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932U - 원격 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932U
KR19990039932U KR2019980006395U KR19980006395U KR19990039932U KR 19990039932 U KR19990039932 U KR 19990039932U KR 2019980006395 U KR2019980006395 U KR 2019980006395U KR 19980006395 U KR19980006395 U KR 19980006395U KR 19990039932 U KR19990039932 U KR 199900399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unit
predetermined
fluorescen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35583Y1 (ko
Inventor
이재구
Original Assignee
황용규
주식회사 기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용규, 주식회사 기진전자 filed Critical 황용규
Priority to KR2019980006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583Y1/ko
Priority to CN99214399U priority patent/CN2400761Y/zh
Publication of KR199900399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9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5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receiving a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리모콘, 센서부, 타이머, 입력 신호 분석부, 전원 온/오프 부, 정류부, 스위칭 신호 발생부, 과전류 검출부, 스위칭 동작 차단부, 및 IC 전원 공급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리모콘은 소정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센서부는 리모콘으로부터 보내진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타이머는 형광등이 온/오프 될 시간을 측정한다. 또한, 입력 신호 분석부는 센서부에서 수신한 무선신호에 따라서 타이머를 제어하고, 소정의 전원제어신호와 디밍신호를 출력시킨다.
한편, 전원 온/오프 부는 전원제어신호에 따라서 벽스위치를 통해 입력된 AC 전원을 출력단으로 통과시키고, 정류부는 전원 온/오프 부의 출력단 전원을 DC 레벨로 정류하여 형광등에 공급하며, 스위칭 신호 발생부는 전원제어신호, 디밍신호에 따라서 소정 주파수의 스위칭 신호를 형광등에 공급한다.
그리고, 과전류 검출부는 형광등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기준치 이상이면 과전류 검출신호를 발생시키고, 스위칭 동작 차단부는 과전류 검출신호에 따라서 스위칭 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며, IC 전원 공급부는 소정의 AC 전원을 입력받아 IC 칩 구동전원으로 정류하여 해당 IC 칩으로 공급한다.

Description

원격 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A electronic ballast for fluorescent lamps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s)
본 고안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형광등에 대한 온/오프(On/Off) 기능, 온/오프 시간 자동 설정기능, 밝기 조절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리모콘을 사용하여 원격제어 할 수 있도록 한 형광등 안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형광등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기 위해서 언제나 각 형광등에 연결되어 있는 벽스위치(Wall Switch)를 조작하여야 했다. 그러므로, 형광등을 켜거나 끄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해당 스위치가 있는 곳까지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방바닥이나 침대에 누워서 책을 보고 있다가 바로 잠들고자 하는 경우나, 혹은 일정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이 여러 곳에 위치하는 형광등을 각각 제어하려 할 때에는 그 불편함이 컸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정의 리모콘을 이용한 원격제어에 의하여, 형광등의 온/오프 기능, 형광등의 밝기를 낮추는 디밍(Dimming) 기능, 및 형광등의 온/오프 시간의 자동 설정 기능을 수행할 수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는 소정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리모콘;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부; 소정의 설정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상기 센서부에서 수신한 무선신호에 따라서, 해당 전원제어신호와 디밍신호를 출력시키되, 상기 무선신호가 소정의 시간 설정 신호일 때는 상기 타이머를 가동하고 검사하여 해당 시간이 지난 후, 그에 따른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신호 분석부; 소정의 AC 전원을 입력받으며, 상기 전원제어신호에 따라서 이 입력된 AC 전원을 자신의 출력단으로 