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703A - 제로전력퓨즈회로 - Google Patents

제로전력퓨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703A
KR19990044703A KR1019980702469A KR19980702469A KR19990044703A KR 19990044703 A KR19990044703 A KR 19990044703A KR 1019980702469 A KR1019980702469 A KR 1019980702469A KR 19980702469 A KR19980702469 A KR 19980702469A KR 19990044703 A KR19990044703 A KR 19990044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upled
transistor
channel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패덕 잭디쉬
이. 페인 제임스
패덕 새로지
Original Assignee
페레고스 조지, 마이크 로스
아트멜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레고스 조지, 마이크 로스, 아트멜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페레고스 조지, 마이크 로스
Publication of KR19990044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70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6Bistable circuits
    • H03K3/356008Bistable circuits ensuring a predetermined initial state when the supply voltage has been applied; storing the actual state when the supply voltage fai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6Bistable circuits
    • H03K3/356104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3/356182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the main nodes

Landscapes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제로 전력 회로는 두개의 입력단을 가진 래치 수단(50)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한 입력 단자 A는 접지로 래치되고 제2 입력 단자 B는 VCC로 래치된다. 래치 수단은 접지로의 제1 입력 단자의 순시 접촉 또는 VCC로의 제2 입력 단자의 순시 접촉에 의해서 트리거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래치 수단의 두개의 입력 단자 A, B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결합되는 두개의 퓨즈 소자/커패시터쌍 F1, C1, F2, C2을 포함하고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풀업 트랜지스터(20), 및 제1 및 제2 입력 단자 A, B 각각에 결합된 퓨즈 소자/커패시터쌍 F, C를 포함하고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풀다운 트랜지스터(22), 및 래치 수단의 제1 및 제2 입력 단자 A, B에 각각 결합된 퓨즈 소자/커패시터 F, C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제로 전력 퓨즈 회로
퓨즈 회로는 다양한 반도체 어플리케이션에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기억 밀도의 반도체 장치로서 메모리 장치, 프로그래머블 로직 장치 등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임의의 한 장치내에서 결함이 있는 셀의 발생 또한 증가하는 것 같다. 그 결함이 어떤 방법으로 정정될수 없다면, 특히 결함이 있는 반도체 장치는 쓸모없게 될 것이며, 이로 인해 생산 양품률(良品率)이 더 저하될 것이다. 이러한 결함을 정정하는 방법으로는 그 장치내에 다수의 잉여 셀을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결함 셀이 검출될 경우, 잉여 셀 중 하나가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잉여 셀을 보유한 회로는 하나 이상의 잉여 셀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녹아 끊어지는 가용성 소자를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회로는 잉여 셀 중 몇개의 셀이 결함 셀을 대신하여 프로그래밍되었는 지에 상관없이 전력을 소비한다.
또한, 퓨즈 회로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장치(PLD)의 프로그래밍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PLD내 로직 셀은 로직 HI 또는 로직 LO 이던 간에 디폴트 로직 레벨을 가지도록 제조된다. 이것은 VCC또는 접지 중 어느 하나에 셀의 출력을 연결시키는 가용체 링크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셀내 퓨즈가 녹아 끊어질 경우, 셀의 로직 레벨은 전환된다. 잉여 메모리 셀을 사용하는 회로와 같이, PLD의 퓨즈 회로 또한 전력을 소비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퓨즈 회로를 생각해보자. 저항기 R은 VCC와 접지 사이에 퓨즈 F와는 직렬로 결합된다. 저항기와 퓨즈간의 노드는 인버터에 공급되어 출력 Q을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에서, 손상되지 않은 퓨즈는 인버터 입력을 접지 d에 연결시키므로 Q는 HI가 된다. 한편, 정전류는 VCC에서 저항기 및 퓨즈 F를 통해 접지로 흐른다. 퓨즈가 녹아 끊어진 경우, 인버터 입력은 VCC에 결합되어 Q는 LO가 된다. 통상적인 어플리케이션에서, 다수의 이러한 퓨즈 회로 중에서 임의의 회로는 녹아 끊어지거나 또는 손상되지 않는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손상되지 않은 퓨즈 회로는 VCC로부터 전류를 항상 드로우잉할 것이고, 전력은 저항기 R을 통해 방산될 것이다. 이러한 퓨즈 회로는 비효율적이며, 특히 전력이 프리미엄인 휴대용 PCs와 같은 소형 계산 장치에 사용될 경우 비효율적이다.
