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905A - 생봉독을이용한돼지의설사병치료법 - Google Patents

생봉독을이용한돼지의설사병치료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905A
KR19990037905A KR1019990005475A KR19990005475A KR19990037905A KR 19990037905 A KR19990037905 A KR 19990037905A KR 1019990005475 A KR1019990005475 A KR 1019990005475A KR 19990005475 A KR19990005475 A KR 19990005475A KR 19990037905 A KR19990037905 A KR 19990037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treatment
bee
bee venom
l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구
최석화
권영방
Original Assignee
조성구
권영방
최석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구, 권영방, 최석화 filed Critical 조성구
Priority to KR1019990005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905A/ko
Publication of KR19990037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9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돼지의 설사병을 치료하는데 있어 인공 합성물질이 아닌 동물성 천연 기능활성물질인 생봉독을 이용하는 것으로, 돼지 설사병 치료에 부합되는 봉침혈위(蜂針穴位)를 특정하고 이 봉침혈위에 살아있는 이탈리안 일벌의 봉침을 직자침(直刺針)하여 생봉독이 자연스럽게 주입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시술이 간단하고 치료효과가 좋으며 약물에 대한 내성과 잔류축적의 문제가 없고 경제적인 돼지의 설사병 치료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돼지의 포유기와 이유 직후에 다발하는 세균성 설사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출방후 15일령이상인 성숙 이탈리안종 꿀벌을 수용한 시술용 이동 봉상을 준비하고, 준비된 시술용 이동 봉상에서 생봉을 한 마리씩 핀셋으로 포획한 후 생봉을 자돈의 설사병 치료관련 주 봉침혈위인 해문혈(海門穴), 교소혈(交巢穴) 및 두구혈(두口穴)에 시술한다. 또한, 세균성 설사병 치료와 신생 자돈의 설사 예방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보조 봉침혈위인 백회혈(百會穴), 삼리혈(三里穴) 및 혈인혈(血印穴)에 생봉독을 시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봉독 요법은 돼지의 설사병 치료 뿐만아니라 예방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봉독을 이용한 돼지의 설사병 치료법{Acupuncture therapy of porcine diarrhea by honeybee venom}
본 발명은 돼지의 세균성 설사병 치료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돼지의 설사병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동물성 천연 기능활성 물질인 생봉독을 이용하는 것으로, 돼지 설사병 치료에 부합되는 봉침혈위를 특정(特定)하고 이 혈위에 살아있는 일벌의 봉침을 직접 접촉시켜 생봉독이 자연스럽게 주입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시술이 간편하고 치료효과가 높으며 경제성이 있고 항생물질의 내성과 체내 잔류 축적문제가 없는 돼지의 설사병 치료법에 관한 것이다.
치료가 까다로운 돼지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치료약물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약물에 대한 내성이 높아져서 치료가 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재발의 가능성 또한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돼지의 질병치료에 보다 많은 시간과 경비, 노력이 소요되고, 양돈장 경영비중 방역과 치료비의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게다가, 이러한 약물의 투여는 돈육의 질을 저하시키고, 궁극적으로는 돈육을 섭취하는 인류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질병의 예방법으로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의 병원체를 제거하거나 이들 병원체가 감염 대상 동물로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역이 있으며, 방역에도 불구하고 돼지가 질병으로부터 감염시 이를 막아주는 예방대책으로 백신접종에 의한 항체 형성이 있다. 백신접종은 병원체를 약화시키거나 죽여서 돼지에 접종하여 질병에 대한 방어능력인 면역력을 획득하게 하는 것이다.
돼지의 질병치료법으로는 주사기와 주사약물을 이용하는 약물요법이 일반적이며, 최근에는 돼지의 침구혈위(鍼灸穴位)에 약물을 주입하는 면역약침요법이 개발된바 있다. 약물 요법이나 약침요법은 돼지의 질병을 치료함에 있어서 인공의 합성약물을 투여한다.
예를 들면, 기존의 양돈 농가에서는 돼지의 설사병 치료를 위해 주사기로 치료약물들을 투여하여 왔다.
