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119A - 다목적용 책상 - Google Patents

다목적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119A
KR19990039119A KR1019970059083A KR19970059083A KR19990039119A KR 19990039119 A KR19990039119 A KR 19990039119A KR 1019970059083 A KR1019970059083 A KR 1019970059083A KR 19970059083 A KR19970059083 A KR 19970059083A KR 19990039119 A KR19990039119 A KR 19990039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pair
desk
support plate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0755B1 (ko
Inventor
유근보
Original Assignee
유근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근보 filed Critical 유근보
Priority to KR1019970059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755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47B83/045Tables combined with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2Stowable tables with detach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2Combination of tables; Linking or assemb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첩 및 전개가 가능하도록 하여 절첩시에는 책상으로 사용하며, 펼쳤을 시에는 평상 또는 문갑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형의 패널로 이루어져서 수평하게 위치되는 상판부(10)와, 상기 상판부(10)의 좌우 양측단부에 절첩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며 상호 대향하면서 하부로 수직하게 나란히 연장되는 1쌍의 지지판부(20)들과, 상기 상판부(10)의 하면 좌우측에 각기 부착되며 그 내부에 상부서랍(31)을 내장할 수 있는 1쌍의 상부서랍부(30)와, 상기 1쌍의 지지판부(20)의 내측면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1쌍의 상부서랍부(30)의 하부내측에 각기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며 그 내부에 하부서랍(41)을 내장할 수 있는 하부서랍부(40)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용 책상
본 발명은 다목적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첩 및 전개가 가능하도록 하여 절첩시에는 책상으로 사용하며, 펼쳤을 시에는 평상 또는 문갑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그 상부에 직사각형상의 패널로 이루어져서 수평하게 위치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고정되어 지지되며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다리부와, 상기 지지다리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서랍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책상은 상판부와 지지다리부간에 절첩이 불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실내에 항시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다른 용도로 사용되기에는 불가능했다. 더구나 집에서 잔치를 하거나 손님을 많이 접대할 일이 있게 될 때는 책상이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접대할 공간이 그만큼 비좁게 된다.
더구나, 집에서 큰잔치 등은 가끔 있는 일이지만 그렇다고 큰상을 집에서 준비하지 않을 수도 없다. 막상 큰상을 준비하게 되면 그상을 보관할 마땅한 장소가 없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실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책상을 평상시에는 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필요시에는 음식상 또는 문갑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가구비용을 줄이면서도 손님접대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첩 및 전개가 가능하도록 하여 평상시에는 절첩하여 책상용으로 사용하면서, 필요시에는 펼쳐서 음식상 또는 문갑용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용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절첩시켜서 책상으로 사용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펼쳐서 음식상 등으로 사용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절첩시켜서 책상으로 사용되는 타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펼쳐서 음식상 등으로 사용되는 타실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책상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음식상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지지판부들을 분리하여 좌책상의 용도로 사용되는 또다른 타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하부에 바닥판을 깔아서 장식용가구로 사용되는 또다른 타실실예를 타나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장식용기구로 사용되는 상태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판부20 : 지지판부
30 : 상부서랍부31 : 상부서랍
32 : 상부서랍케이스40 : 하부서랍부
41 : 하부서랍42 : 하부서랍케이스
50 : 경첩51 : 경첩홈
52 : 경첩날개53,53a : 요홈
54,54a : 돌기55,55a : 연결구멍
56,56a : 연결로드60 : 바닥판
70 : 개폐문71 : 축끼움홈
