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907U - 선적용 포대의 포장재 구조 - Google Patents

선적용 포대의 포장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907U
KR19990039907U KR2019980006359U KR19980006359U KR19990039907U KR 19990039907 U KR19990039907 U KR 19990039907U KR 2019980006359 U KR2019980006359 U KR 2019980006359U KR 19980006359 U KR19980006359 U KR 19980006359U KR 19990039907 U KR19990039907 U KR 199900399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bags
shipping
packaging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철
Original Assignee
김봉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철 filed Critical 김봉철
Priority to KR2019980006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9907U/ko
Publication of KR199900399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907U/ko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 혹은 시멘트 및 화학물질 등의 내용물이 담겨있는 포대들을 크레인으로 선적할 때 상기 포대들을 일정 부피만큼 포장할 수 있는 선적용 포대의 포장재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포장재는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형 통모양으로 형성되고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제1포장재와 제2포장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포장재의 상면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묶음줄이 고정 부착되어 하방으로 길게 신장되고 하측 단부 테두리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밴드가 부착되며, 상기 제2포장재는 상기 제1포장재의 길이보다 현저히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선적용 포대의 포장재 구조.
본 고안은 각종 내용물이 담겨있는 포대들을 선적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대들을 선적할 때 상기 포대들을 일정 부피만큼 한 묶음으로 포장하는 선적용 포대의 포장재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곡물 혹은 시멘트 및 화학물질 등의 내용물이 담겨있는 포대들을 선적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에 적개한 다음, 상기 컨테이너를 배(화물선)에 선적한다. 이는 상기 컨테이너의 중량과 부피가 큰 관계로 선적할 수 있는 포대의 수량이 적을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상기 컨테이너 사용을 대체하기 위하여 수지재질의 포장재를 사용하여 끈으로 묶은 다음 크레인으로 선적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장재는 방수 및 방습이 된다.
즉, 종래의 포장재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형 통모양으로 형성되고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제3포장재(50)와 제4포장재(5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3포장재(50)의 상면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각 2개의 묶음줄(52a,52b)이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묶음줄(52a,52b)은 하방으로 길게 신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4포장재(54)는 상기 제3포장재(5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포대들을 선적하기 위해 포장하고자 할 때는 먼저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팔레트(200)에 포대(100)들을 차곡차곡 적재한 다음 묶음줄(52a,52b)이 부착된 제3포장재(50)를 씌운다. 이후 지게차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인버터(400)에 제2팔레트(300)를 끼운 다음,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팔레트(300)를 제3포장재(5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인버터(400)를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제1팔레트(200)와 제2팔레트(300) 사이에 있는 포대(100)들은 180도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제3포장재(50)의 상면이 아래로 위치하게 된다. 이후 제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포장재(54)로 상기 제3포장재(50)에 적재되어 있는 포대(100)들를 완전히 씌운다. 이어서 제3포장재(50)에 부착되어 있는 묶음줄(52a,52b)로 상기 제4포장재(54)와 제3포장재(50)를 일체로 묶어 포대(100)들을 포장한다. 그러면 제3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대(100)들은 제3포장재(50)와 제4포장재(54)에 의해 포장 완료되며, 크레인에 의해 선적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포장 방법은 포대들을 포장하는 과정(절차)이 복잡해질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또한 인버터가 설치되어 있는 지게차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비용이 증가되고, 이는 선적료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유발시켰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내용물이 담겨있는 포대들의 포장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선적용 포대의 포장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버터가 설치되어 있는 지게차가 필요 없는 선적용포대의 포장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선적용 포대의 포장재 구조는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형 통모양으로 형성되고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제1포장재(10)와 제2포장재(14)를 가지며, 상기 제1포장재(10)의 상면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묶음줄(12a,12b)이 고정 부착되어 하방으로 길게 신장되고 하측단부 테두리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밴드(13)가 부착되며, 상기 제2포장재(14)는 상기 제1포장재(10)의 길이보다 현저히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도 및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라 곡물 혹은 시멘트 및 화학물질 등이 담겨있는 포대들을 크레인으로 선적하기 위한 포장재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제 3A도 내지 제3D도는 종래 기술에 따라 곡물 혹은 시멘트 및 화학물질 등이 담겨있는 선적용 포대들을 포장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제 4도 및 제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곡물 혹은 시멘트 및 화학물질 등이 담겨있는 포대들을 크레인으로 선적하기 위한 포장재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제 6A도 내지 제6C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곡물 혹은 시멘트 및 화학물질 등이 담겨있는 선적용 포대들을 포장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포장재 12a, 12b : 묶음줄
13 : 고무밴드 14 : 제2포장재
100 : 포대 200 : 제1팔레트
300 : 제2팔레트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곡물 혹은 시멘트 등이 담겨있는 포대들을 크레인으로 선적하기 위한 포장재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형 통모양으로 형성되고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제1포장재(10)와 제2포장재(1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포장재(10)의 상면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각 2개의 묶음줄(12a,12b)이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묶음줄(12a,12b)은 하방으로 길게 신장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2포장재(14)는 상기 제1포장재(10)의 길이보다 현저히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포장재(10)의 하측 단부 테두리에는 고무밴드(13)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고무밴드(13)는 팔레트의 외측 둘레면에 소정의 탄성력으로 덮혀 씌워져 상기 제1포장재(10)의 말림현상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포대들을 선적하기 위해 포장하고자 할 때는 먼저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팔레트(200) 상에 공간부가 위로 향하도록 제1포장재(10)를 올려놓은 다음,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포장재(10)에 부착되어 있는 고무밴드(13)를 뒤집어 상기 제1팔레트(200)의 둘레면에 덮어 씌운다. 그러면 상기 제1포장재(10)는 고무밴드(13)의 탄성력에 의해 안쪽으로 말리지 않고 평평하게 펴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1포장재(10) 속에 포대(100)들을 차곡차곡 적재한 다음, 상기 고무밴드(13)를 최초의 상태로 젖힌다. 이후 상기 포대(100)들을 제2포장재(14)로 완전히 덮어씌운 후, 상기 제1포장재(10)에 부착되어 있는 묶음줄(12a, 12b)로 상기 제2포장재(14)와 제1포장재(10)를 일체로 묶어 상기 포대(100)들을 포장한다. 그러면, 제6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대(100)들은 제1포장재(10)와 제2포장재(14)에 의해 포장 완료되며, 크레인에 의해 선적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팔레트에 포장재를 올려놓은 후 포대들을 적재하여 포장함으로써 작업성 및 포장방법의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대들을 포장할 때 인버터가 설치되어 있는 지게차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포장재에 포대들을 적재한 후 묶음줄로 고정시켜 포장함으로써 별도의 추가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선적 작업시간의 단축 및 선적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형 통모양으로 형성되고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제1포장재(10)와 제2포장재(14)로 구성된 선적용 포대의 포장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포장재(10)의 상면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묶음줄(12a,12b)이 고정 부착되어 하방으로 길게 신장되고, 하측 단부 테두리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밴드(13)가 부착되며; 상기 제2포장재(14)는 상기 제1포장재(10)의 길이보다 현저히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적용 포대의 포장재 구조.
KR2019980006359U 1998-04-17 1998-04-17 선적용 포대의 포장재 구조 KR199900399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359U KR19990039907U (ko) 1998-04-17 1998-04-17 선적용 포대의 포장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359U KR19990039907U (ko) 1998-04-17 1998-04-17 선적용 포대의 포장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907U true KR19990039907U (ko) 1999-11-15