통과시키거나 통과시키지 않는 전원 온/오프 부; 상기 전원 온/오프 부의 출력단 전원을 소정의 DC 전원으로 정류하여 형광등에 공급하는 정류부; 상기 전원제어신호와 디밍신호에 따라서, 소정 주파수의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켜 형광등에 공급하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 형광등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기준치 이상일 때, 소정의 과전류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전류 검출부; 상기 과전류 검출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위칭 동작 차단부; 및 소정의 AC 전원을 입력받아 IC 칩 구동전원으로 정류하여 해당 IC 칩으로 공급하는 IC 전원 공급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전원 온/오프 부는 자신의 전원 입력단(P1)과 출력단(P2)에 각각 입력단과 출력단이 연결되고, 제어단(게이트 단)은 소정의 캐패시터를 통하여 상기 입력단(P1)에 연결되는 트라이액 소자; 한쪽 단은 상기 트라이액 소자의 제어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은 소정의 저항 R1을 통하여 상기 트라이액 소자의 출력단(P2)에 연결되는 포토 다이액(Photo DIAC) 소자, 및 캐소드 단은 접지 되고 애노드 단은 소정의 저항 R2를 통하여 상기 입력 신호 분석부의 전원제어신호 출력단에 연결되는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 동작 차단부는 상기 과전류 검출신호에 의하여 도통/비도통 상태가 결정되며, 캐소드 단은 접지 되고, 애노드 단은 소정의 저항 R3을 통해 상기 입력 신호 분석부의 전원제어신호 출력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소정의 저항 R4를 통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의 전원제어신호 입력단으로 연결되는 SCR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의 블록도,
도 2는 전원 온/오프 부의 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에 관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스위칭 동작 차단부의 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원격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
110: 센서부 120: 전원 온/오프 부
121: 트라이액 소자 122: 트라이액 드라이버
123: 포토 다이액 소자 124: 포토 다이오드
125: 캐패시터 126,127,191,192: 전류 제한용 저항
130: 입력 신호 분석부 140: IC 전원 공급부
150: 스위칭 신호 발생부 160: 정류부
170: 과전류 검출부 180: 휴즈
190: 스위칭 동작 차단부 193: SCR
200: 리모콘 210: 벽스위치
220: 형광등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100)의 블록도로서, 센서부(110), 전원 온/오프 부(120), 입력 신호 분석부(130), 타이머(135), IC 전원 공급부(140),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 정류부(160), 과전류 검출부(170), 휴즈(180), 및 스위칭 동작 차단부(190)로 이루어지며, 리모콘(200)에 의하여 그 동작이 제어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100)에 관한 동작 흐름도로서, 도 3을 참조하여 동작 내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100)를 리모콘(200)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벽스위치(210)가 온(ON) 상태에 있어야 한다. 즉, 실내가 어두워지거나 외출하였다가 돌아온 경우, 먼저 벽스위치(210)를 온 상태로 만들어 주어야 하는 것이다. 벽스위치(210)의 위치는 사용자에게 익숙해져 있는 경우가 보통이므로, 외출하였다가 어두워진 후 돌아왔을 때, 어두운 곳에서 리모콘(200)을 찾는 것보다는 직접 벽스위치(210)를 사용하여 형광등을 켜주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먼저, 사용자는 벽스위치(210)를 온 상태로 설정한다(단계 S510).
벽스위치(210)가 온 상태가 되면, 벽스위치(210)로부터의 전원이 전원 온/오프 부(120)를 통하여 정류부(160)로 인가되어 정류된 상태로 형광등(220)에 인가됨과 동시에,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로부터 스위칭 동작이 개시되어 스위칭 신호가 형광등(220)에 인가된다(단계 S520). 그러면 형광등(220)이 켜지게 된다(단계 S530). 이때, 입력 신호 분석부(130)에서 전원 온/오프 부(120)로 인가되는 초기 전원제어신호는 디폴트 값이 전원 온/오프 부(120)를 동작시키는 신호이다.
형광등(220)이 점등된 후에는 리모콘(200)에서의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단계 S540).
어느 시점에서 사용자가 리모콘(200)을 사용하여 소정의 무선신호를 출력시키면, 센서부(110)에서 이 신호를 감지하고, 입력 신호 분석부(130)로 보낸다. 그리고, 입력 신호 분석부(130)는 해당 신호를 분석한다(단계 S550).
단계 S550에서의 분석 결과, 해당 신호가 형광등(220)을 소등시키라는 신호인 경우, 입력 신호 분석부(130)는 전원 온/오프 부(120)로 전원차단신호를 보낸다(단계 S571). 전원 온/오프 부(120)는 벽스위치(210)로부터의 전원을 통과시키지 않고 차단시키므로(단계 S572), 형광등(220)은 소등된다(단계 S573).
