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894A - 레이저를이용한살균칫솔 - Google Patents

레이저를이용한살균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894A
KR19990037894A KR1019990005048A KR19990005048A KR19990037894A KR 19990037894 A KR19990037894 A KR 19990037894A KR 1019990005048 A KR1019990005048 A KR 1019990005048A KR 19990005048 A KR19990005048 A KR 19990005048A KR 19990037894 A KR19990037894 A KR 19990037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toothbrush
brush
sourc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0204B1 (ko
Inventor
박재석
Original Assignee
박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석 filed Critical 박재석
Priority to KR101999000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0204B1/ko
Publication of KR19990037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204B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치질시 레이저를 이용하여 구강내의 살균 및 치아의 미백을 위한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칫솔모가 형성되어 있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의 중앙부에 레이저 소스와 결합되는 오목렌즈에 의해 일단이 밀폐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 소스가 칫솔의 머리부에 삽입되어 상기 오목렌즈를 통해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레이저 소스는 칫솔의 손잡이에 내삽된 발광조절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구강내의 세균번식이 억제되어 구취가 발생되지 않으며, 각종 잇몸질환의 예방으로 치아와 잇몸을 더욱 건강하게 할 뿐만 아니라, 미백치약이 함유하고 있는 미백효과를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 {Sterilizing tooth brush used by laser}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양치질시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하여 치아와 잇몸, 그리고 칫솔모 등에 잔류하는 세균을 살균 및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미백치약에 함유된 성분이 치아에 더욱 효과적으로 침착되도록 한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에 관한 것이다.
전자파의 유도방출을 이용하여 빛을 증폭하는 장치를 레이저(Laser)라 하며, 광(光)으로서의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매질에 따라 탄산가스(CO2), 아르곤(Ar), 크립톤(Kr), 헬륨-네온(He-Ne) 등의 기체를 이용한 기체 레이저, 다이레이저(Dye Laser) 등의 액체 레이저, 루비(Ruby), 야그(YAG) 등을 이용한 고체 레이저로 분류될 수 있고, 비소화갈륨(GaAs) 등의 반도체 레이저가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레이저를 이용하여 많은 분야에서 여러가지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예로는 레이저 프린터(Laser Printer),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레이저 디스크(Laser Disk), 레이저 레이더(Laser Radar) 등이 있다.
근래에는 레이저 광선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레이저가 의료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즉, 레이저는 특정 파장의 광선과 반응하는 특정한 조직에 흡수되어 상기 조직을 파괴시키므로 치료하고자 하는 조직에 따라 치료효과가 있는 레이저 광선의 파장이 서로 다르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치료하고자 하는 조직만 선택적으로 파괴시키는 레이저 광선을 이용한 피부질환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치의학 분야에서도 그 이용율이 괄목할 만하게 성장하고 있고, 기존의 핸드피스(Hand Piece)를 대신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통상, 충치를 예방하고, 치아를 청결하게 하기 위해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질을 하거나, 치실, 치간칫솔, 치태조절제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 방법중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칫솔이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연령 및 상태에 따라 다양한 칫솔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칫솔머리의 크기, 강모다발의 열 수, 칫솔모의 길이 및 너비 등이 고려되어 사용자에 적당한 칫솔이 선택된다. 또한, 지체부자유자나 장기입원환자 등을 위한 전동칫솔이 시판되고 있다. 그리고, 구강내에는 유해 및 무해를 떠나 많은 세균이 살고 있으며, 세균에 의한 오염을 막고 상쾌감을 얻기 위해 구강내에 존재하는 세균을 죽이는 구강청정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양치질을 한 이후의 칫솔에는 세균이 존재하는데, 종래에는 세균의 증식을 막고,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적외선/자외선 등의 살균기내에 칫솔을 보관하여 필요시 사용하거나, 뜨거운 물에 담갔다가 꺼내는 방법에 의한 소독을 하거나, 약품으로 칫솔을 살균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행되는 칫솔의 살균방법은 별도의 살균기를 사용하거나, 약품, 또는 별도의 부가설비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롭고, 사용이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치아가 누렇게 변색되었거나, 원래의 치아의 색이 하얗지 않아서 미백을 원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먼저,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 가정에서 하는 미백(Home Bleaching)이 있는데 이는 양치질할 때마다 미백치약을 이용하여 양치질을 하는 것으로서, 이 방법은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미백효과가 나타나기까지는 장시간이 소요되고, 미백효과가 더디게 나타나므로 사용자가 쉽게 만족하지 못하는등 그 효과가 적었다.
