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089A - 의자 등받이용 높이조정기구 - Google Patents

의자 등받이용 높이조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089A
KR19990036089A KR1019980700755A KR19980700755A KR19990036089A KR 19990036089 A KR19990036089 A KR 19990036089A KR 1019980700755 A KR1019980700755 A KR 1019980700755A KR 19980700755 A KR19980700755 A KR 19980700755A KR 19990036089 A KR19990036089 A KR 19990036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apture device
teeth
support member
ty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에이 쯔마드진스키
Original Assignee
허만 밀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만 밀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허만 밀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36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08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의자씨트에 대해 등받이(10)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기구가 제공된다. 씨트에 대해 복수개의 선택된 위치들내에 등받이(10)를 구속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조정기구에 의해 의자는 "노크다운(knock down)" 상태로 운반가능하며 소비자에 의해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조정기구는 등받이에 고정되는 채널부재(30)와 채널부재내에서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고 선택된 위치들내에서 확고하게 구속되는 의자에 의해 운반되는 지지부재(4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40)는 수직으로 정렬된 래크치형(72, 74)을 가지고, 등받이는 래크치형(72, 74)과 결합하기 위한 포울(52, 54)을 가진 이동가능한 포착장치(48)를 가진다. 포착장치(48)의 운동은 선택된 수직위치로부터 등받이가 하향운동을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래크치형(72, 74)과 포울(52, 54)들과 결합시킨다.

Description

의자 등받이용 높이조정기구
조립된 의자는 운반비용을 증가시키는 대형 운반포장재(shipping carton)를 필요로 한다. 상기 이유로 부분적으로 조립되고 "노크 다운(knock down)" 상태로 의자와 같은 제품을 운반하는 것이 유리하고 경제적이다. "노크다운" 상태로 의자와 같은 제품을 운반하는 또다른 잇점을 보면, 개별적인 구성부품들이 운반시 가해지는 손상가능성이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의자를 운반하는 경우에 비하여 감소되도록 포장될 수 있다는데 있다. 그러나 제품이 노크다운상태로 운반될 때 최종조립품은 소비자의 책임이 된다. 상기 이유로 인해 노크다운상태로 운반되어야 하는 제품들은 소비자에 의해 용이한 최종조립을 위해 설계 및 구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의자씨트에 관련하여 의자 등받이의 위치는 사용자의 안락함의 측면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이하고 편리한 조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다. 작업자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할 때 조정이 이루어진다면 작업자는 등받이의 가장 적합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가장 적합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등받이는 적은 증가분으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의자 사용자들중 일부는 다양한 착석자세를 제공하는 서로 다른 위치들로 조정하는 특수 목적을 수용하도록 등받이를 조정하려 하므로, 등받이는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정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이유들로 인해 저비용으로 생산되고 노크다운상태로 운반된 후 편리하고 용이하게 조립되며 최종조립후 다시 조정하기 편리하고 단순한 의자를 위한 조정가능한 등받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의자씨트(chair seat)에 관련하여 등받이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기구, 특히 노크다운 상태(knock down condition)로 전달된 후에 사용자위치에서 의자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래크(rack)와 포울(pawl)에 관련된다.
도 1 은 의자지지부재에 대해 선택된 위치내에 구속된 씨트 등받이의 사시도.
도 2 는 씨트 등받이 및 의자 지지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정지패드 또는 지지부재의 바닥지지면의 사시도.
도 4 는 정지패드 또는 지지부재의 바닥지지면의 평면도.
도 5 는 정지패드 또는 지지부재의 측면도.
도 6 은 정지패드 또는 지지부재의 후면도.
도 7 은 포착장치의 사시도.
도 8 은 포착장치의 평면도.
도 9 는 포착장치의 측면도.
도 10 은 포착장치의 저면도.
도 11 은 레버의 측면도.
도 12 는 레버의 저면도.
도 13 은 등받이가 최저 조정위치에 있고, 결합상태의 래크의 치형 및 포울을 나타내기 위해 절단된 도면의 채널의 일부를 도시하는 등받이 및 씨트지지부재의 배면도.
도 14 는 도 13 의 선 14-14를 따르는 등받이 및 씨트 지지부재의 단면도.
도 15 는 분리된 상태의 래크치형 및 포울을 나타내기 위해 채널의 일부를 절단도로 나타내고 등받이 및 씨트지지부재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6 은 등받이가 조정된 최상위치에 놓이고, 결합된 상태의 래크치형 및 포울을 나타내고, 등받이 및 씨트지지부재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7 은 도 16 의 선 17-17을 따르는 등받이 및 씨트지지부재의 단면도.
도 18 은 도 15 의 선 18-18을 따르는 래크, 포울 및 레버의 부분단면도.