돼지 설사병은 일교차가 심한 환절기부터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폭발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설사병중 돼지 유행성 설사와 돼지 전염성 위장염은 급성 설사병으로서 모든 일령의 돼지에 발생하지만, 특히 1주령 미만의 젖먹이 돼지에발병하면 대부분 폐사한다. 자돈의 신생기 또는 이유후 설사는 대장균에 의한 감염 증상으로 나타나는데, 설사는 1∼2주령 이내의 포유기 및 이유 직후에 다발하는 장관 감염증이며 폐사 또는 발육 장해의 원인이 된다. 설사 기간은 보통 3∼5일이며 만성화되면 백색의 점조한 설사변으로 되어 소위 백리변(white scour)의 증상을 나타내는 것이 많다. 설사중인 자돈은 무기력하지만 발열이 없으며, 설사가 경과함에 따라 탈수와 전해질 장해를 유발하고 영양상태가 악화되며 쇄약해진다.
이와 같이 자돈의 설사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발병 초기부터 2∼3일간 항생물질과 지사제를 연속적으로 투여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약물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여 설사 회복이 느리고, 돈육의 질이 저하되며, 약물 투여에 소요되는 치료 비용과 노동력이 많다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위에서 언급한 약물요법 이외의 치료법으로는 침구법, 전침법, 레이저 침 및 광구법 등이 있는데, 이러한 치료법은 정확한 시술부위와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여 시술이 까다로운 점이 있고 정확한 동물의 보정이 필요한 등의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약물이 아닌 동물성 천연 기능활성 물질인 생봉독을 이용하여 돼지의 설사병 치료에 부합되는 돼지의 봉침혈위를 특정하고 이 혈위에 살아있는 일벌의 봉침을 직자침시켜서 생봉독이 자연스럽게 주입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시술이 간단하고 치료효과가 높으며 경제적인 돼지의 세균성 설사병 치료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돼지 세균성 설사시의 생봉독 봉침혈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해문혈(海門穴) 12: 교소혈(交巢穴)
14 : 두구혈(두口穴) 16 : 백회혈(百會穴)
18 : 삼리혈(三里穴) 20 : 혈인혈(血印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봉이 수용된 시술용 봉상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시술용 봉상으로부터 한 마리씩 생봉을 핀셋으로 포획하는 단계(S2);
포획된 생봉독을 돼지의 설사병 치료와 관련된 주 봉침혈위인 해문혈(海門穴), 교소혈(交巢穴) 및 두구혈(??口穴)에 주입하는 단계(S3); 그리고
상기 설사병의 치료를 촉진하기 위하여 생봉독을 상기 설사병 치료와 관련된 보조 봉침혈위인 백회혈(百會穴), 삼리혈(三里穴) 및 혈인혈(血印穴)에 주입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봉독을 이용한 돼지의 세균성 설사병 치료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봉은 이탈리안종 꿀벌로서 출방후 15일령이상인 성숙한 일벌을 이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생봉독을 이용한 돼지의 세균성 설사병 치료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돼지의 설사는 삼투성 설사와, 장염성 설사, 분비성 설사, 신경성 설사 등으로 분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류의 설사병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동물성 천연 기능활성 물질인 생봉독을 이용한다. 즉, 돼지의 설사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설사병의 치료에 부합되는 돼지의 봉침혈위에 살아있는 일벌의 봉침을 직자침하여 설사병을 신속하게 치료하고자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생봉독의 조성과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펩타이드 성분이 11종, 효소제 성분이 5종, 생리적 활성아민 성분이 3종, 비펩타이드 합성물질이 4종으로, 현재까지 23종의 성분이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생봉독에는 다양한 물질이 복합적으로 섞여 있으며, 마른 봉독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은 메리틴(melittin)으로 40∼50%를 차지하고 있다.크리스토퍼 킴(Christopher Kim, 1992)
표 1. 생봉독의 성분별 함량
계통 구성성분 함량(건물%)
펩타이드(11종) 메리틴(melittin)아파민(apamin)MCD-펩타이드(MCD-peptide(peptide 401))아도라핀(adolapin)(프로테아제 억제제(protease inhibitor)세카핀(secapin)터티아핀(tertiapin)멜리틴 에프(melittin F)프로카민(procamine A, B)미니민(minimine)카디오펩(cardiopep) 40∼502∼32∼31<0.80.50.10.011.42∼3<0.7
효소제(5종) 히아루로니다제(hyaluronidase)포스포리파제A2(phospholipase A2)알파-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에시드 포스포모노에스테라제(acid phosphomonoesterase)리소포스포리파제(lysophospholipase) 1.5∼210∼120.61.01.0
생리적활성아민(3종) 히스타민(histamine)도파민(dopamine)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0.6∼1.60.13∼1.00.1∼0.7
비 펩타이드 성분(4종) 탄수화물(carbohydrates ; glucose and fructose)지방(lipides ; 6 phospholipids)아미노산(amino acids ; γ-aminobutyric acidβ-aminoisobutyric acid) <24∼5<0.5<0.01
23종
상기표 1의 성분을 갖는 생봉독이 포유동물의 체조직에 주입되면, 각각의 성분이 종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포유동물의 면역계를 자극하고, 항염증작용, 세포의용해(용혈작용), 신경독 효과, 항세균 및 항진균작용, 방사선의 보호작용, 항알킬화 작용 등의 약리적 기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생봉독내 각 성분조성과 포유동물 생체 조직내에서 작용은 하기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크리스토퍼 킴(Christopher Kim, 1992).