다음으로 병원등의 치과에서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치아의 리테이너(Retainer) 또는 마우스 가드(Mouth Guard)로 약품을 도포하여 취침시 약품이 도포된 리테이너 또는 마우스 가드를 물고 자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수면시간 동안 약품이 치아에 스며들게 하여 어느 정도의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게 하여 숙면을 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레이저를 이용한 미백(Laser Bleaching), 울트라라이트(Ultra Light)를 이용한 미백이 있는데, 이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비해 단시간에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많은 비용이 부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칫솔을 사용하면서 소독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세균에 노출된 상태에 있는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질을 했고, 별도의 소독기구를 사용하기가 번거로웠으며, 세균을 전염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미백을 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은 효과가 더디게 나타나거나, 효과는 빠르더라도 비용부담이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칫솔을 사용중 구강내에 존재하는 세균, 또는 사용한 후에 칫솔모에 존재하는 세균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살균하며, 세균번식을 억제시키도록 하기 위한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미백을 위한 성분이 레이저가 조사됨으로써 치아에 원활하게 침착되어 미백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분해도이다.
도3은 도2의 브러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a는 도3의 저면도이고, 도4b는 도3의 정면도이며, 도4c는 도3의 측면도이다.
도5는 도2의 홀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a는 도5의 평면도이고, 도6b는 도5의 배면도이며, 도6c는 도5의 측면도이다.
도7은 도2의 브러쉬와 홀더를 결합한 모습을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레이저 다이오드의 발광을 조절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칫솔 12 : 머리부
14 : 스위치 16 : 충전기
18 : 발광체 20, 56 : 브러쉬(Brush)
22 : 칫솔모 24, 58 : 후크(Hook)
26, 59 : 오목렌즈 28, 34, 40, 54 : 홀(Hole)
29, 55 : 홀더(Holder) 30 : 홈
32 : 레이저 다이오드 36 : 걸림턱
38, 45 : 덮개 42 : 조절박스
43 : 전지 44 : 손잡이
46 : 코일 47 : 충전박스
50 : 발광조절부 51 : 광학계
52 : 평면거울 60 : 연결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연장되며 일면에 칫솔모가 식모되어 있는 머리부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가 식모된 전방으로 조사되도록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수단이 칫솔내에 설치된다.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의 일 실시예로서는, 상기 머리부 중앙에 천공된 브러쉬홀에 소정길이 삽입되고, 전단에 오목렌즈가 부착되어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소스(Laser Source), 상기 손잡이에 내삽되어 상기 레이저 소스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및 상기 레이저 소스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레이저의 조사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머리부는 홀더와 브러쉬로 분할되고, 상기 홀더와 브러쉬에는 걸림턱과 후크가 형성되어 분리/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 소스가 내장된 머리부에는 레이저 소스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분산하는 오목렌즈가 장착되고, 상기 레이저 소스는 레이저 다이오드, 다이오드 레이저(Diode Laser), 반도체 레이저 등으로 치과용 치료에 사용되는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수단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기 머리부의 내부에형성되고, 상기 칫솔모가 식모된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 평면거울,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평면거울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칫솔의 심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소스, 상기 레이저 소스로부터 상기 홀을 통해 조사되는 레이저를 평행빔으로 형성시키는 광학계, 상기 손잡이에 내삽되어 상기 레이저 소스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및 상기 레이저 소스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레이저의 조사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에 관한 일 실시예로서의 대표적인 사용예가 도1에 도시되어 있는데, 칫솔(10)은 칫솔모가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12)와 양치질시 손으로 잡게 되는 손잡이(44)로 구성되며, 칫솔(10)의 손잡이(44)를 삽입하여 손잡이(44) 내에 내장된 전지(도시되지 않음)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기(16)가 구비되어 있다. 