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743U - 선풍기 - Google Patents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743U
KR19990037743U KR2019980003565U KR19980003565U KR19990037743U KR 19990037743 U KR19990037743 U KR 19990037743U KR 2019980003565 U KR2019980003565 U KR 2019980003565U KR 19980003565 U KR19980003565 U KR 19980003565U KR 19990037743 U KR19990037743 U KR 199900377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condenser
evaporator
refrigeran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익
Original Assignee
김동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익 filed Critical 김동익
Priority to KR2019980003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743U/ko
Publication of KR199900377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743U/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풍기와 에어컨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풍기는 사람이 느끼는 체감온도를 낮출 수 있게 하는 기능은 있지만 실내의 실질적인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갖지못하는 것이고, 종래의 에어컨은 이동이 자유롭지 못한 단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선풍기의 하부 몸체(13)의 내부일 측에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20)와,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응축기(21)를 설치시키고, 구동 모터(10)와 팬(11)의 사이에 응축기(21)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기내로 분사시키는 팽창 밸브(26)와, 팽창 밸브로부터 분사된 냉매의 냉기를 실내에 전달시키는 증발기(22)를 설치시키며, 상기 응축기(21)의 일 측에 응축기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열팬(23)을 설치시키되, 방열팬(23)의 선단에는 응축기로부터 발생된 열을 실외로 배출시키는 플렉시블한 관(30)을 설치시켜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선풍기의 기능과 에어컨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실내 냉방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으며, 이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며 사용할 수 있어 사용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선풍기
본 고안은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풍기와 에어컨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팬이 회전되면서 실내의 공기를 강제 이동시키며, 바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는 선풍기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접촉하면서 사람이 느끼는 체감온도를 낮출 수 있게 하는 기능은 있지만 실내의 실질적인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갖지못하는 것이다.
그리고 에어컨은 냉매 가스를 압축시키고 이를 응축기와 팽창 밸브를 거쳐 증발기에서 분사시키면서 차가운 냉기를 실내로 불어 내어 실내 온도를 낮추는 냉방장치로써 냉방 효과는 탁월하나 운전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는 것이다.
에어컨은 크게 응축기(실외기)와 증발기(실내기)가 분리 형성(분리형)된 것과 응축기와 증발기가 한 몸체(창문형)를 이루는 것으로 구별된다.
증발기와 응축기가 분리 설치되는 분리형이거나 응축기와 증발기가 한 몸체를 이루는 창문형인 경우 모두가 이를 수시로 이동시키며 사용하기는 거의 불가능하였다.
먼저 분리형의 경우에는 냉매가 유통되는 관이 경질의 동관으로 형성됨으로써,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의 이동 범위가 한정되고, 실내기의 이동시 동관의 연결 부위에 유동이 발생되어 동관 내의 냉매 가스가 유출됨에 따라 에어컨의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증발기와 응축기가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창문형의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응축기가 외기와 접하도록 설치되어야만 하는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에어컨은 압축된 냉매가 증발기에서 분출되면서 증발기의 주위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와 같은 냉기를 증발기의 후면에 설치된 팬이 실내 측으로 불러내어 실내 온도를 낮추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팬은 그 출력이 매우낮아 선풍기로의 사용에 매우미약하고, 특히 에어컨의 특성상 증발기가 실내의 상층부에 설치됨으로써 국부적인 곳에 바람을 전달시키는 선풍기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선풍기와 에어컨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이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선풍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바람을 발생시키는 팬과, 상기 구동 모터를 지지하는 지주와, 지주의 하단과 결합되어 지주를 받쳐 주는 하부 몸체로 구성되는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의 내부일측에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응축기를 설치시키고, 구동 모터와 팬의 사이에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기내로 분사시키는 팽창 밸브와, 팽창 밸브로부터 분사된 냉매의 냉기를 실내에 전달시키는 증발기를 설치시키며, 상기 응축기의 일 측에 응축기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열팬을 설치시키되, 방열팬의 선단에는 응축기로부터 발생된 열을 실외로 배출시키는 플렉시블한 관을 설치시키고,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증발기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받는 물받이를 설치시키고, 상기 물발이에 모여진 물이 응축기의 하부에 설치된 증고안수대에서 증발되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구동모터 11. 팬
12. 지주 13. 하부몸체
20. 압축기 21. 응축기
22. 증발기 23. 방열팬
24. 물받이 25. 증고안수대
26. 팽창밸브 30. 관
40. 풍향날개 50. 절환스위치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동 모터(10)의 회전축(15)에 결합되어 바람을 발생시키는 팬(11)과, 상기 구동 모터를 지지하는 지주(12)와, 지주의 하단과 결합되어 지주(12)를 받쳐 주는 하부 몸체(13)로 구성되는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13)의 내부일 측에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20)와,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응축기(21)를 설치시키고, 팬(11)에 의한 공기 유통로상에 응축기(21)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기내로 분사시키는 팽창 밸브(26)와, 팽창 밸브로부터 분사된 냉매의 냉기를 실내에 전달시키는 증발기(22)를 설치시키며, 상기 응축기(21)의 일 측에 응축기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열팬(23)을 설치시키되, 방열팬(23)의 선단에는 응축기로부터 발생된 열을 실외로 배출시키는 플렉시블한 관(30)을 설치시키고, 상기 증발기(22)의 하부에 증발기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받는 물받이(24)를 설치시키고, 상기 물받이에 모여진 물이 응축기(21)의 하부에 설치된 증발명수대(25)에서 증발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 몸체(13)의 표면에 구동 모터(10)만을 동작시켜 선풍기의 기능만을 사용하거나 또는 압축기(20)와 구동 모터(10)를 동시에 동작시켜 에어컨 기능을 선택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절환스위치(50)를 설치시킨다.