표2. 생봉독의 성분별 생체내 작용
성 분 약 리 적 작 용
메리틴(melittin) 세포용해작용(백혈구, 비만세포, 리소좀, 미토콘드리아),항염증작용, 면역작용
아파민(apamin) 신경통 완화작용, 진통작용, 항염증 작용, 면역작용,신경독 작용
MCD-펩타이드 401(MCD-peptide 401) 항염증작용
아도라핀(adolapin) 항염증작용, 진통작용, 해열작용
프로테아제 억제제(protease inhibitor) 단백질과 에스테르 용해 억제작용, 항염증 작용
세카핀(secapin) 저온증, 진정작용
터티아핀(tertiapin) 비만세포 탈과립 작용
프로카민(procamine A, B) 방사선 보호성과 관련
히아루로니다제(hyaluronidase) 조직분해 작용, 항원성 성분
포스포리파제 A2(phospholipase A2) 세포조직의 파괴성, 용혈작용, 촉매작용
알파-글루코시다제(a-glucosidase) 항체역할 증진
에시드 포스포모노에스테라제(acid phosphomonoesterase) 항체역할 증진
리소포스포리파제(lysophospholipase) 포스폴리파제 A2작용억제
히스타민(histamine) 혈압강화 작용, 장관수축 작용위산분비촉진 작용
도파민(dopamine) 신경전달 물질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포유동물 생체내에서 생봉독의 약리적 치료효과와 면역 기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생봉독을 해당 질환에 맞게 손쉽게 주입하여 치료시간을 단축시키고자 한다. 또한, 질병 발생 이전에 면역성을 높여서 해당 질환의 예방법을 마련하고자 한다.
한편, 생봉독의 주입 용량은 추출한 건조 생봉독의 경우에는 정확한 주입량을 결정할 수 있으나, 살아있는 벌에 의해 직접 동물의 체조직내로 주입되는 봉독의 주입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일벌 1마리의 평균 생봉독량이 0.03㎎인 것을 근거로 시술 마리수를 기초하여 생봉독액의 주입량을 결정한다.
크리스토퍼 킴(Christopher Kim, 1992)에 의하면 사람의 경우 체중 70㎏의 환자에 대한 생봉독 주입 마리 수는 1일 최대 20마리로 한정하고 있는데, 1일에 20마리를 모두 주입하면 총 생봉독량은 약 0.6㎎ 정도이다. 동물은 사람보다도 수명이 짧고 그 동안 살면서 여러 종류의 약물에 대한 내성이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사람보다도 적은 량의 생봉독이 주입되어도 치료효과 및 예방효과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봉독 시술을 위해서는 먼저 생봉독 요법용 꿀벌의 선정 및 채집이 필요하다. 꿀벌의 품종은 세계적으로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우리 나라에서 사육하고 있는 꿀벌의 품종은 동양종(재래종)과 이탈리안종이며, 그 가운데 이탈리안종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재래종(토종) 꿀벌은 시술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나, 사육환경 조건이 이탈리안종보다 까다롭고 환경적응 능력이 약해서 대중성이 저하된다. 이에 비해서, 이탈리안종 꿀벌은 대중성이 높고, 사양관리가 쉬우며, 번식능력이 높아서 강군을 유지하여 농가에서 시술용으로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국내환경에 적응성이 뛰어나고 사육장소를 옮겨도 적응을 잘하며, 분봉성이 약하여 관리하기에 안전하다. 게다가, 재래종 보다 성질이 순하고 월동능력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탈리안종 꿀벌을 사용하여 생봉독 요법을 수행한다.