단계 S550에서의 분석 결과, 해당 신호가 형광등(220)을 점등시키라는 신호인 경우, 입력 신호 분석부(130)는 전원 온/오프 부(120)로 전원공급신호를 보낸다(단계 S561). 전원 온/오프 부(120)는 벽스위치(210)로부터의 전원을 통과시키게 되므로 이 신호는 정류부(160)에서 정류되어 형광등(220)으로 공급되므로(단계 S562), 형광등(220)은 점등된다(단계 S563).
단계 S550에서의 분석 결과, 해당 신호가 형광등(220)의 밝기를 낮추라는 신호인 경우, 입력 신호 분석부(130)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로 스위칭 신호의 주파수를 소정의 크기만큼 높이라는 디밍신호를 보낸다(단계 S581). 이 디밍신호를 받은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는 스위칭 주파수를 증가시키게 되며(단계 S582), 형광등(220)의 밝기가 낮아지게 된다(단계 S583).
또한, 단계 S550에서의 분석 결과, 해당 신호가 형광등(220)의 점등/소등 시간을 설정하라는 신호인 경우, 입력 신호 분석부(130)는 타이머(135)를 가동시킨다(단계 S591). 그리고 타이머(135)를 검사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지나갔음을 감지한 후(단계 S592), 전원차단신호를 전원 온/오프 부(120)로 보낸다(단계 S593). 그러면, 전원공급신호를 받은 전원 온/오프 부(120)는 벽스위치(210)로부터의 전원을 통과시키지 않게 되며(단계 S594), 형광등(22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어 형광등(220)은 소등된다(단계 S595). 그러나, 형광등(220)이 소등되어 있을 때 이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입력 신호 분석부(130)는 전원 온/오프 부(120)로 전원공급신호를 보내며, 이로 인하여 형광등(220)이 점등되게 된다.
한편, 과전류 검출부(170)는 형광등(22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사하여, 이 전류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입력 신호 분석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제어신호가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로 입력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킨다. 그리고, 스위칭 동작을 중지시키는 신호를 인가함으로서,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에서의 스위칭 신호 발생을 막아 형광등(220)을 소등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본 고안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100)가 동작하는 것이다.
이제 본 고안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서,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설명할 실시예에서,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 안정기(100)는 형광등(220)을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전원 온/오프 신호, 형광등(220)의 밝기를 낮추는 디밍 설정 신호, 형광등(220)이 자동으로 켜지거나 꺼질 때까지의 시간을 30분으로 설정하는 30분 설정신호, 및 형광등(220)이 자동으로 켜지거나 꺼질 때까지의 시간을 60분으로 설정하는 60분 설정신호를 송신할 수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해당하는 기능버튼들(201,202,203,204)을 가지고 있는 리모콘(200)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한다.
즉,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기능버튼들(201,202,203,204)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을 누르면 그에 해당하는 신호가 리모콘(200)으로부터 송출되는 것이다.
이 리모콘(200)은 보통 적외선을 통하여 해당 신호들을 송출하도록 구성되는데, 물론 이때 사용되는 적외선 신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텔레비전이나 오디오 세트 등의 리모콘에서 출력되는 적외선 신호와 혼선이 없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리모콘(200)은 본 고안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100)가 자신에게 보내는 신호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해당 기능신호를 송출하기 전에 자기인식신호를 먼저 보낸다. 실시예에서 해당 리모콘(200)은 8 비트의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를 보내는데, 자기인식신호는 두 번 연속하는 "10101010" 신호로 설정한다. 그리고, 그 외의 각 신호에 대한 8 비트 디지털 신호의 값은 다음의 표 1과 같이 설정한다.
신호의 기능 송신할 디지털 신호값(8비트)
전원 온/오프 01001000
디밍(Dimming) 설정 01011000
30분 설정 01010000
60분 설정 01000000
자기 인식 신호 10101010(2회 연속)
센서부(110)는 리모콘(200)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 리모콘(200)으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는 입력 신호 분석부(130)로 전달된다.
