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3278A - Bus stop bell structure - Google Patents

Bus stop bell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3278A
KR19990043278A KR1019970064266A KR19970064266A KR19990043278A KR 19990043278 A KR19990043278 A KR 19990043278A KR 1019970064266 A KR1019970064266 A KR 1019970064266A KR 19970064266 A KR19970064266 A KR 19970064266A KR 19990043278 A KR19990043278 A KR 19990043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
bus
stop
lamp
stop b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2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6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3278A/en
Publication of KR19990043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278A/en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정차 벨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버스 출입문의 플로어 패널(10)과 루프패널(11) 사이에 승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설치되는 수직 안전봉(20)에 있어서, 상기 수직 안전봉(20) 외경에 정차 벨(90)을 설치하되, 상기 정차 벨(90)은, 상기 수직 안전봉(20)에 볼트(21)로써 체결되는 만곡부(31)와, 상기 만곡부(31) 외측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32)로 이루어진 벨 하우징(30)으로 구성된 정차 벨 구조를 제공하여 승객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p bell structure of a bus, and in detail, in the vertical safety rod 20 installed for the safety of passengers between the floor panel 10 and the roof panel 11 of the bus door, the vertical safety rod 20 A stop bell 90 is installed at an outer diameter, but the stop bell 9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urved portion 31 fastened by the bolt 21 to the vertical safety rod 20 and an outer portion of the curved portion 31. Providing a stop bell structure consisting of a bell housing 30 consisting of a projection 32 provide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Description

버스의 정차 벨 구조Bus stop bell structure

본 발명은 버스의 정차 벨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시내버스의 출입문측의 플로어 패널과 루프패널에 설치되어 승객들의 손잡이로 사용되는 수직 안전봉 외경에 스크류의 체결력으로써 정차 벨을 설치하여 승객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버스의 정차 벨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p bell of a bus,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a stop bell with a fastening force of a screw on an outer diameter of a vertical safety rod installed on a floor panel and a roof panel at the door side of a city bus and used as a handle of passengers. A stop bell structure of a bus that increases convenience.

일반적으로 시내 버스에는 다수의 정차 벨이 설치되어 승객들의 목적지 하차시 이 정차 벨을 눌러 운전자에게 승객들의 하차를 알리는 것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승객들의 좌석의 사이드 필러에 설치되고 정차 벨 내부에 램프가 내장되어 있어 승객들이 목적지에 도착시 정차 벨을 누르면 버스 실내에 설치된 다수의 정차 벨이 한꺼번에 작동되고, 정차 벨 내부에 설치된 램프가 점등되고 부저가 동시에 울리게 되는 데, 이 부저는 약 몇초동안 울리게 되고, 램프는 운전자가 출입문을 개방시킬 때, 소등되는 것이다.In general, city buses are equipped with a number of stop bells that push the stop bell to inform the driver when they get off, which is usually installed on the side pillars of the passengers' seats and has a lamp inside the stop bell. When the passengers press the stop bell when they arrive at the destination, a number of stop bells installed inside the bus will be activated at once, the lamps inside the stop bell will light and the buzzer will ring at the same time, which will ring for a few seconds, The lamp goes out when the driver opens the door.

이러한 종래 버스의 정차 벨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stop bell of such a conventional b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버스 정차 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버스 정차 벨의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 버스 정차 벨의 동작상태 회로도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의 정차 벨 구조는, 좌. 우측 사이드 필러(100)에 스크류(200)로써 체결되는 체결부(310)와, 상기 체결부(310)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320)로 이루어진 벨 하우징(300)으로 구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ventional bus stop bell is installe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where a conventional bus stop bell is installed, and FIG. 3 is a circuit diagram of an oper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bus stop bell. 1 to 3, the stop bell structure of the bus is left. The bell housing 300 includes a fastening part 310 fastened to the right side pillar 100 by a screw 200, and a protrusion 320 integrally formed with the fastening part 310.

그리고, 상기 벨 하우징(300)의 돌출부(320) 외측에 누름 스위치(400)를 설치하되, 상기 누름 스위치(400)는, 상기 벨 하우징(300) 내부에 설치된 램프(330)와 직렬로 접속된다. 즉, 누름 스위치(400)의 동작시 배터리(B) 전원이 직접 벨 하우징(300) 내부의 램프(330)로 인가되어 램프(330)가 점등된다.Further, the push switch 400 is installed outside the protruding portion 320 of the bell housing 300, and the push switch 400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lamp 330 installed inside the bell housing 300. . That is, when the push switch 400 operates, power of the battery B is directly applied to the lamp 330 inside the bell housing 300 so that the lamp 330 is turned on.

