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806U - 냉온수 리저브탱크 - Google Patents

냉온수 리저브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806U
KR19990039806U KR2019980006207U KR19980006207U KR19990039806U KR 19990039806 U KR19990039806 U KR 19990039806U KR 2019980006207 U KR2019980006207 U KR 2019980006207U KR 19980006207 U KR19980006207 U KR 19980006207U KR 19990039806 U KR19990039806 U KR 199900398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hot water
reserve tank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2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8550Y1 (ko
Inventor
김익홍
Original Assignee
김익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익홍 filed Critical 김익홍
Priority to KR20199800062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550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8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550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1 회용 티슈나 음료자동판매기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냉온수 리저브탱크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냉온수 리저브탱크의 내부에 격판 및 안내판 그리고 통공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보충수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물과 이미 저장된 물간의 혼합이 억제되도록 함으로써 배출되는 냉수나 온수가 보충된 상온의 물에 의하여 온도가 변화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보충수의 물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원하는 온도로 된 리저브탱크내의 냉온수를 모두 배출시켜 연속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냉온수 리저브탱크
본 고안은 냉온수 리저브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1 회용 티슈 제조장치나 음료자동판매기 등에 사용하기 위한 냉온수 리저브탱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냉온수 리저브탱크는 히터로 된 가열수단과 모우터, 압축기, 증발기 등으로 된 냉각수단에 의하여 생산된 냉수나 온수를 저장하였다가 압송펌프나 콕크를 열어 줌으로써 리저브탱크에 저장된 냉수나 온수가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리저브탱크를 도 1 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리저브탱크(101)는 이에 저장된 냉수나 온수가 빠져나가게 되면 빠져나간 만큼의 물이 새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새로 유입된 물은 상온(常溫)의 것으로 리저브탱크(101)에 남아 있는 냉수나 온수와 혼합되면서 와류를 일으키므로 급속히 냉수나 온수의 온도가 상온에 가깝게 변화되는 것이다. 그 결과 리저브탱크(101)에 저장된 냉수나 온수가 한번 배출되고 나면 그 이후에는 냉수나 온수의 온도가 보충수에 의하여 상온에 가깝게 변화되어 필요한 온도의 물을 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리저브탱크의 물을 급속하게 냉각시키거나 가열시켜야 하므로 불필요한 전력낭비가 초래되고, 냉각능력과 가열능력을 필요이상으로 증대시켜야 하는 것이어서 제조원가부담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냉, 온수 리저브탱크에 저장된 냉수나 온수와 새로 유입된 상온의 물 사이에 층화현상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냉수나 온수의 온도가 변화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냉, 온수 리저브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냉온수 리저브탱크의 구조를 보인 설명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냉온수 리저브탱크의 구조를 보인 일부절개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냉온수 리저브탱크의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냉온수 리저브탱크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냉온수 리저브탱크를 응용한 냉,온수 공급장치를 보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함체 2 : 히터
3 : 냉각수단 4 : 유입관
5 : 배출관 6 : 격판
7 : 안내판 8 : 통공
9 : 압출펌프 10 : 노즐
11 : 밸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히터가 내장되고, 측부에 냉각수단을 부착하며, 보충수 유입구와 냉, 온수 배출구를 형성하여서 된 공지의 냉, 온수 리저브탱크에 있어서, 리저브탱크의 상방에 유로의 폭이 변화되도록 한 통공이 형성된 격판과 안내판을 형성하여서 된 냉, 온수 리저브탱크를 제안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은 리저브탱크의 상방으로 유입되는 상온의 물이 완속으로 기 저장된 냉, 온수위에 위치하게 되는 층화현상이 발생되어 혼합이 억제됨으로써 보충수의 유입에도 불구하고 리저브탱크에 저장된 냉, 온수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3, 4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밀폐된 함체(1) 내부에 히터(2)를 설치하고 측부에는 냉각수단(3)을 부착하며, 보충수 유입관(4)과 냉, 온수 배출관(5)이 구비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함체(1)의 상방을 구획하는 격판(6)과, 격판(6)위에 설치되며 보충수 유입관(4)측으로 안내판(7)을 세워 설치하고, 격판(6)의 중앙에 통공(8)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공지된 히터(2)나 냉각수단(3)이 작동함으로써 함체(1)내부에 채워진 물이 가열되거나 냉각되어 냉, 온수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온수나 냉수는 도 5 로 도시된 바와 같은 압출펌프(9)가 작동되면 함체(1)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이때 함체(1) 내부의 수위가 저하되면서 상온의 보충수가 저하된 수위만큼 공급된다. 그러므로 보충수가 유입관(4)을 통하여 유입되고 안내판(7)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격판(6)위로 흐르게 되는 바 본 고안에서는 격판(6) 중앙의 통공(8)을 통하여 온수나 냉수위에 유입된 보충수가 위치하므로, 특히 본 고안에서는 격판(6)에 의하여 보충수가 온수나 냉수와 분리되므로 급격한 혼합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온수나 냉수의 배출량만큼만 통공(8)을 통하여 보충수가 하강하는 것이나, 이 경우에도 직경이 넓은 통공(8)을 통하여 완만한 속도로 보충수가 하강하는 것이어서 하방에 먼저 생성되어 있는 온수나 냉수가 모두 배출되기 전까지 층을 유지하면서 차츰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 로 보인 바와 같이 이러한 본 고안은 냉, 온수 리저브탱크의 물이 노즐(1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여 예를 들면 1 회용 티슈제조장치에서 냉수나 온수를 뿌려주어 찬 티슈나 뜨거운 티슈를 제공할 수 있게 되도록 하거나 밸브(11)를 통하여 온수나 냉수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음료자동판매기에 필요한 냉수나 온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냉, 온수 리저브탱크는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여야 하는 여러 종류의 가전제품 등 민생용 기기나 산업용기기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하나의 리저브탱크에 설치된 냉각수단이나 가열수단에 의하여 냉각, 가열된 물이 보충수의 유입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온도를 유지하여 배출될 수 있는 것이어서 원하는 온도의 냉수와 온수를 연속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급속한 냉각 및 가열수단이 불필요하므로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밀폐된 함체(1) 내부에 히터(2)를 설치하고 측부에는 냉각수단(3)을 부착하며, 보충수 유입관(4)과 냉, 온수 배출관(5)이 구비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함체(1)의 상방을 구획하는 격판(6)과, 격판(6)위에 설치되며, 보충수 유입관(4)측으로 안내판(7)을 세워 설치하고, 격판(6)의 중앙에 통공(8)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리저브탱크.
KR2019980006207U 1998-04-20 1998-04-20 냉온수 리저브탱크 KR2002085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207U KR200208550Y1 (ko) 1998-04-20 1998-04-20 냉온수 리저브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207U KR200208550Y1 (ko) 1998-04-20 1998-04-20 냉온수 리저브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806U true KR19990039806U (ko) 1999-11-15
KR200208550Y1 KR200208550Y1 (ko) 2001-01-15

