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165U -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 - Google Patents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1165U
KR19990041165U KR2019980007932U KR19980007932U KR19990041165U KR 19990041165 U KR19990041165 U KR 19990041165U KR 2019980007932 U KR2019980007932 U KR 2019980007932U KR 19980007932 U KR19980007932 U KR 19980007932U KR 19990041165 U KR19990041165 U KR 199900411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ar
bicycle
child
auxiliary
auxiliar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석
Original Assignee
이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석 filed Critical 이광석
Priority to KR20199800079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1165U/ko
Publication of KR19990041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165U/ko

Links

Landscapes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자가 뒤에서 밀면서 핸들조작을 동시에 하는 경우에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는, 자전거에 탑승한 아이가 잡고 조작하는 주핸들바아(13)에 후방으로 연결된 보조핸들바아(15)를 구비한다. 보조핸들바아(15)는 보호자가 뒤에서 잡고 자전거를 밀면서 동시에 조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은 보조핸들바아(15)를 이용함으로써 보호자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 자전거를 밀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가 힘들지 않게 아이와 함께, 특히 아직 자전거에 익숙하지 못한 아이와 함께 안전하게 자전거놀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
본 고안은 어린이용 자전거에 보호자가 뒤에서 밀면서 핸들조작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핸들바아를 설치하여 되는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아이들에 있어 자전거 놀이는 단순한 재미를 넘어서 성장기에 있는 아이들의 체력 및 판단력 증진에 효과적이어서 권장할만한 놀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아이들이 자전거 놀이를 할 때는, 혼자서 거리로 나설 경우 매우 위험하므로 보호자가 함께하는 것이 좋다. 게다가 자전거를 처음 배우거나 아직 자전거에 익숙하지 않은 작은 아이에게는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즉, 보호자가 자전거를 뒤어서 밀어주어야 하는 것이다. 만약 아이의 핸들조작이 미숙한 상태에서 뒤에서 밀어주기만 하면 넘어질 위험이 크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보호자가 한손으로 자전거를 밀면서 다른 한손으로는 핸들을 조작하여야 한다.
그러나 어린이용 자전거는 보호자가 뒤에서 밀기에 그 높이가 너무 낮다. 그래서 보호자가 자전거를 밀기 위하여는 허리를 굽혀야 하고, 더욱이 핸들조작을 위해서는 양손을 따로 움직여야 하는 등 자세가 매우 불편하여 힘이 많이 든다. 또한 노면이 고르지 못하고 주행중 돌출이나 계단과 같은 턱을 만나면 자전거의 전륜을 살짝 들어서 옮겨야 하는 번거러움도 있는 것이다. 때문에 보호자가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된다. 한편 자전거에 탑승해 있는 아이의 입장에서볼 때 보호자에 의해 시야가 일부 가려지고 자전거의 움직임이 자연스럽지 못하므로 흥미를 잃고 금방 실증내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어린이용 자전거를 보호자가 뒤에서 밀면서 핸들조작을 동시에 하는 경우에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하는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호자와 아이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세자전발자전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의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에 사용된 회전각 조절을 위한 부분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세발자전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의 주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륜 5 : 조향축
13 : 주핸들바아 13a : 손잡이부
15,45 : 보조핸들바아 16,16' : 연결구
17,17' : 연결아암 18,18' : 세로바아
19 : 가로바아 21 : 고정지지구
23,27 : 환형톱니부 26 : 회전지지부
32 : 볼트 33 : 스프링
47,47',48,48' : 록킹구멍 49,49' : 록버튼
50 : 판스프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는,
전륜을 포함하는 복수의 바퀴와, 복수의 바퀴를 각기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그중 전륜을 조향가능하게 지지하는 조향축을 포함하는 골격구조물과, 아이의 탑승을 위해 골격구조물에 설치된 안장과, 탑승자가 발로 밟아서 복수의 바퀴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할 수 있게 하는 구동수단과, 조향을 위한 탑승자용 주핸들바아, 그리고 자전거를 뒤에서 밀면서 조향할 수 있게 주핸들바아측과 연결되는 보호자용 보조핸들바아를 구비하여 된다.