프로그래머블 로직 레벨을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에 사용될 수 있고, 퓨즈 회로가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거나 또는 녹아 끊어지든 간에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퓨즈 회로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퓨즈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로 정적 전력 퓨즈 회로 아키텍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로 전력 퓨즈 회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로 전력 퓨즈 회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로 전력 퓨즈 회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이중-트리거 단향성 래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5는 종래의 퓨즈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퓨즈 회로는 이중-트리거 단향성 래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이중-트리거" 래치는 두개의 입력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트리거될 수 있는 래치이다. 부가로, 래치는 제1 입력이 제1 입력의 순시 접촉에 의해서만 래치를 접지로 트리거할 수 있고, 제2 입력의 순시 접촉에 의해서만 래치를 VCC로 트리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단향성"이다. 또한, 래치가 트리거되는 경우, 제1 입력은 접지로 래치하고 제2 입력은 VCC로 래치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퓨즈 회로는 두개의 직렬 접속된 퓨즈 소자 및 커패시터쌍과 결합된 상기 래치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로직 레벨은 두개의 퓨즈 소자가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는 경우 퓨즈 회로에 의해 제공된다. 제2 로직 레벨은 두개의 퓨즈가 녹아 끊어진 경우 제공된다. 제2 실시예에서, 퓨즈 회로는 제1 단자가 풀업 트랜지스터에 결합되고 제2 단자가 퓨즈/커패시터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기 래치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풀다운 트랜지스터는 제2 실시예의 풀업 트랜지스터 대신에 사용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커패시터는 퓨즈 소자가 손상되지 않은 경우 안정 상태 조건 동안에 DC 전류를 차단하게 한다. 그러므로, 제1 로직 레벨은 퓨즈 회로를 통한 어떠한 전력 방산 없이 제공된다. 퓨즈 소자가 녹아 끊어진 경우, 커패시터는 접지 또는 VCC에 순시 결합된다. 이러한 순시 결합은 래치 수단을 동작시키기에 충분하고, 로직 레벨을 전환시킨다. 래치가 어떠한 전력도 드로우잉하지 않고 커패시터가 DC 전류를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퓨즈 소자가 녹아 끊어질 경우 안정 상태에서 어떠한 전류도 소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퓨즈 소자가 녹아 끊어지거나 또는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있든지 간에, 본 발명의 퓨즈 회로는 어떠한 정적 전력 방산없이 동작한다.
도 1에 관하여, 본 발명의 제로 전력 퓨즈 회로(10)는 두개의 단자(A,B)를 갖는 래치 수단을 포함한다. A 단자는 제1 퓨즈 소자 F1과 제1 커패시터 C1의 직렬 결합부에 결합된다. 퓨즈 소자 F1는 VCC에 결합되고 커패시터 C1은 접지에 결합된다. 유사하게는, 래치 수단(50)의 단자 B는 제2 퓨즈 소자 F2와 제2 커패시터 C2의 직렬 결합부에 결합된다. 그러나, 단자 B에서, 제2 퓨즈 소자 F2는 접지에 결합되고 제2 커패시터 C2는 VCC에 결합된다. 제로 전력 회로(10)의 출력 로직 Q, 은 단자 A, B 로부터 각각 얻을 수 있다.
래치 수단(50)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테이블에 의해 정의된다. 반응(RESPONSE) 칼럼 아래의 테이블로부터 알수 있듯이, 트리거될 경우, 래치는 단자 A를 접지 GND로 래치하고 단자 B를 VCC로 래치함으로써 반응한다. 래치 수단은 테이블의 동작(ACTION) 칼럼 아래에 도시되어 있듯이 두가지 방법 중 한가지 방법으로 트리거되는데, 한가지 방법은 A를 접지에 접촉시키는 것이고 나머지 방법은 B를 VCC에 접촉시키는 것이다. 래치 수단을 트리거하는데 단지 순시 접촉만이 요구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단자 A와 접지와의 순시 접촉은 래치 수단(50)을 트리거하기에 충분하다. 도 4의 테이블은 또한 단자 A를 VCC에 접촉시키거나 또는 단자 B를 접지에 접촉시키는 것이 미정의 반응을 초래함을 나타내고 있고, 래치의 반응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래치 수단(50)은 이후 이중-트리거 단향성 래치 수단으로 정의된다. 래치 수단은 래치 수단(50)이 단자 A를 접지에 접촉시키거나 또는 단자 B를 VCC에 접촉시킴으로써 트리거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이중-트리거" 이다. 래치 수단(50)은 각각의 단자가 한 방향으로 래치한다, 즉 래치가 트리거될 경우, 단자 A가 항상 접지로 래치되고 단자 B가 항상 VCC로 래치된다는 점에서 "단향성"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래치 수단(50)은 N-채널 MOS 트랜지스터(54)와 크로스-결합된 P-채널 MOS 트랜지스터(52)를 포함한다. 특히,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VCC에 결합되고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는 접지에 결합된다. 도중에, PMOS 트랜지스터(52)의 게이트는 NMOS 트랜지스터(54)의 드레인에 결합되고,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P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결합된다. 도 4의 테이블에서 기술되는 방법으로 작동하는 임의의 래치 수단 회로는 본 발명의 제로 전력 회로에서와 같이 잘 동작한다.
