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078U - 냉장고용 계란꽂이 선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계란꽂이 선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36078U KR19990036078U KR2019980001820U KR19980001820U KR19990036078U KR 19990036078 U KR19990036078 U KR 19990036078U KR 2019980001820 U KR2019980001820 U KR 2019980001820U KR 19980001820 U KR19980001820 U KR 19980001820U KR 19990036078 U KR19990036078 U KR 1999003607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gg
- shelf
- rack
- egg rack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용 계란꽂이 선반에 관한 것으로, 도어 포켓에는 수개의 계란 수납공이 천공된 제 1계란꽂이 선반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 1계란꽂이 선반의 하부에는 수개의 계란 수납공이 구비된 제 2계란꽂이 선반이 인출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 1계란꽂이 선반의 내부 양측에는 다단의 안내홈이 형성되며, 제 2계란꽂이 선반의 일측 단부 양측에는 제 2계란꽂이 선반이 다단계로 인출될 수 있도록 안내홈에 록킹되는 안내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2계란꽂이 선반은 제 1계란꽂이 선반의 안내홈에 록킹되는 안내돌기의 안내를 받으면서 다단계로 인출된다.
이에 의하여, 제 2계란꽂이 선반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도어의 개폐시 충격이 전가되어도 수납된 계란이 깨지지 않으며, 그리고, 사용하지 않는 계란꽂이 선반을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진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냉장고용 계란꽂이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계란꽂이 선반을 중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켜 도어의 개폐시 충격이 전가되어도 인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용 계란꽂이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 1에 나타난 바와같이 캐비넷(1)은 크게 냉동실(2)과 냉장실(3)로 구분되며, 냉동실(2)과 냉장실(3)은 캐비넷(1)에 설치되는 별도의 도어(2a)(3a)를 통해 개폐된다.
또한, 각 고내(2)(3)에는 식품의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다단의 선반(4)이 설치된다.
아울러, 각 도어(2a)(3a)에도 다단의 도어 포켓(5)이 설치되어 한정된 고내를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특히, 냉장실 도어(3a)의 최상단에 배치되는 도어 포켓(5)에는 계란을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계란꽂이 선반(1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술한 종래 계란꽂이 선반(10)은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관통하면서 계란이 수납되는 수개의 계란 수납공(11)이 구비된다.
그리고, 계란꽂이 선반(10)은 도어 포켓(5)의 수납공간(5a)보다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수개를 장착 사용하며, 이는 수납되는 계란의 수량이 적을 경우 사용하지 않는 계란꽂이 선반을 분리하여 계란꽂이 선반(10)이 점유하지 않은 수납공간에 다른 종류의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목적이다.
그리고, 두 개의 계란꽂이 선반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작은 계란꽂이 선반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큰 계란꽂이 선반과 중첩시켜 사용하지 않는 계란꽂이 선반을 별도로 보관하지 않도록 하는 사양도 있다.