즉, 탑승자인 아이가 조작하는 주핸들바아 외에 보호자가 뒤에서 조작할 수 있는 별도의 보조핸들바아를 설치함으로써 아이 대신 자전거를 뒤에서 밀면서 방향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주행중 돌출이나 턱을 만나는 경우에는 그 보조핸들바아를 이용하여 전륜을 살짝 들어주는 조작이 가능하여 어려움없이 밀고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별도의 보조핸들바아를 이용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허리를 굽히거나 양손을 따로 움직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탑승한 아이의 흥미를 저해하지 않고 보호자와 아이가 함께 자전거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핸들을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세발자전거에 적용한 일실시예를 보인다. 도시된 세발자전거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전후에 배치된 한 개의 전륜(1)과 두 개의 후륜(2,3), 주프레임(4), 주프레임(4) 선단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조향축(5), 조향축(5) 하단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전륜(1)의 상측 주위에 씌워지고 그 전륜(1)의 축(8)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7)를 가지는 흙받이(6), 주프레임(4)에 연결된 후륜지지용 프레임(9), 주프레임(4)에 설치된 안장(10), 안장(10) 후방에 설치된 등받이용 프레임(11), 전륜(1)의 축(8)을 구동하는 페달(12), 조향축(5) 상단부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탑승자용 주핸들바아(13)로 구성된다. 미설명된 부호 20은 발판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세발자전거에 있어서, 주핸들바아(13)의 양단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호자용 보조핸들바아(15)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조핸들바아(15)는 주핸들바아(13)로부터 완전분리가능한 조립식으로서, 주핸들바아(13)의 손잡이용 관체(14,14')가 각각 씌워지는 부분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구(16,16')와, 이 연결구(16,16')에 힌지연결된 연결아암(17,17')과, 이 연결아암(17,17')에 후방으로 각각 연결되는 세로바아(18,18'), 양측 세로바아(18,18')의 끝단을 가로로 연결하는 가로바아(19)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보조핸들바아(15)는 아이가 자전거에 올라타고 내리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주핸들바아(1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핸들바아(13)는 통상 원형 파이프로 되어 있으며, 손잡이용 관체(14)가 끼워지는 주핸들바아(13)의 손잡이부(13a)는 통상 탑승자인 아이가 가장 편한 자세로 잡을 수 있게 전륜(1)의 축방향과 나란한 수평선(A)에 대해 앞쪽으로 경사져 있다. 연결구(16)는 이같이 경사진 주핸들바아(13)의 손잡이부(13a)에서 보조핸들바아(15)의 원할한 회전작용을 위해 구현된 것이다. 도 2는 주핸들바아(13)와 보조핸들바아(15)의 한쪽(좌측) 연결구조만을 도시한다. 물론 다른쪽(우측) 연결구조도 대칭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도 2에 의하면, 주핸들바아(13)의 손잡이부(13a)에 고정지지구(21)를 삽입고정한다. 고정지지구(21)는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된 볼트체결용 나사구멍(22)과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환형톱니부(23) 및 스토퍼돌기(24)를 가진다. 주핸들바아(13)의 손잡이부(13a) 내에서 고정지지구(21)는 세트스크류(25)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고정지지구(21)의 고정을 위해 상기한 세트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도 주핸들바아(13)의 손잡이부(13a)를 부분적으로 코킹하거나 또는 그 손잡이부(13a)의 내주면과 고정지지구(21)의 외주면을 탭핑하여 나사식으로 결합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고정지지구(21)에 대해 연결구(16)는 주핸들바아(13)의 손잡이부(13a)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회전지지부(26),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환형톱니부(27)와 걸림돌기(28,29), 그리고 후면에서 그 회전지지부(26)의 중심을 관통하는 볼트삽입구(30) 및 볼트관통구멍(31)을 가진다. 즉, 볼트(32)를 볼트삽입구(30) 및 볼트관통구멍(31)을 통해 고정지지구(21)의 나사구멍(22)에 체결하여 연결구(16)의 회전지지부(26)를 주핸들바아(13)의 손잡이부(13a)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게 지지하는 것이다. 볼트삽입구(30)에는 볼트(32)와 함께 스프링(33)이 개재되어 있다. 스프링(33)은 볼트관통구멍(31)의 단차부(부호생략)와 볼트(32)의 머리부(부호생략) 사이에 수축되어 있어 연결구(16)의 회전지지부(26)를 고정지지구(21)측으로 가압하는 탄력을 보유한다. 이 스프링(33)의 탄력에 의하여 회전지지부(26)와 고정지지구(21)의 환형톱니부(23,27)가 서로 탄력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즉, 보조핸들바아(15)는 스프링(33)의 탄력으로 맞물리는 환형톱니부(23,27)에 의하여 임의로 회전될 수 없게 되어 있고, 인의적으로 보조핸들바아(15)를 회전시킬 때만 스프링(33)이 수축되어 환형톱니부(23,27)가 이완되게 하여 그 환형톱니부(23,27)의 한 피치씩 회전될 수 있게 된 것이다. 여기서 스토퍼돌기(24)와 걸림돌기(28,29)는 연결아암의 회전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연결구(16)에는 힌지수납부(34)가 형성되어 있고, 그 힌지수납부(34)에 연결아암(17)의 힌지부(35)가 힌지핀(36)을 중심으로 수평면상에서 일정한 범위로 회전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아암(17)의 회전구조는, 전술한 주핸들바아(13)의 손잡이부(13a)가 보조핸들바아(15) 전체의 회전중심인 수평선에 대해 경사져 있는데 따라서 보조핸들바아(15)의 양측 세로바아(18,18')가 나란히 회전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연결아암(17)의 회전범위는 전술한 전륜(1)의 축과 나란한 보조핸들바아(15) 전체의 회전중심인 수평선(A)에 직교하는 위치와 이 수평선(A)에 일정각도로 경사진 주핸들바아(13)의 손잡이부(13a)에 대한 연결구(16)의 회전중심인 경사선(B)에 각각 직교하는 위치의 사이, 즉 주핸들바아(13)의 손잡이부(13a)의 경사진 각도의 범위이면 충분하다(도 2 참조).