* 부호 설명
10 ... 등받이 13,14 ... 벽
17 ... 리브 19 ... 수평연장채널
30 ... 채널부재 40 ... 지지부재
48 ... 포착장치 52,54 ... 포울(pawl)
72,74 ... 포착장치
본 발명은 "노크다운(knocked down)" 상태로 운반된 후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고 작업자에 의해 작은 증가량으로 조정될 수 있는 반면, 조정하는 사람이 등받이가 최적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착석될 수 있는 기구에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받이에 의해 이동되는 조정기구의 일부는 운반하기 전에 완전히 조립될 수 있고, 등받이는 오직 위치조립을 완성하기 위해 씨트지지트랩(seat support trap) 위로 미끄럼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정기구에 의해 등받이는 등받이상에서 단지 상향하중을 가하는 것에 의해 상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특히 이것은 적은 증가량의 조정작용이 요구될 때 중요하다. 상기 상향 조정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조정자는 양쪽 손을 등부분으로 뻗어서, 등받이의 양쪽측면에 상향압력(upward pressure)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조정작용은 한쪽 손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포착기구(catch mechanism)를 구속해제하기 위한 레버가 의자 착석자에 의해 의자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로부터 접근가능하다. 상기 레버는 등받이의 위치를 하강시키는 것이 요구될 때 하강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의자에 대해 선택된 복수개의 위치들내에서 등받이를 구속해제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정기구를 포함하는 의자로 구성되고, 이것은 소비자에 의해 용이하게 조립되고 "노크다운(knocked down)" 상태로 운반가능하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기 등받이 및 씨트(seat)중 하나에 확고히 고정되기 위한 채널부재(channel member) 및 채널부재에 의해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등받이 및 씨트중 다른 하나에 확고히 고정되기 위한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로 구성되어, 등받이 및 씨트는 단순 미끄럼운동작용에 의해 조립될 수 있는 조정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조정기구는 지지부재로부터 연장 구성되는 수직구조의 래크치형(rack teeth)으로 구성되고, 래크치형과 결합하기 위해 포울(pawl)을 가지고 이동가능한 포착장치로 구성되며, 포착장치의 이동은 포울을 래크치형과 결합시키도록 이동시켜서 등받이가 선택된 수직위치로부터 하향운동을 하는 것을 방지가능하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이 이해될 것이다.
도면들을 참고로 할 때, 도 1 은 의자 지지부재 또는 스트랩(40)에 조정가능하게 연결된 의자등받이(10)의 등을 나타낸다. 종래기술에서 잘 알 수 있듯이, 지지부재는 의자씨트에 확고히 고정된다. 등받이(10)의 배면은 스트랩(strap) 또는 지지부재(40)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socket)의 일부가 일체로 구성되는 경화성형 프라스틱 쉘(shell)(20)에 의해 형성된다. 소켓(11)(도 2 참고)은 쉘로부터 외측으로 연장구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리브(rib)(12)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등받이(10)가 최저 위치로 하강할 때, 정지패드(stop pad) 또는 지지부재(70)의 상측변부를 수축시키는 정지부(stop)로서 리브(12)가 작용한다. 소켓(11)은 또한 상측단부들에서 리브(12)와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벽(13, 14)을 포함한다. 탭(tab)(15, 16)은 수직연장벽(13, 14)으로부터 서로에 대해 연장구성된다. 소켓(11)은 경화성형프라스틱 쉘(hard cast plastic shell)(20)과 일체로 성형되고 내부에 위치하는 모든 리브(18)와 복수개의 반경방향 연장리브(radially extending rib)(17)에 의해 보강된다. 다른 리브들은 상기 목적을 위해 적합한 위치에서 개방되는 수평연장채널(19)을 형성한다.
소켓(11)은 고정장치(34)에 의해 수직연장벽(13, 14)에 연결되고 외측으로 연장구성되는 장착플랜지(mounting flange)(32)를 포함하는 U자 모양의 채널부재(30)에 의해 완성된다. 장착플랜지(32)는 탭(15, 16) 아래에서 연장구성된다. 채널부재(30)가 수직연장벽(13, 14)에 고정된 상태로서, 직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수직연장소켓은 스트랩 또는 지지부재(40)의 상측단부를 수용하도록 제공되어 왔다.
