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972U -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972U
KR19990038972U KR2019980005011U KR19980005011U KR19990038972U KR 19990038972 U KR19990038972 U KR 19990038972U KR 2019980005011 U KR2019980005011 U KR 2019980005011U KR 19980005011 U KR19980005011 U KR 19980005011U KR 19990038972 U KR19990038972 U KR 199900389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oltage
battery
power suppl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웅
Original Assignee
장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세웅 filed Critical 장세웅
Priority to KR2019980005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8972U/ko
Publication of KR199900389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972U/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된 충전장치는 일반적인 상용 건전지를 사용하여 충전전압이 각기 다른 휴대용 전화기의 축전지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는 휴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는 휴대용 전화기의 축전지를 충전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전원부의 직류전원을 각 휴대용 전화기의 축전지 규격에 맞는 충전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며 충전전류의 최대치를 제한하는 충전 제어부와, 전원부의 직류전원을 충전 제어부에 인가 또는 차단해주는 스위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의 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고정장치 및 충전전원이 없는 상황에서도 휴대용 전화기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음으로써 축전지 방전과 더불어 야외에서 비상사태 등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통화차단 상태를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소형의 상용 건전지를 사용하여 충전전압이 각기 다른 휴대용 전화기의 축전지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전화기의 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고정장치 및 충전전원이 없는 상황에서도 휴대용 전화기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는 고정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축전지에 충전시켜 동작전원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위하여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에는 서로 접속할 수 있는 충전단자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휴대장치는 축전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화기의 충전은 휴대장치를 고정장치에 접촉시킬 때 정(+), 부(-)의 극성을 가지는 각 충전단자가 극성이 일치하도록 접속되어야만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전화기는 보통 통화대기 시간에도 20-30mA의 전류가 사용되기 때문에 완전히 충전된 축전지일 지라도 그 사용 시간은 통상적으로 12시간 내지 24시간 정도로 제한된다.
따라서, 등산, 낚시, 여행 등의 와중에서 비상 또는 조난사태 등이 발생하고 축전지가 방전되어 통화가 두절된 경우, 고정장치를 비롯한 충전전원이 없기 때문에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하여 외부와 통신할 수 없게 되므로 위험에 직면할 수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전화기를 충전하는 고정장치를 비롯한 충전전원이 없더라도 충전 전압이 각기 다른 휴대용 전화기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원부 200 : 스위치부
300 : 충전 제어부 400 : 휴대용 전화기의 휴대장치
410 : 축전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의 특징은 휴대용 전화기의 축전지를 충전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전원부의 직류전원을 각 휴대용 전화기의 축전지 규격에 맞는 충전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며 충전전류의 최대치를 제한하는 충전 제어부와, 전원부의 직류전원을 충전 제어부에 인가 또는 차단해주는 스위치부로 구성된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는 전원부(100)와 충전 제어부(300) 그리고 전원부(100)와 충전 제어부(3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끊어주는 스위치부(200)로 구성되며, 충전 제어부(300)는 휴대용 전화기의 휴대장치(400)에 구비된 축전지(410)에 전압을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갖춘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는 축전지(410)가 방전하여 잔류전압이 소정값 이하가 되어 휴대용 전화기가 통화차단 상태로 되는 경우 축전지(410)와 연결시켜 줌으로써 다음과 같이 충전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전원부(100)가 충전 제어부(300)로 직류전원을 공급하면, 충전 제어부(300)는 전원부(100)의 직류전원을 휴대용 전화기의 휴대장치(400)에 구비되는 축전지(410) 규격에 맞는 충전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이때 충전 제어부(300)로부터 축전지(410)로 흐르는 충전전류는 무한히 클 수 없으므로 소정값 이내로 제한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기능도 충전 제어부(300)가 수행한다.
그리고 전원부(100)와 충전 제어부(300)의 사이에는 직렬로 스위치부(200)가 접속되게 되는데, 이는 축전지(410)를 충전하지 않는 때에는 충전 제어부(300)와 전원부(100)의 접속을 끊어줌으로써 충전 제어부(300)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막기 위함이다.
