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783U - 전동 충전식 앵커너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충전식 앵커너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783U
KR19990037783U KR2019980003616U KR19980003616U KR19990037783U KR 19990037783 U KR19990037783 U KR 19990037783U KR 2019980003616 U KR2019980003616 U KR 2019980003616U KR 19980003616 U KR19980003616 U KR 19980003616U KR 19990037783 U KR19990037783 U KR 199900377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nut
striking member
power tool
distal end
press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섭
Original Assignee
윤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섭 filed Critical 윤병섭
Priority to KR2019980003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783U/ko
Publication of KR199900377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783U/ko

Links

Landscapes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 충전식 앵커너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벽(10)에 소정깊이의 구멍을 뚫고, 쇄기봉(20)을 삽입하여 전동공구(30)를 통해 고정시키도록 한 앵커너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공구(30)의 선단에는 연결부재(40)를 착탈가능하게 끼우고, 이 연결부재(40)의 선단에 타격부재(50)를 결합하며, 이 타격부재(50)의 선단에 형성된 돌출부(51)를 통해 끼워지는 압입관(60)이 구비되고, 상기 타격부재(50)와 압입관(60) 사이에 와셔(70)가 구비되어 상기 압입관(60)의 내부에 쇄기봉(20)이 삽입.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기존의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앵커너트를 벽에 고정시킬 때, 압입관, 타격부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 충전식 앵커너트 고정장치
본 고안은 전동 충전식 앵커너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등에 앵커너트를 고정할 때 보다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전동 충전식 앵커너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건물등의 벽에 보울트등을 고정하여 물품들을 걸어두고자 하는 경우, 종래에는 드릴등으로 벽을 일정 깊이 뚫은 다음, 보울트를 망치등의 공구를 통해 타격하여 삽입한 다음, 구부러뜨려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납 덩어리를 손으로 일이 말아서 망치로 타격하여 고정시키도록 하였다. 또는 에폭시를 뚫은 구멍에 충전시켜 보울트를 고정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고정하는 작업시간 및 작업인원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이며, 더욱이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보울트의 고정시, 자칫 실수하여 벽에 손상을 입히는 경우도 많아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타격공구를 이용하여 보울트를 벽에 고정시킬 때, 앵커너트를 삽입하여 보다 확실하면서도 간편하게 보울트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동 충전식 앵커너트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벽에 소정깊이의 구멍을 뚫고, 쇄기봉을 삽입하여 전동공구를 통해 고정시키도록 한 앵커너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공구의 선단에는 연결부재를 착탈가능하게 끼우고, 이 연결부재의 선단에 타격부재를 결합하며, 이 타격부재의 선단에 형성된 돌출부를 통해 끼워지는 압입관이 구비되고, 이 압입관의 내부에 앵커너트가 삽입.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격부재와 압입관 사이에 와셔를 끼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선단에는 나사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타격부재의 일측 내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입관의 일측 내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타측 둘레면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이 절개부의 일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곡부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벽
20 : 쇄기봉
30 : 전동공구
40 : 연결부재 41 : 나사편
50 : 타격부재 51 : 돌출부
52 : 나사홈
60 : 압입관 61 : 나사홈
62 : 절개부 63 : 절곡부
70 : 와셔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사시도로서, 벽(10)에 소정깊이의 구멍을 뚫고, 쇄기봉(20)을 삽입하여 전동공구(30)를 통해 고정시키도록 한 앵커너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공구(30)의 선단에는 연결부재(40)를 착탈가능하게 끼우고, 이 연결부재(40)의 선단에 타격부재(50)를 결합하며, 이 타격부재(50)의 선단에 형성된 돌출부(51)를 통해 끼워지는 압입관(60)이 구비되고, 이 압입관(60)의 내부에 앵커너트(20)가 삽입.고정되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타격부재(50)와 압입관(60) 사이에 와셔(70)를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0)의 선단에는 나사편(4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타격부재(50)의 일측 내부에는 나사홈(52)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입관(60)의 일측 내부에는 나사홈(61)이 형성되고, 타측 둘레면에는 절개부(62)가 형성되며, 이 절개부(62)의 일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곡부(6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80은 보울트, 90은 매달고자 하는 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천정벽(10)등에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천정벽(10)의 소정위치에 구멍을 드릴등의 공구로 뚫은 다음, 미리 전동공구(30)의 선단에 끼워진 연결부재(40)의 선단 나사편(41)을 타격부재(50)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홈(52)을 통해 나합한다.
그런 다음에, 계속해서 타격부재(50)를 선단에 돌출된 돌출부(51)를 압입관(60)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홈(61)에 끼울 때 와셔(70)를 중간 매개체로 하여 결합한다. 이때 압입관(60)의 일단 내부에는 쇄기봉(20)이 삽입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전동공구(30)에 전원을 인가하여 가동시키면, 연결부재(40)를 매개로 하여 연속되게 연결된 타격부재(50)가 진동하면서 압입관(60)을 밀게되고, 그에따라 천정벽(10)등의 구멍에 압착된다. 압착될 때, 압입관(6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절개부(62)가 형성되어 있어 내경이 확장되면서 쇄기봉(20)을 조이게 되고, 더욱이 압입관(60)에 형성된 절곡부(63)가 밀리는 힘에 의해 쪼그라들어 천정벽(10)의 구멍 내벽에 밀착된다.
이렇게 하여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타격부재(50)와 전동공구(30)를 빼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트(80)를 천정벽(10)의 구멍안에 밀착.고정된 압입관(60)의 나사부(61)에 나합하여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에, 끈(90)등을 매달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앵커너트를 벽에 고정시킬 때, 압입관, 타격부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편의상 첨부도면을 통해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범주내에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데, 전동공구에 끼워지는 연결부재 대신에 여러형태의 구조를 가진 대체물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벽(10)에 소정깊이의 구멍을 뚫고, 쇄기봉(20)을 삽입하여 전동공구(30)를 통해 고정시키도록 한 앵커너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공구(30)의 선단에는 연결부재(40)를 착탈가능하게 끼우고, 이 연결부재(40)의 선단에 타격부재(50)를 결합하며, 이 타격부재(50)의 선단에 형성된 돌출부(51)를 통해 끼워지는 압입관(60)이 구비되고, 상기 타격부재(50)와 압입관(60) 사이에 와셔(70)가 구비되어 상기 압입관(60)의 내부에 쇄기봉(20)이 삽입.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충전식 앵커너트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의 선단에는 나사편(4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타격부재(50)의 일측 내부에는 나사홈(52)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충전식 앵커너트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관(60)의 일측 내부에는 나사홈(61)이 형성되고, 타측 둘레면에는 절개부(62)가 형성되며, 이 절개부(62)의 일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곡부(63)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충전식 앵커너트 고정장치.
KR2019980003616U 1998-03-12 1998-03-12 전동 충전식 앵커너트 고정장치 KR199900377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616U KR19990037783U (ko) 1998-03-12 1998-03-12 전동 충전식 앵커너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616U KR19990037783U (ko) 1998-03-12 1998-03-12 전동 충전식 앵커너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783U true KR19990037783U (ko) 1999-10-15