도 2, 7, 8, 9, 10 을 참고로 하여 포착장치(48)가 설명된다. 도 2 는 도 1 과 유사하지만, 스트랩 또는 지지부재(40)는 소켓으로부터 수축되어 있고 채널부재(30)의 단면은 포착장치(48)를 노출시키기 위해 절단되어 있다. 도 7 에서부터 도 10 까지에서 알 수 있듯이, 포착장치(48)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이고 각을 형성하는 단부면(50)을 포함한다. 포착장치(48)는 경화 플라스틱 성형 쉘과 일체로 구성되는 수평연장채널(19)내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수용된다. 포착장치(48) 및 채널(19)은, 비록 포착장치가 요홈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할지라도, 채널(19)의 벽이 포착장치(48)와 미끄럼결합에 의해 직선 미끄럼운동이 제한되는 크기를 가진다. 포착장치(48)가 도 2 에서와 같이 설치될 때, 포착장치(48)가 수직평면내에 놓여지는 외측표면(49)으로 구성된다. 제 1 포울(pawl)(52) 및 제 2 포울(54)은 포착장치(48)의 표면(49)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구조를 이룬다. 제 1 포울(52)은 수직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복수개의 포착치형(catch teeth)(56)을 포함하고, 포착치형의 상측 변부들은 경사를 이루며 하측 변부들은 수평을 이룬다. 제 2 포울(54)은 수직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복수개의 포착치형(58)을 포함하고, 포착치형의 상측 변부들은 경사를 이루며, 하측 변부들은 수평을 이룬다. 제 1 포울(52) 및 제 2 포울(54)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치형(56, 58)은 동일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채널(19)은 도 2 에서처럼 우측면에서 개방상태이고 포착장치(48)의 각을 형성한 단부면(50)이 요홈의 개방단부에 위치한다. 각을 형성하는 단부면(50)은 레버(62)의 짝을 이루고 각을 형성하는 단부면(64)과 미끄럼 결합을 이룬다.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포착장치(48)는 각을 형성하는 단부면(50)에 반대쪽에 위치한 단부에서 노치(notch)(51)를 수용하는 스프링을 가진다. 코일스프링(60)이 안내핀(21)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구성되는 벽(13)에 대해 놓여져 있고, 노치(51)내부로 연장구성된다. 코일스프링(60)은 도 2, 13, 18 에서 알 수 있듯이 포착장치(48)를 우측으로 편향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11, 12 에 분리시켜 도시했듯이, 레버(62)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구성되는 상부부분(67)과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구성되는 하부부분(66)을 가진다. 도 12 는 레버(62)의 저면도이며, 다른 도면들에서 나타난 구성과 반대로 도시되어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구성되는 부분(67)은 포착장치(48)에 구성되고 각을 형성하는 단부면(50)과 미끄럼결합상태를 이루는 단부면(64)내에서 구성이 끝난다. 레버(62)는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경화성형 플라스틱 쉘(20)과 일체로 성형되는 안내핀(22)과 요홈(26)에 의해 경화 성형플라스틱 쉘(20)의 표면위에서 수직방향의 미끄럼운동을 제한한다. 레버(62)는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구성되는 부분(66)내에 형성되고 핀(22)을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수용하는 크기들 및 강화된 요홈(63)을 가진다. 레버(62)는 경화쉘내에 형성된 요홈(26)내에서 미끄럼운동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구성되며 하향으로 돌출구조를 이루는 돌출부(shoulder)(25)(도 12 참조)를 가진다. 경화성형 플라스틱 쉘(20)과 일체로 성형되는 변부안내부(23)들은 강화된 요홈(63)의 양측면위에 위치한다. 변부안내부(23)는 레버(62)의 상측표면위에서 평면부와 결합하고 경화성형 플라스틱 쉘(20)의 표면에 대해 레버(62)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레버(62)에는 변부를 강화하는 기능의 변부주위에 림(rim)(65)이 제공된다. 림(65)은 변부안내부(23)들이 위치하는 영역내에서 레버(62)의 상측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도 11 을 참고).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구성되는 부분(66)의 최하측변부는 핸들(handle)(68)이다. 핸들(68)의 평면부는 경화성형 플라스틱 쉘(20)에 구성되고 짝을 이루는 평면부(24)에 대해 미끄럼운동을 하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핸들(68)의 바닥변부(69)는 등받이(10)의 바닥변부 아래에 연장구성되고 의자의 등부분 및 전면부로부터 조정 및 눈에 보일 수 있다.
도 13 은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보강 리브(reinforcing rib)(17)의 선호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 에 있어서, 추가의 C형 리브(C-shaped rib)(17A) 및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추가의 여러개의 리브(17)는 추가되고, 이들은 다른 도면들에서 나타난 실시예에서 공개되지 않았다.