여기서 축전지(410)에 충전되는 전압의 크기는 각 휴대용 전화기의 제조회사 마다, 예를 들어 +7.5[V], +6.0[V], +4.5[V] 등과 같이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유로 통상 하나 이상의 소형 건전지를 사용하는 전원부(100)가 공급하는 직류전원의 전압이 축전지(410)의 충전전압 규격보다 커야할 필요는 없는데, 이는 충전 제어부(300)에서 이루어지는 직류 전압변환을 승압 또는 강압하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충전 제어부(300)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개 일 수도 있는데, 하나인 경우는 복수개인 경우와는 달리 휴대용 전화기의 제조회사 마다 각기 다른 충전전압을 갖는 여러 종류의 축전지(410)를 모두 충전시킬 수 없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를 나타낸 도 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충전 제어부의 출력전압이 하나인 경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00)가 건전지(BAT)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전 제어부(300)는 전압 변환부(310)와 충전전류 제어부(320)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의 동작을 충전 제어부(300)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압 변환부(310)는 전원부(100)로부터 인가 받은 전압을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충전전류 제어부(320)는 전압 변환부(310)로부터 축전지(도 1의 410)로 흐르는 전류의 최대치를 제한한다.
본 예에서 전압 변환부(310)는 하나의 출력만을 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출력전압과 동일한 충전전압 규격을 가진 축전지만을 충전함이 가능하며, 다른 충전전압 규격을 가진 축전지에 대해서는 그에 맞는 출력전압을 낼 수 있는 또다른 전압 변환부(310)를 구비하는 충전 제어부(300)를 사용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를 나타낸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상술한 도 2와는 달리 충전 제어부의 출력전압을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경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도 2와는 달리 충전 제어부(300)가 전압 변환부(330) 및 충전전류 제어부(340) 뿐만 아니라 잔류전압 검출부(360)와 충전전압 선택부(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갖춘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의 동작을 충전 제어부(300)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축전지(도 1의 410)의 잔류전압을 검출하는 잔류전압 검출부(360)가 방전되고 남아 있는 축전지의 잔류전압을 검출하여 충전전압 선택부(350)에 인가하면, 충전전압 선택부(350)는 잔류전압 검출부(360)에서 검출된 잔류전압에 따라 각기 다른 충전전압 선택 제어신호를 전압 변환부(330)로 출력한다.
전압 변환부(330)는 전원부(100)로부터 인가 받은 전압을 복수개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한 후, 충전전압 선택부(350)의 출력신호에 따라 그 중 하나의 전압만을 출력한다.
그리고 충전전류 제어부(340)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전압 변환부(330)로부터 축전지로 흐르는 전류의 최대치를 제한한다.
본 예에서 전압 변환부(330)는 하나 이상의 출력전압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이 중 축전지의 충전전압 정격에 맞는 전압을 출력하도록 해주는 선택 제어신호는 통상적으로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함이 용이한 충전전압 선택부(350)가 잔류전압 검출부(360)에서 검출된 전압에 따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잔류전압 검출부(360)에서 검출된 전압을 인가 받은 충전전압 선택부(350)가 충전전압을 선택하는 원리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용 전화기의 충전전압 정격이 +7.5[V], +6.0[V], +4.5[V]의 세 종류 중 +7.5[V]라 하면, 이 축전지는 +7.5[V]로 충전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통화할 수 있다. 그러나 충전전압이 방전되어 잔류전압이 소정 값 이하로 내려가면 통화차단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통화차단 상태로 진입하게 되는 잔류전압의 크기는 통상적으로 +7.5[V]보다는 작지만 +6.0[V]보다는 큰 값이므로 이 값을 인가 받은 충전전압 선택부(350)는 축전지의 충전전압 정격을 +7.5[V]로 결정하게 되고 이에 따른 충전전압 선택 제어신호를 전압 변환부(330)로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축전지가 완전 방전하여 잔류전압이 +4.5[V]이하의 값으로 검출된 경우는 충전전압 선택부(350)는 이보다 높은 값 중 가장 가까운 전압인 +4.5[V]를 축전지의 충전전압 정격으로 결정하고 이에 따른 충전전압 선택 제어신호를 전압 변환부(330)로 인가하는데, 이때 실제적인 축전지의 충전전압 정격이 +7.5[V]나 +6.0[V]이라면 정상적으로 충전이 완료되지 못한다.