그러나, 종래 계란꽂이 선반에 있어서, 전자의 경우에는 수납되는 계란의 수량에 따라 계란꽂이 선반(10)을 장착하여 계란이 수납되지 않는 수납공간(5a)에 다른 종류의 식품을 수납할 수는 있으나, 사용하지 않는 계란꽂이 선반을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며, 아울러, 수납하려는 계란의 수량이 증가하여 분리 상태의 계란꽂이 선반을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는 보관중인 계란꽂이 선반을 다시 장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는 각 계란꽂이 선반이 결합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중첩 가능하도록 크기만 다르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시 충격이 전가될 경우 인출 상태의 작은 계란꽂이 선반이 흔들리게 되어 수납된 계란이 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납하려는 계란의 수량에 따라 계란꽂이 수납부의 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되, 사용하지 않는 계란꽂이 선반을 별도로 보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도 증대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용 계란꽂이 선반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리 형성된 계란꽂이 선반이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시 충격이 전가되어도 수납된 계란이 깨지지 않도록 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선반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계란꽂이 선반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평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사용된부호의설명>
20 : 제 1계란꽂이 선반 21,31 : 계란 수납공
22 : 측벽 23 : 안내홈
24 : 지지부 30 : 제 2계란꽂이 선반
32 : 안내돌기 33 : 손잡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 포켓에 장착되며 수개의 계란 수납공이 구비된 제 1계란꽂이 선반과, 상기 제 1계란꽂이 선반의 하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계란 수납공과 연통되는 계란 수납공이 구비된 제 2계란꽂이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제 1계란꽂이 선반의 내부 양측에는 다단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계란꽂이 선반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제 2계란꽂이 선반이 다단계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다단의 안내홈에 선택적으로 록킹되는 안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평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계란꽂이 선반은, 도어 포켓(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개의 계란 수납공(21)이 천공된 제 1계란꽂이 선반(20)과, 제 1계란꽂이 선반(20)의 하부에 중첩 및 인출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수개의 계란 수납공(31)이 천공된 제 2계란꽂이 선반(30)을 포함하며, 제 1계란꽂이 선반(20) 양측벽(22)의 내측면에는 다단의 안내홈(23)이 형성되고, 제 2계란꽂이 선반(30)의 일측 단부의 좌우 양측에는 안내홈(23)에 록킹되는 안내돌기(32)가 일체로 구비된다.
제 1계란꽂이 선반(20) 양측벽(22)의 하단부에는 제 2계란꽂이 선반(30)의 양측이 안착 및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지지부(24)가 내측으로 절곡 성형된다.
제 2계란꽂이 선반(30)의 선단 상면에는 손잡이(33)가 형성되며, 선단 하부에는 지지턱(3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본 고안 계란꽂이 선반의 초기 상태는 제 2계란꽂이 선반(30)과 제 1계란꽂이 선반(20)이 중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 때, 제 2계란꽂이 선반(30)의 안내돌기(32)는 제 1계란꽂이 선반(20)의 안내홈(23)중 입구에서 가장 먼 곳에 위치한 안내홈(23a)에 록킹된다.
이렇게 되면, 각 계란꽂이 선반(20)(30)의 계란 수납공(21)(31)이 연통되어 이 계란 수납공(21)(31)에 계란의 수납이 가능하게 되며, 이 때, 계란꽂이 선반(20)(30)은 도어 포켓 수납공간의 일부분을 점유하여 그 나머지 수납공간에는 다른 종류의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납하려는 계란의 수량이 제 1계란꽂이 선반(20)의 계란 수납공(21)보다 많아 제 2계란꽂이 선반(30)을 사용하기 위해 제 2계란꽂이 선반(30)의 손잡이(33)를 잡고 일측으로 잡아당기면 제 2계란꽂이 선반(30)의 안내돌기(32)는 안내홈(23a)으로부터 빠지게 되며, 안내돌기(32)가 안내홈(23a)의 전방에 위치한 산을 넘게 되면 그 자체 탄성력에 의해 그 다음의 안내홈(23)에 록킹된다. 이 때, 제 2계란꽂이 선반(30)은 지지부(24)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 1계란꽂이 선반(20)의 외부로 인출되며, 제 2계란꽂이 선반(30)의 일측은 제 1계란꽂이 선반(20)의 지지부(24)에 지지되며, 타측은 지지턱(34)에 의해 지지된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 2계란꽂이 선반(30)을 인출시키면서 각 계란 수납공(21)(31)을 일치시키고, 필요한 만큼의 계란 수납공을 확보한다.
반대로, 제 2계란꽂이 선반(3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손잡이(33)를 잡고 인출시와 반대로 밀면 제 2계란꽂이 선반(30)의 안내돌기(32)는 각 안내홈(23)에 다단으로 록킹되면서 제 1계란꽂이 선반(20)의 내부로 수납되며, 이 때도 제 2계란꽂이 선반(30)은 지지부(24)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계란꽂이 선반에 의하면, 제 1,2계란꽂이 선반(20)(30)이 중첩 및 필요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수납하려는 계란의 수량이 많지 않을 때에는 도어 포켓에 다른 종류의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납하려는 계란의 수량이 적어 계란꽂이 선반의 일부분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 2계란꽂이 선반(30)을 제 1계란꽂이 선반(20)에 중첩시키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계란꽂이 선반의 계란 수납공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사용하지 않는 계란꽂이 선반을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진다.
