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267A - 길이조절이가능한신발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가능한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267A
KR19990046267A KR1019990002294A KR19990002294A KR19990046267A KR 19990046267 A KR19990046267 A KR 19990046267A KR 1019990002294 A KR1019990002294 A KR 1019990002294A KR 19990002294 A KR19990002294 A KR 19990002294A KR 19990046267 A KR19990046267 A KR 19990046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length
shoe
predetermined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4826B1 (ko
Inventor
하기호
Original Assignee
최현실
주식회사 신경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실, 주식회사 신경화학 filed Critical 최현실
Priority to KR1019990002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826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8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1)의 중창(2)을 전후방향으로 구획 형성하되, 구획되는 중창의 소정위치에 중창길이를 소정길이 만큼 조정하기 위한 길이조정수단(10, 20, 30)과; 상기 길이조정수단에 따라 신발의 갑피(3) 및 밑창(4)부위에 설치되어 소정의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40, 50)와; 상기 탄성부(40)의 전,후측에 연결 설치되어 발 사이즈에 따라 신발형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신발의 중창부위, 갑피부위, 신발의 밑창부위에 길이조정수단, 탄성부 및 고정수단에 의해 신발의 외형을 변형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신발을 발사이즈에 맞게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발 형태에 따라 외반증 및 내반증이 있는 환자 또는 좌우측 발 사이즈가 상호 다른 착용자 및 성장이 빠른 아동의 신발 등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여 신발사이즈 길이조정에 따라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음은 물론 신발의 2중구입에 따른 부담감을 덜어줄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LENGTH ADJUSTABLE SHOES}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신발의 사이즈를 소정의 범위내에서 조절되도록 하여 어린아이의 발에 맞도록 하고, 특히 좌.우측의 발 사이즈가 다른 착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신발구입에 따른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보행을 하게 되면서 발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간섭물로부터 보호하며, 발바닥에 직접적으로 받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신발을 신고 보행을 하였다.
신발은 착용자에 따라 남녀, 노소할 것 없이 신발 사이즈 및 디자인형태, 또는 기능적인 면에서 착용하게 되는데, 통상 어린아이부터 신발은 신체의 발육상태에 따라 조금 큰 사이즈로 구입하여 착용하는 예가 대부분이며, 어린아이의 경우 착용하는 기간이 대부분 짧아 신발을 오랫동안 착용하고 다님으로써 바닥이 닳거나 헤지는 경우가 드물게 되어 한 해 또는 그 이듬 해까지 신고서 버리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는 점차적으로 많아지는 인구에 의해 한 번 버려진 신발은 재 사용할 수 없게되며 이로 인한 신발착용에 있어 적지 않은 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신발 착용자에 따라 좌.우측 발 사이즈가 제각기 다른 이에 있어서는 신발을 별도로 한 컬레 더 구입하여야 하거나 맞추어 착용하는 예가 대부분으로서 비용이 그만큼 추가적으로 들면서 맞지 않는 새신발은 버려져야 하기 때문에 2배에 달하는 신발 구입가격에 부담이 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신발의 사이즈를 소정의 범위내에서 조절되도록 하여 착용자의 발에 맞도록 하고, 특히 좌.우측의 발 사이즈가 다른 착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신발의 2중구입에 따른 부담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의 중창을 전후방향으로 구획 형성하되, 구획되는 중창의 소정위치에 중창길이를 소정길이 만큼 조정하기 위한 길이조정수단과; 상기 길이조정수단에 따라 신발의 갑피 및 밑창부위에 설치되어 소정의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 전,후측에 연결 설치되어 발 사이즈에 따라 신발형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신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해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신발의 중창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중창의 길이조절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길이를 적정길이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이 신발의 갑피 측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신발의 갑피 및 밑창 선단부위에 탄성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밑창부위에 탄성소재를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중창의 선단측부분을 나사의 체결에 따라 중창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시한 신발의 분리 사시도,
도 13는 도 12에서 중창의 길이조절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중창의 후단측부분을 나사의 체결에 따라 중창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시한 중창의 분리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 중창의 길이조절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신발 2: 중창
3: 갑피 4: 밑창
10, 20, 30: 길이조정수단 40, 50: 탄성부
60: 고정수단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인 신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해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측단면도로, 신발(1)에 있어서, 신발(1)의 중창(2)을 전후방향으로 구획 형성하되, 구획되는 중창(2)의 소정위치에 중창길이를 소정길이 만큼 조정하기 위한 길이조정수단(10, 20, 30)과; 상기 길이조정수단에 따라 신발의 갑피(3) 및 밑창(4)부위에 설치되어 소정의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40, 50)와; 상기 탄성부에 전,후측에 연결 설치되어 발 사이즈에 따라 신발형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정수단(10)은 신발 중창(2)의 전체길이에 대해 후단으로부터 소정위치를 구획하되, 저면에 소정길이를 갖는 더브테일홈(11-1)과, 더브테일홈(11-1)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며, 일측 길이면에 랙기어(11a)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길이조절공(11-2)과, 길이조절공(11-2)내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면에 고정기어(11b)가 형성된 고정키(11-3)로 구성된 제 1중창고정부(11)를 마련하고, 상기 길이조절공(11-2)내의 랙기어(11a) 및 고정키(11-3)에 치합 설치되고 상면에 십자홈(12b)가 형성된 소정직경의 평기어(12-1)와, 평기어(12-1)의 저면을 소정깊이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12a)이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더브테일홈(11-1)에 안내되도록 소정길이의 더브테일(12-2)이 일체로 형성된 제 1중창조절부(12)로 나뉘어져 구성된다.