이제 도 1의 회로 동작이 기술될 것이다. 손상되지 않은 퓨즈 소자 F1, F2에 관하여, 래치 수단(50)의 단자 A는 VCC에 연결되어 출력 Q는 HI가 된다. 유사하게는, 단자 B는 접지에 연결되어 의 출력 로직은 LO가 된다. 부가로, 단자 A가 VCC에 연결된 이래, PMOS 트랜지스터(52)는 도통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단자 B가 접지 전위에 연결된 이래, NMOS 트랜지스터(54)는 도통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래치는 퓨즈가 손상되지 않았을 경우 트리거되지 않는다.
두개의 퓨즈 소자 F1, F2가 녹아 끊어진 경우, 단자 A는 커패시터 C1을 통해 접지에 순시 결합될 것이고, 전력 공급시 PMOS 트랜지스터(52)의 게이트가 접지로 풀링(pulling)될 것이다. 동시에, 단자 B가 커패시터 C2를 통해 VCC에 순시 결합되므로, NMOS 트랜지스터(54)의 게이트가 VCC로 풀링될 것이다. PMOS 트랜지스터가 도통할때,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PMOS 트랜지스터를 통해 VCC로 풀링된다. 마찬가지로, NMOS 트랜지스터가 도통하기 시작할때,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NMOS 트랜지스터를 통해 접지로 풀링된다. 결국, 단자 A는 접지로 래치하고 단자 B는 VCC로 래치된다. 커패시터 C1, C2가 충전되어 단자 A, B가 더이상 커패시터를 통해 결합되지 않을 경우, 두 단자는 래치 수단(50)을 통해 접지 및 VCC에 각각 결합된다. 그러므로, Q는 퓨즈 소자가 녹아 끊어진 경우 LO가 되고, 은 HI가 된다. 전술된 바로 부터, 도 1에 도시된 래치 수단(50)의 회로가 도 4의 테이블에서 설명되듯이 래치 형성에 따라 동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퓨즈 F1, F2가 손상되지 않은 경우에, Q에서 HI가 될 수 있다(반대로, 에서는 LO가 될 수 있다). 커패시터 C1,C2모두는 VCC에서 접지로의 DC 전류를 차단하는데 제공되고, 그래서 어떠한 전력도 두개의 퓨즈 소자/커패시터쌍을 통해 소비되지 않는다. 유사하게는, PMOS 트랜지스터나 또는 NMOS 트랜지스터 중 어느 것도 퓨즈 소자 F1, F2가 손상되지 않은 경우 도통하지 않으므로, 어떠한 전력도 트랜지스터를 통해 드로우잉되지 않는다.
퓨즈 소자 F1, F2가 녹아 끊어진 경우에, Q는 LO가 된다(반대로, 은 HI가 된다). 래치 수단의 트랜지스터(52, 54)가 게이트에 크로스 결합되어 서로 바이어스되므로, 어떠한 전력도 드로우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커패시터 C1, C2를 충전하기 위해 드로우잉되는 초기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퓨즈 소자가 녹아 끊어질때 어떠한 전력도 소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도 1의 제로 전력 회로는 HI 및 LO 로직 레벨을 어떠한 전력 소비 없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제로 전력 회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자. 이 실시예에서, 퓨즈 소자 F는 래치 수단(50)의 단자 B와 접지 사이에 결합된다. 커패시터 C는 VCC와 단자 B사이에 결합된다. PMOS 풀업 트랜지스터(20)는 VCC에 결합된 소스 단자 및 래치 수단(50)의 단자 A에 결합된 드레인 단자를 포함한다.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단자 B에 결합된다.