정지패드 또는 지지부재(70)의 고립도면들이 도 3 에서부터 도 6 까지 도시되어 있다. 정지패드 또는 지지부재(70)는 I 빔(I-beam)의 단면과 유사한 단면을 가진다. 웨브판(web plate)(78)은 종방향 변부를 따라 플랜지(82, 84)를 가진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웨브판(78)의 표면은 등받이(10)를 향하는 표면이 된다. 도 2 에서 웨브판(78)의 반대쪽 표면(80)의 일부는 스트랩 또는 지지부재(40)의 절단부 아래에 도시된다. 스트랩(40)은 정지패드 또는 지지부재(70)의 표면(80)에 고정된다. 스트랩(40)이 정지패드 또는 지지부재(70)의 표면에 고정될 때 스트랩(40)의 상측변부는 박스 세그먼트(box segment)(86)를 수용하고 내부에 형성된 노치(notch)(42)를 가지고, 상기 박스 세그먼트는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양쪽측면에 접착제를 가지는 발포 패드(foam pad)(44)(도 4 및 도 18 참고)는 스트랩(40)을 표면(80)에 고정시키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다른 접착수단 또는 고정장치가 사용가능하다. 도 5 및 도 18 의 발포패드(44)는 도면을 명확하고 단순화하기 위해 다른 도면들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제 1 세트 또는 복수개의 래크치형(rack teeth)(72)은 웨브판(78)의 표면(79)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구조를 이루고 플랜지(82)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구성된다. 제 2 세트 또는 복수개의 래크치형(74)은 웨브판(web plate)(78)의 표면(79)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구조를 이루고, 플랜지(84)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구성된다. 도 3 및 도 4 에 알 수 있듯이 래크치형(72, 74)은 평면의 수평 상부면들 및 평면의 경사하부면들을 가진다. 박스 세그먼트(86)는 표면(80)의 상측 중앙부로부터 돌출구조를 이룬다. 박스 세그먼트(86)의 상부면(87)(도 2 참고)은 플랜지(82, 84)의 변부들의 평면내에 놓인다. 후크탭(hook tab)(46)은 상향으로 연장구성되고 다음에, 상측면(87)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구성된다. 도 4 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듯이 응력완화구멍(stress relieving hole)(89)내에서 구성이 끝나는 슬롯(slot)(88)은 상측면(87)내로 절단되어 후크모양의 탭(tab)(46)을 위한 캔틸레버 스프링 장착부(cantilever spring mount)를 제공가능하다. 후크모양의 탭(46)을 위한 캔틸레버 스프링 장착부에 의해, 스트랩(40)에 고정된 정지패드 또는 지지부재(70)를 가진 스트랩(40)이 등받이(10)상에 형성된 채널을 통해 삽입될 때 상기 장착부가 아래로 휘어지고, 정지패드 또는 지지부재의 상측변부가 채널로부터 나올 때 스프링복귀가 이루어진다. 등받이(10)가 스트랩(40)위에서 조립된 후에, 후크모양의 탭(46)은 도 2 에서 알 수 있듯이 U자 모양의 채널부재(30)의 상측변부내에 형성된 노치(36)와 자유롭게 결합하고, 등받이가 최고 위치에 있을 때 제한정지부로서 기능을 한다. 스프링부재(85)는 그 사이에서 매끄러운 미끄럼운동을 보장하기 위해 U자형 채널부재(30)의 내측면과 결합하는 플랜지(84)의 외측면내에 제공된다.
등받이(10)는 도 2 에 도시된 것처럼 위치한 구성부품들을 가지고 제조업자에 의해 조립된다. 구성부품들이 상기와 같이 위치할 때, 스프링(60)은 포착장치(48)를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짝을 이루고 각을 형성하는 레버(62)의 단부면(64)에 대해 각을 이루는 단부면(50)이 압력을 가하게 되고, 상기 단부면은 슬롯(63)의 상측단부와 핀(22)이 결합하는 위치로 하향으로 레버(62)의 방향을 변화시킨다. 포착장치(48)는 수평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채널(19)내에서 그 위치로부터 상승가능하지만, U자형 채널부재(30)에 의해 채널(19)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등받이(10)는 정지패드 또는 지지부재(70)의 상측변부가 소켓(11) 내부로 삽입되도록 스트랩 또는 의자지지부재(40) 위로 하강될 수 있다. 정지패드 또는 지지부재(70)의 상측변부가 소켓(11)으로 들어감에 따라, 후크(46)의 경사변부는 U자형 채널부재(30)의 변부와 부딪히게 된다. 캔틸레버 스프링장착에 의해 후크(46)는 하강되고, 등받이가 스트랩(40) 및 정지패드 또는 지지부재(70) 위로 하강됨에 따라 U자형 채널부재의 내부표면을 따라 미끄럼운동한다. 후크(46)가 U자형 채널부재(30)내에 형성된 노치(36)에 도달함에 따라 후크는 외측으로 튀어나간다. 만약 등받이(10)가 다음에 상향으로 이동되면, 후크(46)는 노치(36)의 수평변부위에 포착되고 등받이(10)의 추가 상향운동을 방지한다. 만약 스트랩(40)으로부터 등받이(10)를 제거하는 것이 요구된다면, 후크(46)는 등받이(10)가 상승됨에 따라 수동으로 하강된다.
