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749A - 펄프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펄프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749A
KR19990037749A KR1019990000551A KR19990000551A KR19990037749A KR 19990037749 A KR19990037749 A KR 19990037749A KR 1019990000551 A KR1019990000551 A KR 1019990000551A KR 19990000551 A KR19990000551 A KR 19990000551A KR 19990037749 A KR19990037749 A KR 19990037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mold
pulp
hol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5090B1 (ko
Inventor
박동철
Original Assignee
허일권
박동철
두양베벨기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일권, 박동철, 두양베벨기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허일권
Priority to KR101999000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5090B1/ko
Publication of KR19990037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3/00Manufacture of articles by pressing wet fibre pulp, or papier-mâché, between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2Containers made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로이드 섬유로 이루어진 펄프를 흡입펌프와 몰드(mold)를 사용하여 흡착시켜 특정 형태를 갖는 용기 내지는 완충재 등을 성형하는 펄프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펄프 흡착용 몰드에는 수많은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들을 통해 진공펌프의 흡입력이 전달되어 펄프는 흡착시키고 물은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므로 흡입용 구멍들이 막혀지는 등의 폐단이 종종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입몰드(15)가 사각틀체(14)의 회전에 의하여 좌측에 위치되면 물분사용 펌프(17a)에서 분출된 물이 돌출부(15a)의 구멍(15b)들을 통해 외부로 분출되면서 구멍(15b)에 끼여진 펄프(18a)의 찌꺼기들이 깨끗하게 세척되어 배출되는 것이므로 종래의 기술에서 흡입용 구멍(15b)에 펄프(18a)의 찌꺼기가 끼임으로 인하여 흡입력이 저하되고 제품의 표면이 거칠어지면서 펄프의 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완벽하게 해소되는 동시에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3개의 상부몰드(22)와 2개의 이동몰드(32), 1개의 흡입몰드(15)에 의하여 성형물(18b)이 완전히 건조될 때 까지 계속하여 가압ㆍ가열되고 완성된 성형물(18b)만 자동으로 낙하되는 것이므로 건조된 제품의 뒤틀림이나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고품질의 완충재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펄프 성형장치{An adult form pulp mold system}
본 발명은 셀룰로이드 섬유로 이루어진 펄프를 흡입펌프와 몰드(mold)를 사용하여 흡착시켜 특정 형태를 갖는 용기 내지는 완충재 등을 성형하는 펄프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펄프의 성형은 미세한 섬유질로 이루어진 셀룰로이드를 물에 용해시킨 펄프 재료를 몰드와 흡입펌프를 사용하여 흡착시켜 물은 배출시키고 펄프는 건조시켜 몰드의 외형과 상응하는 제품을 성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주로 펄프와 폐지를 재활용한 재생펄프 등을 혼합시킨 재료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포장용 완충재등으로 사용된다.
전술한 몰드에는 수많은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들을 통해 진공펌프의 흡입력이 전달되어 펄프는 흡착시키고 물은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것이므로 구멍이 막혀지는 등의 폐단이 발생된다.