상기 고정키(11-3)는 제 1중창고정부(11)의 길이조절공(11-2)에 일체로 연결 형성됨에 있어, 상기 고정키의 연결부위 즉, 힌지부위는 신발의 선단측에 해당하는 길이조절공(11-2)에 형성되고 그 타단은 길이조절공으로부터 인출시키기 용이하도록 요홈부(도면에서 미표기함)를 형성하거나, 길이조절공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정수단(20)은 신발 중창의 전체길이에 대해 선단으로부터 소정위치를 구획하되, 저면에 소정길이를 갖는 더브테일홈(21-1)이 형성되고, 더브테일홈(21-1)의 중앙으로부터 중창의 후단까지 연통되는 소정직경의 제 1조절공(21-2)이 형성된 제 2중창고정부(21)와; 상기 더브테일홈(21-1)에 안내되도록 소정길이를 갖는 더브테일(22-2)이 일체로 형성되고, 더브테일(22-2)의 저면으로부터 소정길이를 갖는 제 2조절공(22-3)이 형성되며, 제 2조절공(22-3)에 연통되는 조절공간부(22-4)가 형성되고, 조절공간부(22-4)내에 체결공이 형성된 너트부재(22-5)가 부착 설치된 제 2중창조절부(22)와; 상기 제 2중창고정부(21)의 제 1조절공(21-2) 및 제 2중창조절부(22)의 제 2조절공(22-3)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너트부재(22-5)에 체결 설치되어 제 2중창고정부(21)에 대해 제 2중창조절부(22)를 소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해 일측에 소정구간의 체결나사부(23a)가 형성되고, 일측에 조절홈(23b)이 형성된 조절봉(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2, 3중창조절부(12)(22)(32)와 제 1, 2중창고정부(11)(21)(31)가 마주 접하는 일단부위는 상호 소정간격의 경사면(11c, 12c, 21c, 22c, 31c, 32c)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첨부된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길이조정수단(30)은 신발 중창(2)의 전체길이에 대해 후단으로부터 소정위치를 구획하되, 저면에 소정길이를 갖는 더브테일홈(31-1)이 형성되고, 더브테일홈(31-1)의 중앙에 부착 설치되는 너트부재(31-2)로 구성된 제 3중창고정부(31)와; 상기 더브테일홈(31-1)에 안내되어 너트부재(31-2)에 일직선상으로 위치되도록 길이방향 중앙에 제 3조절공(32-1)이 형성되고, 더브테일(32-2)이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구획 형성된 제 3중창조절부(32)와; 상기 제 3중창조절부(32)의 너트부재(31-2)에 체결 설치되어 제 3중창고정부(31)에 대해 제 3중창조절부(32)를 소정간격 이격시키도록 일측 소정구간에 체결나사부(33a)가 형성되고, 일측에 조절홈(33b)이 형성된 조절봉(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봉(33)의 조절홈(33b)은 신발의 외측 뒷굼치 방향에서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조절봉(33)의 일단은 제 3중창조절부(32)의 일측으로부터 소정깊이 인입되는 구조로 설치한다.