스트랩(40) 위에 등받이(10)를 설치할 때, 레버(62)는 도 2 에서처럼 우측으로부터 좌측까지 포착장치(48)를 이동시키기 위해 결합되어야 한다. 각을 형성하는 단부표면(64)을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핸들(68) 위에 상향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레버(62)는 결합된다. 각을 이루는 단부 표면(64)의 상향운동에 응답하여 좌측으로 이동되고 각을 이루는 단부표면(50)과 단부표면(64)은 결합상태를 이룬다. 스트랩(40) 위에 등받이(10)를 설치할 때, 레버(62)가 하강되지 않는다면, 래크 치형(72, 74)의 평평한 상부 표면은 포착치형(56, 58)의 평평한 바닥면과 부딪힐 수도 있고, 이것은 등받이(10)의 추가 하향운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포착장치(48)를 좌측으로 전향시키는 것은 포착치형(56, 58)을 그것과 함께 이동시키고 도 2 에서처럼, 래크치형(72, 74)이 포착치형(56, 58)의 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한다. 등받이(10)가 설치된 후에 레버(62)가 구속해제되고, 포착치형(56, 58)은 우측으로 이동하여 래크치형(72, 74)과 결합상태를 이룬다. 포착치형(56, 58)의 경사표면은 레버(62)가 구속해제될 때 래크치형(72, 74)의 경사표면과 표면대 표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이동한다. 등받이가 상향으로 이동된다면 상기 표면들은 결합상태를 이루며, 포착치형(56, 58)은 래크치형(72, 74)의 경사표면에 의해 좌측으로 캠(cam) 운동을 하게 된다. 포착치형(56, 58)이 래크치형(72, 74)의 피크(peak)에 도달할 때, 코일스프링(60)은 래크치형들을 스냅(snap)작용에 의해 래크치형(72, 74)의 다음 세트(set)와 표면대 표면 접촉이 이루어지게 한다. 따라서 순차적으로 등받이(10)를 스트랩(40)으로 라체트 운동(ratcheting)이 이루어진다. 치형(56, 58, 72, 74)들은 약 ¼인치의 수직방향 크기를 가져서, 등받이의 높이는 ¼인치의 증분으로 상승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스트랩(40)에 대해 등받이(10)를 하강하는 것이 요구된다면, 레버(62)는 하향으로 눌려져야 하고, 이때 등받이는 하강된다. 레버(62)가 구속해제 상태에 있는 위치에 등받이(10)가 구속된다.
첨부된 도면 및 상기 상세한 설명들은 모든 면에서 설명을 위한 것으로 비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 속하는 등가물, 대체예 및/또는 수정예들을 포함하고, 청구항들에 관한 등가사항의 의미 및 범위는 청구범위내에 포함된다.

Claims (25)

  1. 상기 등받이 및 씨트중 한 개에 확고하게 고정되기 위한 채널부재;
    상기 채널부재에 의해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등받이 및 씨트의 다른 한 개에 확고하게 고정되기 위한 지지부재;
    채널부재 및 지지부재중 한 개로부터 일반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구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제 1 래크치형;
    복수개의 제 1 래크치형과 동일 방향으로 채널부재 및 지지부재중 상기 하나로부터 연장구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제 2 래크치형과, 상기 복수개의 제 2 래크치형이 복수개의 상기 제 1 래크치형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며;
    동시에 선택적으로 복수개의 각각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과 결합하기 위한 제 1 포울 및 제 2 포울을 가진 포착장치로 구성되고 씨트에 대해 선택된 복수개의 위치들내에 구속해제 가능하게 등받이를 지지하기 위한 조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포착장치가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내에서 미끄럼운동을 하고,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과 제 1 및 제 2 포울을 결합하도록 위치시키며,
    제 1 및 제 2 포울들을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요구되는 수직위치로부터 등받이가 하향으로 낙하운동하는 것으로부터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포울들은 수직방향으로 정렬되고,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과 반대방향으로 연장구성되며, 상기 포착장치는, 복수개의 상기 제 1 래크치형들중 선택된 래크치형들과 상기 제 1 포울을 구속해제가능하게 결합하고, 복수개의 상기 제 2 래크치형들중 선택된 래크치형들과 상기 제 2 포울을 구속해제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선형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과 제 1 및 제 2 포울들이 결합되도록 편향시키기 위한 스프링 및 포착장치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포착장치는 짝을 이루고 각을 형성하는 레버의 단부와 미끄럼결합을 하며 각을 형성하는 단부 부분을 가져서, 레버의 운동은 포착장치를 상기 선형, 수평의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운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레버는 등받이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의 수직부분을 가지고, 레버의 수직방향 작동은 포착장치의 수평방향 작동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포울은 복수개의 상기 제 1 래크치형중 선택된 래크치형들과 짝을 이루고 수직방향으로 정렬되는 복수개의 제 1 포착치형으로 구성되고, 제 2 포울은 복수개의 상기 제 2 래크치형중 선택된 래크치형들과 짝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정렬되는 복수개의 제 2 포착치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 및 제 1 및 제 2 포울들은 제 1 및 제 2 포울들이 라쳇트 모양의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과 결합함에 따라 등받이가 상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은 씨트에 확고하게 고정된 지지부재로부터 연장구성되고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의 각각은 실제로 수평을 이루는 상측변부 및 상향경사의 하측변부에 의해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포울들의 각각은 상향경사의 상측변부와 실제로 수평을 이루는 하측변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8. 등받이에 확고하게 고정되는 채널부재;
    상기 채널부재에 의해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고, 씨트에 확고하게 고정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로부터 일반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구성되고 수직으로 정렬되는 복수개의 제 1 래크치형;
    복수개의 제 1 래크치형과 동일방향으로 지지부재로부터 연장구성되고 수직으로 정렬되는 복수개의 제 2 래크치형으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제 2 래크치형은 복수개의 상기 제 1 래크치형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며,
    포착장치는 이격되고 수평방향으로 정렬되며, 제 1 및 제 2 포울들은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과 반대방향으로 연장구성되고, 상기 포착장치는 채널부재 및 지지부재중 한 개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씨트에 대해 선택된 복수개의 위치들내에 구속해제가능하게 등받이를 지지하기 위한 조정기구에 있어서,
    포착장치의 작동에 의해 제 1 및 제 2 포울들과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의 각각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선형 및 수평방향으로 포착장치가 운동하고;
    스프링은 제 1 및 제 2 포울들이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과 결합하도록 편향시키기 위해 포착장치에 대해 작동하며;