72 : 수직축73 : 유리판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목적용 책상은 직사각형상의 패널로 이루어져서 수평하게 위치되는 상판부(10)와, 상기 상판부(10)의 좌우 양측단부에 절첩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며 상호 대향하면서 하부로 수직하게 나란히 연장되는 1쌍의 지지판부(20)들과, 상기 상판부(10)의 하면 좌우측에 각기 부착되며 그 내부에 상부서랍(31)을 내장할 수 있는 1쌍의 상부서랍부(30)와, 상기 1상의 지지판부(20)의 내측면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1쌍의 상부서랍부(30)의 하부내측에 각기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며 그 내부에 하부서랍(41)을 내장할 수 있는 하부서랍부(40)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판부(10)와 1쌍의 지지판부(20)가 상호 절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고, 1쌍의 상·하부서랍부(30)(40)간의 내측이 서로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연결됨으로써 절첩할 경우에는 그 폭이 좁아지고 그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책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펼쳤을 경우에는 그 높이가 절반으로 낮아지고 그 폭이 넓어져서 음식상 또는 문갑용등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들에 도시되는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도, 도 1 및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패널로 이루어져서 수평하게 위치되는 상판부(10)와, 상기 상판부(10)의 좌우 양측단부에 절첩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며 상호 대향하면서 하부로 수직하게 나란히 연장되는 1쌍의 지지판부(20)들과, 상기 상판부(10)의 하면 좌우측에 각기 부착되며 그 내부에 상부서랍(31)을 내장할 수 있는 1쌍의 상부서랍부(30)와, 상기 1쌍의 지지판부(20)의 내측면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1쌍의 상부서랍부(30)의 하부내측에 각기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며 그 내부에 하부서랍(41)을 내장할 수 있는 하부서랍부(40)를 그 구성요소들로 가진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상판부(1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반 책상의 상판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상의 패널로 이루어져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구조부로서, 그 좌, 우측모서리에는 1쌍의 지지판부(20)와 절첩가능한 구조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판부(10)와 지지판부(20)간의 연결구조는 여러가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판부(10) 및 지지판부(20)의 외면에 각기 경첩홈(51)을 형성시켜 그 경첩홈(51) 내부에 경첩날개(52)를 부착시켜서 양판부를 절첩가능한 경첩(50)으로 연결된 구조를 예시해 보여 주고 있다. 각 판부들의 외면에 경첩홈(51)을 내어 그 홈내부에 경첩날개(52)를 부착시키는 이유는 경첩날개(52)가 판부의 면과 일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3과 도 4에서는 상판부(10)와 지지판부(20)간의 다른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끝단부들의 맞물려지게 결합되도록 요홈(53)과 동기(54)들로 형성되며 그 돌기(54)들에 연결구멍(55)들이 일직선상으로 전후방향으로 뚫려져서 그 연결구멍(55)들을 통하여 연결로드(56)를 삽입시킴으로써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판부(10)와 지지판부(20)간의 연결구조는 경첩(50)으로 연결될 경우에는 양판부들이 상호 절첩만이 가능하게 되고, 연결로드(56)로 연결될 경우에는 양판부간에 절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7에서는 양판부의 연결구조가 연결로드(56)로 연결되는 구조로서 지지판부(20)와 하부서랍부(40)를 함께 분리하게 되면 좌책상 또는 평상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판부(20)는 도 2,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펼쳤을 경우에 상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판부(10)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패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서랍부(30)는 도 1 및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상판부(10)의 하면에 고정되는 상부서랍케이스(32)와, 그 상부서랍케이스(32)의 내부에 내장되는 상부서랍(3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부서랍케이스(32)는 상판부(10)의 하면에 접착제로 부착될 수도 있고 나사접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부서랍부(30)는 절첩했을 경우에는 책상 본래의 서랍역할을 하게 되지만,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펼쳤을 경우에는 상판부(10)를 지지하는 다리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하부서랍부(4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서랍부(30)의 내측 하면에 분기가능한 구조로 연결되고 지지판부(2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하부서랍케이스(42)와, 그 하부서랍케이스(42)의 내부에 내장되는 하부서랍(4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하부서랍부(40)와 상부서랍부(30)간의 연결구조도 상기 상판부(10)와 지지판부(20)의 로드연결구조와 마찬가지로, 그 끝단부들이 맞물려지게 결합되도록 요홈(53a)과 돌기(54a)들로 형성되며 그 돌기(54a)들에 연결구멍(55a)들이 일직선상으로 전후방향으로 뚫려져서 그 연결구멍(55a)들을 통하여 연결로드(56a)를 삽입시킴으로써 연결된다.
즉, 상·하부서랍부(30)(40)의 연결구조는 상기 상판부(10)와 지지판부(20)간의 연결구조가 절첩 또는 분리 2가지 모두가 가능했던 것과는 달리, 반드시 분리되는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책상을 상 또는 문갑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펼칠 경우에는 연결로드(56a)를 전방으로 뽑아 내면 상하서랍부가 분리되어 펼쳐진다. 또한 절첩시에는 다시 상·하서랍부의 요홈(53a)과 동기(54a)들을 맞물린 후에 연결구멍(55a)들을 통하여 연결로드(56a)를 끼우게 되면 절첩된다.
