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670A - 도포방수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포방수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670A
KR19990038670A KR1019970058494A KR19970058494A KR19990038670A KR 19990038670 A KR19990038670 A KR 19990038670A KR 1019970058494 A KR1019970058494 A KR 1019970058494A KR 19970058494 A KR19970058494 A KR 19970058494A KR 19990038670 A KR19990038670 A KR 19990038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terproofing agent
present
coating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택상
Original Assignee
권택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택상 filed Critical 권택상
Priority to KR1019970058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8670A/ko
Publication of KR19990038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670A/ko

Links

Landscapes

  • Paints Or Removers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포방수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에틸실란 100중량부와 파라핀계 탄화수소 20 - 40중량부 및 폴리스티렌 20 - 40중량부를 유기용제에 분산시킨 후 금속비누로 스테아린산 칼슘 5 - 10중량부와 유화제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2 - 5중량부 첨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방수제는 방수 및 접착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 외에 나무, 금속, 합성수지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유화안정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도포방수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도포방수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로는 디에틸실란과 폴리스티렌을 주원료로 하는 유기 도포방수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방수제는 무기방수제의 경우 접착강도는 우수하나 방수시공 후 방수피막이 터지거나 결로현상과 함께 백화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유기방수제의 경우는 방수성은 양호하나 강도가 불량한 단점이 있다.
유기 시멘트 방수제로서는 우레탄폴리머와 정제콜탈을 물에 분산시킨 타입이 있으나, 이러한 방수제의 경우 이들은 에멀젼상태에서 접착력이 불량한 단점이 있고, 유화안정성이 양호하지 못하며, 방수효과가 완벽하지 아니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유화안정성이 양호하고, 방수효과가 향상된 유기 도포방수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에틸실란 100중량부와 파라핀계 탄화수소 20 - 40중량부 및 폴리스티렌 20 - 40중량부를 유기용제에 분산시킨 후 금속비누로 스테아린산 칼슘 5 - 10중량부와 유화제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2 - 5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파라핀계 탄화수소(이하, "파라핀"으로 약칭함)는 융점이 50 - 80℃이고, 평균 탄소원자수가 25 - 35정도의 직쇄상 포화탄화수소이며, 그 예로는 펜타코산, 헥사코산, 헵타코산, 옥타코산 등을 들 수 있다. 파라핀 자체는 소수성이며, 여기에 지방산 금속염이 첨가되면 파라핀이 가진 단점인 접착력이 향상된다. 그 적절한 사용량은 후술하는 디에틸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 40중량부이다. 이 범위 미만의 경우는 방수효과가 부족하게 되며, 이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피방수물과의 접착력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스티렌은 방수제의 소수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아울러 피방수물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하게된다. 그 적절한 사용량은 디에틸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 40중량부이다. 이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유화안정성이 부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화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펜타데일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유화제의 사용에 의하여 파라핀과 금속비누를 유화시킬 수 있다. 유화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유화보조제를 소량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에틸실란은 방수제의 유화안정성과 방수피막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방수제에 침투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디에틸실란 100 g과 옥타코산 25 g, 폴리스티렌 25 g을 500g의 키실렌용매에 넣고 잘 분산시킨 후, 스테아린산 칼슘 5 g과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2g을 첨가하고 다시 혼합하여 방수제를 얻었다.
이 방수제를 건조된 시멘트 벽돌에 2회에 걸쳐 두께 1mm정도로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물속에 2시간 동안 담구었다가 꺼내어서 흡수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0.96%였다. 방수제를 미처리한 경우의 흡수율은 23%였다.
* 흡수율 = (흡수후의 무게 - 흡수전의 무게)/흡수전의 무게 X 100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되 피방수물을 나무로 하였으며, 이때의 흡수율은 0.85%였다. 방수제를 미처리한 경우는 27% 였다.
<비교예>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되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지 아니 하였으며, 그 결과 흡수율은 2.7%상승되었으며, 도막의 접착상태가 다소 불량하였다.
본 발명의 방수제는 방수 및 접착효과가 우수하며,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 외에 나무, 금속, 합성수지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유화안정성이 우수하다.

Claims (3)

  1. 디에틸실란 100중량부와 파라핀계 탄화수소 20 - 40중량부 및 폴리스티렌 20 - 40중량부를 유기용제에 분산시킨 후 금속비누로 스테아린산 칼슘 5 - 10중량부와 유화제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2 - 5중량부 첨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방수제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용제는 톨루엔, 키실렌, 등유, 신나 중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방수제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펜타데일 에테르 중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방수제의 제조방법.
KR1019970058494A 1997-11-06 1997-11-06 도포방수제의 제조방법 KR19990038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494A KR19990038670A (ko) 1997-11-06 1997-11-06 도포방수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494A KR19990038670A (ko) 1997-11-06 1997-11-06 도포방수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670A true KR19990038670A (ko) 1999-06-05

Family

ID=66086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494A KR19990038670A (ko) 1997-11-06 1997-11-06 도포방수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86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707B1 (ko) * 2000-07-05 2003-02-06 성유나 방수성을 개선한 목재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707B1 (ko) * 2000-07-05 2003-02-06 성유나 방수성을 개선한 목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0658A (ja) 鉱物質建築材料用含浸性エマルジヨン
KR920000887A (ko) 매스틱 코팅시스템의 품질향상방법
KR910020118A (ko) 표면 피복용 아스팔트계 혼합물
US4592859A (en) Oil-in-water or water-in-oil suspensions and uses therefor
KR100394466B1 (ko) 침투성 물 흡수 방지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이용한 복합 방수시공방법
KR19990038670A (ko) 도포방수제의 제조방법
CN107400432A (zh) 一种家具用水性环保防水乳液及其制备方法
KR970061828A (ko) 셀프-프라이밍(Self-priming)용 건재코팅
FR2818989B1 (fr) Utilisation d&#39;un polyorganosiloxane fonctionnalise epoxy et/ou carboxy, a titre de matiere active dans une composition silicone liquide d&#39;hydrofugation de materiaux de construction
RU2006129239A (ru) Отверждаемая смесь, содержащая известь и полимер
JPH101610A (ja) 水性有機ケイ素系組成物および土木建築材料
KR100494993B1 (ko) 알킬알콕시실란 및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침투성 방수제
JP2000126676A (ja) 塗装無機質建材
KR20050103886A (ko) 분말형 방수 시멘트 모르터 조성물
JPS5558459A (en) Method of improving support of testpaper
AU613807B2 (en) Coating composition
KR970011367B1 (ko) 규산염을 함유한 발수제
KR960031567A (ko) 고무 개질 아스팔트계 방수 조성물
US4933210A (en) Durable anti-rusting method
KR930021754A (ko) 건물용 방수제
RU2148561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защиты свежеуложенного бетона
WO2002090287A1 (en) Waterproofed cementitious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S63473B2 (ko)
CA1266542A (en) Acrylic binder for alcohol based coatings
SU1564150A1 (ru) Композици дл защиты 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