그리고, 누름 스위치(400)는 상기 돌출부(320) 내부에 압축 스프링(340)이 내설되어 탄력적으로 눌러지는 동시에 원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ush switch 400 is a compression spring 340 is built into the protrusion 320 is elastically pressed at the same time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한편,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누름 스위치(400) 및 일측이 접지되는 램프(330)의 상호 타측이 접속된 다수의 벨 하우징(300)과, 이 벨 하우징(300)의 단자들과 접속되어 상기 누름 스위치(400)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램프(330)의 점등을 제어하는 릴레이(500)와, 상기 램프(330)의 소등을 제어하는 출입문 개. 폐스위치(600)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3, a plurality of bell housings 300, the bell housing 30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ush switch 400, the power is supplied to one side and the lamp 330 is grounded on one side, A relay 500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lamp 330 according to a switching signal of the push switch 400 and a door for controlling the extinguishing of the lamp 330. The closed switch 600 is configured.

그리고, 상기 다수의 벨 하우징(300)에서 각각으로 형성된 누름 스위치(400)와 램프(330)의 직렬 접점은, 상기 릴레이(500)의 구동단자와 접속되고, 이 구동단자는 릴레이(500)의 공통단자(COM)와 접속을 이루며, 이 릴레이(500)의 평시 오픈단자(NO)는, 배터리(B)와 병렬로 접속된다.The series contact of the push switch 400 and the lamp 330 formed in each of the bell housings 300 is connected to a driving terminal of the relay 500, and the driving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relay 500. The common open terminal NO is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COM, and the normally open terminal NO of the relay 50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B in parallel.

또한, 상기 릴레이(500)에 연결된 타이머(700)는, 램프(330)의 점등시 부저(800)가 동작될 때, 부저(800)의 동작시간을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imer 700 connected to the relay 500 controls the operation time of the buzzer 800 when the buzzer 800 is operated when the lamp 330 is turned on.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정차 벨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승객들이 목적지에 도착하여 버스의 사이드 필러(100)에 체결부(310)를 통하여 스크류(200)로써 체결 고정된 벨 하우징(300)의 돌출부(320) 외측에 설치된 누름 스위치(400)를 누르면, 도 3에서와 같이 일측으로 배터리(B)의 전원이 공급되는 누름 스위치(400)가 동작되어 누름 스위치(400)와 직렬로 연결된 램프(330)에 배터리(B) 전원이 인가되어 램프(330)가 점등하게 되는 동시에 벨 하우징(300)의 단자들과 접속되어 누름 스위치(400)의 스위칭 신호로부터 릴레이(500)의 공통단자(COM)가 평시 오픈단자(NO)에 접속하게 됨으로써 배터리(B)와 램프(330)가 병렬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ventional stop bel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as shown in Figure 2, the passengers arrive at the destination bell housing that is fastened and fixed by the screw 200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310 to the side pillar 100 of the bus ( When the push switch 400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protrusion 320 of 300 is pressed, a push switch 400 for supplying power of the battery B to one side is operated as shown in FIG. 3 to operate in series with the push switch 400. The battery B is applied to the connected lamp 330 so that the lamp 330 is turned on an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bell housing 300 to connect the common terminal of the relay 500 from the switching signal of the push switch 400. Since COM is connected to the normally open terminal NO, the battery B and the lamp 330 are connected in parallel.

따라서, 누름 스위치(400)의 동작이 정지되어도, 즉 상기 누름 스위치(400)가 돌출부(320) 내부에 설치된 압축 스프링(340)의 탄성력으로써 동작과 동시에 원상태로 복귀될 때, 상기 릴레이(500)의 평시 오픈단자(NO)를 통해 릴레이(500)을 계속적으로 구동시킴에 따라 다수의 벨 하우징(300) 내부에 설치된 램프(330)가 소등되지 않게 되고, 운전자가 출입문 개. 폐스위치(600)를 동작시켜 출입문을 개방시키면, 릴레이(500)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다수의 벨 하우징(300)의 램프(330)가 동시에 소등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even when the operation of the push switch 400 is stopped, that is, when the push switch 40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340 installed inside the protrusion 320, the relay 500 As the relay 500 is continuously driven through the normally open terminal (NO) of the lamps 330 installed in the bell housing 300 are not turned off, and the driver opens the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by operating the closed switch 600, the power supply of the relay 500 is cut off so that the lamps 330 of the bell housing 300 are turned off at the same time.

