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693A -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1693A
KR19990041693A KR1019970062321A KR19970062321A KR19990041693A KR 19990041693 A KR19990041693 A KR 19990041693A KR 1019970062321 A KR1019970062321 A KR 1019970062321A KR 19970062321 A KR19970062321 A KR 19970062321A KR 19990041693 A KR19990041693 A KR 19990041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chate
prevention system
heavy metals
layer
pollution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엽
Original Assignee
공영조
코오롱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영조, 코오롱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공영조
Priority to KR1019970062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1693A/ko
Publication of KR19990041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693A/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폐광 지역에 위치한 폐석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한곳으로 유도한 후 이 침출수에 함유된 중금속 및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배치되고 불투수층으로 형성되는 암반층과; 상기한 암반층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하부로 일정한 장소로 유도함과 아울러 침출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암반층과 차폐시켜주기 위한 차폐부재와; 상기한 차폐부재를 통과하는 침출수에 포함된 유해한 각종 중금속을 제거하여 정화하기 위한 침출수 정화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
본 발명은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폐광 지역에 위치한 폐석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한곳으로 유도한 후 이 침출수에 함유된 중금속 및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폐광산의 침출수에 의한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광산이 폐광되면서 발생되는 광해문제가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에 있으며, 이러한 광해문제중에서 폐석에서 유출되는 침출수는 여느 침출수와는 달리 유해한 각종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강산성(PH 2∼3)을 띠고 있어 이 침출수 처리에 대한 대책이 더욱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침출수에 포함된 중금속이 장기간 지속적으로 토양에 스며들게 되면 수질오염과 토양오염 그리고 생태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등 그 피해 범위도 광범위하게 확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폐광으로부터 발생된 폐석이 단순하게 토양층에 매설되어 있거나 토양층에 노출된 상태로 방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폐석으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폐석과 접촉하게 되면서 발생되는 침출수는 유해한 각종 중금속 및 각종 이물질을 함유한 상태에서 외부로 그대로 유출되며 이로 인하여 환경을 극심하게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광 지역에 위치한 폐석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한곳으로 유도한 후 이 침출수에 함유된 중금속 및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 배치되고 불투수층으로 형성되는 암반층과; 상기한 암반층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하부로 일정한 장소로 유도함과 아울러 침출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암반층과 차폐시켜주기 위한 차폐부재와; 상기한 차폐부재를 통과하는 침출수에 포함된 유해한 각종 중금속을 제거하여 정화하기 위한 침출수 정화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차폐부재의 내측으로 복토층을 통과한 일부의 우수 즉, 유입수가 유입되면, 이 유입수는 차폐부재의 하부로 유도됨과 아울러 폐석으로부터 침출수가 발생되고, 이 침출수는 폐수 정화수단을 통과하면서 침출수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이 제거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은 하부에 배치되고 불투수층으로 형성되는 암반층(1)과; 상기한 암반층(1)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 암반층의 상부 및 측면에서 유입되는 유입수(혹은 지하수의 흐름을 일정한 장소로 유도함과 아울러 이에 매설되는 폐석(3)으로부터 발생되는 침출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암반층과 차폐시켜주기 위한 차폐부재(5)와; 상기한 차폐부재(5)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고 이 차폐부재를 통과하는 침출수에 포함된 유해한 각종 중금속을 제거하여 정화하기 위한 침출수 정화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차폐부재(5)는 이에 유입되는 유입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한 곳으로 유도함과 아울러 침출수를 완전하게 정화할 수 있도록 그 내측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차페부재(5)에 매설된 폐석(3)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 침출수를 외부의 공기와 차단시켜 주기 위한 복토층(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침출수 정화수단은 차폐부재(5)를 통과하는 침출수에 포함된 각종 중금속을 흡착하여 제거하기 위한 정화부재(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정화부재(9)는 모래와 활성탄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한 활성탄의 부피비는 중금속을 완전하게 흡착함과 아울러 침출수가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최소한 모래의 부피비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정화부재(9)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고 이 정화부재(9)에 유입 또는 유출되는 침출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여과부재(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여과부재(11)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고 이 여과부재(11)에 유입 또는 유출되는 침출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확실하게 걸러주기 위한 자갈층(13)과 모래층(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여과부재(11)는 침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보다 완벽하게 걸러줄 수 있도록 제올라이트(Zeolite)(17)를 도 4와 같이 일정한 비율로 첨가한 고분자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정화부재(9)와 여과부재(11), 여과부재(11)와 