상기한 조절봉(23, 33)의 체결나사부(23a, 33a) 일단은 조절봉의 직경보다 넓은 걸림턱(23d, 33d)이 형성되어 너트부재로부터 조립상태에서 신발의 길이조절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상기 걸림턱의 형성으로 너트부재에 조립시에는 저면이 개구된 너트부재의 저면에서 강압적으로 끼워 설치한다.
상기 탄성부(40, 50)중 갑피(3)에 설치되는 탄성부(40)는 고무재질이 포함된 스판으로 설치되고, 밑창(4)에 설치되는 상기 탄성부(50)는 소정두께를 갖고 탄성을 갖는 벨로우즈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부(50)는 밑창(4)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벨로우즈형태로 길이가변이 가능한 탄성부는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한 신발의 공간부위 즉, 지면과 밀착되지 않는 부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발(1)의 갑피(3)에 마련된 탄성부(40)측에 설치되는 고정수단(60)은 신발에 구비된 탄성부(40)의 폭에 대한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결속끈, 벨크로우 및 결속밴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신발(1)은 운동화, 등산화, 골프화, 구두, 군화 및 작업용 특수화로 중창(2), 갑피(4), 밑창(4)부위의 길이가 조절가능한 신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길이조절 가능한 신발의 착용상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착용자의 발 사이즈에 맞는 신발(1)을 구입하여 착용하다가 신체의 발육상태에 따라 신발 사이즈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착용하였던 신발의 깔창(안창)을 분리시키준다.
깔창(도면에서 미표기함)이 분리되어 신발의 중창부분이 드러난 상태에서 착용자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중창(2)의 구성을 이루는 제 1중창고정부(11)측에 설치된 길이조정수단(10)을 이용하여 신발의 사이즈를 착용자의 발 사이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 1중창고정부(11)에 마련된 길이조절공(11-2)으로부터 비교적 납작한 도구를 이용하여 고정키(11-3)의 길이방향 일단에 마련된 요홈부를 들어 주면, 상기 고정키(11-3)는 길이조절공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회동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키(11-3)의 일면에 형성된 고정기어(11b)부분과 상기 길이조절공(11-2)내의 일면에 마련된 랙기어(11a)에 치합 고정된 평기어(12-1)를 회전시켜 중창(2)의 길이를 가변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평기어(12-1)는 상면에 십자홈(12b)이 형성되어 있어, 드라이버 공구를 이용하여 길이조절공(11-2)내의 랙기어(11a)에 항상 치합된 상태에서 랙기어(11a)의 길이방향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중창고정부(11)에 대해 구획되어 하나의 중창을 이루는 제 1중창조절부(12)는 그 일단면이 상기 제 1중창고정부(11)의 일단면과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소정간격 이격된다.
상기 제 1중창고정부(11)와 제 1중창조절부(12)의 이격간의 거리는 최대 10mm정도까지 길이를 이격시킬 수 있는데, 이는 신발사이즈에 대한 변형의 한계를 넘지 않기 위함이다.
상기 평기어(12-1)를 회전시킴에 있어, 평기어(12-1)는 상기 제 1중창조절부(12)의 더브테일(12-2)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2a)으로부터 소정깊이 안내되어 안정적으로 회전시켜 줄 수 있게 되며, 평기어(12-1)를 조절함에 있어 상기 제 1중창고정부(11)에 마련된 더브테일홈(11-1)으로부터 상기 제 1중창조절부(12)의 더브테일은 일직선상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제 1중창고정부(11)로부터 제 1중창조절부(12)를 적정 길이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더브테일(12-2) 및 더브테일홈(11-1)은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제 1중창고정부(11)로부터 제 1중창조절부(12)가 길이조절되거나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 1중창고정부(11) 및 제 1중창조절부(12)의 일단부분인 경사면(11c, 12c)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이격되어 제 1중창고정부(11) 및 제 1중창조절부(12)의 이격부위에서 중창의 이탈 및 함몰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길이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조절공(11-2)으로부터 분리시킨 고정키(11-3)를 다시 초기상태로 길이조절공(11-2)내에 일치되게 하여 조립하면, 상기 평기어(12-1)는 길이조절공(11-2)내의 랙기어(11a)에 치합된 상태가 되고, 고정키(11-3)의 고정기어(11b)부분은 상기 평기어(2-1)에 치합되어 평기어(2-1)를 고정시켜 주고 다시 중창(2)의 상면으로는 신발의 깔창(안창)을 안내시켜 준다.