이때, 상기 릴레이(500)에 연결된 타이머(700)의 설정된 시간동안 부저(800)가 울리게 되는 것이다. 즉, 램프(330)의 점등과 동시에 부저(800)가 타이머(700)의 설정된 시간동안 울리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buzzer 800 sounds for the set time of the timer 700 connected to the relay 500. That is, the buzzer 800 sounds for the set time of the timer 700 at the same time the lamp 330 is turned on.

그러나, 이와 같이 동작되는 정차 벨을 구성하는 벨 하우징(300)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버스의 루프 패널이나 좌. 우측 사이드 필러(100)에 설치하게 됨으로써 승객들이 많이 탑승하였을 때, 승객들이 정차 벨을 사용하기가 불편하게 되어 승객들이 내리고저 하는 목적지에 내리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the bell housing 300 constituting the stop bell operated in this way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of the roof panel or the left side of the bus. When installed on the right side pillar 100, when a large number of passengers boarding, the passengers are inconvenient to use the stop bell, so that the passengers do not get to the destination they want to get off.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버스의 출입문의 플로어 패널과 루프패널에 설치된 수직 안전봉 외경에 정차 벨을 설치하여 승객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by installing a stop bell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vertical safety rods installed on the floor panel and roof panel of the door of the bu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과제는, 버스 출입문의 플로어 패널과 루프패널 사이에 승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설치되는 수직 안전봉에 있어서, 상기 수직 안전봉 외경의 적정위치에 정차 벨을 설치하되, 상기 정차 벨은, 상기 수직 안전봉에 스크류로써 체결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 외측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진 벨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rtical safety bar installed for the safety of passengers between the floor panel and the roof panel of the bus door, the stop bell is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vertical safety rod, the stop bell, It is achieved by consisting of a bell housing consisting of a curved portion fastened by a screw to the vertical safety rod, and a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curved outer portion.

도 1은 종래 버스 정차 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ventional bus stop bell is installed.

도 2는 종래 버스 정차 벨의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where a conventional bus stop bell is installed;

도 3은 종래 버스 정차 벨의 동작상태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bus stop bell.

도 4는 본 발명 버스 정차 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us stop be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5는 본 발명 버스 정차 벨의 설치상태 확대 사시도.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bus stop bel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 버스 정차 벨의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installed state of the bus stop bel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버스 정차 벨의 동작상태 회로도.Figure 7 is a circuit diagram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bus stop bell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수직 안전봉 30 : 벨 하우징20: vertical safety rod 30: bell housing

31 : 만곡부 32 : 돌출부31: curved portion 32: protrusion

90 : 정차 벨90: stop bell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버스 정차 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버스 정차 벨의 사시도이며, 도 6는 본 발명 버스 정차 벨의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버스 정차 벨의 동작상태 회로도이다. 도 4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차 벨(90) 구조는 플로어 패널(10)과 루프 패널(11) 사이에 승객들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수직 안전봉(20) 외경의 적정위치에 스크류(21)로써 체결되는 만곡부(31)와, 상기 만곡부(31) 외측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32)로 이루어진 벨 하우징(30)으로 구성된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bus stop be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s stop be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ed state of the bus stop be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ircuit diagram of an operating state of a stop bell As shown in Figures 4-7, the stop bell 90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roper position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vertical safety rod 20, which is installed for the safety of passengers between the floor panel 10 and the roof panel 11 It consists of a bell housing 30 consisting of a curved portion 31 is fastened with a screw 21 and a projection 32 integrally protruded to the outer portion of the curved portion 31.

그리고, 상기 벨 하우징(30)의 돌출부(32) 외측에 누름 스위치(40)를 설치하되, 상기 누름 스위치(40)는 벨 하우징(30) 내부에 설치된 램프(33)와 직렬로 접속된다. 즉, 누름 스위치(40)의 동작시 배터리(B) 전원이 직접 벨 하우징(30) 내부의 램프(33)로 인가되어 램프(33)가 점등된다.In addition, the push switch 40 is installed outside the protrusion 32 of the bell housing 30, and the push switch 40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lamp 33 installed inside the bell housing 30. That is, when the push switch 40 is operated, the power of the battery B is directly applied to the lamp 33 inside the bell housing 30 so that the lamp 33 is turned on.