또한 팬(11)의 선단에 풍향을 변환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 회전되는 팬에 손이 닫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풍향 날개(40)를 설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선풍기의 기능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환스위치(50)를 동작시켜 구동 모터(10)를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 모터(10)의 회전축(15)에 결합된 팬(11)이 회전되면서 실내의 공기를 강제 이송시키며 바람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는 종래의 선풍기의 동작과 동일한 것이다.
이어 에어컨의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절환스위치(50)를 동작시켜 구동 모터(10)와 압축기(20)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면 압축기(20)가 냉매를 압축시키고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21)와 팽창 밸브(26)를 통하여 증발기(22)에서 증발되면서 냉기를 발산시키게 되고, 이와 같은 냉기는 증발기(22)의 선단에 설치된 팬(11)에 의하여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의 온도를 낮추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응축기(21)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방열팬(23)에 의하여 블렉시블한 관(30)내로 유입되어 실외로 배출되고, 증발기(22)의 표면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물받이(24)를 거쳐 증발명수대(25)에 집수되고 명수대에 집수된 물은 응축기(21)의 열에 의해 증발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선풍기의 기능과 에어컨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실내 냉방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으며, 이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며 사용할 수 있어 사용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구동 모터(10)의 회전축(15)에 결합되어 바람을 발생시키는 팬(11)과, 상기 구동 모터를 지지하는 지주(12)와, 지주의 하단과 결합되어 지주(12)를 받쳐 주는 하부 몸체(13)로 구성되는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13)의 내부에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20)와,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응축기(21)를 설치시키고, 팬(11)에 의한 공기유통로 상에 증발기(22)를 설치시키며, 상기 응축기(21)의 일측에 방열팬(23)을 설치시키되, 방열팬(23)의 선단에는 응축기로부터 발생된 열을 실외로 배출시키는 플렉시블한 관(30)을 설치시키고, 상기 증발기(22)의 하부에 증발기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받는 물받이(24)를 설치시키며, 상기 물받이에 모여진 물이 응축기(21)의 하부에 설치된 증발명수대(25)에서 증발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KR2019980003565U 1998-03-11 1998-03-11 선풍기 KR199900377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565U KR19990037743U (ko) 1998-03-11 1998-03-11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565U KR19990037743U (ko) 1998-03-11 1998-03-11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743U true KR19990037743U (ko) 1999-10-15

Family

ID=6971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565U KR19990037743U (ko) 1998-03-11 1998-03-11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74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135B1 (ko) * 2001-10-10 2004-05-12 하상철 냉방 및 난방 기능을 갖는 선풍기
WO2020101098A1 (ko) * 2018-11-12 2020-05-22 김은태 에너지 절감을 지원하는 냉방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135B1 (ko) * 2001-10-10 2004-05-12 하상철 냉방 및 난방 기능을 갖는 선풍기
WO2020101098A1 (ko) * 2018-11-12 2020-05-22 김은태 에너지 절감을 지원하는 냉방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7743U (ko) 선풍기
KR100550823B1 (ko) 혼합식 실외기
KR20000040090A (ko) 창문형 에어컨에서의 응축기 효율 증대장치
KR100381654B1 (ko) 에어콘 실내기의 소음차단구조
KR20000044074A (ko) 열전 반도체를 이용한 에어컨
KR20000044075A (ko) 열전 반도체를 이용한 에어컨
KR200313220Y1 (ko) 에어컨 응축수를 이용한 응축기 냉각장치
KR100436935B1 (ko) 과냉각응축기 일체형 증발기
KR101396693B1 (ko) 의료용 냉장고 및 의료용 냉장고의 성에 제상방법
KR100829132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공기누설 방지구조
KR100287719B1 (ko) 공기조화기의 혼합식 실외기
KR100430293B1 (ko) 에어컨의 겸용 모터
KR100676308B1 (ko) 히트펌프의 제상 보호회로
KR100370083B1 (ko) 소형 공기조화기용 응축수 제거장치
KR100231155B1 (ko) 에어컨의 실내측 열교환기
KR200222310Y1 (ko) 에어콘용블레이드
KR200245721Y1 (ko) 패키지에어콘의실내기
KR100393992B1 (ko) 정온제습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KR20000021354U (ko) 응축수를 이용한 응축효율 증대장치
KR20040039766A (ko) 창문형 에어컨
KR100187060B1 (ko) 냉난방기의 보조 열원공급장치
KR20000026525A (ko)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장치
KR19990025685U (ko) 배열구를 갖는 실외기
KR20010001354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KR20000042332A (ko) 응축수 제거장치를 구비한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