즉, 몰드에 뚫려진 미세한 구멍을 사용하여 펄프를 흡착시키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는 흡입용 구멍에 펄프의 찌꺼기가 끼임으로 인하여 흡입력이 저하되는 동시에 제품의 표면이 거칠어지면서 펄프의 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또한, 흡입용 몰드에 흡착된 펄프를 가압성형하여 건조시키는 상부몰드에는 히터가 장착되어 펄프의 건조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주로 몰드의 몸체에 구멍을 천공하여 전열선을 내장한 히터를 삽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멍의 내부에 전열선을 내장한 히터를 삽입시키는 경우에는 히터가 구멍의 내부에서 완전히 밀착되는 것이 아니므로 열전도율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몰드를 가열시키는 작업에 많은 시간을 빼앗기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흡입 용 몰드에 뚫려진 구멍이 펄프 찌거기에 의하여 막혀지는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상부몰드의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펄프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모터(11a)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관(11)의 내부에는 파이프(12)가 삽입되어 그 양측에는 물분사용 펌프(17a)와 흡입용 펌프(17b)가 각각 접속되고, 그 내부에는 에어분사용 펌프(17c)와 접속된 블로우관(13)이 삽입되어 회전관(11)에 각각 뚫려진 물분사공(12a), 흡입공(12b), 블로우공(12c)과 연통되며, 회전관(11) 외부에 장착된 사각틀체(14)의 외측면 사방에는 무수한 구멍(15b)들이 천공된 돌출부(15a)를 갖는 흡입몰드(15)들이 장착되어 연결관(16)들에 의하여 회전관(11)에 형성된 물분사공(12a), 흡입공(12b), 블로우공(12c)들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고 최하측에 위치된 흡입몰드(15)는 펄프(18a)가 담겨진 탱크(18)에 침수되는 흡착부(10)와,
상기 흡착부(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실린더(21)의하여 승강되는 상부몰드(22)에는 흡입몰드(15)의 돌출부(15a)와 상응하는 형상의 가압홈(22a)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가열수단(23)이 구비되며, 가압홈(22a)에 뚫려진 무수한 구멍(22b)들이 에어의 흡입과 분사를 반복하는 펌프(17d)에 접속되는 가압부(20)와,
상기 흡착부(10)와 가압부(20) 사이에 위치되어 가이드레일(31a)에 장착되어 실린더(31)에 의하여 수평으로 이동되는 이동몰드(32)에는 무수한 구멍(32b)이 뚫려진 돌출부(32a)가 형성되어 에어의 흡입과 분사를 반복하는 펌프(17d)에 접속되는 이동부(30)에 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개략적인 장치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흡입부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도 2의 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흡입부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5a, 도 5b, 도 5c는 흡입몰드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가압부와 이동부를 예시한 장치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흡입부
11 : 회전관
11a : 모터
12 : 파이프
12a : 물분사공
12b : 흡입공
12c : 블로우공
12d : 격벽
13 : 블로우관
14 : 사각틀체
15 : 흡입몰드
15a, 32a : 돌출부
15b, 32b, 22b : 구멍
16 : 연결관
17a : 물분사용펌프
17b : 흡입용펌프
17c : 에어분사용펌프
17d : 펌프
17e : 순환용펌프
18, 24a : 탱크
18a : 펄프
18b : 성형물
20 : 가압부
21, 31 : 실린더
22 : 상부몰드
22a : 가압홈
23 : 가열수단
23a : 순환공
24 : 열매체오일
25 : 히터
30 : 이동부
31a : 가이드레일
32 : 이동몰드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착부(10)는 탱크(18)에 담겨진 펄프(18a)를 흡입하여 흡입몰드(15)의 외부에 흡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사각틀체(14)의 중심에 축설된 회전관(11)은 모터(11a)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회전관(11)의 내부에는 파이프(12)가 삽입되어 있다. 물론, 이 파이프(12)는 회전관(11)의 회전에 관계 없이 항상 고정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12)의 중앙은 격벽(12d)에 의하여 막혀져 있고, 그 양측에는 물분사용 펌프(17a)와 흡입용 펌프(17b)와 연결되는 호스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12)의 내부에는 직경이 작은 블로우관(13)이 삽입되어 있고, 이 블로우관(13)은 에어분사용 펌프(17c)와 접속된다.
상기 파이프(12)에는 물분사공(12a), 장공으로 이루어진 흡입공(12b), 블로우공(12c)들이 위치를 서로 달리하여 뚫려져 있으며 물분사공(12a)과 물분사용 펌프(17a), 흡입공(12b)과 흡입용 펌프(17b), 블로우공(12c)과 에어분사용 펌프(17c) 등이 서로 연통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회전관(11) 외부에 장착된 사각틀체(14)의 외측면 사방에는 4개의 흡입몰드(15)들이 장착되어 있고, 이 흡입몰드(15)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15a)에는 무수한 구멍(15b)들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5a)의 내부에는 3개의 연결관(16)들이 장착되어 파이프(12)에 뚫려진 물분사공(12a), 흡입공(12b), 블로우공(12c)들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회전관(11)의 회전시 파이프(12)에 접면되어 회전되는 연결관(16)들이 물분사공(12a), 흡입공(12b), 블로우공(12c)들의 위치에 도달되면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회전관(11)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4개의 흡입몰드(15) 중에서 최하측에 위치되는 흡입몰드(15)는 펄프(18a)가 담겨진 탱크(18)에 침수된다.