그리고, 누름 스위치(40)는 상기 돌출부(320 내부에 압축 스프링(34)이 내설되어 탄력적으로 눌러지는 동시에 원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ush switch 40 is a compression spring 34 is built in the protrusion 320 is elastically pressed at the same time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한편,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누름 스위치(40) 및 일측이 접지되는 램프(33)의 상호 타측이 접속된 다수의 벨 하우징(30)과, 이 벨 하우징(30)의 단자들과 접속되어 상기 누름 스위치(40)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램프(33)의 점등을 제어하는 릴레이(50)와, 상기 램프(33)의 소등을 제어하는 출입문 개. 폐스위치(60)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bell housings 30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push switch 40 supplied with power to one side and the lamp 33 grounded at one side are connected, and this bell housing 30 And a relay (50)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switch (50) to control the lighting of the lamp (33)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signal of the push switch (40), and the door to control the extinguishing of the lamp (33). It is composed of a closed switch (60).

그리고, 상기 다수의 벨 하우징(30)에서 각각으로 형성된 누름 스위치(40)와 램프(33)의 직렬 접점은, 상기 릴레이(50)의 구동단자와 접속되고, 이 구동단자는 릴레이(50)의 공통단자(COM)와 접속을 이루며, 이 릴레이(50)의 평시 오픈단자(NO)는, 배터리(B)와 병렬로 접속된다.In addition, a series contact of the push switch 40 and the lamp 33 formed in each of the bell housings 30 is connected to a driving terminal of the relay 50, and the driving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relay 50. The common open terminal NO is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COM, and the normally open terminal NO of the relay 5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B in parallel.

또한, 상기 릴레이(50)에 연결된 타이머(70)는, 램프(33)의 점등시 부저(80)가 동작될 때, 부저(80)의 동작시간을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imer 70 connected to the relay 50 controls the operation time of the buzzer 80 when the buzzer 80 is operated when the lamp 33 is turned 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승객들이 목적지에 도착하여 버스의 출입문의 플로어 패널(10)과 루프패널(11) 사이에 승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설치되는 수직 안전봉(20) 외경의 적정 위치에 만곡부(31)를 일치시켜 스크류(21)로써 체결 고정된 벨 하우징(30)의 돌출부(32) 외측에 설치된 누름 스위치(40)를 누르면, 도 7에서와 같이 일측으로 배터리(B)의 전원이 공급되는 누름 스위치(40)가 동작되어 누름 스위치(40)와 직렬로 연결된 램프(33)에 배터리(B) 전원이 인가되어 램프(330가 점등하게 되는 동시에 벨 하우징(30)의 단자들과 접속되어 누름 스위치(40)의 스위칭 신호로부터 릴레이(50)의 공통단자(COM)가 평시 오픈단자(NO)에 접속하게 됨으로써 배터리(B)와 램프(33)가 병렬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as shown in Figure 2 when the passengers arrive at the destination vertical safety rods installed for the safety of passengers between the floor panel 10 and the roof panel 11 of the door of the bus ( 20) Pressing the push switch 40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rotrusion 32 of the bell housing 30 fastened and fixed by the screw 21 by matching the curved portion 31 to the proper position of the outer diameter, as shown in Figure 7 The push switch 40, which is supplied with the power of the battery B, is operated to apply the battery B power to the lamp 33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push switch 40 so that the lamp 330 lights up and at the same time the bell housing ( The battery B and the lamp 33 are connected in parallel by being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30 so that the common terminal COM of the relay 50 is connected to the normally open terminal NO from the switching signal of the push switch 40. This is done.

따라서, 누름 스위치(40)의 동작이 정지되어도, 즉 상기 누름 스위치(40)가 돌출부(32) 내부에 설치된 압축 스프링(34)의 탄성력으로써 동작과 동시에 원상태로 복귀될 때, 상기 릴레이(50)의 평시 오픈단자(NO)를 통해 릴레이(50)을 계속적으로 구동시킴에 따라 다수의 벨 하우징(30) 내부에 설치된 램프(33)가 소등되지 않게 되고, 운전자가 출입문 개. 폐스위치(60)를 동작시켜 출입문을 개방시키면, 릴레이(50)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다수의 벨 하우징(30)의 램프(33)가 동시에 소등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even when the operation of the push switch 40 is stopped, that is, when the push switch 4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34 installed inside the projection 32, the relay 50 As the relay 50 is continuously driven through the normally open terminal (NO) of the lamps 33 installed inside the plurality of bell housings 30, the lamp 33 is not turned off, and the driver opens the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by operating the closed switch 60, the power supply of the relay 50 is cut off so that the lamps 33 of the bell housing 30 are turned off at the same time.