충전기(16)에는 충전여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발광체(18)가 구비되어 있고, 칫솔(10)의 목부분에는 칫솔(10)을 살균하기 위한 전원의 공급을 단속하는 스위치(14)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2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10)을 분해한 도면으로서, 브러쉬(20)와홀더(29)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브러쉬(20)의 중앙부에는 홀(2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러쉬(20)의 중앙부에는 칫솔모(22)가 식모되어 있지 않다. 홀더(29)에는 중앙부가 통공된 홀(34)이 형성되어 있고, 홀(34)에는 레이저 다이오드(32)가 전단에 오목렌즈(26)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레이저 다이오드(32)는 홀더(29)에 형성되어 있는 턱에 접합제로 접착되어 있어서 홀더(29)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는다. 레이저 다이오드(32)에 오목렌즈(26)가 부착된 상태에서 홀더(29)와 결합되면 소정길이 돌출되어서 브러쉬(20)에 형성되어 있는 홀(28)에 소정길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32)는 칫솔(10) 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홀(40)을 통해 손잡이(44)의 내부에 구성되는 조절박스(42)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레이저의 세기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손잡이(44)에는 전술한 조절박스(42)와 전지(43)가 삽입되어 있고, 전지(43)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스위치(14)가 손잡이(44)에 구성되며, 조절박스(42) 및 전지(43)의 기밀을 유지하고 충전을 위한 충전박스(47) 및 코일(46)이 설치되어 있는 덮개(45)가 구비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코일(46)은 충전기(16)에 구비되어 있는 코일(도시하지 않음)과의 유도작용에 의해 전원을 충전박스(47)로 공급하여 전지(43)가 충전되도록 하며, 칫솔(10)이 사용되는 환경, 즉 물에 접촉되기 쉬운 환경에서 전기로 인한 위험이 없도록 구성한 것이다. 손잡이(44)와 덮개(45)는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져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결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충전박스(47)와전지(43)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칫솔(10)의 심부에는 레이저 다이오드(32)와 조절박스(4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홀(40)을 통해 도선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브러쉬(20)에는 홀더(29)와의 결합을 위한 후크(24)가 형성되어 있어서, 홀더(29)에 형성되어 있는 홈(30)에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홀더(29)의 내측에는 브러쉬(20)를 지지하는 걸림턱(36)이 형성되어 있고, 홀(34)의 레이저 다이오드(32)가 삽입되는 후방으로 레이저 다이오드(32)를 지지하고 홀(34)을 밀폐하기 위한 덮개(38)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10)은 브러쉬(20)와 홀더(29)가 결합되면서 레이저 다이오드(32)가 브러쉬(20)에 소정 길이 삽입되고, 칫솔(10)을 이용하여 양치질하는 동안 또는 필요에 따라 스위치(14)의 조작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32)에 전원이 공급되면 레이저에 의한 살균이 이루어지고, 사용하는 치약의 특성이 더욱 효과적으로 나타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칫솔(10)을 사용하여 양치질을 하는 동안 스위치(14)를 조작하여 레이저 다이오드(32)에 전원을 공급하면 레이저 다이오드(32)로부터 소정 세기의 레이저가 조사되고, 양치질을 하는 동안 칫솔모(22) 또는 구강내에 존재하는 각종 세균이 살균된다. 