입력 신호 분석부(130)는 센서부(110)에서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어떤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전원제어신호,디밍신호)를 출력시킨다. 이 때, 센서부(110)에서 수신된 신호가 소정의 시간 설정 신호일 때는 타이머(135)를 가동하고 검사하여 해당 시간이 지난 후, 그에 따른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실시예에서는 "10101010" 신호가 2번 연속해서 수신된 경우, 형광등 안정기(100)로 보내진 신호로 판단하고, 그 후에 "1001000"이 수신된 경우, 전원 온/오프 신호로 판단하며, "1011000"이 수신된 경우, 디밍 설정 신호로 판단한다. 또한, "1010000"이 수신된 경우, 30분 설정신호로 판단하며, "1000000"이 수신된 경우, 60분 설정신호로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입력 신호 분석부(130)는 현재 수신된 신호 및 이 신호가 수신되기 전의 형광등 안정기(100) 상태를 비교하여, 소정의 전원제어신호와 디밍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음의 표 2에 현재 수신된 신호 및 이 신호가 수신되기 전의 형광등 안정기(100) 상태에 따른 전원제어신호와 디밍신호 값을 나타내었다.
현재 수신 신호 이전의 안정기 상태 전원제어신호 디밍신호
전원 온/오프 신호 (01001000) 전원 온 상태 전원 차단 신호(0) 비 활성화(0)
전원 오프 상태 전원 공급 신호(1) 비 활성화(0)
디밍 설정 신호 (01011000) 전원 온 상태 및 디밍상태는 아님 전원 공급 신호(1) 활성화(1)
전원 온 상태 및 디밍 상태임 전원 공급 신호(1) 비 활성화(0)
전원 오프 상태 전원 공급 신호(1) 활성화(1)
30분 설정신호 (01010000) 전원 온 상태 30분 후 전원 차단 신호(0) 비 활성화(0)
전원 오프 상태 30분 후 전원 공급 신호(0)
60분 설정신호 (01000000) 전원 온 상태 60분 후 전원 차단 신호(0)
전원 오프 상태 60분 후 전원 공급 신호(0)
위의 표에서 괄호 안에 있는 숫자는 해당 전원공급신호나 전원차단신호, 그리고 디밍신호로서 출력되는 디지털 논리값을 의미한다. 이 때, 논리값 1은 해당 신호선에 연결된 구성요소를 활성화시키는 신호이며, 논리값 0은 그 구성요소를 비활성화 시키는 신호이다.
위의 표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전원 온/오프 신호는 형광등(220)이 켜져 있는 경우에는 전원 오프 신호가 되며, 형광등(220)이 꺼져 있는 경우에는 전원 온 신호가 된다. 또한 형광등 안정기(100)에 디밍 동작이 일어나고 있지 않을 때는 디밍 설정 신호의 입력은 디밍 동작을 수행하라는 신호가 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디밍 동작을 중지하라는 신호가 되는 것이다.
한편, 입력 신호 분석부(130)로 입력된 신호가 30분 설정신호이거나 60분 설정 신호인 경우, 입력 신호 분석부는 타이머(135)를 가동시킨다. 그리고 타이머(135)로부터 계산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 즉 30분이나 60분이 되는 순간에 이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현재 형광등(220)이 켜져 있는 상태이면, 해당 시간이 경과한 후 전원제어신호로서 전원차단신호, 즉 논리값 0을 가지는 신호를 출력하고, 형광등(220)이 꺼져 있는 상태이면, 해당 시간이 경과한 후 전원제어신호로서 전원공급신호, 즉 논리값 1을 가지는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 온/오프 부(120)는 벽스위치(210)로부터 휴즈(180)를 통하여 AC 전원(220V나 110V 등)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입력 신호 분석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제어신호의 상태에 따라, 입력단(P1)의 전원을 출력단(P2)으로 통과시키거나 통과시키지 않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에서는 전원제어신호가 전원공급신호(논리값 1)인 경우에 입력단(P1) 전원을 출력단(P2)으로 통과시키고, 전원차단 신호(논리값 0)인 경우에는 입력단(P1) 전압을 출력단(P2)으로 통과시키지 않는다.
