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997A - 건축설비용 경량형강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설비용 경량형강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997A
KR19990037997A KR1019970057597A KR19970057597A KR19990037997A KR 19990037997 A KR19990037997 A KR 19990037997A KR 1019970057597 A KR1019970057597 A KR 1019970057597A KR 19970057597 A KR19970057597 A KR 19970057597A KR 19990037997 A KR19990037997 A KR 19990037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iron plate
building equipment
light stee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수
Original Assignee
이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수 filed Critical 이문수
Priority to KR1019970057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997A/ko
Publication of KR19990037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99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21B1/088H- or I-sections
    • B21B1/0886H- or I-sections using variable-width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21B1/095U-or channel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21B1/092T-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 E04C2003/0456H- or I-shaped hollow flanged, i.e. "dogbone" metal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73U- or C-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및 건설 공사시 각종 설비와 그 부속품들을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경량철골 및 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경량형강은 얇은 철판을 "I"형과 "T"형태로 2중 절곡 성형하여 필요에 따라 그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되는 중공부를 형성하고, 날개부에는 다수의 조립구멍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형강은 종래의 형강에 비해 경량이면서도 강도가 뛰어나고, 용접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단열 및 완충효과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얇은 철판을 다단계의 롤링(Rolling) 장치를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원하는 형태의 "I"형과 "T"형으로 절곡 성형하고, 성형을 하기전이나 성형도중 또는 성형이 완료된 후에 내부의 중공부에 선택적으로 단열재를 충진시킴과 함께 날개부에는 다수의 조립구멍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장치는 종래의 용융 성형법에 비해 제조가 간단하고, 롤링 성형기만 있으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나 제조가 가능하며, 재료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설비용 경량형강 및 그 제조장치
본 발명은 건축 및 건설 공사시 각종 설비와 그 부속품들을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경량철골 및 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및 건설 공사시 각종 설비와 그 부속품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형강은 "ㄱ"형강과, "H"형강 및, "I"형강 등이 있다.
이러한 형강들은 대부분 이보다 큰철골이나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지지되어 배관라인을 구성하는 각종 관체와, 천정 및 벽에 부착되는 각종 패널 및, 덕트 등을 지지하는 지주와 골격 내지는 형틀로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철골들은 그 형태와 모양에 따라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지지하는 설비의 하중과 지지위치 및 작업장내의 여건 등에 따라 그에 알맞은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제까지 사용되고 있는 "ㄱ"형강과, "H"형강 및, "I"형강 등은 대부분 제조공장에서 하나의 단일체로 만들어진 뒤 출하되기 때문에 형태변경이 불가능하고, 용도에 맞는 것을 선택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형강은 제철소 등의 제조공장에서 "ㄱ"형과, "H"형 및, "I"형의 단면을 갖는 일체형의 형강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각종 설비를 공사하는 작업장에서는 이를 선택하는데 상당한 제한을 받았던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형강은 내외부가 하나의 단일체로 된 강재로서 재료손실이 많고, 무거우며, 설비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고정시키기가 어렵고, 용접 등에 의한 국부적인 성질변화가 발생하여 용도별 사용시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기계설비를 시공하는 분야에서 기계실, 공동구, 다수의 관을 예열 시공하거나, 또는 물류창고의 랙(Rack) 등에 사용할 때는 용접, 절단, 면처리 등의 작업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작업시 발생하는 열로 인해 형강의 재질이 국부적으로 변화하고,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때문에, 유체이송관의 경우, 유체의 속도에 의한 진동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여 이 진동이 건물의 구조물에 까지 전달되는 악영향을 끼치고, 시공시에는 용접, 절단, 면처리와 같은 공정이 다수 반복되므로 이에 필요한 용접공, 절단공, 철공, 보조공, 도장공 등의 인력투입으로 과다한 인건비 상승을 야기시키고, 이 밖에도 자재의 손실에 의한 공사비의 증가, 공기지연에 따른 간접비 등의 추가비용이 발생하여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과제는 건축 및 건설 공사시 사용하는 형강을 프로파일식의 경량형으로 형성하여 순수조립이 가능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재료절감과 단열 및 완충효과가 뛰어난 형강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에 따른 "I"형 경량형강의 사시도와 단면도
도 2A와 2B는 본 발명에 따른 "I"형 경량형강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3A와 3B는 본 발명에 따른 "I"형 경량형강의 실싱켸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4A와 4B는 본 발명에 따른 "T"형 경량형강의 사시도와 단면도
도 5A와 5B는 본 발명에 따른 "T"형 경량형강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6A와 6B는 본 발명에 따른 "T"형 경량형강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ㄷ"형 경량형강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I"형 경량형강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T"형 경량형강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 경량형강 11, 21, 31 : 철판
12, 22, 32 : 중공부 13, 14, 23 : 날개부
15, 25, 35 : 조립구멍 16, 26, 36 : 슬롯홀
37 : 가이드홈 40 : 단열재
50, 50' : 하단평형 및 요철로울러
60 : 중간평형로울러 70 : 상부평형로울러
80 : 상단요철로울러 90 : 하단요철로울러
100-130 : 스케일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량형강은 얇은 철판을 "I"형과 "T"형태로 2중 절곡 성형하여 필요에 따라 그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되는 중공부를 형성하고, 날개부에는 다수의 조립구멍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형강은 종래의 형강에 비해 경량이면서도 강도가 뛰어나고, 용접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단열 및 완충효과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의 형강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는 얇은 철판을 다단계의 롤링(Rolling) 장치를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원하는 형태의 "I"형과 "T"형으로 절곡 성형하고, 성형을 하기전이나 성형도중 또는 성형이 완료된 후에 내부의 중공부에 선택적으로 단열재를 충진시킴과 함께 날개부에는 다수의 조립구멍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장치는 종래의 용융 성형법에 비해 제조가 간단하고, 롤링 성형기만 있으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나 제조가 가능하며, 재료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경량형강과 그의 제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경량형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I"형 경량형강(10)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얇은 철판(11)을 "I"자 형으로 절곡 성형하여 얻어진다.