    제 1 및 제 2 포울들이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과 결합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가 요구되는 수직위치로부터 하향으로 낙하하는 것으로부터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포착장치는 등받이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은 지지부재로부터 포착장치로 돌출구조를 이루고, 제 1 및 제 2 포울들은 포착장치로부터 지지부재로 돌출구조를 이루어 복수개의 상기 제 1 및 제 2 래크치형 및 제 1 및 제 2 포울들은 제 1 및 제 2 포울들이 결합 및 분리위치내에 있을 때 동일평면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11. 제 8 항에 있어서, 포착장치는 등받이내에 형성된 채널내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12. 제 8 항에 있어서, 등받이가 최저위치로 하강될 때 지지부재의 상측변부와 접촉하는 정지부재로서 작동하기 위해 등받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구성되는 리브(ri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13. 제 8 항에 있어서, 등받이가 최고위치로 상승될 때, 채널부재의 상측변부와 접촉하는 정지부재로서 작동하도록 지지부재의 상측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구성되는 후크로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14. 제 8 항에 있어서, 추가로 포착장치와 작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포착장치는 짝을 이루고 각을 이루는 레버의 단부부분과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결합을 하고 각을 이루는 단부부분으로 구성되어, 레버의 운동은 상기 선형, 수평의 횡방향으로 포착장치를 이동시키는 캠운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레버는 등받이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의 수직부분으로 구성되고, 레버의 수직방향 작동은 포착장치의 수평방향작동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16.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포울은 복수개의 상기 제 1 래크치형들중 선택된 치형들과 짝을 이루고 수직으로 정렬되는 복수개의 제 1 포착치형들로 구성되고, 제 2 포울은 복수개의 상기 제 2 래크치형들중 선택된 치형들과 짝을 이루고 수직으로 정렬되는 복수개의 제 2 포착치형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17. 제 8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 각각은 실제로 상측변부 및 상향경사의 하측변부에 의해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포울들의 각각은 상향경사의 상측변부 및 사실상 수평을 이루는 하측변부에 의해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포울들은 라쳇트 형태로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과 결합함에 따라 등받이가 상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18. 등받이에 확고하게 고정되는 채널부재와;
    상기 채널부재에 의해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고, 씨트에 확고하게 고정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수직으로 정렬되는 복수개의 제 1 래크치형을 가지고, 수직으로 정렬되는 복수개의 제 2 래크치형은 일반적으로 횡방향으로 그곳으로부터 등받이로 돌출구조를 이루며, 복수개의 상기 제 1 및 제 2 래크치형은 서로 이격되고 평행구조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배열을 형성하며;
    포착장치는 등받이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형 수평방향의 운동이 제한되며, 상기 포착장치는 수직으로 정렬되는 복수개의 제 1 포착 치형을 가지며, 수직으로 정렬되는 복수개의 제 2 포착치형은 그곳으로부터 지지부재를 향해 돌출구조를 이루어, 복수개의 상기 제 1 및 제 2 포착치형은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과 동일 평면내에 놓여지고, 복수개의 상기 제 1 포착치형은 복수개의 상기 제 2 포착치형에 의해 형성되는 배열에 평행하고 이격된 배열을 형성하며 복수개의 상기 제 1 및 제 2 포착치형은 래크치형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과 반대방향으로 연장구성되며 씨트에 대해 선택된 복수개의 위치들내에 구속해제 가능하게 등받이를 지지하기 위한 조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선형 수평방향으로 포착장치의 운동은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포착치형을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 각각과 동시에 선택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게 위치시키고;
    스프링은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포착치형을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과 결합하도록 편향시키기 위해 포착장치에 대해 작동하며;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포착치형과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이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등받이가 요구된 수직위치로부터 하향으로 낙하하는 것으로부터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19. 제 18 항에 있어서, 포착장치는 등받이내에 형성된 채널내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20. 제 18 항에 있어서, 등받이가 최저위치로 하강될 때 지지부재의 상측변부와 접촉하는 정지부재로서 작동하도록 등받이로부터 외부로 연장구성되는 리브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21. 제 18 항에 있어서, 등받이가 최고위치로 상승될 때 채널부재의 상측변부와 접촉하는 정지부재로서 작동하도록 지지부재의 상측부분으로부터 외부로 연장구성되는 탭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22. 제 18 항에 있어서, 포착장치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가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포착장치는 각을 형성하는 단부부분이 짝을 이루고 각을 이루는 레버의 단부부분과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결합시켜서, 레버의 운동이 선형 수평의 횡방향으로 포착장치를 이동시키는 캠운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23. 제 22 항에 있어서, 레버는 등받이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의 수직위치를 가지고, 레버의 수직방향작동은 포착장치의 수평방향작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24. 제 18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은 실제 수평을 이루는 상측변부 및 상향경사를 이루는 하측변부에 의해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포울들의 각각은 상향경사를 이루는 상측변부 및 실제 수평을 이루는 하측변부에 의해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포울들이 라쳇트형태로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래크치형과 결합함에 따라 등받이가 상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25. 제 18 항에 있어서, 조정기구는 지지부재의 상측부분에 장착되는 판으로 구성되고, 탭은 판의 상측변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구성되며, 상기 판은 복수개의 상기 제 1 및 제 2 포착치형과 작동가능한 결합을 위해 그것으로부터 연장구성되는 복수개의 상기 제 1 및 제 2 래크치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구.