즉, 본 실시예는 휴대용 전화기의 축전지가 완전 방전이 아닌 통화차단 상태로 진입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경우에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반면, 전술한 도 2의 실시예는 전압 변환부(310)의 출력전압이 하나이므로 축전지의 충전전압 정격과 일치하기만 하면 축전지의 잔류전압과는 무관하게 정상적으로 충전함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에 의하면,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소형의 상용 건전지를 사용하여 충전전압이 다른 모든 휴대용 전화기의 축전지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용 전화기의 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고정장치 및 충전전원이 없는 상황에서도 휴대용 전화기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등산, 낚시, 여행 등의 와중에서 비상 또는 조난사태 등이 발생하고 축전지가 방전되더라도 본 고안의 장치를 사용하여 쉽게 외부와 통화 재개할 수 있음으로써 쉽게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휴대용 전화기의 축전지를 충전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의 직류전원을 각 휴대용 전화기의 축전지 규격에 맞는 충전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며 충전전류의 최대치를 제한하는 충전 제어부; 및
    상기 전원부의 직류전원을 충전 제어부에 인가 또는 차단해주는 스위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건전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인가 받은 전압을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 변환부; 및
    상기 전압 변환부로부터 축전지로 흐르는 전류의 최대치를 제한하는 충전전류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축전지의 잔류전압을 검출하는 잔류전압 검출부;
    상기 잔류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에 따라 다른 충전전압 선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충전전압 선택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인가 받은 전압을 복수개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한 후, 충전전압 선택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그 중 하나의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변환부; 및
    상기 전압 변환부로부터 축전지로 흐르는 전류의 최대치를 제한하는 충전전류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압 선택부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
KR2019980005011U 1998-04-01 1998-04-01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 KR199900389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011U KR19990038972U (ko) 1998-04-01 1998-04-01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011U KR19990038972U (ko) 1998-04-01 1998-04-01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972U true KR19990038972U (ko) 1999-11-05

Family

ID=6951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011U KR19990038972U (ko) 1998-04-01 1998-04-01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897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19020B1 (en) Over-discharge protection circuit
US6127801A (en) Battery pack assembly
US5554919A (en) Charge/discharge circuit having a simple circuit for protecting a secondary cell from overcharging and overdischarging
US20180152035A1 (en) Charge/discharge switch control circuits for batteries
JP2008131707A (ja) 携帯電話機用充電装置
JPH0340728A (ja) 携帯無線電話機用充電器
JP2003259560A (ja) 充電回路
US10355506B2 (en) Power supplying system and method
CN1103211A (zh) 充电装置
JP2007110820A (ja) パック電池
US5920180A (en) Battery charger for preventing memory effect
KR100584324B1 (ko) 복합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US5867797A (en) Portable telephone set having a power controller causing a current charging of a battery to be held constant
US6034504A (en) Two-wire multi-rate battery charger
KR19990088303A (ko) 충방전제어회로및충전형전원장치
US6172477B1 (en)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of a portable terminal
CA2083813A1 (en) Battery charging
EP0998004A4 (en) OVERLOAD PREVENTION METHOD, CHARGER CIRCUIT, ELECTRONIC DEVICE AND TIMER
KR19990038972U (ko) 휴대용 전화기의 간이 충전장치
US605195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rechargeable battery using charge characteristic of two-way pager
KR200396555Y1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
KR20040026724A (ko) 휴대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JP3231717B2 (ja) 充電制御回路
JPH09130983A (ja) 電池充電制御装置
KR960009390Y1 (ko) 셀룰라폰의 충전전원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