이때, 하부서랍부(40)는 책상을 절첩했을 경우에는 서랍 본래의 역할을 하게 되지만,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펼쳤을 경우에는 지지판부(20)를 지지하는 다리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하부서랍부(40)를 절첩 또는 전개할 때는 하부서랍(41)이 90°만큼 기울어지기 때문에 빼었다가 다시 똑바로 끼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서랍부(40)는 책상을 펼쳤을 경우에 상부서랍부(30)와 함께 다리역할을 하기 위해서 상부서랍부(30)와 그 높이가 같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하부서랍부(40)는 지지판부(20)의 내측면에 접착제로 부착될 수도 있고 나사접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의 책상을 펼쳐서 문갑용, TV받침대 또는 오디오받침대 등의 장식용 가구로 사용하게 될 경우,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닥에 바닥판(60)을 깔아서 그 상부에 장식용가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닥판(60)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절첩 또는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장식용가구로 사용될 경우에 도 8에서와 같이, 그 전면의 공간부에 개폐문(70)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때 개폐문(70)은 바닥판(60)의 상면과 상판부(10) 및 지지판부(20)의 하면 일정위치에 형성되는 축끼움홈(71)에 끼워져서 회전되는 수직축(72)과, 그 수직축(72)에 지지되어 공간부를 개폐시켜 주는 유리판(7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개폐문(70)은 수직축(7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판부(10)와 지지판부(20)간에 절첩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지고, 상판부(10)의 하면에 부착되는 상부서랍부(30)와 지지판부(2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하부서랍부(40)간에는 분리가능한 구조로 되어 절첩이 가능하게 만들어짐으로써, 절첩했을 경우에는 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펼쳤을 경우에는 상이나 문갑 또는 장식장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목적용 책상은 절첩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짐으로써 평소에는 절첩하여 책상으로 사용하고, 필요시에는 음식상이나 문갑등의 다목적용으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실내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3)

  1. 직사각형상의 패널로 이루어져서 수평하게 위치되는 상판부(10)와, 상기 상판부(10)의 좌우 양측단부에 절첩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며 상호 대향하면서 하부로 수직하게 나란히 연장되는 1쌍의 지지판부(20)들과, 상기 상판부(10)의 하면 좌우측에 각기 부착되며 그 내부에 상부서랍(31)을 내장할 수 있는 1쌍의 상부서랍부(30)와, 상기 1쌍의 지지판부(20)의 내측면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1쌍의 상부서랍부(30)의 하부내측에 각기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며 그 내부에 하부서랍(41)을 내장할 수 있는 하부서랍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10)와 지지판부(20)간의 연결구조는 그 끝단부들이 맞물려지게 결합되도록 요홈(53)과 돌기(54)들로 형성되며 그 돌기(54)들에 연결구멍(55)들이 일직선상으로 전후방향으로 뚫려져서 그 연결구멍(55)들을 통하여 연결로드(56)를 삽입시킴으로써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책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서랍부(30)와 하부서랍부(40)의 연결구조는 그 끝단부들이 맞물려지게 결합되도록 요홈(53a)과 돌기(54a)들로 형성되며 그 돌기(54a)들에 연결구멍(55a)들이 일직선상으로 전후방향으로 뚫려져서 그 연결구멍(55a)들을 통하여 연결로드(56a)를 삽입시킴으로써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책상.
KR1019970059083A 1997-11-10 1997-11-10 다목적용 책상 KR100220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083A KR100220755B1 (ko) 1997-11-10 1997-11-10 다목적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083A KR100220755B1 (ko) 1997-11-10 1997-11-10 다목적용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119A true KR19990039119A (ko) 1999-06-05
KR100220755B1 KR100220755B1 (ko) 1999-09-15

Family

ID=1952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083A KR100220755B1 (ko) 1997-11-10 1997-11-10 다목적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7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151B1 (ko) * 2002-02-01 2005-03-08 (주)우남마린 고속단정용 자키시트
CN109008334A (zh) * 2017-06-12 2018-12-18 林苇 一种救灾应急户外安置多用途组合桌凳子床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104B1 (ko) * 2011-03-04 2013-08-08 한병기 절첩식 책상
CN109198875A (zh) * 2018-08-24 2019-01-15 广东天智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辅助散热功能的教师电脑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151B1 (ko) * 2002-02-01 2005-03-08 (주)우남마린 고속단정용 자키시트
CN109008334A (zh) * 2017-06-12 2018-12-18 林苇 一种救灾应急户外安置多用途组合桌凳子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0755B1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4489B2 (en) Modular walls incorporating recessed, extendable furniture
RU2433772C2 (ru) Разборная мебель
US6039419A (en) Foldable ready-to-use entertainment stand
US20030024203A1 (en) Structure of a framework
US20100236457A1 (en) Collapsible transaction table
US20090126605A1 (en) Concealable Table
KR100220755B1 (ko) 다목적용 책상
JP3595548B2 (ja) 組立式ラック
US20120007484A1 (en) Folding TV table
CN109788847A (zh) 可折叠的柜子
KR100528681B1 (ko) 공동주택 주방용 벽걸이 식탁
JP3685022B2 (ja) パネル付きデスク
JP4940029B2 (ja) 連設パネル壁構造
KR200211411Y1 (ko) 조립식 수납구겸 책장
KR200276773Y1 (ko)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
KR930005625Y1 (ko) 절첩 식탁이 장착된 장식장
KR100522555B1 (ko) 천정 코너 고정형 수납 가구
KR200211942Y1 (ko) 접이형 선반장
KR200400118Y1 (ko) 다용도 책상
EP3611322A1 (en) Sliding door arrangement
CN218884361U (zh) 冰箱
KR0135588Y1 (ko) 조립식 칸막이판넬에 형성하는 조립식 케비넷 고정용 브라켓과 판넬 고정용 앵글의 구조
JP3382650B2 (ja) 間仕切り収納家具
JP3382652B2 (ja) 間仕切り収納家具
KR200432764Y1 (ko) 접이식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