KR1019980700755A 1995-08-04 1996-08-05 의자 등받이용 높이조정기구 KR199900360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11,612 US5586809A (en) 1995-08-04 1995-08-04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chair backrest
US8/511,612 1995-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089A true KR19990036089A (ko) 1999-05-25

Family

ID=2403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755A KR19990036089A (ko) 1995-08-04 1996-08-05 의자 등받이용 높이조정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86809A (ko)
EP (1) EP0837789A4 (ko)
JP (1) JPH11510085A (ko)
KR (1) KR19990036089A (ko)
AU (1) AU693038B2 (ko)
CA (1) CA2228576C (ko)
MX (1) MX9800973A (ko)
WO (1) WO19970060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6614A3 (ko) * 2009-08-06 2011-03-31 Kang Jig Won 척추보호용 등받이 조절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5278A (en) * 1996-10-03 1998-03-10 Itw Plastiglide Chair back height adjuster
IT1288685B1 (it) * 1996-11-05 1998-09-23 Beniamino Miotto Dispositivo di sicurezza particolarmente per meccanismi di alzata di uno schienale di una sedia o di una poltrona
US5853222A (en) * 1997-06-06 1998-12-29 Haworth, Inc. Height-adjustable chair back
GB9802447D0 (en) 1998-02-04 1998-04-01 Unit Press Limited Mechanism for chair
US6007150A (en) 1998-03-08 1999-12-28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Motorcycle seat with adjustable backrest
GB9811209D0 (en) * 1998-05-22 1998-07-22 Unit Press Limited Height adjustment for back part of chair
US5951107A (en) * 1998-10-28 1999-09-14 Tornero; Lino E. Height adjusting device with audible feedback
AUPP725498A0 (en) * 1998-11-23 1998-12-17 Klasse Pty Ltd Back support improvement
GB9928509D0 (en) 1999-12-03 2000-02-02 Unit Press Limited Improvements to chairs
US6422652B1 (en) * 2000-11-29 2002-07-23 Haworth, Inc. Height adjusting mechanism
KR100427557B1 (ko) * 2001-03-26 2004-04-27 주식회사 웰스킨 뼈의 콜라겐 지지체
DE502004005308D1 (de) * 2003-04-26 2007-12-06 Grammer Ag Ratschenartige Verstellvorrichtung
US7243997B1 (en) 2004-01-20 2007-07-17 Tornero Lino E Positioning device for furniture
ITVI20050130A1 (it) * 2005-04-29 2006-10-30 Permasa S A Sedia o poltrona con schienale regolabile
US7527335B2 (en) * 2006-02-27 2009-05-05 Steelcase Inc. Seating unit with adjustable components
US7582987B2 (en) * 2007-02-27 2009-09-01 Kinpo Electronics, Inc. Double power sources switching circuit
EP2153753B1 (fr) * 2008-08-12 2015-03-18 Steelcase Sa Dossier réglable en hauteur
ITUD20100225A1 (it) * 2010-12-06 2012-06-07 Linea Fabbrica S R L Meccanismo di regolazione per uno schienale di una sedia
US9096151B2 (en) 2011-05-27 2015-08-04 Husqvarna Ab Lawn care vehicle adjustable seat
JP5661696B2 (ja) * 2012-08-07 2015-01-28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り物用シート装置
US11304528B2 (en) 2012-09-20 2022-04-19 Steelcase Inc. Chair assembly with upholstery covering
USD697726S1 (en) 2012-09-20 2014-01-21 Steelcase Inc. Chair
FR3000708B1 (fr) * 2013-01-04 2015-02-20 Faurecia Sieges Automobile Systeme de montage d'un appui-tete escamotable par gravite, ensemble comprenant un tel systeme de montage et siege de vehicule comprenant un tel ensemble
EP2759230B1 (en) * 2013-01-23 2015-09-30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Chair back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nd chai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149A (en) * 1906-04-05 1910-12-20 Edgar A Gay Furniture attachment.