이때, 경량형강(10)의 상하부 날개부(13, 14)에는 필요에 따라 설비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조립구멍(15)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조립구멍(15)은 등간격이고 좌우 대칭형태이며, 설비의 위치조절을 용이토록 위하여 가급적 길이방향의 장공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경량형강(10)의 양단은 시임용접(Seam Welding)을 통하여 접합되거나, 도 2A 및 2B와 같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슬롯홀(16, Slot Hole)이 형성되는데, 이 슬롯홀은 조립구멍(15)과 같이 타 설비의 고정과 위치조절용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경량형강(10)의 내부에는 2중 구조로 된 양측의 철판(11) 사이에 중공부(12)가 형성되거나 또는 양측의 철판이 밀착되도록 성형되는데, 중공부(12)가 형성된 경우는 그 자체가 완충 및 탄성효과를 가지게 되나 설치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고, 양측이 밀착된 것은 상대적으로 완충 및 탄성효과는 떨어지나 설치시 부피를 적게 차지한다는 잇점이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상기 중공부(12)내에는 선택적으로 단열재(40)가 충진되는데, 이는 탄력과 내열 및 완충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도 4A와 4B는 "T"자형의 경량형강(20)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구성하는 철판(21)과, 중공부(22) 및, 상부 날개부(23), 조립구멍(25), 슬롯홀(26), 단열재(40) 등의 기능과 역할은 도 1A 및 1B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도 5A와 5C 및 도 6A와 6C는 도 4A와 4B의 변형된 실시예에 불과하고, 각 부분에 대한 설명도 도 2A와 2B 및 도 3A와 3B와 같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과 도 8은 "ㄷ"형의 경량형강(30)을 나타낸 실시예로서, 조립구멍(35) 외에도 철판(31)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부(32)의 하단과 양측면에 타 물체를 지지 또는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구조의 슬롯홀(36) 및 가이드홈(37)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경량형강(10, 20, 30)은 얇은 철판(11, 21, 31)으로도 큰 하중에 강하므로 종래의 "I"형, "T"형, "ㄷ"형의 형강을 용이하게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일체형 형강에 비해 내부가 빈 중공형이거나 양측의 철판이 밀착되는 밀착형이므로 재료의 손실이 적고 무게가 가벼워 시공과 운반 및 절단작업등이 용이하고, 재료의 절감으로 원가절감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리고, 형강(10, 20, 30) 자체가 얇은 철판(11, 21, 31)을 절곡 성형하여 만들어진 2중 구조이고 필요에 따라 단열재(40)가 선택적으로 내장되어 신축성과 완충효과가 뛰어나며, 구조체의 온도변화에 의한 변형과 형강류의 표면적에 의한 열손실 및 마찰진동에 대한 방진효과가 우수하게 된다.
아울러, 날개부(13, 14, 23) 또는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슬롯홈(16, 26, 36)은 "T"형 볼트나 어태치먼트의 삽입과 슬라이딩 이동을 쉽게 하여 배관라인의 클램프, 슈(Shoes), 크로스 바 등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다음은 경량형강(10, 20, 30)의 제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경량형강(10, 20, 30)을 제조하는 장치는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송하는 얇은 철판(11, 21, 3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철판의 하단을 평형 및 요철형태로 절곡 성형하는 하단로울러(50, 50')와; 상기 철판의 측면부를 지지하며 철판 사이의 폭을 일정한 크기로 절곡 성형하며 폭 조절을 위한 수평이동과 교체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평형로울러(60)와; 상기 철판의 상부를 지지하며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평형로울러(70)와; 상기 철판의 날개부(13, 14, 23)에 설치되어 요철형태로 절곡하며 수평이동과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단요철로울러(80, 90)를 포함하여서 된다.