여기서 연결아암(17)의 임의회전에 따른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연결구(16)의 힌지수납부(34)에는 힌지핀(36)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원주상에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수개의 스토퍼홀(37)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여 연결아암(17)의 힌지부(35)에는 도 4와 같이 볼(38)과 스프링(39)을 수용하는 구멍(40)을 뚫는 것이다. 즉, 스프링(39)에 바이어스되는 볼(38)이 스토퍼홀(37)에 걸려서 그 위치에 임시적으로 고정되어 연결아암(17)의 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보조핸들바아(15)의 연결아암(17)과 세로바아(18)의 분리가능한 연결구조로서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아암(17)과 세로바아(18)에 상호 일치될 수 있는 구멍(41,42)을 뚫고 세로바아(18)에 내측에 그 구멍(41,42) 밖으로 돌출하는 록버튼(43)을 가지는 판스프링(44)을 삽입한다. 즉,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연결아암(17)의 구멍(41)으로 돌출된 록버튼(43)을 눌러서 세로바아(18)를 그 연결아암(17)으로부터 간단히 분리해 낼 수 있게 된 것이다.
한편, 보조핸들바아(15)의 세로바아(18)와 가로바아(19)의 연결구조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한 연결아암(17)과 세로바아(18)의 연결구조와 똑같은 방식으로 하거나 또는 통상적인 다른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아이를 자전거에 태운 상태에서 보호자가 뒤에서 보조핸들바아(15)의 가로바아(19) 또는 그 가로바아(19) 양측에 달린 손잡이봉(20,20')을 잡고 자전거를 밀어줄 수 있다. 보조핸들바아(15)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그와 연결되어 있는 주핸들바아(13)가 좌우로 회전되어 전륜(1)이 조향되는 것이다. 한편, 주행중 노면의 돌출 또는 턱을 만난 경우에는 발판(20)을 밟고서 보조핸들바아(15) 살짝 당기면 전륜(1)이 들리게 되어 그 돌출 또는 턱을 수월하게 넘어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보호자는 보조핸들바아(15)의 위아래로 회전시켜 자신의 키에 알맞게 그 가로바아(19)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 자전거를 밀면서 조향할 수 있는 것이다. 아이를 자전거에 태우거나 내리게 할 때에는 보조핸들바아(15)를 위로 충분이 들어올려 주거나 또는 아래로 내려서 방해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아이가 더 이상 보호자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하여 보조핸들바아(15)가 필요치 않을 때에는 전술한 볼트(32)를 풀러서 주핸들바아(13)로부터 완전히 분리해 낼 수 있고, 분리된 보조핸들바아(15)는 연결구(16)와 세로바아(18,18')와 가로바아(19)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핸들바아(15)는 주핸들바아(13)의 손잡이부(13a)가 앞으로 경사진 경우에 그 회전을 위한 바람직한 구조를 보인다. 만약, 주핸들바아(13)의 손잡이부(13a)가 경사지지 않고 전술한 수평선(A)와 나란하다면 앞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결구(16)의 연결아암(17)의 힌지연결구조는 필요치 않는 것이다. 즉, 이 경우에 보조핸들바아를 훨씬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앞의 실시예보다 훨씬 간단한 구조로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조핸들바아(45)는 통상적인 세발자전거의 전륜(1)을 조향가능하게 지지하는 조향축(5) 상단에 연결되어 탑승한 아이의 머리위를 지나서 후방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고, 후단에 파지하기 쉽게 연결된 손잡이봉(46)을 가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조향축(5)에 보조핸들바아(45)의 단부가 삽입되는데, 조향축(5)과 보조핸들바아(45) 단부에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일치되는 록킹구멍(47,47',48,48')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각각 돌출하는 두개의 록버튼(49,49')을 가지는 판스프링(50)이 보조핸들바아(45) 내에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좌측의 록킹구멍(47,48)과 우측의 록킹구멍(47',48') 사이에 단차가 있는데, 이는 보조핸들바아(45)를 조향축(5)에 끼우거나 빼낼 때 록버튼(49,49')이 차례로 눌리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또한 이같이 양측에 록버튼(49,49')을 구비한 것은 조향시 보조핸들바아(45)와 조향축(5)이 일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용 자전거는 세발자전거(tricycle)와 두발자전거(bicycle)가 있다. 여기서 어린이용 두발자전거는 넘어지지 않게 후륜 양측에 작은 안전바퀴가 달린 것을 말한다. 본 고안은 앞의 실시예들과 같이 주로 작은 아이들이 사용하는 세발자전거에 아주 유용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큰 아이들이 사용하는 두발자전거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호자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아이의 자전거 놀이에 함께 하는 보호자를 위한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를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힘들지 않게 하는 동시에 안전과 아이의 흥미를 돋우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아이의 자전거 놀이에 보호자가 함께 하도록 유도하는데 효과적이다.