상기 제 1중창조절부(12)와 제 1중창고정부(11)가 이격되어 고정된 형태에서 상기 제 1중창조절부(12) 및 제 1중창고정부(11)의 일단 즉, 상호 접하는 부분은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경사면(11c, 12c)이 형성되어 있어 이격된 상태에서 각 제 1중창조절부(12)와 제 1중창고정부(11)의 이격거리에 대한 틈새의 간극을 직선이 아닌 경사각으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발 바닥면과의 간섭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평기어(12-1), 랙기어(11a) 및 고정기어(11b)의 간격 피치는 제 1중창조절부(12)와 제 1중창고정부(11)가 상호 대략 1mm 또는 1.3mm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조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착용자의 발사이즈에 대해 길이간격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한편, 상기 중창의 길이를 길게 가변시켜 고정되도록 함에 있어, 신발의 갑피(3)부분이나 밑창(4)에 형성한 각 탄성부(40, 50)는 상기 제 1중창고정부(11)와 제 1중창조절부(12)가 이격된 길이만큼 늘어나게 되어 착용자는 신발길이를 가변한 상태에서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신발의 밑창(4)에 적용되는 탄성부(50)는 벨로우즈형태로 길이가변이 가능한 탄성부는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한 신발의 공간부위 즉, 지면과 밀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보행에 있어 지면과의 간섭을 줄여 탄성부를최소한으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갑피(3)부분에 적용된 탄성부(40)는 가압하는 정도에 의해 소정길이만큼 해당되는 부분에 탄성 및 복원력이 있는 고무재질로 제작되어 있어,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을 행함에 따라 신발에 받는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고, 상기 탄성부(40, 50)만의 구성만으로도 신발사이즈가 착용자의 발사이즈에 대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는 자유롭게 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신발의 갑피(3)에 마련된 탄성부(40)측에는 첨부된 도 6내지 8을 참조하여 보면, 고정수단(60)이 적용되는데, 이 고정수단(60)은 길이조정된후 보다 안정적인 착용감을 기대하기 위한 것으로, 탈부착이 용이한 벨크로우타입, 결속밴드타입 및 결속끈타입을 적용시켜 신발의 형태에 따른 각기 다른 디자인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10 및 도 11은 밑창(4)의 저면에 마련한 탄성부(50) 즉, 벨로우즈부분은 선단측 및 후단측 2곳에 형성시켜 신발길이를 전,후로 길이조절하여 신발을 착용하는데 있어, 거의 변형도가 적은 상태로 유지시켜 착용에 편리함을 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신체성장도가 빠른 어린아이나 양측 발 사이즈가 각기 다른 착용자에게 신발의 구입요건을 충족시켜 줄 수 있고, 착용에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중창의 전체길이에 대해 선단으로부터 소정위치를 구획 형성된 제 2중창조절부(22)와 제 2중창고정부(21)는 다음과 같이 조절할 수 있다.
신발의 뒷굼치측에 해당되는 외측부위에 드러난 조절봉(23)의 조절홈(23b)에 드라이버공구를 이용하여 풀림방향으로 돌려주면, 제 2중창고정부(21)의 제 1조절공(21-2)과 제 2중창조절부(22)의 제 2조절공(22-3)에 관통 설치된 조절봉(23)의 체결나사부(23a)부위는 너트부재(22-5)로부터 체결상태에서 풀려짐과 동시에, 상기 제 2중창고정부(21)로부터 제 2중창조절부(22)를 소정간격으로 이격시켜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중창조절부(22)의 더브테일(22-2)은 상기 너트부재(22-5)와 제 2중창고정부(31)의 더브테일홈(21-1)으로부터 안내되면서 점차적으로 이격된다.
상기와 같은 중창의 길이조절을 하여 착용하는 이에 있어서는 주로 발의 선단부분의 볼에 대한 폭이 비교적 넓은 착용자에게 신발 착용감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의 부적합한 관계에서 외반증, 내반증을 있는 착용자에게도 적용이 모두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어 착용감을 편안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3중창고정부(31)로부터 제 3중창조절부(32)의 간격조정은 다음과 같다.
신발의 뒷굼치측에 해당되는 외측부위에 드러난 조절봉(33)의 조절홈(33b)에 드라이버공구를 이용하여 풀림방향으로 돌려주면, 제 3중창조절부(32)의 제 3조절공(32-1)에 관통되어 설치된 조절봉(33)의 체결나사부(33a)부위는 상기 더브테일홈(31-1)에 부착된 너트부재(31-2)로부터 풀려짐과 동시에, 상기 제 3중창고정부(31)로부터 제 3중창조절부(32)를 소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준다.