이때 조사되는 레이저는 인체에는 무해한 것으로 통상 치과에서 사용되는 레이저의 특성을 갖는 살균효과를 갖으며, 사용자의 연령 또는 건강상태 등에따라 레이저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미백치약을 사용하는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32)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치약에 함유된 미백성분이 치아에 침착되는 비율이 높아져서 미백효과가 탁월하게 나타난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세부적인 형상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브러쉬(20)의 형상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네개의 후크(24)가 형성되고, 칫솔모(22)가 고르게 식모되어 있으며, 특히 중앙부에는 오목렌즈(26)가 설치되므로 칫솔모(22)가 식모되지 않고, 레이저 다이오드(32)로부터 구강내에 직접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이루어지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도4a 내지 도4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브러쉬(20)의 저면도에는 'L'자 모양으로 꺾인 다수개의 후크(24)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홀(28)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28)에는 오목렌즈(26)가 부착된 레이저 다이오드(32)가 소정길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홀더(29) 양측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20)에 형성된 다수개의 후크(24)가 후킹(Hooking)되는 홈(3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홀더(29) 중앙에는 홀(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브러쉬(20)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갖으면서 브러쉬(20)를 지지하는 걸림턱(36)이 형성되어 있고, 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도선이 내입되도록 홀(40)이 형성되어 있다. 도6a 및 도6c에서 보듯이 홀더(29) 내부에는 레이저 다이오드(32)가 삽입되도록 적정공간을 갖는 홀(34)이 형성되어 있고, 홀더(29)의 후방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덮개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7은 레이저 다이오드(32)에서 조사되는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스위치(14)의 조작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면서 레이저 다이오드(32)로부터 레이저가 조사되는데, 홀더(29)로부터 브러쉬(20)로 소정 깊이 삽입되어서 오목렌즈(26)를 통해 소정 각도로 분산되어 칫솔모(22)에 전체적으로 레이저가 조사된다. 또한 칫솔모(22)가 식모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통해 직접 조사되어서 더욱 높은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32)로 전원공급 및 세기조절을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8에 도시되어 있는데,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14)가 전원과 발광조절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발광조절부에는 레이저 다이오드(32)가 연결되어서 세기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가 도9에 도시되어 있는데, 칫솔의 머리부의 내부에 평면거울(52)을 설치하고, 손잡이(44)로부터 머리부를 향하는 심부에 홀(54)이 형성되어 있어서 손잡이(44) 내에 설치된 레이저 다이오드(32)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평행빔을 형성하기 위한 광학계(51)를 통해 평면거울(52)에 반사되어 브러쉬(56)로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평면거울(52)에 반사되어 조사되는 방향의 홀더(55)에는 오목렌즈(59)가 설치되어 있어서 반사되는 레이저가 분산되면서 조사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칫솔에 의하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평면거울(52)에 조사된 레이저가 오목렌즈(59)를 통해 분산되면서 브러쉬(56)의보다 넓은 면으로부터 레이저가 조사됨을 알 수 있다. 이렇듯 브러쉬(56)의 넓은 면에서 레이저가 조사됨으로써 양치질하는 동안 살균 및 미백효과가 증진된다. 브러쉬(56)와 홀더(55)는 후크(58)와 홈(30)을 형성하여 분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광학계(51)를 포함하는 손잡이와 머리부분을 분리/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소모품인 브러쉬(56)를 포함하는 머리부분 전체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칫솔(10)을 브러쉬(20)와 홀더(29)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수분에 쉽게 노출되어서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레이저 다이오드(32)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브러쉬(20)와 홀더(29)를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기간이 경과하여 수명이 다된 칫솔모(22)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도 유익하다.