Family

ID=6951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359U KR19990039907U (ko) 1998-04-17 1998-04-17 선적용 포대의 포장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990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1575B2 (en) Cardboard box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large quantities of wire
CN102556526B (zh) 包装体
US3442372A (en) Shipping structure
EP0983948A1 (en) A container, a container receiving sleeve cap, and a process of unloading and receiving material contained within the container
HU218147B (hu) Eljárás ömlesztett áru egységrakomány-göngyölegbe történő csomagolására és egységrakomány-göngyöleg ömlesztett áru csomagolására
JP2002500992A (ja) 錠剤状の物質のための包装容器
KR19990039907U (ko) 선적용 포대의 포장재 구조
JPH09295686A (ja) ガラス管包装体
KR20110138817A (ko) 충격완화를 위한 물품 포장용기 및 포장방법
US20150033680A1 (en) Transport packaging
KR20010006672A (ko) 유리 모재 포장 방법
JPH0232975A (ja) 碍子の梱包容器
KR200388006Y1 (ko) 박스포장시 내부 완충용 공기 튜브
JP3212562U (ja) 商品輸送用箱体
CN220616863U (zh) 一种用于充电桩的包装装置
JP3637767B2 (ja) 梱包された鉛蓄電池
JP2600011Y2 (ja) 密封包装袋の集積体
JP2013249091A (ja) 収容袋
JP2007015864A (ja) フィルムロール包装体搬送用架台
JP7032086B2 (ja) 板状物搬送容器
EP3468891B1 (en) Packaging and shipping system for a dry charged battery
JPS6140692Y2 (ko)
FI90331C (fi) Menetelmä massatavaran pakkaamiseksi suurpakkaukseen ja massatavaralletarkoitettu suurpakkaus
HUT77255A (hu) Kis csomagolóeszköz folyékony anyagokhoz
JP2000142802A (ja) 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