전원 온/오프 부(120)에 대한 하나의 구성예를 도 3에 보였다. 도 3에 보인 전원 온/오프 부(120)는 트라이액 소자(121), 트라이액 드라이버(122), 서지 방지용 캐패시터(125), 및 전류 제한용 저항들(126,127)로 이루어진다. 이 때, 트라이액 드라이버(122)는 포토 다이오드(124)와 포토 다이액(DIAC) 소자(123)로 이루어진다.
이 때, 트라이액 소자(121)의 한쪽 입력단은 벽스위치(210)로부터 휴즈(180)를 통해 전달되는 AC 전원에 연결되어 있고 트라이액 소자(121)의 출력단은 전원 온/오프 부(120)의 출력단이 되며, 또한 트라이액 소자(121)의 게이트는 서지 방지용 캐패시터(125)를 통하여 AC 전원과 연결됨과 동시에 트라이액 드라이버(122)를 구성하는 포토 다이액(DIAC) 소자(123)의 한쪽 단에 연결된다.
한편, 이 포토 다이액 소자(122)의 다른 쪽 단은 전류 제한용 저항 R1(126)을 통하여 트라이액 소자(121)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트라이액 드라이버(122)를 구성하는 포토 다이오드(124)의 캐소드 단은 접지 되고, 에노드 단은 전류 제한용 저항 R2(127)를 통하여 입력 신호 분석부(130)의 전원제어신호선과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트라이액 드라이버(122)를 구성하는 포토 다이오드(124)의 애노드에 하이(High) 상태의 논리값이 인가되면(전원제어신호가 전원공급신호인 경우) 포토 다이오드(124)가 동작하여 빛을 발하게 되므로, 포토 다이액 소자(123)가 동작하여 트라이액 소자(121)가 동작하고, 트라이액 소자(121)의 입력단 전원이 출력단(P2)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포토 다이오드(124)의 입력단에 로우(Low) 논리값이 나타나면(전원제어신호가 전원차단신호인 경우), 그 역과정으로서 트라이액 소자(121)가 개방상태가 되어 트라이액 소자(121)의 입력단 전원은 출력단(P2)에 나타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위에서 설명한 트라이액 드라이버(122)로서, 포토 다이액 소자(123)와 포토 다이오드(124)가 함께 내장되어 있는 IC 칩을 사용할 수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모토롤라 사의 Random Phase Triac Driver를 사용하였다.
정류부(160)는 전원 온/오프 부(120)의 출력단 전원을 형광등(220)의 점등에 필요한 소정의 DC 전원으로 정류하여 형광등(220)에 공급한다.
실시예에서는 전원 온/오프 부(120)가 도통상태가 될 때, 즉 입력 신호 분석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제어신호가 전원공급신호(논리값 1)일 때, 전원 온/오프 부(120)를 통하여 전해지는 AC 전압을 정류하여 형광등(220)에 공급한다.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는 형광등(220) 점등에 필요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발생시켜서 형광등(220)에 공급한다. 보통, 스위칭은 PWM(Pulth Width Modulation)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는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로서, 2가지의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데, 입력 신호 선택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제어신호와 디밍신호이다.
이 때,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는 전원제어신호가 전원공급신호인 경우에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전원차단신호인 경우에는 스위칭 동작을 정지한다. 또한, 디밍신호가 디밍 활성화 신호일 경우에는 평상시의 주파수를 가지는 스위칭 신호를 공급하고, 디밍 비활성화 신호일 경우에는 평상시 보다 높은 주파수의 스위칭 신호를 공급하여 형광등(220)을 밝기를 낮추게 된다.
실시예에서는 전원제어신호가 논리값 1인 경우에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논리값 0인 경우에는 스위칭 동작을 중지시킨다. 한편, 디밍신호가 논리값 1을 가지는 경우, 평상시 보다 높은 주파수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형광등(220)의 밝기를 평상시보다 낮추게 되고, 논리값 0을 가지는 경우에 평상시 주파수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형광등(220)의 밝기를 평상시와 같이 유지한다.
이 때, 전원제어신호는 소정의 과전류 검출신호에 의하여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로의 입력이 차단될 수있는데, 이 과정은 다음에 설명하기로 한다.