Claims (6)

  1. 전륜을 포함하는 복수의 바퀴와, 복수의 바퀴를 각기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그중 전륜을 조향가능하게 지지하는 조향축을 포함하는 골격구조물과, 아이의 탑승을 위해 골격구조물에 설치된 안장과, 탑승자가 발로 밟아서 복수의 바퀴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할 수 있게 하는 구동수단과, 조향을 위한 탑승자용 주핸들바아, 그리고 자전거를 뒤에서 밀면서 조향할 수 있게 주핸들바아측과 연결되는 보호자용 보조핸들바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조핸들바아가 상기한 주핸들바아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핸들바아의 양단부가 상기한 전륜의 축에 대해 경사져 있고, 상기한 보조핸들바아가 그 경사진 주핸들바아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연결구와, 이 양측 연결구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결아암과, 양측 연결아암에 각각 후방으로 연결되는 세로바아아, 그리고 양측 세로바아의 후단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바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조핸들바아의 연결구가 주핸들바아의 양단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지지부와 이 회전지지부를 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한 주핸들바아의 양단부 내측에 삽입고정되고 그 연결구의 볼트관통구멍을 관통하는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지지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지지부와 고정지지구에 상호 맞물릴 수 있는 환형톱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볼트와 함께 개재되어 그 환형톱니부가 상호 탄력적으로 맞물리고 이완될 수 있도록 탄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조핸들바아가 상기한 주핸들바아 조작시 조향되는 상기한 전륜의 조향축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후방으로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
KR2019980007932U 1998-05-14 1998-05-14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 KR199900411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932U KR19990041165U (ko) 1998-05-14 1998-05-14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932U KR19990041165U (ko) 1998-05-14 1998-05-14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165U true KR19990041165U (ko) 1999-12-15

Family

ID=6951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932U KR19990041165U (ko) 1998-05-14 1998-05-14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116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6670A (ko) * 2010-04-20 2011-10-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 내 빌지 웰의 개폐 구조
WO2017003074A1 (ko) * 2015-07-02 2017-01-05 이상래 브레이크램프 및 방향램프 기능과 헬스케어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그립
CN114771710A (zh) * 2022-03-23 2022-07-22 安徽爱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脚踏车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6670A (ko) * 2010-04-20 2011-10-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 내 빌지 웰의 개폐 구조
WO2017003074A1 (ko) * 2015-07-02 2017-01-05 이상래 브레이크램프 및 방향램프 기능과 헬스케어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그립
CN114771710A (zh) * 2022-03-23 2022-07-22 安徽爱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脚踏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0935B2 (en) Tricycle and guide handle
US5785335A (en) Trailer cycle
KR101619731B1 (ko) 이중 조종 가능식 운송 수단
US11745820B2 (en) Foldable personal vehicle
US4657272A (en) Wheeled vehicle
US6874802B2 (en) Tricycle and guide handle
US20080290628A1 (en) Panther Front And Rear Wheel Drive Bicycle
WO2014080166A1 (en) Recreational vehicle
JP3149057B2 (ja) 子供用自転車
US6247714B1 (en) Recumbent cycle with improved suspension
KR200459090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200459089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19990041165U (ko) 보조핸들바아를 가지는 어린이용 자전거
US4276787A (en) Steering device for a cycle
KR200428429Y1 (ko) 보조 조향장치를 갖는 세발자전거용 안장
CN218559049U (zh) 前轮两轮式骑乘玩具
GB2260524A (en) Pole pushed cycle
KR960001973Y1 (ko) 유모차
JPH0349115Y2 (ko)
KR20090006839U (ko) 무핸들 자동조향 삼륜자전거
KR200363709Y1 (ko) 무핸들 삼륜 자전거
KR900008144Y1 (ko) 어린이용 자전거
KR200315069Y1 (ko) 자전거의 후륜용 발판
KR200334630Y1 (ko) 보조 조향장치가 설치된 유아용 자전거
JPH0222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