Family

ID=6971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616U KR19990037783U (ko) 1998-03-12 1998-03-12 전동 충전식 앵커너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78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140942B (no) Ekspansjonsslagplugg med spennhylse og spennelement
WO2003058076B1 (en) Anti-rotation tacking rivet
HUP9903608A2 (hu) Csavar fém és/vagy műanyag profilnak, vagy lapnak egy aljzatra történő rögzítésére
KR20200093381A (ko) 세트 앵커볼트
DK0841491T3 (da) Fastgørelseselement til indsætning i et blindhul samt fremgangsmåde til anbringelse af et fastgørelseselement
KR20180072501A (ko) 전동공구용 앵커 펀치
KR19990037783U (ko) 전동 충전식 앵커너트 고정장치
PT1085220E (pt) Bucha para cavilha
JP2011121159A (ja) アンカー打込工具
CN117480302A (zh) 展开式套筒、地脚螺栓及成套锚栓
KR930006509Y1 (ko) 앵커 볼트 타정 용구
KR20070003474A (ko) 고정용 앵커
KR200429850Y1 (ko) 해머드릴용 앵커펀치
KR20190002120U (ko) 앙카 펀치
KR200274232Y1 (ko) 스트롱 앵커볼트용 연결구
KR200405547Y1 (ko) 안전 클램프
CN216634234U (zh) 一种吊顶螺丝安装工具
KR20080013681A (ko) 해머드릴용 앵커펀치
KR100729143B1 (ko) 앵커 볼트의 고정장치
CN210099941U (zh) 一种冲击棒和带有冲击棒的电锤
KR200247280Y1 (ko) 앵커볼트 고정구
KR100674466B1 (ko) 앵커부재
KR20030061133A (ko) 스트롱 앵커볼트용 연결구
JP2952219B2 (ja) めねじスクリューアンカー打設用治具
KR20200004053A (ko) 앙카 펀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