첫째로, 퓨즈 소자 F가 손상되지 않은 경우 퓨즈 회로(12)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자. 단자 B는 퓨즈 소자를 통해 접지에 연결되고, 그래서 은 LO가 된다. 단자 B가 접지에 연결될 경우, PMOS 트랜지스터(20)가 도통하므로, Q가 HI로 풀링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커패시터 C가 VCC로부터 접지로의 DC 전류를 차단하므로 퓨즈 회로(12)를 통해 드로우잉되는 전류가 하나도 없다. 마찬가지로, 래치 트랜지스터(54)가 OFF되므로, 풀업 트랜지스터(20)를 통하는 전류도 없다.
퓨즈 소자 F가 녹아 끊어진 경우, 단자 B는 커패시터 C를 통해 VCC에 순시 결합된다. 도 4의 테이블과 전술된 설명에 따르면, 단자 A는 트랜지스터(54)를 통해 접지로 래치하고 단자 B는 트랜지스터(52)를 통해 VCC로 래치된다. 그러므로, 는 HI로 되고 Q는 LO가 된다. 단자 B가 VCC에 연결된 후 PMOS 트랜지스터(20)는도통되지 않고, 트랜지스터(20, 54)를 통한 VCC로부터 접지로의 전류 경로를 차단하게 된다. 도 1의 회로에 관하여, 도 2의 회로는 퓨즈 소자 F가 손상 여부에 상관 없이 "제로" 전력 소비의 특성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제로 전력 회로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자. 이 실시예에서, 퓨즈 소자 F는 VCC와 래치 수단(50)의 단자 A 사이에 결합된다. 커패시터 C는 단자 A와 접지 사이에 결합된다. NMOS 풀다운 트랜지스터(22)는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핀 각각을 통해 래치 수단의 단자 B와 접지 사이에 결합된다. NMOS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는 래치의 단자 A에 결합된다.
퓨즈 소자가 손상되지 않은 구성에서, 단자 A는 VCC에 연결되어, Q는 HI가 된다. 단자 A가 VCC에 연결되므로, NMOS 트랜지스터(22)가 도통되며, 그로 인해 단자 B 및 가 LO로 풀링된다. 퓨즈 소자 F가 녹아 끊어진 경우, 단자 A는 커패시터 C를 통해 접지에 순시 결함된다. 도 4의 테이블에 관하여, 접지에 A의 순시 결합은 단자 A를 접지로 래치하고 단자 VCC로 래치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로 인해, Q는 LO가 되고 LO 상태로 남아 있게 되고, 는 HI가 되고 HI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안정 상태에서 회로(14)를 통해 드로우잉되는 전류는 하나도 없으므로, 어떠한 전력도 손실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트랜지스터에 관하여, 유사 크기의 장치 기하학, 예를 들면, 같은 폭-대-길이(W/L) 비율을 갖는 채널 영역을 사용하는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모든 장치가 유사 크기 및 구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장치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장치 밀도가 최대가 된다는 점에서 또다른 이점이 부여 된다. 실질적으로 균일 장치 기하학으로 제조됨으로써,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거의 없이 실리콘상에 장치를 레이아웃하는데 더 효율적이다. 이것은 많은 수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요구의 견지에서 볼때 중요한 참작이 된다. 동일한 형태에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예서의 커패시터는 동일 기준에 맞춰 구성된다.