하단평형로울러(50, 50')는 "I"형이나 "T"형에 관계없이 항상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하며 이송하는 형강의 하단을 절곡 성형하게 된다.
상기 하단평형로울러는 "I"형일 경우는 직선형(50)이 설치되고, "T"형일 경우에는 요철형(50')이 설치된다.
중간평형로울러(60)는 형강의 규격별로 교체가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열재(40)의 충진을 위한 중공부형이나 중공부가 없는 밀착형으로 가공할 때 양측 철판 사이의 두께에 따라 좌우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된다.
상부평형로울러(70)는 형강의 규격에 관계없이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단요철로울러(80)는 "I"형과 "T"형의 상부 날개부(13, 23)의 양측에 위치하며 이중 어느 한 개의 로울러를 형강의 규격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단요철로울러(50')는 "I"형에만 해당되며 하부 날개부(14)의 양측에 위치하며 이중 어느 한 개의 로울러가 형강의 규격에 따라 좌우 폭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평형 및 요철로울러(50, 50')를 제외한 중간평형로울러(60)와 상부평형로울러(70) 및 상하단요철로울러(80)에는 형강의 규격별로 이들 로울러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케일(100-130)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다단계의 장치를 통하여 얇은 철판(11)을 서서히 이송시키면서 원하는 "I"형 경량형강(10)을 제조하게 된다.
즉, 성형 초기에는 얇은 철판(11)이 개략적으로 성형되다가, 성형이 진행될수록 점차 그 윤곽과 외형이 구체화 되며, 이와 같은 절곡동작을 반복한 후 최후의 로울링 장치를 통하여 배출된 형강은 원하는 형상의 "I"형 경량형강(10)으로서 소기의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상기 동작중, 각각의 로울러에 장착된 스케일(100-130)은 해당 로울러의 정확한 위치이동을 위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경량형강(10)에 형성되는 조립구멍(15)은 형상을 가공하기 전이나 가공한 후에 형성할수 있으나, 통상 가공하기 전에 소재인 얇은 철판에 미리 성형하는 것일 바람직스럽다.
또한, 슬롯홀(16)과 단열재(40)의 충진도 형강의 가공 전후에 실시할 수 있으나, 통상 형강의 성형과 동시 그 내부에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한편, "T"형 경량형강(20)을 성형할 경우에는 도 10과 같은 로울링 장치를 이용하면 된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얇은 철판(21)이 다단계의 로울링 장치를 이송하면서 원하는 형상대로 순차 성형되나, 이 경우에는 "I"형과 달리 하부 날개부가 없으므로 스케일(130)이 구비된 하단요철로울러(50')가 이를 대신하게 되며, 그 외에도 스케일(100-120)이 구비된 상단요철로울러(80)와 하단평형로울러(60) 및 상단평형로울러(7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와 같은 로울링 장치를 통하여 원하는 형상의 경량형강을 손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얇은 철판을 로울링 장치에 통과시키면서 원하는 형상의 경량형강을 손쉽게 얻을 수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재료비의 절감으로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현장에서의 순수조립이 가능하여 별도의 용접작업 등을 통하지 않고도 설비의 시공과 설치가 용이하여 공기단축 내지는 인건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탄력과 방진 및 완충효과가 뛰어나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수명이 긴 장점이 있다.
그리고, 구조체의 온도변화에 대한 변형방지 효과가 뛰어나고, 형강류의 표면적에 의한 열손실 방지 및 방진효과가 우수하여 마찰진동과 외부의 진동에 의한 장비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조립구멍과 슬롯홀은 배관의 클램프, 슈(Shoes), 크로스 바(Cross Bar) 등을 간단한 T형 볼트를 이용하여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얇은 철판(11, 21, 31)을 2중 구조로 절곡하여서 되는 건축설비용 경량형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11, 21, 31) 사이가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용 경량형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11, 21, 31) 사이에 중공부(12, 22, 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용 경량형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12, 22, 32)내에 단열재(40)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용 경량형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11, 21, 31)의 양단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용 경량형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11, 21, 31)의 양단 사이에 길이방향의 슬롯홀(16, 26, 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용 경량형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11, 21)이 날개부(13, 14, 23)를 갖는 "I"과 "T"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용 경량형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31)이 "ㄷ"자 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용 경량형강.
  9.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11, 21, 31)과 날개부(13, 14, 23)에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의 조립구멍(15, 25, 35)과 가이드홈(3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용 경량형강.
