a node attribute table, a chain attribute table, and a polygon attribute table according to types, and maintains information representing attributes. For example, labs represent node types, roads represent chain types, and borders represent polygon types.

도 4 는 도 1에서 제시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4)내의 공간 색인 데이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공간 데이터들(노드, 체인, 폴리곤)에 관한 색인 정보를 공간 색인 테이블(38)내에 유지하고 있다.FIG. 4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spatial index data in the relational database 4 shown in FIG. 1 and maintains index information on spatial data (nodes, chains, polygons) in the spatial index table 38. As shown in FIG.

도 5 는 도 1 에 도시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4)내의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와, 그리고 공간 색인 데이터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공간 정보 테이블(35)과 비공간-공간 조인 테이블(37)간의 관계를 살펴보면(39) 유형에 따라 노드, 체인, 폴리곤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비공간 정보 테이블과 비공간-공간 조인 테이블간의 관계는 1 : N으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하나의 비공간 데이터가 여러개의 공간 데이터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비공간-공간 조인 테이블(37)과 공간 테이블간의 관계를 살펴보면(40) 위와 마찬가지로 유형에 따라 노드, 체인, 폴리곤에 대하여 각각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비공간-공간 조인 테이블(37)과 공간 테이블간의 관계는 M : 1 으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하나의 공간 정보가 여러개의 비공간 정보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를 종합해보면 여러개의 비공간 데이터에 여러개의 공간 데이터가 연결될 수 있음으로, 공간과 비공간의 관계는 N : M으로 구성되어 진다. 공간 테이블과 공간 색인 테이블(38)과의 관계를 살펴보면(41) 각 노드, 체인, 폴리곤 테이블에 대한 색인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색인 정보 테이블에 저장시킴으로써 1 : 1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FIG. 5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data, non-spatial data, and spatial index data in the relational database 4 shown in FIG. As show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n-spatial information table 35 and the non-spatial-space join table 37 has a relationship of nodes, chains, and polygons depending on the type. In addition,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n-spatial information table and the non-spatial-space join table is set to 1: N, one non-spatial data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with multiple spatial data.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n-spatial-space join table 37 and the spatial table (40), each relationship is maintained for nodes, chains, and polygons according to types. In addition,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n-spatial-space join table 37 and the spatial table is set to M: 1, one spatial information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with several non-spatial information. Therefore, when the above-mentioned things are summed up, since several spatial data can be connected to several non-spatial data, the relationship of space and non-spatial is comprised by N: M.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table and the spatial index table 38 (41) maintains a 1: 1 relationship by generating index information for each node, chain, and polygon table and storing it in the index information table.

도 6 은 도 1 에 도시된 공간 색인관리기(5)에서 제공하는 네가지 유형의 공간 검색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검색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검색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간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경우(51)와, 검색 데이터에 포함되는 공간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방법(52)과, 검색 데이터와 교차되는 공간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방법(53)과, 검색 데이터와 일치하는 공간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54)이다.FIG. 6 illustrates four types of spatial retrieval methods provided by the spatial index manager 5 shown in FIG. Given search data, the method extracts the spatial data including the search data (51), extracts the spatial data included in the search data (52), and extracts the spatial data intersecting the search data. (53) and the case of extracting spatial data that matches the search data (54).

도 7 은 도 1 에 도시된 전체적인 구성에 따른 흐름도이다. 클라이언트에서 공간데이터베이스 관리 장치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면 데이터베이스 접속을 수행한다(11). 데이터베이스 접속이 성공하면 클라이언트가 직접 데이터 액세스를 요구하는지 질의어 형태인지를 조사하고(12), 질의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질의어 처리기(1)에서 질의어를 분석한 다음(13) 공간 질의어의 형태로 공간 색인 관리기(5)로 전송된다(14). 공간 색인 관리기(5)는 먼저 공간 색인 정보를 파일 시스템(6)내에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고(15) 색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기(2)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4)로부터 색인 정보를 읽어오고(16,17), 존재하는 경우는 색인 정보를 로딩한다. 색인 정보의 로딩 이후에는 색인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 색인 관리기(5)는 공간 데이터에 대한 공간 검색을 수행하여(18) 공간 질의 조건을 만족하는 공간 데이터 집합을 데이터베이스 관리기(2)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4)로부터 읽어온다(19,20). 공간 질의를 만족하는 공간 데이터 집합이 데이터베이스(4)로부터 추출된 후에 데이터베이스 관리기(2)는 비공간 데이터와의 연결을 위하여 공간-비공간 데이터 조인을 수행하고(21), 데이터베이스 관리기(2)는 조인 조건을 만족하는 비공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4)로부터 추출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한다(22,23,24).7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the overall configuration shown in FIG. When the client attempts to access the spatial database management apparatus server, the database connection is performed (11). If the database connection is successful, the client checks whether it requires direct data access or in the form of a query (12). If the query exists, the query processor (1) analyzes the query (13) and then spatially indexes in the form of a spatial query. Is sent to the manager 5 (14). The spatial index manager 5 first checks whether the spatial index information exists in the file system 6 (15) and if the index information does not exist, reads the index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4 through the database manager 2; (16, 17) If present, index information is loaded. After loading the index information, the spatial index manager 5 performs spatial search on the spatial data (18) by using the index information, and the database 4 generates a spatial data set that satisfies the spatial query condition through the database manager 2. (19, 20). After the spatial data set that satisfies the spatial query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4, the database manager 2 performs a spatial-non-spatial data join for connection with the non-spatial data (21), and the database manager 2 Nonspatial data satisfying the join condition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4 and returned to the client (22, 23, 24).

