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382U - 통합형멀티미디어용인출구 - Google Patents

통합형멀티미디어용인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382U
KR19990035382U KR2019990010809U KR19990010809U KR19990035382U KR 19990035382 U KR19990035382 U KR 19990035382U KR 2019990010809 U KR2019990010809 U KR 2019990010809U KR 19990010809 U KR19990010809 U KR 19990010809U KR 19990035382 U KR19990035382 U KR 199900353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type
outlets
communicatio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철
Original Assignee
이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철 filed Critical 이원철
Priority to KR2019990010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382U/ko
Priority to KR2019990016374U priority patent/KR20016689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3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382U/ko
Priority to KR1020000044796A priority patent/KR200100154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회환경이 산업사회환경에서 정보화사회환경으로 변화되면서, 업무용 및 주거용 건축물내의 주 사용 통신서비스가 단일 종류의 아나로그 전화통신서비스 사용 위주에서 고속 및 초고속의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정보통신서비스로 그 서비스방식이 변화됨에 따라 그 사용 통신용 인출구도 종전의 대각형 4단자형 인출구 및 4핀 모듈라형의 아나로그 전화급 인출구에서, 아나로그 전화를 비롯하여 ISDN, ADSL, ETHERNET 등의 디지털통신을 지원하는 RJ45 MODULAR형 인출구와 쌍방향 CATV를 지원하는 동축케이블용 종단형 인출구 그리고 초고속 ATM통신의 광케이블을 지원하는 ST형 광케이블용 인출구 등 그 각 각의 정보통신방식과 정보통신서비스 그리고 그 사용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그 종류별 전용의 인출구를 사용하도록 다양화됨에 따라, 사용하고자하는 종류가 각 각 다른 고속 및 초고속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적합한 인출구들을 하나의 사용구역에서 임의 선택 사용하도록 고안된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본 고안의 통합형 디지털통신용 인출구에는, 국내외에서 제작된 다양한 종류의 RJ45 8핀 MODULAR JACK, 쌍방향 CATV용 종단용 인출구, ST형 광케이블용 등 다양한 종류의 인출구를, 그 전용의 종류별 인출구 고정용 홈이 준비된 사각형상의 케이스에 장착 후 기존의 벽부형 FACE PLATE의 붙임쇠에 장착한 후 선정된 FACE PLATE로 마감함을 특징으로 하며, 그 사용 붙임쇠 및 FACE PLATE는 기존의 어느제품과도 호환성를 갖고 있어, 전원용의 220V 접지 콘센트 및 SWITCH와 같은 종류의 FACE PLATE로 통일화가 가능하다.
특히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의 그 구성 및 완성 형태는 인출구 종류별로 단독형(예 RJ45 MOD JACK 단일종류) 또는 수개의 다른 종류의 인출구(예 RJ45 MOD JACK, ST형 광케이블용 커넥터, CATV용 종단형 UNIT 등)들을 혼합한 복합형으로도 구성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로서, 초고속 멀티미디어 정보통신환경에서의 다양하게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통신서비스를 각 각의 사용자가 각 각의 환경에 맞추어서 그 대응 사용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이다.

Description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MULTI-PORT MULTI-MEDIA OUTLET}
본 고안은 사회환경이 정보화사회환경으로 변화되면서, 업무용 및 주거용 건축물내의 주 사용 통신서비스가 단일 종류의 아나로그 전화급 통신서비스 사용 위주에서 고속 및 초고속의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정보통신서비스로 그 서비스방식이 변화됨에 따라 그 사용 통신용 인출구의 종류도 종전의 아나로그 전화용의 인출구에서 디지털통신을 기반으로하는 ISDN, ADSL, T1, E1, ETHERNET 및 ATM 등의 다양한 종류의 다양한 속도의 디지털통신을 지원하는, RJ45 MODULAR형 인출구와 쌍방향 CATV를 지원하는 동축케이블용 종단용 인출구 그리고 초고속 ATM통신의 광케이블을 지원하는 ST형 인출구 등 그 각 각의 정보통신방식과 정보통신서비스 그리고 그 사용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대응되는 그 종류별 전용의 인출구를 하나의 사용자구역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복수 이상의 인출구를 동시에 선택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이다.