특히, 제 2계란꽂이 선반(30)의 인출시 제 2계란꽂이 선반(30)은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기 이전에는 제 1계란꽂이 선반(20)에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도어의 개폐시 충격이 발생되어도 제 2계란꽂이 선반(30)에 수납된 계란이 깨지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 계란꽂이 선반에 의하면, 수납되는 계란의 수량에 따라 계란 수납공의 수를 바꿀수 있음은 물론, 계란꽂이 선반의 인출시에도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도어의 개폐시 충격이 발생되어도 계란꽂이 선반에 수납된 계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 포켓에 다른 종류의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되므로 고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되지 않는 계란꽂이 선반을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 도어 포켓에 장착되며 수개의 계란 수납공이 구비된 제 1계란꽂이 선반과, 상기 제 1계란꽂이 선반의 하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계란 수납공과 연통되는 계란 수납공이 구비된 제 2계란꽂이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제 1계란꽂이 선반의 내부 양측에는 다단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계란꽂이 선반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제 2계란꽂이 선반이 다단계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다단의 안내홈에 록킹되는 안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계란꽂이 선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계란꽂이 선반의 단부에는 손잡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계란꽂이 선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1820U KR19990036078U (ko) | 1998-02-13 | 1998-02-13 | 냉장고용 계란꽂이 선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1820U KR19990036078U (ko) | 1998-02-13 | 1998-02-13 | 냉장고용 계란꽂이 선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6078U true KR19990036078U (ko) | 1999-09-15 |
Family
ID=6971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01820U KR19990036078U (ko) | 1998-02-13 | 1998-02-13 | 냉장고용 계란꽂이 선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36078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22490A1 (de) * | 2007-04-10 | 2008-10-16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Eierträger |
-
1998
- 1998-02-13 KR KR2019980001820U patent/KR19990036078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22490A1 (de) * | 2007-04-10 | 2008-10-16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Eierträg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792978B1 (en) | Food container | |
KR101627935B1 (ko) | 냉장고 | |
KR102447530B1 (ko) | 냉장고 | |
KR20240107070A (ko) | 아이스 메이커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 |
KR19990036078U (ko) | 냉장고용 계란꽂이 선반 | |
EP3839390B1 (en) | Refrigerator | |
KR20090005503U (ko) | 달걀트레이를 갖는 냉장고 | |
KR20070102872A (ko) | 냉장고용 도어바스켓 | |
KR200391417Y1 (ko) | 냉장고용 계란수납함 | |
KR20050057995A (ko) | 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 |
KR100334646B1 (ko) | 김치냉장고 | |
KR100271583B1 (ko) | 냉장고의슬라이딩포켓을지니는도어포켓 | |
KR20040085756A (ko) | 냉장고의 홈바 도어 | |
KR200182199Y1 (ko) |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 | |
KR19990056272A (ko) | 냉장고의 도어포켓 | |
KR0127310Y1 (ko) | 샤프심통 | |
KR0133006Y1 (ko) | 냉장고용 얼음저장용기 | |
KR200200682Y1 (ko) | 냉장고의 선반 설치 구조 | |
KR200155035Y1 (ko) | 냉장고용 보조선반 장치 | |
KR100623523B1 (ko) | 냉장고의 캔음료 보관장치 | |
KR101271893B1 (ko) | 냉장고의 서랍식 홈바 | |
KR100767843B1 (ko) | 냉장고 도어 완충부재 | |
KR20040092047A (ko) | 냉장고용 야채박스 장착구조 | |
KR200340653Y1 (ko) | 양문 개폐형 냉장고의 홈바 | |
KR20060094586A (ko) | 야채박스의 이중 인출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