IC 전원 공급부(140)는 벽스위치(210)에 휴즈(18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되는 AC 전원을 IC에 사용되는 DC 전압으로 정류하여 해당 IC 칩으로 공급한다. IC 전원 공급부(140)는 전원 온/오프 부(120)의 전단에서 AC 전원을 입력받으므로, 벽스위치(210)가 온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형광등(220)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도 해당 IC 칩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리모콘(200)을 사용하여 소등 상태의 형광등(220)을 점등시킬 수있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원격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100)의 각 구성요소는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있는 IC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있는데, 이때 해당 IC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IC 전원 공급부(140)가 사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 신호 분석부(130)에 마이크로칩(Microchip)사의 PIC12C5XX 칩(타이머 기능이 포함되어 있음)을 사용하였고,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에는 모토롤라사의 SG3525A 칩을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IC 전원 공급부(140)는 센서부(110), 입력신호 분석부(130), 타이머(135), 및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로 IC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마이크로칩(Microchip)사의 PIC12C5XX 칩과 모토롤라사의 SG3525A 칩은 범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과전류 검출부(170)는 형광등(220)에 어떤 이유로 하여 소정의 기준 전류치보다 많은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과전류 검출신호를 출력시킨다. 이 과전류 검출신호는 스위칭 동작 차단부(190)로 입력되는데, 과전류 검출신호의 상태에 따라서 전원제어신호가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로 입력될 수 있는가가 결정된다.
도 4에 스위칭 동작 차단부(190)의 구성예를 나타내었으며, 캐소드 단은 접지 되고, 애노드 단은 저항 R3(191)을 통해 입력 신호 분석부(130)의 전원제어신호 출력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또 하나의 저항 R4(192)를 통하여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의 전원제어신호 입력단으로 연결되는 SCR 소자(193)로 구성된다.
과전류 검출신호는 SCR(193)의 제어신호로서 입력되는데, 과전류가 검출되었을 때 논리값 1을 가지며, 과전류 상태가 아닌 경우에 논리값 0을 가진다. 그러므로, 과전류가 발생하면 SCR(193)은 도통 상태로 되며, 이에 따라서 입력 신호 분석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제어신호에 관계없이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항상 논리값 0을 가지게 된다. 즉,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의 동작이 정지되어 형광등(220)은 소등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100)를 사용하면 리모콘(200)을 사용하여 형광등 안정기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형광등(220)을 켜거나 끄기 위해서 사람이 직접 해당 벽스위치(210)가 있는 곳까지 이동할 필요가 없고, 또한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형광등(220)이 자동으로 켜지거나 꺼지게 할 수 있으며, 형광등(220)의 밝기를 조절할 수도 있어서, 형광등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정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리모콘(200);
    상기 리모콘(200)으로부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부(110);
    소정의 설정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135);
    상기 센서부(110)에서 수신한 무선신호에 따라서, 해당 전원제어신호와 디밍신호를 출력시키되, 상기 무선신호가 소정의 시간 설정 신호일 때는 상기 타이머(135)를 가동하고 검사하여 해당 시간이 지난 후, 그에 따른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신호 분석부(130);
    소정의 AC 전원을 입력받으며, 상기 전원제어신호에 따라서 이 입력된 AC 전원을 자신의 출력단으로 통과시키거나 통과시키지 않는 전원 온/오프 부(120);
    상기 전원 온/오프 부(120)의 출력단 전원을 소정의 DC 전원으로 정류하여 형광등(220)에 공급하는 정류부(160);
    상기 전원제어신호와 디밍신호에 따라서, 소정 주파수의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켜 형광등(220)에 공급하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
    형광등(22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기준치 이상일 때, 소정의 과전류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전류 검출부(170);
    상기 과전류 검출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위칭 동작 차단부(190); 및
    소정의 AC 전원을 입력받아 IC 칩 구동전원으로 정류하여 해당 IC 칩으로 공급하는 IC 전원 공급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온/오프 부(120)는 자신의 전원 입력단(P1)과 출력단(P2)에 각각 입력단과 출력단이 연결되고, 제어단(게이트 단)은 소정의 캐패시터(125)를 통하여 상기 입력단(P1)에 연결되는 트라이액 소자(121);
    한쪽 단은 상기 트라이액 소자(121)의 제어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은 소정의 저항 R1(126)을 통하여 상기 트라이액 소자(121)의 출력단(P2)에 연결되는 포토 다이액(Photo DIAC) 소자(123), 및
    캐소드 단은 접지 되고 애노드 단은 소정의 저항 R2(127)를 통하여 상기 입력 신호 분석부(130)의 전원제어신호 출력단에 연결되는 포토 다이오드(1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동작 차단부(190)는 상기 과전류 검출신호에 의하여 도통/비도통 상태가 결정되며, 캐소드 단은 접지 되고, 애노드 단은 소정의 저항 R3(191)을 통해 상기 입력 신호 분석부(130)의 전원제어신호 출력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소정의 저항 R4(192)를 통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150)의 전원제어신호 입력단으로 연결되는 SCR 소자(19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형광등 안정기.