이때, 상기 릴레이(50)에 연결된 타이머(70)의 설정된 시간동안 부저(80)가 울리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벨 하우징(30)의 램프(33)가 점등됨과 동시에 타이머(70)의 설정된 시간동안 부저(80)가 울리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buzzer 80 sounds for the set time of the timer 70 connected to the relay 50. That is, the lamp 33 of the bell housing 30 is turned on and the buzzer 80 sounds for the set time of the timer 70.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은, 버스 출입문의 플로어 패널과 루프패널 사이에 승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설치되어 수직 안전봉 외경에 만곡부로써 일치시켜 스크류로써 체결 고정함으로써 버스 내부에 승객들이 많을시 승객들이 정차 벨의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floor panel and the roof panel of the bus door for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Easy to use effects are provided.

Claims (1)

버스 출입문의 플로어 패널(10)과 루프패널(11) 사이에 승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설치되는 수직 안전봉(20)에 있어서, 상기 수직 안전봉(20) 외경의 적정위치에 정차 벨(90)을 설치하되, 상기 정차 벨(90)은, 상기 수직 안전봉(20)에 스크류(21)로써 체결되는 만곡부(31)와, 상기 만곡부(31) 외측부에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32)로 이루어진 벨 하우징(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정차 벨 구조.In the vertical safety rod 20 installed for the safety of passengers between the floor panel 10 and the roof panel 11 of the bus door, the stop bell 90 is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vertical safety rod 20. The stop bell 90 is a bell housing 30 including a curved portion 31 fastened to the vertical safety rod 20 by a screw 21 and a protrusion 32 integrally formed at an out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31. The stop bell structure of the b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KR1019970064266A 1997-11-29 1997-11-29 Bus stop bell structure KR199900432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266A KR19990043278A (en) 1997-11-29 1997-11-29 Bus stop bell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266A KR19990043278A (en) 1997-11-29 1997-11-29 Bus stop bell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278A true KR19990043278A (en) 1999-06-15

Family

ID=6609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266A KR19990043278A (en) 1997-11-29 1997-11-29 Bus stop bell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327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991A (en) 2015-01-16 2016-07-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Bus stop bell control method using mobile
KR20190052976A (en) * 2017-11-09 2019-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all buzzer switch for b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991A (en) 2015-01-16 2016-07-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Bus stop bell control method using mobile
KR20190052976A (en) * 2017-11-09 2019-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all buzzer switch for b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2131A (en) Room lighting unit for vehicles
KR19990043278A (en) Bus stop bell structure
US4694191A (en) Lamp power supply control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US4884179A (en) Lamp with built-in on-off switch
JP2002193563A (en) Emergency call button confirming device for elevator
KR0166544B1 (en) Bus door with emergency switch
KR0122579Y1 (en) Trunk lamp of a car
KR100405812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oom lights for automobiles
KR0125313Y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door step lamp of a car
KR19980053545A (en) Door open warning device
KR0122912Y1 (en) Step lamp control circuit
KR0130581B1 (en) Air cleaning device attached to the vehicle inner lamp
KR0112929Y1 (en) Room lamp with bulb and fluorescence lamp
KR19990021492A (en) Car Room Lamp Assembly
KR200151361Y1 (en) Room lamp cover of car
KR0126924Y1 (en) Device for warning the opening of a car's door
JPS6441435A (en) Battery stamina protecting device
KR200219187Y1 (en) Auxiliary switch for power window of car
KR980001332A (en) Emergency state warning device of car
JPH11157384A (en) Turning-on/off device of automobile auxiliary lamp
KR19990002944U (en) Bus front door room lamp operation circuit
KR970041627A (en) Bonnet locking display of car
KR19980040716U (en) Car junction switch
KR970043998A (en) Power window operating device when engine start off
KR19980022772U (en) Automotive battery discharge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