모래층(15)의 사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고 여과부재(11)에 여과된 중금속을 원활하게 제거하고 장기간의 침출수 정화 시스템의 운영을 위하여 외부에서 여과부재(11)를 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격자망(19)을 설치하되, 상기한 격자망(19)은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코팅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차폐부재(5)의 내측으로 복토층(7)을 통과한 일부의 우수 즉, 유입수가 유입되면, 이 유입수와 폐석(3)이 접촉하면서 침출수가 발생되고, 이 침출수는 자갈층(13), 모래층(15), 격자망(19), 여과부재(11), 격자망(19)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정화부재(9)를 통과한 후 재차 격자망(19), 여과부재(11), 격자망(19), 모래층(15)과 자갈층(1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정화부재(9)는 침출수에 포함된 각종 중금속을 흡착하여 제거하며 또한 상기한 여과부재(11), 격자망, 자갈층(13) 및 모래층(15)에 의하여 침출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는 것이고, 이렇게 정화된 폐수는 암반층(1)의 외부로 배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침출수 정화수단에 의하여 폐광 지역에 위치한 폐석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한곳으로 유도한 후 이 침출수에 함유된 중금속 및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하부에 배치되고 불투수층으로 형성되는 암반층과; 상기한 암반층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 암반층의 상부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일정한 장소로 유도함과 침출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암반층과 차폐시켜주기 위한 차폐부재와; 상기한 차폐부재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고 이 차폐부재를 통과하는 침출수에 포함된 유해한 각종 중금속을 제거하여 정화하기 위한 침출수 정화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차폐부재는 이에 유입되는 유입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한 곳으로 유도함과 아울러 침출수를 완전하게 정화할 수 있도록 그 내측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침출수 정화수단은 차폐부재를 통과하는 침출수에 포함된 각종 중금속을 흡착, 제거하기 위한 정화부재와 여과부재로 이루어지는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정화부재는 모래와 활성탄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흡착재와 그 양쪽에 각각 모래와 자갈층을 첨가하여 중금속을 흡착 처리함과 아울러 부재의 투수율을 좋게 하여 침출수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유도하는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정화부재와 여과부재, 여과부재와 모래층의 사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고 여과부재에 여과된 중금속을 원활하게 제거하고 장기간의 침출수 정화 시스템의 운영을 위하여 외부에서 여과부재를 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격자망을 설치하는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
KR1019970062321A 1997-11-24 1997-11-24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 KR19990041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321A KR19990041693A (ko) 1997-11-24 1997-11-24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321A KR19990041693A (ko) 1997-11-24 1997-11-24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693A true KR19990041693A (ko) 1999-06-15

Family

ID=6609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321A KR19990041693A (ko) 1997-11-24 1997-11-24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16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004B1 (ko) * 2006-05-12 2006-12-20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폐광산의 갱구 폐쇄구조
KR100682468B1 (ko) * 2004-06-25 2007-02-16 강동원 마감재용 보드
KR100879917B1 (ko) * 2008-06-04 2009-02-26 (주)시엠씨 휴폐광산 지역의 하천에 적치된 광미 및 광폐석의 안정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468B1 (ko) * 2004-06-25 2007-02-16 강동원 마감재용 보드
KR100660004B1 (ko) * 2006-05-12 2006-12-20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폐광산의 갱구 폐쇄구조
KR100879917B1 (ko) * 2008-06-04 2009-02-26 (주)시엠씨 휴폐광산 지역의 하천에 적치된 광미 및 광폐석의 안정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894022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WO2010085013A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249741B1 (ko)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1235008B1 (ko) 비점 오염 저감 시설
KR100987316B1 (ko)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KR200452222Y1 (ko) 비점 오염 자연 정화 시스템
KR20030042410A (ko) 조정식 표면 세정 메카니즘을 가진 필터 카트리지
KR101741449B1 (ko) 유량 조정 및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초기 강우 유출수의 비점오염처리장치
US20170246567A1 (en) Filtering Pump System
JP3148921U (ja) 雨水濾過器
KR100597203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KR100562168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726157B1 (ko) 매립시설 침출수 정화장치 및 방법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04081B1 (ko) 바이패스 수로가 부설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0516951B1 (ko) 건축물 우수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9990041693A (ko) 폐광산 침출수의 토양오염 방지 시스템
KR101143866B1 (ko)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1760902B1 (ko) 블록식 결합형태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0246043B1 (ko) 폐광산침출수의중금속제거및중화장치
KR200359724Y1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 처리장치
KR20050112629A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 처리장치
KR200350829Y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