이탈리안 종 꿀벌에는 여왕벌, 수펄, 일벌의 3종류가 있는데 여왕벌은 독낭과 봉침은 있으나 봉상 1군에 한 마리만 있으므로 이용할 수 없고, 수펄은 독낭과 봉침이 없어서 이용할 수 없다. 일벌은 봄부터 가을까지 지속적으로 번식되어 양봉 1군당(단상 10매군) 일벌의 숫자가 약 20,000마리를 유지하고 있고, 독낭과 봉침이 있으며 쉽게 포획할 수 있어 생봉독 주입용으로는 일벌만을 사용한다.
일벌 중에서도 독낭의 생봉독 저장량에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시술용으로 이용할 일벌을 선택할 때에는 외형적으로 구분하여 이용한다. 생봉독 주입용 꿀벌은 일벌중에서도 출방후 15일령 이상의 성숙된 일벌만을 포획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출방후 15일령 이상의 성숙된 일벌은 봉침이 강하면서 생봉독 주입이 잘되고, 생봉독량도 많이 주입되기 때문이다. 15일령 이상의 일벌에서는 약 0.02∼0.04mg(평균 0.03mg)의 생봉독이 독낭에 저장되어 있어, 자극을 받으면 신경작용에 의하여 독낭이 수축되면서 봉침을 통하여 생봉독이 외부로 분비된다. 17일령 이후에는 생봉독의 생산능력이 거의 정지되어 독낭의 무게가 변화되지 않는다.
시술용 일벌중에 노봉(老蜂)의 외형적 특징은 비교적 체구가 크면서 머리, 흉부 및 복부에 체모가 없고 광택이 있다. 전체적인 체색은 진한 흑갈색을 띄며, 성질은 외부 자극에 민감하여 공격력이 강한 편이다. 노봉일 수록 봉침이 강하여 생봉독의 주입과 봉침의 체조직 침투가 잘된다.
생봉독의 시술을 위해서는 먼저 15일령 이상의 일벌을 포획하여야 하는데, 일벌의 수명은 일정하지 않고 계절과 노동력에 따라 차이가 있다. 봄과 가을의 대유밀기에는 일벌들의 활동이 절정에 달하므로 수명이 1∼2개월 정도이고, 혹서기인 7∼8월에는 체온조절을 위한 대사촉진으로 1개월 정도의 수명인데 비하여 노동을 거의 하지 않는 겨울철의 일벌은 체력소모가 적기 때문에 약4∼6개월간 생존한다.
시술용 생봉을 포획할 때는 시술 전용 핀셋과 휴대 가능한 시술용 양봉상이 필요한데, 핀셋은 끝이 뽀족하고 첨단부위가 약간 넙적하면서 강한 것을 이용한다. 또한, 시술용 양봉상은 가로 11㎝, 높이 5㎝, 세로 6cm 정도의 작고 투명한 플라스틱 상자로서, 바닥을 제외한 다른 부위는 모두 공기가 잘 통하도록 공기창이 만들어진 것을 이용한다. 양봉상은 이탈리안 종 꿀벌을 약 250마리 이상 수용할 수 있으며, 바닥은 식량을 넣을 수 있는 먹이통이 있다. 이 먹이통에 기포 고당을 넣어주면 일벌은 이것을 식량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양봉상내에 식량이 떨어지지 않으면 일벌은 약 10∼20일간 생존이 가능하다. 이동 양봉상내에는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벌의 생존이 가능하다.
시술용 생봉을 포획하는 요령은 계절별로 차이가 있다.
첫째, 일벌이 밖에서 활동하지 않는 계절(늦가을부터 이른 봄철)은 봉상군내에서 가급적 봉구(蜂球)의 정태(靜態) 상태가 동태(動態)로 바뀌지 않게 자극하지 않는 상태하에서 주의하여 일벌을 봉침 전용 핀셋으로 포획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양봉상의 뚜껑 일부를 조용히 개봉하고 생봉을 포획시 벌의 다리를 핀셋으로 잡아 시술용 봉상에 수용하여 이용한다.