  10. 이송하는 얇은 철판(11, 21, 3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철판의 하단을 평형 및 요철형태로 절곡 성형하는 하단로울러(50, 50')와;
    상기 철판의 측면부를 지지하며 철판 사이의 폭을 일정한 크기로 절곡 성형하며 폭 조절을 위한 수평이동과 교체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평형로울러(60)와;
    상기 철판의 상부를 지지하며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평형로울러(70)와;
    상기 철판의 날개부(13, 14, 23)에 설치되어 요철형태로 절곡하며 수평이동과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단요철로울러(80, 90)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용 경량형강의 제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요철로울러(50')와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중간평형로울러(60), 상부평형로울러(70), 상하단요철로울러(80, 90)에는 이들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위한 스케일(100-1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용 경량형강의 제조장치.
KR1019970057597A 1997-11-01 1997-11-01 건축설비용 경량형강 및 그 제조장치 KR19990037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597A KR19990037997A (ko) 1997-11-01 1997-11-01 건축설비용 경량형강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597A KR19990037997A (ko) 1997-11-01 1997-11-01 건축설비용 경량형강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997A true KR19990037997A (ko) 1999-06-05

Family

ID=4217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597A KR19990037997A (ko) 1997-11-01 1997-11-01 건축설비용 경량형강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99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320A (ko) * 2002-10-22 2004-04-29 주식회사 우림랜드 프로폴리스와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나노스피어 조성물
KR100508455B1 (ko) * 2002-10-22 2005-08-17 주식회사 탑스코 고강도 구조를 갖는 교량유지 점검장치
KR100718294B1 (ko) * 2006-07-04 2007-08-1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냉간성형강을 이용한 슬림 바닥판용 철골 보
WO2009137489A2 (en) * 2008-05-05 2009-11-12 Stainless Structurals, Llc Steel beams and related methods
KR101122594B1 (ko) * 2010-02-11 2012-03-20 김대환 보강부가 구비된 철골부재와 이를 이용한 철골연결구조
KR20190092048A (ko) * 2018-01-30 2019-08-07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승강장 보강 유리섬유기둥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320A (ko) * 2002-10-22 2004-04-29 주식회사 우림랜드 프로폴리스와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나노스피어 조성물
KR100508455B1 (ko) * 2002-10-22 2005-08-17 주식회사 탑스코 고강도 구조를 갖는 교량유지 점검장치
KR100718294B1 (ko) * 2006-07-04 2007-08-1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냉간성형강을 이용한 슬림 바닥판용 철골 보
WO2009137489A2 (en) * 2008-05-05 2009-11-12 Stainless Structurals, Llc Steel beams and related methods
WO2009137489A3 (en) * 2008-05-05 2010-03-04 Stainless Structurals, Llc Steel beams and related methods
KR101122594B1 (ko) * 2010-02-11 2012-03-20 김대환 보강부가 구비된 철골부재와 이를 이용한 철골연결구조
KR20190092048A (ko) * 2018-01-30 2019-08-07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승강장 보강 유리섬유기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6454A (en) Elastic bearing block for a linear guide
JP6172632B2 (ja) ボイラ火炉内の作業足場用主梁構造、作業足場用主梁搬送装置、及び作業足場の設置方法
US4248024A (en) Centering for casting concrete roofs
US20140251768A1 (en) Modular support system
KR19990037997A (ko) 건축설비용 경량형강 및 그 제조장치
KR101977904B1 (ko) 이송로봇의 레일가이드 지지장치
KR200187200Y1 (ko) 건축설비용 경량형강의 제조장치
KR20090076862A (ko) 고속절단기용 거치대
CN110681803A (zh) 一种墙体钢筋笼编制胎架
CN110630016A (zh) 一种可调节建筑模架
JP2024040265A (ja) 溶接システムおよび溶接方法
KR101915982B1 (ko) 가변높이 구조를 가진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KR200413038Y1 (ko)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부재용 노칭 가공장치
KR20180114597A (ko) 외부벽돌벽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단연결용 벽돌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209413302U (zh) 带有施工平台的可移动式侧墙模板支撑系统
CN206694657U (zh) 一种用于管架伸缩缝处理的滑动装置
JPH0741387B2 (ja) ストランド搬送装置
JP2021134563A (ja) 屋根上キャリーシステム
CN219767537U (zh) 一种角钢切割用定长装置
KR101649111B1 (ko) 가변 슬리브
KR100979298B1 (ko) 고하중물 구조체의 이동장치 및 그 이동방법
KR200174940Y1 (ko) 판텍스 라티스 거더 자동제작 장치
CN217253939U (zh) 一种可快速加工支吊架的操作平台
CN212926519U (zh) 一种固定变形缝止水带装置用控制工具
JP3960964B2 (ja) 建築用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