상기 가압부(20)는 흡입몰드(15) 흡착된 펄프 성형물(18b)을 가압시키고 건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흡입몰드(15)의 상부에는 실린더(21) 의하여 승강되는 상부몰드(22)가 장착되어 있고, 이 상부몰드(22)의 하부면에는 흡입몰드(15)의 돌출부(15a)와 상응하는 형상의 가압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몰드(22)의 가압홈(22a)에는 무수한 구멍(22b)이 뚫려져 에어의 흡입과 분사를 교대로 반복하는 펌프(17d)와 접속되어 가압홈(22a) 내부에 삽입된 성형물(18b)을 흡입하고 분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30)는 상부몰드(22)의 가압홈(22a)에 삽입된 성형물(18b)을 지지하는 하부금형 역할을 수행하며, 성형물(18b)의 건조를 촉진시키고 완성된 성형물(18b)을 이동하여 낙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흡입몰드(15)와 상부몰드(22) 사이에는 가이드레일(31a)에 장착되어 있고, 이 가이드레일(31a)에는 실린더(31)에 의하여 수평으로 이동되는 이동몰드(3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이동몰드(32)의 상부에는 무수한 구멍(32b)들이 뚫려진 돌출부(32a)가 형성되어 에어의 흡입과 분사를 반복하는 펌프(17d)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몰드(22)와 이동몰드(32)에는 가열수단(23)이 구비되어 펄프 성형물(18b)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열수단(23)은 상부몰드(22)와 이동몰드(32)의 몸체 내부에 지그재그식으로 천공된 순환공(23a)을 형성하여 가열된 열매체오일(24)을 주입시켜 순환시키도록 되어 있다.
물론, 열매체오일(24)이 담겨진 탱크(24a)에는 전열선이 내장된 히터(25)가 장착되어 열매체오일(24)을 가열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순환용펌프(17e)가 장착된 호스가 탱크(24a)와 순환공(23a) 사이에 접속되어 탱크(24a)에 담겨진 열매체오일(24)을 순환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틀체(14)의 외부에 장착된 4개의 흡입몰드(15)들이 회전관(11)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면서 최하측에 위치된 흡입몰드(15)가 펄프(18a)가 담겨진 탱크(18)에 침수되면 하측의 흡입몰드(15)에 형성된 구멍(15b)들과 고정용 파이프(12)에 형성된 물분사공(12a), 흡입공(12b), 블로우공(12c)들과 연결되는 3개의 연결관(16) 중 하나가 흡입공(12b)과 연통되어 파이프(12)의 우측에 접속된 흡입용 펌프(17b)의 흡입력이 흡입몰드(15) 내부에 전달되어 흡입몰드(15)의 내부에는 강력한 흡입력이 생성된다.
따라서, 흡입몰드(15)의 구멍(15b)들을 통해 흡입력이 펄프(18a)에 전달되어 돌출부(15a) 외부에는 일정 두께로 흡착된 펄프 성형물(18b)이 형성되고 물은 구멍(15b)을 통해 흡입되어 흡입용 펌프(17b)를 통해 배출된다.
이어서, 흡입몰드(15)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90°회전되어 사각틀체(14)의 우측에 위치되면, 또다른 흡입몰드(15)가 탱크에 침수되어 펄프(18a)를 흡착시키고, 90°회전된 흡입몰드(15)에는 계속하여 흡입력이 형성되어 돌출부(15a)에 흡착된성형물(18b)이 낙하되지 않는다.