유사 크기의 장치로 설계함으로써 변화 처리 감도가 최소화된다. 장치의 기하학에 영향을 미치는 처리에서의 변화는 장치 모두에 균등하게 영향을 미칠 것이며, 반대로 최종 생성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트랜지스터 장치의 채널 영역의 W/L 비율은 3/1이지만, 중요하지 않다. 본 발명은 다른 W/L 비율을 갖는 트랜지스터 장치로도 균등하게 잘 동작한다. 채널 영역의 W/L 비율이 커질수록 응답 시간은 더 빨라지게 되지만, 트랜지스터 스위칭 속도는 본 발명에서 요인이 되지 않는다. 제로 전력 회로가 가동될때에만 트랜지스터 스위칭이 단시간 동안만 발생한다. 그러나, 안정 상태 조건이 이루어지기만 하면, 제로 전력 회로 태스크가 일정 로직 레벨을 제공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또다른 스위칭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로 전력 회로의 동작 속도는 중요하지 않다. 다른 한편, 상술된 이유로 균일적이고 소형의 장치 기하학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커패시터가 동일 W/L 비율로 제조되어 장치의 크기 균일화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제1 및 제2 전압 전위 사이를 접속하여 선택 가능한 로직 레벨을 제공하는 퓨즈 회로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단자 각각에 상기 제1 및 제2 전위를 래치하는 수단을 갖는 이중-트리거 단향성 래치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래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1 전위 사이 또는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2 전위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순시 접촉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고;
    상기 제1 전위와 상기 제1 단자 사이에 결합되는 퓨즈와;
    상기 제2 전위와 상기 제1 단자 사이에 결합되는 커패시터와;
    상기 제2 단자 및 상기 제2 전위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핀을 갖는 제1 N-채널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가능한 로직 레벨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중 어느 하나에서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은 P-채널 MOS 트랜지스터 및 제2 N-채널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전위 및 상기 제2 단자에 각각 결합된 상기 P-채널 트랜지스터의 제1 및 제2 핀과, 상기 제2 전위 및 상기 제1 단자에 각각 결합된 상기 제2 N-채널 트랜지스터의 제1 및 제2 핀과, 상기 제2 N-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 핀에 결합된 상기 P-채널 트랜지스터의 제어 핀과, 그리고 상기 P-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 핀에 결합된 상기 N-채널 트랜지스터의 제어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위는 VCC이고 상기 제2 전위는 접지 전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N-채널 트랜지스터 및 상기 P-채널 트랜지스터는 폭 및 길이가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회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N-채널 트랜지스터 및 상기 P-채널 트랜지스터 각각의 폭-대-길이 비율은 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회로.
  6. 제1 및 제2 전압 전위 사이를 접속하여 선택 가능한 로직 레벨을 제공하는 퓨즈 회로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단자 각각을 상기 제1 및 제2 전위로 래치하는 수단을 갖는 이중-트리거 단향성 래치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래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1 전위 사이 또는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2 전위 사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순시 접촉에 의해 트리거되고;
    상기 제2 전위와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결합되는 퓨즈와;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1 전위 사이에 결합되는 커패시터와;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1 전위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 핀을 가지며, 또한 상기 제2 단자에 결합되는 제어 게이트를 갖는 제1 P-채널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가능한 로직 레벨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중 어느 하나에서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은 제2 P-채널 MOS 트랜지스터 및 N-채널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전위 및 상기 제2 단자 각각에 결합되는 상기 제2 P-채널 트랜지스터의 제1 및 제2 핀과, 상기 제2 전위 및 상기 제1 단자 각각에 결합되는 상기 N-채널 트랜지스터의 제1 및 제2 핀과, 상기 N-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 핀에 결합된 상기 제2 P-채널 트랜지스터의 제어 핀과, 그리고 상기 제2 P-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 핀에 결합된 상기 N-채널 트랜지스터의 제어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위는 VCC이고 상기 제2 전위는 접지 전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회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P-채널 트랜지스터와 상기 N-채널 트랜지스터의 장치 기하학의 폭-대-길이 비율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회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P-채널 트랜지스터와 상기 N-채널 트랜지스터 각각의 장치 기하학의 폭-대-길이 비율은 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회로.
KR1019980702469A 1996-10-07 1997-09-30 제로전력퓨즈회로 KR199900447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26,956 1996-10-07
US08/726,956 US5731734A (en) 1996-10-07 1996-10-07 Zero power fuse circuit
PCT/US1997/017680 WO1998016011A1 (en) 1996-10-07 1997-09-30 Zero power fuse circu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703A true KR19990044703A (ko) 1999-06-25

Family

ID=2492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469A KR19990044703A (ko) 1996-10-07 1997-09-30 제로전력퓨즈회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31734A (ko)
EP (1) EP0867070A4 (ko)
JP (1) JP2000502511A (ko)
KR (1) KR19990044703A (ko)
CN (1) CN1196838A (ko)
TW (1) TW355837B (ko)
WO (1) WO19980160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9455A (en) * 1995-08-31 1997-11-18 Micron Technology, Inc. Circuit for programming antifuse bits