둘째, 일벌의 소문활동시기(늦봄부터 가을)에는 이른 아침 또는 일몰직전에 소문 앞에 활동하는 벌이 많지 않을 때에는, 양봉상 전면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용히 비켜서 접근한 다음, 미리 준비된 핀셋으로 벌의 다리부분을 잡고서 시술용 봉상내로 주의하면서 넣는다. 다음으로, 봉상 소문을 통한 일벌의 출입이 왕성할 때(벌의 활동시기 4월∼11월)에는, 시술용 봉상내에 기포고당을 먹이용으로 넣어주고 시술용 봉상의 고무밴드를 잠시 제거한 후 시술용 봉상의 문을 1/2∼3/4정도 열고서 느린 동작으로 열려진 시술용 봉상을 봉상군의 소문에 수직으로 세워놓는다. 이러한 상태로 10∼20분 정도 경과되면 약50∼300마리 정도의 일벌이 스스로 별다른 충격 없이 시술용 봉상내로 진입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벌의 포획 시에는 항상 다리를 핀셋으로 잡아야 한다. 일벌은 신체 손상이 없어야 장기간 생존할 수 있다(약 20일이상 생존 가능). 만약, 핀셋으로 복부와 두부, 흉부를 포획할 경우에는 체조직의 일부가 상처를 받게 되므로 단시간 내에 일벌이 치사되어 생봉을 이용한 생봉독의 시술이 어렵다.
시술용 봉상 내로 포획한 일벌을 장시간 생존시키기 위해서 식량이 필요한데, 적합한 식량으로는 기포 고당이다. 이 기포고당을 시술용 봉상에 넣어주면 10일이상 보관하여도 일벌이 이것을 식량 대용으로 빨아먹게 되어 생존력이 연장되므로 시술용 생봉독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액상 또는 완전 고당이 액상화되어 벌의 몸체부에 묻으면 벌의 흉부 및 복부 기공이 막혀서 벌의 수명이 단축되고 활동하지 못하여 치사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한편, 일벌은 5℃이하의 기온에 노출되면 저온충격으로 생존력이 저하되므로, 양봉상은 항상 5℃이상으로 보온을 하여야 한다. 특히, 겨울철 영하의 기온에서 생봉독 주입시술을 할 경우에는 보온이 꼭 필요하다. 여름철 무더위시에 시술용봉상에 포획된 일벌은 직사광선을 피하고 시원한 곳에서 보관하여야 장기간 생존할 수 있다. 특히, 여름철 뜨거운 직사광선이나 자동차내에 넣어 두면 치사가 빠르게 진행된다. 또한, 벌은 살충제에 매우 약하므로 모기향 또는 모기약 등의 살충제를 사용할 때에는 항상 격리시킨 다음 처리하여야 한다.
항상 시술용 봉상은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어두운 보호망 또는 비닐로 피복되지 않은 종이 봉투에 넣어서 이용하지 않을 때 벌의 활동을 억제시키어 수명을 연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돼지의 포유기 및 이유 직후에 다발하는 새끼 돼지의 세균성 설사병을 생봉독을 이용하여 치료하기 위해서 중수의학(中獸醫學)(황정일 등, 1992)과 돼지 침구치료(이종창, 1979) 문헌에 제시된 바 있는 돼지의 체부혈도를 기초로 하여 세균성 설사병에 생봉독을 주입하는 봉침혈위를 선정하였다.
〈실시 예 1〉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세균성 설사시의 생봉독 봉침혈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포유중 또는 이유후에 설사하는 자돈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사증의 봉침혈도를 기준으로 생봉독 요법을 행한다.
하기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세균성 설사의 생봉독 주입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균성 설사는 치료에 부합되는 돼지의 봉침혈위에 생봉독을 주입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생봉이 수용된 시술용 봉상을 준비하고, 준비된 봉상으로부터 생봉을 한 마리씩 핀셋으로 포획한다. 즉, 벌이 들어있는 시술용 봉상의 문을조금 열고서 핀셋으로 벌을 포획하는데, 이때는 벌의 체부(흉부 또는 복부)를 잡아서 꺼낸다. 이렇게 생봉을 포획한 후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설사병 시술 봉침혈도(=도 1)에 따라 생봉독을 시술한다.