US3215470A (en) * 1964-05-22 1965-11-02 Milsco Mfg Co Seat with adjustable elements
US4043592A (en) * 1975-09-05 1977-08-23 Steelcase Inc. Adjustable seat back mechanism
US4155593A (en) * 1978-03-20 1979-05-22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Vehicle seat having seat rake adjustment means
US4156544A (en) * 1978-03-20 1979-05-29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Vehicle seat having lumbar support adjustment means
US4181357A (en) * 1978-03-20 1980-01-01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Seat backrest tilt and height adjustment means
US4451084A (en) * 1981-12-14 1984-05-29 Simmons Universal Corporation Backrest height adjustment for office chair
CA1220407A (en) * 1983-09-07 1987-04-14 Paolo Favaretto Adjustable chair
US4621864A (en) * 1984-12-13 1986-11-11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Tiltable arm rest assembly and mounting and operating means therefor
DE3527783A1 (de) * 1985-08-02 1987-02-12 Froescher August Gmbh Co Kg Verstelleinrichtung fuer die stufenweise arretierbare hoehenverstellung von rueckenlehnen an arbeitsstuehlen
US4639039A (en) * 1985-09-10 1987-01-27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chair backrest
DE8627648U1 (de) * 1986-10-16 1988-09-01 Dauphin F W Buerositzmoebel Stuhl, insbesondere Bürostuhl, mit höhenverstellbarer Rückenlehne
US4749230A (en) * 1987-04-23 1988-06-07 Tornero Lino E Height adjusting device for chair backrest
US5007678A (en) * 1989-10-11 1991-04-16 Steelcase Inc. Chair back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5037158A (en) * 1990-01-16 1991-08-06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chair back
US5176356A (en) * 1991-11-27 1993-01-05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Seat suspension with quick height adjustment
US5127621A (en) * 1991-12-16 1992-07-07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Pivotable seat assembly with latch mechanism
US5582460A (en) * 1993-06-11 1996-12-10 Hon Industries Inc. Pivotable and height-adjustable chair back rest assembly and blow-molded back rest therefor
US5468051A (en) * 1994-08-23 1995-11-21 Lu Kuang Incorporation Adjustable highchai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6614A3 (ko) * 2009-08-06 2011-03-31 Kang Jig Won 척추보호용 등받이 조절 의자
KR101028369B1 (ko) * 2009-08-06 2011-04-11 최경자 척추보호용 등받이 조절 의자
US8690249B2 (en) 2009-08-06 2014-04-08 Jig Won Kang Chair having an adjustable backrest for spinal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86809A (en) 1996-12-24
EP0837789A1 (en) 1998-04-29
JPH11510085A (ja) 1999-09-07
AU693038B2 (en) 1998-06-18
WO1997006027A1 (en) 1997-02-20
CA2228576C (en) 2001-03-06
CA2228576A1 (en) 1997-02-20
EP0837789A4 (en) 1999-03-03
AU6717996A (en) 1997-03-05
MX9800973A (es)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6089A (ko) 의자 등받이용 높이조정기구
CA2303867C (en) Playyard
US6974189B2 (en) Vertically adjustable chair armrest
EP1430816A1 (en) Playyard floor lock system
US9345333B2 (en) Armrest, in particular for office chairs
MXPA98000973A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the support of any si
US7360837B1 (en) Backrest adjusting device for chair
US6416124B1 (en) Highchair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tray
US6409266B1 (en) Device for adjusting lateral position of a chair armrest
US20090176627A1 (en) Integrated folding mechanism of a treadmill
US7008018B2 (en) Adjustable high chair
US6347833B1 (en) High chair having a seat-tilting mechanism
CA2327221A1 (en) Connection assembly for a chair back
WO2001096144A1 (en) Tie-down hoop
US20220346556A1 (en) Sofa bed
US6264276B1 (en) Adjustable connecting device for interconnecting seat and backrest members of a chair
US6889993B2 (en) Wheelchair having foldable backrest module and seat module
EP1369293B1 (en) Infant vehicle seat comprising a chassis and a seat connected to the chassis, as well as such a chassis
US6659561B1 (en) Arm rest adjustable forwardly and rearwardly
JPH02200283A (ja) アルペンスキー用の踵締め具
US6517158B1 (en) Height-adjustable armrest assembly
US4198020A (en) Container support
US6851752B2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n infant support structure
US5820527A (en) Height adjusting device for baby walkers
KR102300588B1 (ko) 높이 조절식 데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