이때 상기 제 3중창조절부(32)측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2개의 더브테일은 상기 너트부재(31-2)와 제 3중창고정부(31)의 더브테일홈(31-1)으로부터 안내되면서 이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길이조절된 신발을 착용함에 있어, 신발은 첨부된 도 6 내지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발 사이즈에 적당하게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착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조절봉(33)은 신발의 후측에 위치되어 보행시 신발의 뒷부분에 무게가 실려 더욱 안정적인 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는 신발의 갑피 및 밑창에 탄성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상기한 조절봉(33)의 조정에 따라 신발의 선단부위의 길이를 가변시켜 착용할함에 있어, 발의 폭 및 발 등부분이 비교적 넓은 착용자가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길이조정수단(10, 20, 30), 탄성부(40, 50),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신발 사이즈가 바람직하게는 10mm정도의 전후로 가변길이로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신체성장이 빠른 어린아이 및 좌우측 발사이즈가 각기 다른 짝발착용자가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신발의 중창부위, 갑피부위, 신발의 밑창부위에 길이조정수단, 탄성부 및 고정수단에 의해 신발의 외형을 변형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신발을 발사이즈에 맞게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신발을 오랫동안 착용할 수 있음은 물론 2중구입에 따른 부담감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신발(1)의 중창(2)을 전후방향으로 구획 형성하되, 구획되는 중창의 소정위치에 중창길이를 소정길이 만큼 조정하기 위한 길이조정수단(10, 20, 30)과;
    상기 길이조정수단에 따라 신발의 갑피(3) 및 밑창(4)부위에 설치되어 소정의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40, 50)와;
    상기 탄성부(40)에 전,후측에 연결 설치되어 발 사이즈에 따라 신발형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가능한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길이조정수단(10)은 신발 중창의 전체길이에 대해 후단으로부터 소정위치를 구획하되, 저면에 소정길이를 갖는 더브테일홈(11-1)과,
    더브테일홈(11-1)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며, 일측 길이면에 랙기어(11a)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길이조절공(11-2)과,
    길이조절공(11-2)내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면에 고정기어(11b)가 형성된 고정키(11-3)가 구비된 제 1중창고정부(11)와;
    상기 길이조절공(11-2)내의 랙기어(11a) 및 고정키(11-3)에 치합 설치되고 상면에 십자조절홈(12b)이 형성된 는 소정직경의 평기어(12-1)와,
    평기어(12-1)의 저면을 소정깊이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12a)이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더브테일홈(11-1)에 안내되도록 소정길이의 더브테일(12-2)이 일체로 형성된 제 1중창조절부(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3. 제 1항에 있어서, 길이조정수단(20)은 신발 중창의 전체길이에 대해 선단으로부터 소정위치를 구획하되, 저면에 소정길이를 갖는 더브테일홈(21-1)이 형성되고, 더브테일홈(21-1)의 중앙으로부터 중창의 후단까지 연통되는 소정직경의 제 1조절공(21-2)이 형성된 제 2중창고정부(21)와;
    상기 더브테일홈(21-1)에 안내되도록 소정길이를 갖는 더브테일(22-2)이 일체로 형성되고, 더브테일(22-2)의 저면으로부터 소정길이를 갖는 제 2조절공(22-3)이 형성되며, 제 2조절공(22-3)에 연통되는 조절공간부(22-4)가 형성되고, 조절공간부(22-4)내에 체결공이 형성된 너트부재(22-5)가 부착 설치된 제 2중창조절부(22)와;
    상기 제 2중창고정부(21)의 제 1조절공(21-2) 및 제 2중창조절부(22)의 제 2조절공(22-3)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너트부재(22-5)에 체결 설치되어 제 2중창고정부(21)에 대해 제 2중창조절부(22)를 소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해 일측에 소정구간의 체결나사부(23a)가 형성되고, 체결나사부(23a)의 일단에 걸림턱(23d)가 형성되며, 타측에 조절홈(23b)이 형성된 조절봉(2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4. 제 1항에 있어서, 길이조정수단(30)은 신발 중창의 전체길이에 대해 후단으로부터 소정위치를 구획하되, 저면에 소정길이를 갖는 더브테일홈(31-1)과,
    더브테일홈(31-1)의 중앙에 부착 설치되는 너트부재(31-2)로 구성된 제 3중창고정부(31)와;
    상기 더브테일홈(31-1)에 안내되도록 소정길이를 갖는 더브테일(32-2)이 일체로 형성된 제 3중창조절부(32)와;