이는 고정된 파이프(12)의 외측면에 접면되어 회전되는 연결관(16)이 파이프(12)의 하부에서 우측으로 틔여져 장공으로 이루어진 흡입공(12b)을 따라 회전되어 약 100°의 반경 내에서는 흡입력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어서,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몰드(15)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다시 90°회전되어 사각틀체(14)의 최상측에 위치되면 흡입몰드(15) 상측에 위치된 상부몰드(22)가 실린더(21)의 작동에 의하여 하강되어 상부몰드(22)의 가압홈(22a)이 성형물(18b)을 가압시킴과 아울러 상부몰드(22) 몸체에 주입된 열매체오일(24)에 의하여 가열되어 성형물(18b)의 건조를 촉진시킨다.
이때, 상부몰드(22)의 가압홈(22a)의 내부에는 흡입 및 분사를 반복하는 펌프(17d)에 의하여 강한 흡입력이 형성되어 무수한 구멍(22b)들을 통해 가압홈(22a)에 삽입된 성형물(18b)을 흡착시킴과 동시에 흡입몰드(15)와 연결된 또다른 연결관(16)이 파이프(12)의 상측에 뚫려진 블로우공(12c)과 연통되어 에어분사용 펌프(17c)에서 발생된 분사력이 돌출부(15a)의 구멍(32b)들을 통해 성형물(18b)에 전달되는 것이므로 성형물(18b)은 상부몰드(22)의 가압홈(22a)에 흡착된 상태에서 실린더(21)의 작동에 의하여 상부몰드(22)와 함께 상승된다.
이어서, 도 5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몰드(15)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다시 90°회전되어 사각틀체(14)의 좌측에 위치되면 흡입몰드(15)와 연결된 또다른 연결관(16)이 파이프(12)의 좌측에 뚫려진 물분사공(12a)과 연통되어 물분사용 펌프(17a)에서 분출된 물이 돌출부(15a)의 구멍(15b)들을 통해 외부로 분출되면서 구멍(15b)에 끼여진 펄프(18a)의 찌꺼기들이 세척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물론, 세척된 흡입몰드(15)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다시 90°회전되고, 탱크(18)에 침수되어 펄프(18a)를 흡착하는 등의 일련의 사이클을 반복수행 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 흡입용 구멍(15b)에 펄프(18a)의 찌꺼기가 끼임으로 인하여 흡입력이 저하되는 동시에 제품의 표면이 거칠어지면서 펄프의 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완벽하게 해소되는 것이다.
한편, 성형물(18b)이 상부몰드(22)의 가압홈(22a)에 흡착된 상태에서 상승되면 가이드레일(31a)에 장착된 이동몰드(32)가 실린더(31)의 작동에 의하여 수평으로 이동되어 상부몰드(22)의 직하부에 위치되고 이어서 상부몰드(22)가 하강되어 상부몰드(22)의 가압홈(22a)과 이동몰드(32)의 돌출부(32a) 사이에서 성형물(18b)이 가압 성형되고, 상부몰드(22)와 이동몰드(32)의 몸체 내부에서 순환하는 열매체오일(24)의 열을 전달받아 완전한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부몰드(22)의 가압홈(22a)의 내부에는 펌프(17d)에 의하여 분사력이 형성되고, 이동몰드(32)의 돌출부(32a)에는 흡입력이 형성되어 성형물(18b)이 이동몰드(32)에 흡착된다.
이어서, 상부몰드(22)가 상승되면 이동몰드(32)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제2의 상부몰드(22)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부몰드(22)의 가압에 의하여 성형된다. 이때에는 흡입과 분사를 교대로 반복하는 펌프(17d)가 반대로 작동되어 성형물(18b)이 제2의 상부몰드(22)의 가압홈(2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승된다.