본 발명에 의하면 ,색인장치에서 일차적인 검색이 이루지므로써 각종 공간 또는 비공간 데이터들에 대하여 신속한 검색이 가능하게 되므로 인터넷을 통한 WWW(World Wide Web)의 발전과 더불어 웹 환경하에서의 많은 시간을 요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의 운용시 효율적으로 지리정보를 처리할 수 있어서 지리정보 이용자게 진보된 실시간에 근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imary search is performed in the indexing device, a rapid search for various spatial or non-spatial data is possible, which requires a lot of time in the web environmen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World Wide Web (WWW) through the Internet. In the operation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cess geographic information, thus providing geographic information users with advanced real-time services.

Claims (6)

인터넷상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할 때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내에서의 신속한 공간검색기능과 공간데이터 및 비공간데이터의 연관관계의 설정기능과 질의 처리기능을 수행하도록 서버측의 데이터 베이스에 공간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를 동시에 유지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수단과;When build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n the Internet, spatial data and non-spatial data are stored in the database on the server side to perform the spatial search function in the database of the server, the function of set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spatial data and the non-spatial data, and the query processing function. Database management means for simultaneously maintaining and managing spatial data;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에 대한 신속한 공간검색을 수행하는 공간색인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 R*-tree의 공간색인을 이용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장치.Spatial database management device using the spatial index of the R * -tree on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patial index means for performing a quick spatial search for a large amount of spatial dat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수단은,The database management means, 공간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테이블과, 비공간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공간 테이블과, 공간색인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색인 테이블들을 구비하여 공간데이터와 비공간데이터와 공간색인데이터를 저장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A relational database for storing spatial data, non-spatial data and spatial index data having a spatial table for storing spatial data, a non-spatial table for storing non-spatial data, and spatial index tables for storing spatial index data;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오는 질의문을 파악하여 공간 질의문 형태로 변환하는 질의어 처리기와;A query processor which grasps a query coming from the client and converts the query into a spatial query; 클라이언트로부터 직접 들어온 데이터 액세스 요구 또는 상기 질의어 처리기에서 전달되는 공간 질의문을 가지고 상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거나 검색되어진 데이터의 출입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기와;A database manager for searching the relational database or managing access to the retrieved data with a data access request directly from a client or a spatial query sent from the query processor;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기의 제어를 받아 상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거나, 검색되어진 데이터를 자바 데이터베이스 연결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기에 전달하는 데이터베이스 구동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 R*-tree의 공간색인을 이용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장치.A space using a spatial index of an R * -tree on the Internet, characterized by a database driver configured to search the relational database under the control of the database manager or deliver the retrieved data to the database manager using a Java database connector. Database management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기는,The database manager, 웹부라우저를 클라이언트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접속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 R*-tree의 공간색인을 이용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장치.Spatial database management device using the spatial index of the R * -tree on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connection function to use the web browser as a clie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간색인수단은,The spatial index means, 상기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에서 공간색인데이터를 받아 저장하는 파일시스템과;A file system for receiving and storing spatial index data from the database management means;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수단의 제어를 받아 외부로부터 얻어진 공간색인 데이터를 상기 파일시스템에 저장하거나, 상기 공간 색인 데이터를 검색하여 파일시스템으로부터 공간 색인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변경하여 공간 색인데이터를 관리하는 공간 색인 관리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 R*-tree의 공간색인을 이용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장치.Spatial index manager for storing spatial index data obtained from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database management means in the file system or searching the spatial index data to delete or change the spatial index data from the file system to manage the spatial index data. Spatial database management device using the spatial index of the R * -tree on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공간 색인 관리기는,The spatial index manager, 공간 색인 데이터를 검색하도록 검색할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Given the data to be searched to retrieve spatial index data, 검색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간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경우와;Extracting spatial data including search data; 검색 데이터에 포함되는 공간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경우와;Extracting spatial data included in the search data; 검색 데이터와 교차되는 공간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경우와;Extracting spatial data intersecting the search data; 검색 데이터와 일치하는 공간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로 나누어 검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 R*-tree의 공간색인을 이용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장치.An apparatus for managing a spatial database using a spatial index of R * -trees on the Internet,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search by dividing the spatial data matching the search data. 인터넷상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할 때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와 색인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와, 색인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시스템을 구비하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내에서의 신속한 공간검색기능과 공간데이터 및 비공간데이터의 연관관계의 설정기능과 질의 처리기능을 수행하도록 R-tree의 공간색인을 이용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에 있어서,When build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n the Internet, it is equipped with a database that stores spatial data, non-spatial data and index data, and a file system that stores index data. In the spatial databas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patial index of the R-tree to perform the association function and query processing function of the data and non-spatial data,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면 클라이언트가 직접 데이터 액세스를 요구하는지 질의어 형태인지를 조사하여 질의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질의어를 분석한 다음 공간 질의어의 형태로 처리하는 질의어 처리단계와;A query processing step of examining whether the client requires direct data access or a query form when the client accesses the database, and if the query exists, analyzing the query and processing the query in the form of a spatial query; 상기 공간 질의어에 의거하여 공간 색인 정보를 파일 시스템내에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고, 색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 정보를 읽어오고, 존재하는 경우는 색인 정보를 로딩하는 색인정보 로딩단계와;An index information load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spatial index information exists in the file system based on the spatial query, reading the index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if the index information does not exist, and loading the index information if present; 색인 정보의 로딩후에 색인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 데이터에 대한 공간 검색을 수행하여 공간 질의 조건을 만족하는 공간 데이터 집합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들이는 공간데이터 읽기단계와;A spatial data reading step of reading a spatial data set satisfying a spatial query condition from a database by performing a spatial search on the spatial data using the index information after loading the index information; 공간 질의를 만족하는 공간 데이터 집합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후에 비공간 데이터와의 연결을 위하여 공간-비공간 데이터를 조인하는 공간-비공간 데이터 조인단계와;A spatial-nonspatial data join step of joining the spatial-nonspatial data for connection with the non-spatial data after the spatial data set satisfying the spatial query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조인 조건을 만족하는 비공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 R*-tree의 공간색인을 이용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A method of managing a spatial database using a spatial index of an R * -tree on the Internet, comprising extracting nonspatial data satisfying a join condition from a database and returning the same to a client.
KR1019970065069A 1997-12-01 1997-12-01 Spatial Databas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Spatial Indexes Known on the Internet KR1002845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069A KR100284573B1 (en) 1997-12-01 1997-12-01 Spatial Databas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Spatial Indexes Known on the Inter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069A KR100284573B1 (en) 1997-12-01 1997-12-01 Spatial Databas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Spatial Indexes Known on the Intern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910A true KR19990046910A (en) 1999-07-05
KR100284573B1 KR100284573B1 (en) 2001-03-15