먼저, 생봉독의 주입 1단계에서는 생봉독을 세균성 설사병과 관련된 주 봉침혈위인 해문혈(海門穴)(10), 교소혈(交巢穴)(12) 및 두구혈(??口穴)(14)에 주입한다. 이때, 해문혈(10)은 돼지의 배꼽을 중심으로 좌우 양쪽 1∼2cm 떨어진 지점이고 두구혈(14)은 돼지의 배꼽 중앙부위이다. 해문혈(10)과 두구혈(14)은 돼지의 소화기계을 관장하는 혈이다. 교소혈(12)은 항문 위쪽 미본(尾本)의 아래에 움푹 들어간 곳이고, 돼지의 생식기 질환, 소화기 질환 등을 관장하는 혈이다.
생봉독의 주입횟수는 설사병의 진행정도와 돼지의 체중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는 해문혈(10)에 좌우 1마리씩 시술하고, 교소혈(12)과 두구혈(14)에도 각 1마리를 시술한다.
생봉독의 주입 2단계에서는, 설사병의 치료 및 예방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설사병과 관련된 보조 봉침혈위인 백회혈(百會穴)(16), 삼리혈(三里穴)(18) 및 혈인혈(血印穴)(20)에 생봉독을 주입한다. 이때, 생봉독은 백회혈(16)에 1마리를 시술하고, 삼리혈(18)과 혈인혈(20)에 좌우 각 1마리씩 시술한다.
한편, 생봉독의 시술은 생봉 직접 주입시술법, 복부 절단 주입시술법중 한가지를 선택하거나 병용한다.
생봉직접 주입시술은 시술용 봉상에서 핀셋으로 직접 꺼낸 생봉을 치료대상 질환의 봉침혈위에 직자침하는 시술로서, 혈위에 직자침한 생봉은 봉침을 체조직에박혀있는 상태로 두면 봉침과 생봉독낭에 붙어있는 신경작용으로 생봉독이 계속 조직속으로 분비된다. 체조직에 침투하여 박혀있는 봉침은 인위적으로 제거를 하지 않아도 일정시간 지나면 저절로 빠져 나온다.
다음으로, 복부절단 주입시술은 시술 봉상에서 꺼낸 생봉을 두 개의 핀셋 또는 다른 한 손의 엄지와 검지로 벌의 흉부뒤의 날개를 잡고서 핀셋으로 시술하기에 편리하도록 생봉의 두부와 흉부를 제거하고 봉침이 부착된 복부만을 시술직전에 분리시킨 다음, 봉침혈위에 직자침하는 것으로, 복부의 수축작용에 의하여 봉침이 체조직으로 침투되면 복부는 분리되고 봉침만이 체조직에 남아서 봉독을 조직으로 주입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생봉독의 주입후에도 설사병이 완전히 치료되지 않으면 같은 방법으로 생봉독 시술을 반복한다. 즉, 생봉독 주입 후 치료 시간을 단축하거나 또는 치료효과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상태에 따라서 1차 시술위치와 동일 혈위에 2차 주입을 시도한다. 그러면, 설사병이 효과적으로 치료된다.
결과 및 고찰
생봉독을 이용한 돼지의 설사병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충청북도 청주시와 청원군, 진천군 소재 양돈장에서 포유중이거나 이유중인 자돈 273두를 대상으로 생봉독 치료요법을 수행하였다. 시술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생봉독 요법은 세균성 설사에 치료효과가 탁월하였고 항생제와 지사제를 병용하는 종래의 치료방식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생봉독 요법만으로 세균성 설사 자돈을 치료할 수 있었고, 자돈의 가장 큰 스트레스인 설사를 조기에 치료함으로써, 증체량에도 좋은영향을 주었다.
이상과 같은 생봉독을 이용한 돼지의 설사병 치료와 관련하여 포유자돈의 생봉독 처리군과 항생물질 치료군의 질병발생 현황을 조사하였다. 즉, 포유자돈에 대한 질병발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생봉독 요법군과 항생물질 치료군의 실험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1) 시험장소 및 시험기간
· 시험장소 : 원산 양돈장(충북 진천군 소재)
· 시험기간 : 1998년 6월 1일∼1998년 10월 30일
(2) 재료 및 시험방법
① 항생물질 치료군
공시 자돈 배치 : 모돈 24복에서 생산된 신생 자돈 240두를 대상으로 포유 또는 이유기에 설사하는 자돈을 일반 관행법에 따라 항생물질과 지사제를 병용하여 투약하였다.