이와 같이 성형물(18b)이 제2의 상부몰드(22)의 가압홈(22a)에 위치되면, 이동몰드(32)는 다시 좌측으로 이동되어 상부몰드(22)의 가압홈(22a)에 흡착된 성형물(18b)을 가압하여 흡착하게되고, 동시에 제2의 상부몰드(22)의 하부에는 제2의 이동몰드(32)가 위치되어 성형물(18b)을 가압 흡착하여 우측으로 이동되어 제3의 상부몰드(22)에 성형물(18b)을 흡착시키면 완성된 성형물(18b)이 제3의 상부몰드(22)에서 낙하되어 보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3개의 상부몰드(22)와 2개의 이동몰드, 1개의 흡입몰드(15)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성형물이 완전히 건조될 때 까지 계속하여 가압되어 자동으로 낙하되는 것이므로 건조된 제품의 뒤틀림이나 균열이 방지되어 고품질의 완충재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3개의 상부몰드(22)와 2개의 이동몰드(32), 1개의 흡입몰드(15)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성형물(18b)이 완전히 건조될 때 까지 계속하여 가압ㆍ가열되고 완성된 성형물(18b)만 자동으로 낙하되는 것이므로 건조된 제품의 뒤틀림이나 균열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고품질의 완충재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부몰드(22), 이동몰드(32), 흡입몰드(15)를 각각 1개씩만 형성하더라도 가압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완성된 제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꼭 몰드이 갯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흡입몰드(15)가 사각틀체(14)의 회전에 의하여 좌측에 위치되면 물분사용 펌프(17a)에서 분출된 물이 돌출부(15a)의 구멍(15b)들을 통해 외부로 분출되면서 구멍(15b)에 끼여진 펄프(18a)의 찌꺼기들이 깨끗하게 세척되어 배출되는 것이므로 종래의 기술에서 흡입용 구멍(15b)에 펄프(18a)의 찌꺼기가 끼임으로 인하여 흡입력이 저하되고 제품의 표면이 거칠어지면서 펄프의 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완벽하게 해소되는 동시에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3개의 상부몰드(22)와 2개의 이동몰드(32), 1개의 흡입몰드(15)에 의하여 성형물(18b)이 완전히 건조될 때 까지 계속하여 가압ㆍ가열되고 완성된 성형물(18b)만 자동으로 낙하되는 것이므로 건조된 제품의 뒤틀림이나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고품질의 완충재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모터(11a)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관(11)의 내부에는 파이프(12)가 삽입되어 그 양측에는 물분사용 펌프(17a)와 흡입용 펌프(17b)가 각각 접속되고, 그 내부에는 에어분사용 펌프(17c)와 접속된 블로우관(13)이 삽입되어 회전관(11)에 각각 뚫려진 물분사공(12a), 흡입공(12b), 블로우공(12c)과 연통되며, 회전관(11) 외부에 장착된 사각틀체(14)의 외측면 사방에는 무수한 구멍(15b)들이 천공된 돌출부(15a)를 갖는 흡입몰드(15)들이 장착되어 연결관(16)들에 의하여 회전관(11)에 형성된 물분사공(12a), 흡입공(12b), 블로우공(12c)들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고 최하측에 위치된 흡입몰드(15)는 펄프(18a)가 담겨진 탱크(18)에 침수되는 흡착부(10)와,
    상기 흡착부(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실린더(21)의하여 승강되는 상부몰드(22)에는 흡입몰드(15)의 돌출부(15a)와 상응하는 형상의 가압홈(22a)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가열수단(23)이 구비되며, 가압홈(22a)에 뚫려진 무수한 구멍(22b)들이 에어의 흡입과 분사를 반복하는 펌프(17d)에 접속되는 가압부(20)와,
    상기 흡착부(10)와 가압부(20) 사이에 위치되어 가이드레일(31a)에 장착되어 실린더(31)에 의하여 수평으로 이동되는 이동몰드(32)에는 무수한 구멍(32b)이 뚫려진 돌출부(32a)가 형성되어 에어의 흡입과 분사를 반복하는 펌프(17d)에 접속되는 이동부(30)에 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23)은 상부몰드(22)와 이동몰드(32)의 몸체 내부에 지그재그식으로 천공된 순환공(23a)을 형성하여 가열된 열매체오일(24)을 주입시켜 순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성형장치.