US6903991B2 (en) 1995-08-31 2005-06-07 Micron Technology, Inc. Circuit for programming antifuse bits
US6445605B1 (en) 1997-07-11 2002-09-03 Micron Technology, Inc. Circuit for programming antifuse bits
US6147546A (en) * 1998-03-11 2000-1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Zero volt/zero current fuse arrangement
US5999038A (en) * 1998-09-24 1999-12-07 Atmel Corporation Fuse circuit having zero power draw for partially blown condition
US6191641B1 (en) 1999-02-23 2001-02-20 Clear Logic, Inc. Zero power fuse circuit using subthreshold conduction
DE60017460T2 (de) * 1999-12-13 2006-03-02 Broadcom Corp., Irvine Oszillator mit mehrphasigen komplementären ausgängen
US20020055112A1 (en) * 2000-08-26 2002-05-09 Nila Patil Methods for reducing complexity of nucleic acid samples
US6781437B2 (en) * 2001-07-11 2004-08-24 Infineon Technologies Aktiengesellschaft Zero static power programmable fuse cell for integrated circuits
US6839298B2 (en) * 2001-07-11 2005-01-04 Infineon Technologies Aktiengesellschaft Zero static power fuse cell for integrated circuits
US20050100911A1 (en) * 2003-08-06 2005-05-12 Perlegen Sciences, Inc. Methods for enriching populations of nucleic acid samples
JP5160164B2 (ja) * 2007-08-06 2013-03-1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ヒューズ回路
TWM351546U (en) * 2009-03-30 2009-02-21 Cheng Uei Prec Ind Co Ltd Circuit for acquiring battery-protected signals
CN103199836A (zh) * 2013-03-18 2013-07-10 西安华芯半导体有限公司 一种集成电路电源关断开关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3959A (en) * 1984-01-06 1986-09-23 Thomson Components-Mostek Corportion Zero power CMOS redundancy circuit
US4598388A (en) * 1985-01-22 1986-07-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miconductor memory with redundant column circuitry
US4837520A (en) * 1985-03-29 1989-06-06 Honeywell Inc. Fuse status detection circuit
JPS63168900A (ja) * 1987-01-06 1988-07-12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2741022B2 (ja) * 1987-04-01 1998-04-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パワーオンリセツトパルス発生回路
US5258958A (en) * 1989-06-12 1993-11-02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900451B2 (ja) * 1989-11-30 1999-06-02 ソニー株式会社 メモリ装置
JPH0468562A (ja) * 1990-07-10 1992-03-04 Nec Corp コード設定回路
JPH0474015A (ja) * 1990-07-13 1992-03-0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5051691A (en) * 1990-09-13 1991-09-24 Samsung Semiconductor, Inc. Zero power dissipation laser fuse signature circuit for redundancy in vlsi design
US5315177A (en) * 1993-03-12 1994-05-24 Micron Semiconductor, Inc. One time programmable fully-testable programmable logic device with zero power and anti-fuse cell architecture
US5440246A (en) * 1994-03-22 1995-08-08 Mosel Vitelic, Incorporated Programmable circuit with fusible latch
US5457656A (en) * 1994-08-17 1995-10-10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Zero static power memory device redundancy circuit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16011A1 (en) 1998-04-16
TW355837B (en) 1999-04-11
CN1196838A (zh) 1998-10-21
EP0867070A1 (en) 1998-09-30
JP2000502511A (ja) 2000-02-29
EP0867070A4 (en) 1999-07-14
US5731734A (en) 1998-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0408B2 (en) ESD protection circuit having a control circuit
US5929691A (en) Mode setting circuit for a memory device
KR19990044703A (ko) 제로전력퓨즈회로
US7606058B2 (en) Autonomous antifuse cell
US6205077B1 (en) One-time programmable logic cell
US6442009B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protective and test circuits
US6549063B1 (en) Evaluation circuit for an anti-fuse
US6381181B1 (en) Timing independent current comparison and self-latching data circuit
JP3497000B2 (ja) 半導体回路
KR100560343B1 (ko) 퓨즈가 부분적으로 단선된 상태에서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퓨즈 회로
US6606264B2 (en) Programmable circuit and its method of operation
JP4620480B2 (ja) 半導体装置
US6225820B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mproved input buffer circuit
US6326835B1 (en) Input/output circuit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EP0320779A2 (en) Sense amplifier
US6888216B2 (en) Circuit having make-link type fuse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KR100480906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리페어 회로
JPH09161486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6175481B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deactivation fuse
US20050184771A1 (en) Semiconductor apparatus
KR10023896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페어 회로
JP3024171B2 (ja) 入力回路
KR100429493B1 (ko) 전기적 퓨즈를 이용한 스위칭 제어회로
KR100306992B1 (ko) 반도체집적회로에있어서의출력논리설정회로
KR0177772B1 (ko) 미사용 입출력 핀의 레벨 설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