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605A - 랩탑형 컴퓨터 - Google Patents
랩탑형 컴퓨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40605A KR19990040605A KR1019970061056A KR19970061056A KR19990040605A KR 19990040605 A KR19990040605 A KR 19990040605A KR 1019970061056 A KR1019970061056 A KR 1019970061056A KR 19970061056 A KR19970061056 A KR 19970061056A KR 19990040605 A KR19990040605 A KR 199900406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board
- plate
- main body
- monitor
- lif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랩탑형 컴퓨터 본체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모니터를 소정 각도로 회동시켰을 때 이 모니터의 회동과 연동되어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키보드가 본체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하여 사용자의 신체 피로도를 저감시킨 랩탑형 컴퓨터가 개시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하면 키보드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 본체에 대하여 접철되도록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를 구비한 랩탑형 컴퓨터에 있어서, 힌지부로부터 본체의 내부 키보드 저면까지 연장되고 힌지부의 회동과 연동하여 키보드 저면에서 직선왕복운동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직선왕복운동 방향에 대응하여 키보드의 일측이 본체로부터 회동되도록 하는 키보드 회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랩탑형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랩탑형 컴퓨터 본체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모니터를 소정 각도로 회동시켰을 때 이 모니터의 회동과 연동되어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키보드가 본체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하여 사용자의 신체 피로도를 저감시킨 랩탑형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그 보급률이 꾸준히 증가되고 있는 "랩탑형 컴퓨터"는 데스크 톱 컴퓨터에 비하여 이동이 용이하고, 성능의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이동하거나 이동 회수가 사용자들이 많이 애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랩탑형 컴퓨터의 개발 방향은 소형화, 경량화 추세이고, 이에 더하여 소형, 경량이지만 성능은 다양하고 데스크 톱 컴퓨터에 비하여 손색이 없는 고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랩탑형 컴퓨터를 도 1a,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랩탑형 컴퓨터는 전체적으로 보아 본체(10)와, 본체(10)에서 처리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20)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0)에는 컴퓨터의 기본 장치들 예를 들어, 정보를 영구, 임시적으로 기록하는 기억장치(미도시)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40) 및 트랙볼과 같은 입력장치(미도시) 및 중앙처리장치(CPU)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10)는 다시 모니터(20)와 기계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본체(10)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모니터(20)에는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처리된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가시 화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인 액정표시장치(LCD)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랩탑형 컴퓨터를 갖고 이동할 때에는 본체(10)와 모니터(20)를 완전히 접어서 액정표시장치(LCD) 및 본체(2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소정 컴퓨팅 작업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다시 본체(10)를 일정 부분에 안착시키고 본체(10)로부터 모니터(20)를 소정 각도로 회동시킨 다음 전원을 인가하여 부팅(booting)을 거친 후, 워드 작업 및 데이터 검색, 처리작업등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랩탑형 컴퓨터의 키보드(40)는 본체(10)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장시간 키보드 작업을 할 경우 사용자의 손목 및 손가락에 큰 무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랩탑형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본체와 접철되어 있는 모니터를 회동시킬 때, 모니터와 연동되어 키보드가 본체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기를 갖음으로써 사용자의 손목 및 손가락에 무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 랩탑형 컴퓨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종래 랩탑형 컴퓨터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 랩탑형 컴퓨터의 모니터를 전개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랩탑형 컴퓨터를 전개하지 않은 상태를 일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는 종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랩탑형 컴퓨터를 전개한 상태를 일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는 종단면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 랩탑형 컴퓨터는 키보드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에 대하여 소정각도 회동하는 모니터를 구비한 랩탑형 컴퓨터에 있어서, 모니터와 본체의 연결부로부터 키보드 저면까지 연장되고, 모니터의 회동과 연동하여 키보드 저면에서 직선왕복운동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직선왕복운동 방향에 대응하여 키보드의 일측이 본체로부터 소정각도 회동되도록 하는 키보드 회동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모니터와 플레이트는 상호 상대운동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모니터에는 캠이 형성되어 있고, 캠은 누름편이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와 밀착됨으로써 모니터의 회동에 의하여 누름편은 눌리게 되어 상기 플레이트가 직선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키보드의 저면과 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키보드 회동부재는 상호 교차된 상태로 교차점에 힌지가 형성된 두 개의 리프트 막대중 어느 한 리프트 막대의 일측 단부는 키보드에 대하여 접철 가능케 결합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키보드의 저면에 위치한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리트프 막대의 길이는 키보드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교차점에 형성된 힌지에는 리프트 막대에 단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플레이트는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가이드 되는 랩탑형 컴퓨터.