KR1019990000551A 1999-01-12 1999-01-12 펄프 성형장치 KR100295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551A KR100295090B1 (ko) 1999-01-12 1999-01-12 펄프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551A KR100295090B1 (ko) 1999-01-12 1999-01-12 펄프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749A true KR19990037749A (ko) 1999-05-25
KR100295090B1 KR100295090B1 (ko) 2001-07-03

Family

ID=37698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551A KR100295090B1 (ko) 1999-01-12 1999-01-12 펄프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50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526A (ko) * 1999-01-16 1999-11-05 이상한 폐지를이용한완충용기가열압축성형장치
KR100899510B1 (ko) * 2007-10-09 2009-05-26 박정식 펄프 성형물 제조장치
KR100900101B1 (ko) 1999-08-30 2009-06-01 리게일 코포레이션 일체형 스크린을 갖춘 몰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사용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564A (ko) * 2000-04-24 2001-11-08 이상한 펄프성형물 제조장치의 몰드 워싱장치
KR100642111B1 (ko) 2004-11-12 2006-11-10 윤영관 무공해 펄프 몰드 제품 생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6800B2 (ja) * 1992-03-06 1998-12-14 日本碍子株式会社 繊維成形物の抄造型、抄造方法及び抄造装置、並びに抄造された繊維成形物
JPH0649800A (ja) * 1992-07-21 1994-02-22 Utsui:Kk 抄造容器の製造装置
JPH06287900A (ja) * 1993-04-01 1994-10-11 Nippon Haipatsuku Kk 回転式モールド成形機
JP2614695B2 (ja) * 1993-06-14 1997-05-28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パルプモールド成形機
JPH08260400A (ja) * 1995-03-17 1996-10-08 Sintokogio Ltd 抄造体の乾燥型
JPH1037100A (ja) * 1996-07-19 1998-02-10 Noritake Co Ltd パルプ繊維成形体の離型装置、離型用型および離型方法
JP3550468B2 (ja) * 1996-09-13 2004-08-04 大石産業株式会社 モールド製品抄造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526A (ko) * 1999-01-16 1999-11-05 이상한 폐지를이용한완충용기가열압축성형장치
KR100900101B1 (ko) 1999-08-30 2009-06-01 리게일 코포레이션 일체형 스크린을 갖춘 몰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사용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KR100899510B1 (ko) * 2007-10-09 2009-05-26 박정식 펄프 성형물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5090B1 (ko) 2001-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1243B2 (ja) 塗料缶の洗浄及び乾燥複合装置
KR10249652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22507Y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분사장치
KR101635705B1 (ko) 골프채 헤드 세척기
CN113686119B (zh) 一种用于塑料颗粒清洗后的分区翻转烘干设备
KR20120140680A (ko) 식기 세척기
KR100295090B1 (ko) 펄프 성형장치
CN108613486A (zh) 纺织品烘干设备
KR101063292B1 (ko) 세척기
CN100572648C (zh) 超细微发泡树脂底盘的洗涤机
JP7328521B2 (ja) 容器洗浄装置
JP2001046990A (ja) マット洗浄機
KR100449644B1 (ko) 인쇄회로기판의 세정시스템
KR20040006218A (ko) 식기세척기의 입체분사장치
JP2614695B2 (ja) パルプモールド成形機
JP3799733B2 (ja) 洗浄機
JP3774930B2 (ja) 洗浄機
CN212760217U (zh) 一种立式自动化洗瓶设备
JP3098329U (ja) トレー洗浄乾燥機
CN220907966U (zh) 一种冲洗装置及设备
CN220479484U (zh) 一种造纸机机辊
WO2022080240A1 (ja) 洗浄機
CN213763320U (zh) 一种自动洗瓶机中的喷冲吹干装置
JPH03207329A (ja) 食器洗浄機
KR101431439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