KR2019980006395U 1998-04-22 1998-04-22 원격제어가가능한형광등안정기 KR200235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395U KR200235583Y1 (ko) 1998-04-22 1998-04-22 원격제어가가능한형광등안정기
CN99214399U CN2400761Y (zh) 1998-04-22 1999-06-28 组合式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395U KR200235583Y1 (ko) 1998-04-22 1998-04-22 원격제어가가능한형광등안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932U true KR19990039932U (ko) 1999-11-15
KR200235583Y1 KR200235583Y1 (ko) 2001-10-25

Family

ID=34056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395U KR200235583Y1 (ko) 1998-04-22 1998-04-22 원격제어가가능한형광등안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35583Y1 (ko)
CN (1) CN2400761Y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612A (ko) * 2000-10-19 2002-04-25 구자홍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시스템의 보호장치
KR100773956B1 (ko) * 2006-11-22 2007-11-07 (주)제이앤씨코리아 형광등 디밍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612A (ko) * 2000-10-19 2002-04-25 구자홍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시스템의 보호장치
KR100773956B1 (ko) * 2006-11-22 2007-11-07 (주)제이앤씨코리아 형광등 디밍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400761Y (zh) 2000-10-11
KR200235583Y1 (ko) 200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1624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modulation of the intensity of fluorescent lamps
JP4729617B2 (ja) マイクロプロセッサで制御された電源を有する調光器
US6304039B1 (en) Power supply for illuminating an electro-luminescent panel
KR100802637B1 (ko) 원격제어 전자장치 및 그것의 원격제어방법
US7187137B2 (en) Ballast with output ground-fault protection
CA2543336A1 (en) Method for protecting a ballast from an output ground-fault condition
US5955843A (en) Relay circuit for providing power from a normal or emergency power supply to ignite and drive a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US6072286A (en) Auxiliary lighting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a HID lamp lighting system
US6489729B1 (en) Auxiliary lighting system for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KR200235583Y1 (ko) 원격제어가가능한형광등안정기
KR100669852B1 (ko) 전원차단시 임의시간 조도 유지후 자동 오프 회로
US5500573A (en) Dimmer circuit for gas discharge lamps having electronic ballasts
JPH11214189A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523406B1 (ko) 수동스위치 오프시 일정시간 저조도 유지회로
KR200382888Y1 (ko) 전원차단시 일정시간 저조도 유지회로
KR102340974B1 (ko) 팬코일유닛(fcu), 환기장치 또는 보일러의 전력선 통신선로 안정화 및 단락검출 장치
JP3193732B2 (ja) 照明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0117779Y1 (ko) 과전압 감지 전원회로
JP3823356B2 (ja) 非常点灯装置
KR100915951B1 (ko) 고압방전등용 조도 조절형 전자식 안정기
JP3893782B2 (ja) 照明装置
KR20060086153A (ko) 소등지연 조명등
JPH08223916A (ja) 電源回路
KR910004408Y1 (ko) Tv의 주전원 이상 전압 검출제어회로
KR20020054596A (ko) 전력 소모 절감 장치와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