본 발명은 또하나의 실시예를 제공하고 있는 바, 실시예는 키보드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에 대하여 소정각도 회동하는 회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를 구비한 랩탑형 컴퓨터에 있어서, 본체에 대하여 키보드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리프트 부재와, 회동부에 형성된 캠과, 캠에 의하여 일측이 눌름으로써 타측과 결합된 상기 리프트 부재가 리프트되도록 소정 부분에 힘작용부가 형성된 플레이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키보드와 상기 리프트 부재, 리프트 부재와 플레이트는 상호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랩탑형 컴퓨터의 보다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 랩탑형 컴퓨터(100)는 전체적으로 보아 키보드(140)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120)와, 본체(120)에 대하여 소정각도 회동하는 모니터(110)와, 모니터(110)와 본체(120)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키보드(140) 저면까지 연장되고, 모니터(110)의 회동과 연동하여 상기 키보드(140) 저면에서 직선왕복운동하는 플레이트(150)와, 플레이트(150)의 직선왕복운동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키보드(140)의 일측이 본체(120)로부터 소정각도 회동되도록 하는 키보드 회동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120)는 소정 두께를 갖고 속이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외함(122)과, 랩탑형 컴퓨터(100)를 이루고 있는 각종 하드웨어(미도시)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함(122)의 상부면은 소정 면적으로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부에는 앞서 언급한 하드웨어중 작업자가 직접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키보드(140)가 위치한다.
이 키보드(140)는 외함(122)과 힌지(147)결합되어 있어 키보드(140)는 외함(122)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동 가능토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외함(122)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한 키보드(140)의 저면에는 소정 공간부(124)가 형성되어 있고, 공간부(124)의 저면에 앞서 언급한 하드웨어들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체(120)에는 TFT-LCD 패널(115)이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110)가 본체(120)에 대하여 접철 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모니터(110)가 본체(120)로부터 이와 같이 접철되기 위해서는 본체(120)에 축공(124)이 형성되고, 모니터(110)에 이 축공(124)과 결합되도록 돌출된 축(135)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외함(122)과 단순 힌지(147) 결합되어 있는 키보드(140)는 스스로 회동할 수 없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110)가 본체(120)로부터 회동하여 오픈될 때 키보드(140)가 연동되도록 다음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중 하나는 모니터(110)의 회동각도만큼 직선왕복운동 가능한 "플레이트"(150)라 명칭이 부여된 부재이고, 다른 하나는 플레이트(150)의 직선왕복운동에 대응하여 외함(122)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키보드(110)를 일정 각도만큼 회동시키는 "리프트"(160)라는 명칭이 부여된 부재이다.
이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플레이트(150)는 평평하고 얇은 판 형상으로, 이 플레이트(150)의 일측 단부는 모니터(110)와 본체(1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모니터(110)에 부착되어 있고, 타측 단부는 키보드(14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공간부(124)에 삽입되어 있다.
즉, 플레이트(150)는 모니터(110)의 회동에 따라서 키보드(140)의 저면에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플레이트(150)가 삽입되는 공간부(124)의 입구에는 플레이트(15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키보드(140)의 저면에 위치한 플레이트(150)의 상면과 키보드(140)의 밑면에는 리프트(1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프트(160)는 비교적 휨에 강한 성질을 갖는 바, 막대 형상 또는 판상이어도 무방하다.
이 리프트(160)는 단일 리프트(160)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 2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리프트(160)를 사용할 수도 있다.
2 개의 리프트(160)를 사용할 경우, 리프트(160)를 상호 교차시킨 상태에서 교차점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교차점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16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2 개의 리프트(160)중 어느 하나를 제 1 리프트(163)라 정의하면, 제 1 리프트(163)의 일측단부는 플레이트(150)와 힌지(155) 결합되어 있고, 타측단부는 키보드(140)의 저면과 힌지(157) 결합되어 있다.
이때, 나머지 하나의 리프트(160)를 제 2 리프트(167)라 정의하면, 제 2 리프트(167)는 단순하게 플레이트(150)의 상면과 키보드(140)의 하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 제 2 리프트(167)는 제 1 리프트(163)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1 리프트(163) 및 제 2 리프트(167)의 길이와 플레이트(150)의 상면으로부터 키보드(140)의 밑면 사이의 길이는 중요하다.