② 생봉독 요법군
공시 자돈 배치 : 모돈 24복에서 생산된 신생 자돈 240두를 대상으로 포유 또는 이유기에 설사하는 자돈의 가검물을 분석한 다음 치료약물 대신에 생봉독요법을 실시하여 질병 발생현황을 조사하였다.
③ 기타 처치
생봉독 요법군과 항생물질 처리군에 대한 유행성 법정 전염병에 대한 예방백신 및 철분주사 등 필수적인 사항은 일반 관행법에 따라 처리를 하였다. 신생자돈의 포유기간은 모두 21일로 통일하였다.
모돈 48복에서 생산된 480두의 신생 자돈을 생봉독 요법군과 항생물 치료군으로 각각 240두씩 구분하여 설사증 발생 현황과 치료 결과를 조사하였다.
표 3. 세균성 설사 자돈에서 생봉독과 항생물질의 치료효과
실 험 군 모돈 두수 신생자돈수 설사증 치료율(%)
발생 자돈수 재발두수
생봉독 요법군 24 240 52 2 96.2
항생물질 치료군 24 240 48 5 90.6
상기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유기 및 이유기에 발생한 신생 자돈에 대한 세균성 설사증의 치료율은 항생물질 치료군에서는 90.6%이었지만 생봉독 요법군에서는 96.2%로 일반 관행법에 준한 약물치료군 보다 치료율이 높았다. 이때 설사증 재발두수는 1차 치료후 나타난 두수를 나타내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세균성 설사 치료법은, 자돈의 설사병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설사병 치료에 부합되는 주 봉침혈위와 보조 봉침혈위에 살아 있는 일벌의 봉침을 직자침하여 생봉독이 자연스럽게 주입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돼지의 세균성 설사병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항생물질을 쓰지않기 때문에 항생물질의 내성과 체내 잔류축적의 문제가 거의 걱정할 필요가 없고 치료효과도 높으며, 설사증 치료비(약품비, 수의사 비용)를 절감할 수 있고 매우 경제적인 안전하고 깨끗한 돈육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생봉이 수용된 시술용 봉상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시술용 봉상에서 핀셋으로 한 마리씩 생봉을 포획하는 단계(S2);
    포획된 생봉을 돼지의 설사병 치료와 관련된 주 봉침혈위인 해문혈(海門穴), 교소혈(交巢穴) 및 두구혈(??口穴)에 시술하는 단계(S3); 그리고
    상기 설사병의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설사병 치료와 관련된 보조 봉침혈위인 백회혈(百會穴), 삼리혈(三里穴) 및 혈인혈(血印穴)에 생봉을 시술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봉독을 이용한 돼지의 설사병 치료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와 상기 단계(S4)에서는 직접 주입시술법, 복부 절단 주입시술법중 한 가지 또는 병행하여 상기 주 봉침혈위와 상기 보조 봉침혈위를 중심으로 생봉을 시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봉독을 이용한 돼지의 설사병 치료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봉 직접 주입시술법은, 상기 시술용 봉상에서 시술용 핀셋으로 꺼낸 생봉을 상기 주 봉침혈위와 상기 보조 봉침혈위에 직자침하는 하는 시술로서, 혈위에 직자침한 생봉의 봉침이 상기 체조직에 박힌 상태에서 상기 생봉의 몸체만을 제거하는 것이며, 상기 복부절단 주입시술법은, 상기 시술용 봉상에서 핀셋으로 꺼낸 생봉을 시술자의 다른 한 손의 엄지와 검지로 생봉의 흉부 뒤쪽 날개를 잡고서 핀셋으로 시술하기에 편리하도록 생봉의 두부와 흉부를 제거하고 봉침이 있는 복부만을 시술직전에 분리시킨 다음, 상기 주 봉침혈위와 상기 보조 봉침혈위에 직자침하는 시술로서, 복부의 수축작용에 의하여 봉침이 상기 체조직으로 침투되면 복부는 분리되고 봉침만이 상기 체조직에 남아서 봉독을 상기 체조직내로 투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봉독을 이용한 돼지의 설사병 치료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봉은 이탈리안종 꿀벌로 출방후 15일령이상의 성숙된 일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봉독을 이용한 돼지의 설사병 치료법.