    상기 제 3중창조절부(32)의 중앙에 관통 설치되어 너트부재(31-2)에 체결 설치되어 제 3중창고정부(31)에 대해 제 3중창조절부(32)를 소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해 소정길이를 갖고 소정위치에 체결나사부(33a)가 형성되고, 체결나사부(33a)의 일단에 걸림턱(33d)가 형성되며, 타측에 조절홈(33b)이 형성된 조절봉(3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5. 제 2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제 1, 2, 3중창조절부(12)(22)(32)와 제 1, 2, 3중창고정부(11)(21)(31)가 접하는 일단부위는 상호 소정간격의 경사면(11c, 12c, 21c, 22c, 31c, 32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6. 제 1항에 있어서, 신발의 갑피(3)부위에 구비되는 탄성부(40)는 고무재질이 포함된 스판으로 이루어지고, 신발의 밑창(4)부위에 구비되는 탄성부(50)는 소정두께를 갖고 탄성을 갖는 벨로우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7. 제 6항에 있어서, 탄성부(50)는 신발 밑창(4)의 저면에 선단측 또는 선단측과 후단측 소정위치에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8.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60)은 신발에 구비된 탄성부(40)의 폭에 대한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결속끈, 벨크로우 또는 결속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9. 제 1항에 있어서, 신발(1)은 운동화, 등산화, 골프화, 구두, 군화 및 특수화로 중창(2), 갑피(4), 밑창(4)부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KR1019990002294A 1999-01-25 1999-01-25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KR100314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294A KR100314826B1 (ko) 1999-01-25 1999-01-25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294A KR100314826B1 (ko) 1999-01-25 1999-01-25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267A true KR19990046267A (ko) 1999-07-05
KR100314826B1 KR100314826B1 (ko) 2001-11-17

Family

ID=37531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294A KR100314826B1 (ko) 1999-01-25 1999-01-25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8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661B1 (ko) * 2008-01-24 2010-03-03 최인혁 치수조절이 가능한 샌들
KR200467300Y1 (ko) * 2012-03-16 2013-06-07 (주)한국파워테크 체인타입 아이젠
KR101319422B1 (ko) * 2012-02-15 2013-10-23 윤세렬 길이조절이 가능한 슬리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205B1 (ko) 2008-09-22 2011-03-07 주식회사 신경 신축구조를 구비한 신발 밑창
KR101318868B1 (ko) * 2011-12-16 2013-10-1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이즈 가변형 신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661B1 (ko) * 2008-01-24 2010-03-03 최인혁 치수조절이 가능한 샌들
KR101319422B1 (ko) * 2012-02-15 2013-10-23 윤세렬 길이조절이 가능한 슬리퍼
KR200467300Y1 (ko) * 2012-03-16 2013-06-07 (주)한국파워테크 체인타입 아이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4826B1 (ko) 200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07604A1 (en) Length adjustable shoe
US9565896B2 (en) Stability and comfort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642677A (en) Adjustable counter for strap sandals
US6158150A (en) Longitudinal grind plate
US6547261B2 (en) Adjustment device, particularly for adjusting the size of an in-line roller skate
US9949527B2 (en) Golf sandal
US8201346B2 (en) Medical shoe system
EP0857501B1 (en) In-line skate with a flexing cuff
US52937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orienting ski boot
EP1728445B1 (en) Self-ventilated, ergonomic footwear and sole
US20040107605A1 (en) Sports shoe
KR100314826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GB2442293A (en) Footwear cushioning apparatus
US9320314B2 (en) Sports footwear provided with an adjustable rear spoiler
KR20090085381A (ko)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
US5289646A (en) Athletic shoe
WO1998001051A1 (en) Grinding apparatus and associated footwear
CA3158071A1 (en) Therapeutic shoes, components for use with therapeutic sho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 therapeutic shoe
EP0465223A2 (en) Improved activity boot
US4258481A (en) Boot
US20050055847A1 (en) Sports shoe
JP2020014817A (ja) 中敷き及びこれを備えた靴
KR20100006466U (ko) 기능성 신발 바닥창
JP6894117B2 (ja) インソール、当該インソールを用いた履物、及び履物
KR20000013839U (ko) 신발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