이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0)와 모니터(110)가 완전히 접혀 있을 때 제 1, 제 2 리프트(163)(167)가 플레이트(150)와 수직을 이루지 않고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도 2b에서와 같이 모니터(110)가 본체(120)로부터 소정 각도 회동하였을 때, 제 1, 제 2 리프트(163)(167)가 플레이트(150)와 이루는 각이 직각이 가깝게 형성되어 키보드(140)는 외함(122)에 형성된 힌지(147)를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 3은 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 도 3b에서는 리프트(160) 1 개가 사용되었을 때를 도시하고 있는 바, 플레이트(450)의 상면에는 단일 리프트(460)의 일측 단부가 힌지(455) 결합되어 있고, 키보드(440)의 저면에는 단일 리프트(460)의 타측 단부가 힌지(457) 결합되어 있다.
한편, 도 4는 앞서 언급한 두 개의 실시예와는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도면을 참조하면, 모니터(210)의 축(237)과 본체(220)의 축공이 결합되는 모니터(210) 부분에는 소정 캠각을 갖는 캠(2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캠(235)에는 플레이트(250)의 단부가 단순 밀착되어 있는 바, 플레이트(250)의 단부에는 캠(235)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누름편(25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레이트(250)의 단부에는 스프링(257)이 형성되어 있어 본체(220)로부터 모니터(210)가 회동하여 누름편(255)이 캠(235)에 의하여 눌린 후, 다시 본체(220)로부터 모니터(210)가 역회동하게 될 때 누름편(255)이 복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a는 모니터(210)와 본체(220)가 완전히 닫혀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b는 모니터(210)와 본체(220)가 일정 각도를 이룬 상태로 오픈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와 같이 모니터(210)가 본체(220)에 닫혀 있게 될 경우에는 모니터(210)의 캠(235)이 플레이트(250)의 누름편(255)을 가압하지 못하게 됨으로 인하여 플레이트(250)의 단부에 형성된 스프링(257)이 플레이트(250)를 가압하게 된다.
이로인하여, 플레이트(250)의 누름편(255)은 캠(235)과 밀착된 상태가 되고,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제 1, 제 2 리프트(263)(267)는 뉘여진 상태가 된다.
또한, 제 1, 제 2 리프트(263)(267)가 눕혀짐에 따라서 키보드(240) 또한 외함(222)의 상면과 평행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랩탑형 컴퓨터(200)를 사용하기 위하여 모니터(210)를 본체(22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시키면 모니터(210)의 캠(235)은 플레이트(250)의 누름편(255)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서 플레이트(250)는 가압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플레이트(250)가 밀려나면서 플레이트(250)의 제 1, 제 2 리프트(263)(267)는 플레이트(250)이 이동에 따라서 소정 힘을 받게 되고, 이 힘에 의하여 제 1, 제 2 리프트(263)(267)의 각도는 점차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제 2 리프트(263)(267)의 각도 변화와 대응하여 본체(220) 외함(222)에 형성되어 있는 키보드(240) 또한 소정 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물론, 이때도 플레이트(25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257)은 압축되는 바, 스프링(257)의 탄성계수는 모니터(210)를 본체(220)로부터 회동하기 위한 회동력보다 커서는 안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실시예는 누름편(355)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플레이트(350)의 단부에 힌지(365)를 형성하고, 이 힌지(365)에 제 2 플레이트(345)의 일측단부를 부착한다.
이때, 제 1 플레이트(350)의 단부에 형성된 누름편(355)은 모니터(310)의 캠(335)과 밀착 접촉되도록 하고, 제 2 플레이트(345)의 타측 단부에는 누름편(355)의 변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리프트(347)를 형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체(320)에 모니터(310)가 닫혀 있을 경우, 제 1 플레이트(350)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캠(335)은 누름편(355)을 가압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됨으로써, 제 2 플레이트(345)의 타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리프트(347)는 키보드(340)에 아무런 힘도 가하지 않는다.
그러나, 첨부된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모니터(310)가 본체(320)로부터 소정 각도 회동하게 되면 모니터(310)의 캠(335)은 누름편(355)을 가압하게 된다.