반면 종전의 아나로그 전화용 인출구는 주로 대각형 4단자형 또는 4핀 모듈라형 인출구의 일색으로서, 그 대응 정보통신서비스가 아나로그의 음성급 전화 또는 저속도의 아나로그 기반의 DATA통신에 한정되어, 정보화사회에서 다양하게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속 및 초고속의 디지털통신을 지원하지 못함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제 종류의 디지털기반의 정보통신서비스의 사용이 불가능함은 물론 단일 종류의 아나로그 전화용 인출구만을 사용함에 따른 다양하게 제공되는 여러종류의 디지털통신서비스의 사용이 동일 인출구역에서 불가능 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나로그 전화서비스는 물론 UTP CABLE 및 광케이블을 전송매체로 고속 초고속의 디지탈 전용의 ISDN, ADSL, T1, E1, 10/100Mbps ETHERNET, 622Mbps ATM 및 동축케이블을 매체로 제공되는 쌍방향CATV 등 아나로그 및 디지털 정보통신서비스를 동일의 사용자구역에서 동시에 복수개 이상을 사용하기 위한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로서 아나로그전화, ISDN, ADSL, T1, E1 및 10/100Mbps ETHERNET 등 디지털통신서비스를 지원하는 UTP케이블을 접속하는 기능을 갖는 RJ45 MODULAR JACK형 인출구와 10/100Mbps ETHERNET, 622Mbps 이하 ATM 등 광케이블을 매체로 접속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 ST형 인출구와 동축케이블을 매체로 접속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 쌍방향CATV 종단용 인출구 그리고 특별히 한시성을을 갖는 아나로그 전화 전용의 대각형 4단자형 인출구 등 모든 종류의 아나로그 및 디지털 정보통신서비스를 접속 사용 할 수있는 다양한 종류의 인출구들을 기존의 매입 또는 노출형의 박스에 단독형 또는 혼합에 의한 복합형 인출구로서 다양하게 구성하여, 다양하게 제공되는 여러종류의 정보통신서비스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 사용하게 하는 것으로서 그 기능이 달성된다.
즉 각 각의 특성을 갖는 인출구 즉 RJ45 UTP CABLE용 MODULAR JACK, ST형 광케이블용 케넥터 그리고 쌍방향CATV용 종단형 UNIT는 그 전용의 장착용 홈이 준비된 사각형상의 전용의 HOLDER에 고정 장착되어, 단독 또는 복수개의 형태로 FACE PLATE의 붙임쇠에 고정되어, 단독 또는 통합형 인출구의 형태로 그 해당 FACE PLATE로서 마감된다. 또한 본 고안의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는 기존의 붙임쇠가 있는형의 모든 벽매입형 제품에 대하여 풍부한 호환성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의 타 환경 즉 전원용의 콘센트, 스윗치 등과 제작회사 또는 제품군별로 통일화가 가능한 풍부한 마감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실용성과 호환성 등이 달성된다.
도 1 - 대표적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 전체 외관도
도 2 - 대표적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 구성도
도 3 - RJ45형 인출구 HOLDER의 정면, 상면, 단면도
도 4 - ST형 광케이블 인출구 HOLDER의 정면 및 단면도
도 5 - 동축케이블용 CATV 인출구 HOLDER의 정면 및 단면도
도 6 - RJ45형 인출구 COVER의 사시 및 후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통합형 멀티미디어 인출구 외관도
20 : 쌍방향CATV 동축케이블 종단용 인출구
21 : 쌍방향CATV 종단용 인출구 HOLDER
22 : 쌍방향CATV 종단용 인출구 HOLDER의 붙임쇠 고정홈
23 : 쌍방향CATV 종단용 인출구 HOLDER의 인출구 고정판
24 : 쌍방향CATV 종단용 인출구 COVER
30 : 광케이블용 ST형 인출구
31 : 광케이블용 ST형 인출구 HOLDER
32 : 광케이블용 ST형 인출구 HOLDER의 붙임쇠 고정 홈
33 : 광케이블용 ST형 인출구 HOLDER의 인출구 고정판
34 : 광케이블용 ST형 인출구 COVER
40 : SHUTTER RJ45 MODULAR JACK형 인출구
41 : SHUTTER 부착형 RJ45 MOD. JACK형 인출구 HOLDER
42 : SHUTTER 부착형 RJ45 MOD. JACK형 인출구 HOLDER의 붙임쇠 고정 홈
43 : SHUTTER 부착형 RJ45 MOD. JACK형 인출구 HOLDER 의 인출구 고정 홈
44 : SHUTTER 부착형 RJ45 MOD. JACK형 인출구 HOLDER 의 SHUTTER
45 : SHUTTER 부착형 RJ45 MOD. JACK형 인출구 COVER
50 : 1개용 또는 연용형의 FACE PLATE
51 : 일체형 또는 개별형의 화장판 및 붙임쇠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2개형의 대표적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구성은 아나로그전화, ISDN, ADSL, T1, E1, 10/100Mbps ETHERNET 등을 지원하는 UTP케이블 접속용의 SHUTTER 부착형 RJ45 MODUALR JACK 인출구(40), 쌍방향CATV를 접속 지원하는 동축케이블용 종단형 인출구(20), 622Mbps이하 ATM 초고속 정보통신을 지원하는 광케이블 접속용 ST형 인출구(30)와 상기 RJ45 MODULAR 인출구(40), 동축케이블용 종단형 인출구(20), 광케이블 접속용 ST형 인출구(30)들을 각 각 장착 고정하는 고정용 홈 또는 판이 준비된 사각형상의 RJ45 MODULAR 인출구용의 SHUTTER가 부착된 HOLDER(41), 동축케이블 인출구용 HOLDER(21), 광케이블 인출구용 HOLDER(31)와, 그 각 각의 인출가가 장착된 HOLDER를 단독 또는 복수개의 형태로 삽입 고정하고 매입 또는 노출형 OUTLET BOX에 인출구 SET 전체를 고정 시키는 기능을 갖는 화장판 및 붙임쇠(51)와 여러 종류의 복합 구성된 인출구들을 보호하는 기능 이외 외부에서의 미려함을 주 기능으로 하는 FACE PLATE(50)로서 구성된다.