Family

ID=6609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069A KR100284573B1 (en) 1997-12-01 1997-12-01 Spatial Databas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Spatial Indexes Known on the Inter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57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017B1 (en) * 1999-12-24 2002-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 GIS for creating, editing, storing and visualizing 3D geographic features and 3D geographic objects using XML and method thereof
KR100449419B1 (en) * 2002-06-14 2004-09-18 학교법인 인하학원 Method for managing a spatial database selectively according to data size
KR100449124B1 (en) * 2002-03-04 2004-09-18 포인트아이 주식회사 The method of massiv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 using main memory dbms and spatial index
KR100944655B1 (en) * 2008-12-26 2010-03-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ata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ieving data including non-spatial inform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017B1 (en) * 1999-12-24 2002-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 GIS for creating, editing, storing and visualizing 3D geographic features and 3D geographic objects using XML and method thereof
KR100449124B1 (en) * 2002-03-04 2004-09-18 포인트아이 주식회사 The method of massiv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 using main memory dbms and spatial index
KR100449419B1 (en) * 2002-06-14 2004-09-18 학교법인 인하학원 Method for managing a spatial database selectively according to data size
KR100944655B1 (en) * 2008-12-26 2010-03-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ata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ieving data including non-spatial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4573B1 (en)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0973B2 (en) Method for identifying related pages in a hyperlinked database
US74721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searching
JP3223963B2 (en) Image retrieval method based on meaning and recognition and image retrieval device based on meaning and recognition
Sugiura et al. Query routing for web search engines: Architecture and experiments
US6980976B2 (en) Combined database index of unstructured and structured columns
US6301584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trieving entities and integrating data
US8135705B2 (en) Guaranteeing hypertext link integrity
JP4318741B2 (en) Database system, database search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6925462B2 (en)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d query method and query execution program in the database management system
US7657515B1 (en) High efficiency document search
US6601061B1 (en) Scalable information search and retrieval including use of special purpose searching resources
US7493308B1 (en) Searching documents using a dimensional database
EP0981097A1 (en) Search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fulltext search over web pages of world wide web servers
US20030088639A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ransforming content from one markup to another markup language non-intrusively using a server load balancer and a reverse proxy transcoding engine
JP2001014329A (en) Database processing method and implementation device, and medium stored with the processing program
KR100359233B1 (en) Method for extracing web information and the apparatus therefor
US76309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base queries
JPH11213014A (en) Data base system, data base retriev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Bhowmick et al. Information coupling in web databases
Souza et al. The role of gazetteers in geographic knowledge discovery on the web
Agosti et al. Information retrieval on the web
CN106547898A (en) A kind of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of distributed data base
KR100284573B1 (en) Spatial Databas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Spatial Indexes Known on the Internet
KR20020032060A (en) Method and System for Retrieving Information using Proximity Search Formula
KR100496384B1 (en) Search engine, search system, method for making a database in a search system, and recording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