누름편(355)이 가압되면, 누름편(355)은 하방으로 눌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서 힘작용점이 되는 힌지(365)을 기준으로 제 2 플레이트(345)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리프트(345)는 누름편(355)의 방향과는 반대되는 상방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리프트(345)와 키보드(340)는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거나, 리프트(345)가 제 2 플레이트(345), 키보드(340)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키보드(340)는 힌지(365)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랩탑형 컴퓨터의 모니터를 본체에 대하여 회동시킬 때 모니터와 연관되도록 설치된 플레이트를 본체의 키보드 저면까지 연장 설치하고, 이 키보드 저면에 설치된 플레이트에 키보드 회동부재를 형성하여 플레이트의 회동에 대응하여 키보드가 랩탑형 컴퓨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중 일부에 피로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 키보드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소정각도 회동하는 모니터를 구비한 랩탑형 컴퓨터에 있어서,상기 모니터와 상기 본체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키보드 저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모니터의 회동과 연동하여 상기 키보드 저면에서 직선왕복운동하는 플레이트와;상기 플레이트의 직선왕복운동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키보드의 일측이 상기 본체로부터 소정각도 회동되도록 하는 키보드 회동부재를 구비한 랩탑형 컴퓨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와 상기 플레이트는 상호 상대운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랩탑형 컴퓨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에는 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은 누름편이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와 밀착됨으로써 상기 모니터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누름편은 눌리게 되어 상기 플레이트가 직선운동하는 랩탑형 컴퓨터.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의 저면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키보드 회동부재는 상호 교차된 상태로 교차점에 힌지가 형성된 두 개의 리프트 막대중 어느 한 리프트 막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키보드에 대하여 접철 가능케 결합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키보드의 저면에 위치한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리트프 막대의 길이는 상기 키보드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된 랩탑형 컴퓨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점에 형성된 힌지에는 상기 리프트 막대에 단순 삽입되어 있는 랩탑형 컴퓨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가이드 되는 랩탑형 컴퓨터.
- 키보드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소정각도 회동하는 회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를 구비한 랩탑형 컴퓨터에 있어서,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키보드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리프트 부재와,상기 회동부에 형성된 캠과,상기 캠에 의하여 일측이 눌름으로써 타측과 결합된 상기 리프트 부재가 리프트되도록 소정 부분에 힘작용부가 형성된 플레이트를 구비한 랩탑형 컴퓨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와 상기 리프트 부재, 상기 리프트 부재와 상기 플레이트는 상호 힌지결합되어 있는 랩탑형 컴퓨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1056A KR19990040605A (ko) | 1997-11-19 | 1997-11-19 | 랩탑형 컴퓨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1056A KR19990040605A (ko) | 1997-11-19 | 1997-11-19 | 랩탑형 컴퓨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0605A true KR19990040605A (ko) | 1999-06-05 |
Family
ID=6609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61056A KR19990040605A (ko) | 1997-11-19 | 1997-11-19 | 랩탑형 컴퓨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40605A (ko) |
-
1997
- 1997-11-19 KR KR1019970061056A patent/KR1999004060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79809B2 (en) | Electronic apparatus | |
CN113202857B (zh) | 铰链、柔性显示面板及电子装置 | |
US6780019B1 (en) | Pen-based computing system with a releasable socket connector for connecting a base unit to a tablet unit | |
US7457108B2 (en) | Positioning mechanism for a pen-based computing system | |
EP0990975B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hook mechanism applicable to the apparatus | |
KR100204158B1 (ko) | 분리형 키보드와 이분리형 키보드를 사용한 컴퓨터 | |
JPH10222090A (ja) |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用の連結型可動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の位置決め方法 | |
EP0751455A1 (en) | A portable computer and a keyboard therefor | |
US12075579B2 (en) | Hinge, flexible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 |
CN113534893B (zh) | 折叠式电子装置 | |
JP2002334626A (ja) | キースライド機構及びキースライド機構を備えた情報機器装置 | |
TW201447948A (zh) | 具有可升降按鍵模組之可攜式電子裝置 | |
CN114185399B (zh) | 折叠式电子装置 | |
US20210011521A1 (en) | Linkage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 |
CN105826114B (zh) | 按键及其键盘 | |
EP3796126B1 (en) | Hinge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CN113048143B (zh) | 电子装置 | |
KR19990040605A (ko) | 랩탑형 컴퓨터 | |
US8315042B2 (en) | Electronic device | |
CN108612988B (zh) | 电子装置及其支撑架 | |
JP7503981B2 (ja) | 推力変換機構 | |
KR19990004641U (ko) | 경사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 |
KR102542067B1 (ko) |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 |
CN110377109B (zh) | 转轴结构与电子装置 | |
JP3779189B2 (ja) |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のスタンド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