KR1019990005475A 1999-02-19 1999-02-19 생봉독을이용한돼지의설사병치료법 KR19990037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475A KR19990037905A (ko) 1999-02-19 1999-02-19 생봉독을이용한돼지의설사병치료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475A KR19990037905A (ko) 1999-02-19 1999-02-19 생봉독을이용한돼지의설사병치료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905A true KR19990037905A (ko) 1999-05-25

Family

ID=54780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475A KR19990037905A (ko) 1999-02-19 1999-02-19 생봉독을이용한돼지의설사병치료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9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055A (ko) * 2000-08-10 2002-02-20 주자문 생봉독을 이용한 송아지의 설사병 치료법
KR101638863B1 (ko) * 2015-05-21 2016-07-1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종벌 유래 세카핀 펩티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6936A (en) * 1973-05-07 1974-12-24 Schuyler Dev Corp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rtisol control
JPS55149214A (en) * 1979-05-10 1980-11-20 Toyama Chem Co Ltd Medical composition consisting of extract from liquid in bee poison gland
CN1049517A (zh) * 1990-09-01 1991-02-27 封惟尊 蜂毒酒的制造方法
CN1227111A (zh) * 1998-02-26 1999-09-01 吴有名 一种蜂毒膏及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6936A (en) * 1973-05-07 1974-12-24 Schuyler Dev Corp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rtisol control
JPS55149214A (en) * 1979-05-10 1980-11-20 Toyama Chem Co Ltd Medical composition consisting of extract from liquid in bee poison gland
CN1049517A (zh) * 1990-09-01 1991-02-27 封惟尊 蜂毒酒的制造方法
CN1227111A (zh) * 1998-02-26 1999-09-01 吴有名 一种蜂毒膏及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055A (ko) * 2000-08-10 2002-02-20 주자문 생봉독을 이용한 송아지의 설사병 치료법
KR101638863B1 (ko) * 2015-05-21 2016-07-1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종벌 유래 세카핀 펩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den et al. Black's veterinary dictionary
Heath et al. The lethal effect of mebendazole on secondary Echinococcus granulosus, cysticerci of Taenia pisiformis and tetrathyridia of Mesocestoides corti
Melo et al. Ovarian activation in Melipona quadrifasciata queens triggered by mating plug stimulation (Hymenoptera, Apidae)
Brown Hive products: pollen, propolis and royal jelly
El-Hawarry et al. Induced spawning of silver carp, Hypophthalmichthys molitrix using hormones/hormonal analogue with dopamine antagonists
Falahatkar et al. Spawning induction in Kutum, Rutilus frisii kutum (Kamensky), with different hormones: Analysis of hormone profiles and induced spawning success
KR101208741B1 (ko) 양식 어류의 운반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활어 운송방법
KR19990037905A (ko) 생봉독을이용한돼지의설사병치료법
KR19990037907A (ko) 생봉독을이용한돼지의유방염치료법
KR19990037904A (ko) 생봉독을이용한모돈의무유증치료법
Billard et al. Stimulation of spermiation in carp in response to LH-RH and D-Ala6-LH-RH ethylamide
KR20030039859A (ko) 생봉독을 이용한 자궁내막염 유우의 치료법
KR19990037903A (ko) 생봉독을이용한신생자돈의면역증진법
WO2019049163A1 (en) FISH REPRODUCTION BY ARTIFICIAL FRILLING WITH INJECTION CONTAINING BOTHERÉLINE AND DOMPERIDONE
Németh et al. Short Communication Induction of ovulation in the Pikeperch (Sander lucioperca L.) by ovarian lavage
KR19990037902A (ko) 생봉독을이용한돼지의관절염치료법
KR20020013054A (ko) 생봉독을 이용한 모돈의 mma 증후군의 치료법
KR20020013055A (ko) 생봉독을 이용한 송아지의 설사병 치료법
KR19990037906A (ko) 생봉독을이용한돼지의외상치료법
RU2563358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репродуктивной функции коров и жизнеспособности новорожденных телят
Nevill The experimental transmission of Parafilaria bovicola to cattle in South Africa using Musca species (subgenus Eumusca) as intermediate hosts
CN103652433B (zh) 肉用牛防治拉稀的饲料及其生产方法
CATTLE CASE REPORTS PYELONEPHRITIS IN CATTLE
Taslima et al. Induced breeding and larvae rearing of critically endangered riverine catfish Rita rita (Hamilton)
Whittier et al. Pinkeye in beef ca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