그리고, 레이저 다이오드(32)로 공급되는 전원이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 전지를 병용할 수 있도록 제작함이 더욱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는 조사되는 레이저는 인체에 안전한 세기를 갖는 것으로, 통상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소스이며, 다이오드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구강내 세균번식이 억제되어서 유해한 세균수가 현저히 감소되며, 특히 혐기성 박테리아의 번식을 억제하므로 치태가감소하여 구취가 현저히 줄어든다. 또한 구강내 세균번식이 억제되므로 충치의 예방효과가 있고, 각종 잇몸질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아를 더욱 하얗게 하기 위한 미백치약을 사용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을 사용한다면 미백치약속에 함유된 미백제가 더욱 효과적으로 치아에 침착할 수 있게 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구강내의 세균번식이 억제되어 구취가 발생되지 않으며, 각종 잇몸질환의 예방으로 치아와 잇몸을 더욱 건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치약이 함유하고 있는 특성을 배가시켜 미백제가 치아에 침착되는 비율이 향상되어 미백효과를 단시간에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치질 후 상쾌감을 얻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연장되며 일면에 칫솔모가 식모되어 있는 머리부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가 식모된 전방으로 조사되도록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수단이 칫솔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은,
    상기 머리부 중앙에 천공된 브러쉬홀에 소정길이 삽입되고, 전단에 오목렌즈가 부착되어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소스;
    상기 손잡이에 내삽되어 상기 레이저 소스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및
    상기 레이저 소스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레이저의 조사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스위치;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은,
    상기 머리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칫솔모가 식모된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 평면거울;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평면거울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칫솔의 심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소스;
    상기 레이저 소스로부터 상기 홀을 통해 조사되는 레이저를 평행빔으로 형성시키는 광학계;
    상기 손잡이에 내삽되어 상기 레이저 소스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및
    상기 레이저 소스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레이저의 조사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스위치;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소스는 치료용 레이저를 제공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
KR1019990005048A 1999-02-12 1999-02-12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 KR100280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048A KR100280204B1 (ko) 1999-02-12 1999-02-12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048A KR100280204B1 (ko) 1999-02-12 1999-02-12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894A true KR19990037894A (ko) 1999-05-25
KR100280204B1 KR100280204B1 (ko) 2001-01-15

Family

ID=5478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048A KR100280204B1 (ko) 1999-02-12 1999-02-12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02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710B1 (ko) * 2004-06-21 2006-02-13 박진수 저출력 광원을 이용한 상아질 과민증 예방 및 치료용 칫솔
KR100773210B1 (ko) * 2006-08-11 2007-11-02 전병옥 살균 및 잇몸치료 기능을 갖는 칫솔
KR100801581B1 (ko) * 2007-09-06 2008-02-05 조현주 칫솔
KR100821174B1 (ko) * 2008-01-24 2008-04-16 조현주 칫솔
KR101351781B1 (ko) * 2012-02-15 2014-01-14 최선일 방사형 레이저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23282S1 (en) 2014-03-17 2015-03-03 Gosmile, Inc. Toothbrush head
KR102182096B1 (ko) * 2019-02-12 2020-11-23 김형우 구강관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710B1 (ko) * 2004-06-21 2006-02-13 박진수 저출력 광원을 이용한 상아질 과민증 예방 및 치료용 칫솔
KR100773210B1 (ko) * 2006-08-11 2007-11-02 전병옥 살균 및 잇몸치료 기능을 갖는 칫솔
KR100801581B1 (ko) * 2007-09-06 2008-02-05 조현주 칫솔
KR100821174B1 (ko) * 2008-01-24 2008-04-16 조현주 칫솔
KR101351781B1 (ko) * 2012-02-15 2014-01-14 최선일 방사형 레이저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0204B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2598B2 (en) Multi-wavelength oral phototherapy applicator
US5658148A (en) Dental laser brushing or cleaning device
US6056548A (en) Hygienic dental laser photo treatment method
US629049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thermal destruction of oral bacteria
KR101028915B1 (ko) 전자기 방사선 방출 칫솔 및 치분 시스템
US20060194164A1 (en) Oral appliance with heat transfer mechanism
US20170290648A1 (en) Light-guiding mouthguard assembly
US20140295373A1 (en) Device for treating gingiva/ mucosa at teeth or implants
KR100280204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
JP2007098054A (ja) 歯科インプラント及び歯科インプラント用アバットメント
KR20060032589A (ko) 광-활성화 살균
JPS6331641Y2 (ko)
KR100773210B1 (ko) 살균 및 잇몸치료 기능을 갖는 칫솔
KR20100079228A (ko) Led를 응용한 치아 미백 및 소독칫솔
KR20220118652A (ko) 플렉스블 red oled가 구비된 상부와 하부 가짜 치아 (이빨 커버)로 이루어진 구강치료장치
KR101178052B1 (ko) 레이저 살균기능을 갖는 칫솔
KR20240067486A (ko) 미세전류를 이용하는 칫솔장치 및 칫솔 살균기
JPS6137246A (ja) 携帯用殺菌装置
JP2005034475A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