Family

ID=69513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207U KR200208550Y1 (ko) 1998-04-20 1998-04-20 냉온수 리저브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5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831B1 (ko) * 2012-10-30 2014-09-15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KR101527460B1 (ko) * 2013-07-03 2015-06-10 주식회사 엠아이서진 냉각부재가 형성된 냉수탱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416A (ko) * 2010-12-29 2012-07-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KR101837617B1 (ko) * 2011-08-31 2018-03-13 코웨이 주식회사 저장탱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831B1 (ko) * 2012-10-30 2014-09-15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KR101527460B1 (ko) * 2013-07-03 2015-06-10 주식회사 엠아이서진 냉각부재가 형성된 냉수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550Y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3008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KR200208550Y1 (ko) 냉온수 리저브탱크
US3447560A (en) Liquid handl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5300743A (en) Microwave coffee maker
KR100852342B1 (ko) 이중 가열 히터를 포함한 정수 가열시스템
KR20090122891A (ko) 항온조 장치
US20140003801A1 (en) Water heating system
RU2659686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с накопительной ёмкостью
JP2011117667A (ja) 貯湯式給湯機
US20090320512A1 (en) Refrigerator comprising a water tank
KR101144541B1 (ko) 냉온수 자동 제어 시스템
EP1684019A1 (en) Fluid-containment vessel
KR20170047851A (ko) 냉수 인출을 겸한 탄산믹서통 및 이를 포함한 물공급장치
KR100415227B1 (ko) 순간 가열식 전기 보일러
KR101826786B1 (ko) 비데 온수탱크용 가열장치
KR200328361Y1 (ko) 온수역류방지장치
US41498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liquids that are to be foamed-in-place as an insulative barrier
JPS59145444A (ja) 貯湯式給湯機
RU2692944C1 (ru) Термосифонный электро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с накопительной емкостью
KR19980022736A (ko) 냉온수공급 냉장고
KR20200126661A (ko) 냉수제조장치
KR20040107928A (ko) 온수역류방지장치
RU2191327C1 (ru) Электро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JP2006001130A (ja) 金型温度調節システム
JP3180885B2 (ja) 自動販売機のドレーン水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