UTP CABLE용의 RJ45 MODULAR JACK(40)은 그 종류별 특성에 따른 그 전용의 고정용 홈이 상하 또는 좌우의 위치에 준비되고, SHUTTER가 부착된 사각형상의 HOLDER(41)에 삽입 장착되어 붙임쇠(51)에 고정되며, 동축케이블용의 종단형 인출구(20)는 그 전용의 고정용 판이 준비된 사각형상의 HOLDER(21)에 삽입 장착되어 붙임쇠(51)에 고정되며, 광케이블용의 ST형 인출구(30)는 그 전용의 고정용 판이 준비된 사각형상의 HOLDER(31)에 삽입 장착되어 붙임쇠(51)에 고정된 후, 그 개별의 붙임쇠 또는 화장판 겸 붙임쇠가 벽매입형 OUTLET BOX에 나사로 장착 고정된 후 미려한 색상의 FACE PLATE(50)로 마감되므로서 하나의 사용자 구역에서 그 전송매체가 각 각 다른 즉 UTP CABLE, 동축케이블 그리고 광케이블 등을 이용하는 단독 또는 복수개 이상의 종류가 다른 정보통신 서비스의 사용이 달성된다
특히 본 고안의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는 그 전송매체별로 종류가 다른 어느 제품도 사각형상의 HOLDER의 고정용 홈 또는 판의 환경을 부분 수정하므로서, 그 장착이 가능한 우수한 적용성을 가지고 있으며, 화장판 및 붙임쇠와 그 FACE PLATE는 기존의 SWITCH 제품 종류와 220V 접지 콘센트와도 상호 호환되는 그 호환성이 우수한 미려한 마감특성을 가지고 있는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에 의하면, 기존의 아나로그 전화용 인출구인 대각형 4단자형 또는 4핀 모듈라형 인출구로서 사용이 불가능 하였던 ISDN, ADSL, T1, E1 및 ATM급의 고속 및 초고속의 디지털통신서비스와 쌍방향 CATV 서비스 등 다양한 종류의 다양한 정보통신서비스를 하나의 동일 인출구역에서 동시에 2개이상 복수개의 서비스의 연결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전의 아나로그 전화용도의 CPEV 및 TIV의 단일 구내배선망에 의한 저속의 단일 아나로그 전화용 서비스에서, UTP 케이블의 구내배선망 또는 광케이블의 초고속 ATM통신망 또는 동축케이블의 쌍방향 CATV 서비스 등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로서 구성되는 다양한 구내배선망에 대응이 가능하게 되므로서, 사용자는 단일의 동일 인출구역에서 상시 복수개 이상의 원하는 정보통신서비스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제일 취약한 주거용 건물에서의 다양한 고속 및 초고속의 디지털통신서비스의 사용에 있어서 그 조기 확산이 예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전원용의 SWITCH, 220V 접지 콘센트와의 붙임쇠, 화장판 그리고 마감용의 FACE PLATE와 상호 호환이 기능함에 따라, 동일 설치장소 또는 동일 사용장소에서 미려한 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UTP CABLE용의 RJ45 MODULAR JACK형 인출구용 HOLDER에는 SHUTTER를 부착, 외부에서의 연결 접속이 없을 시는 자동적으로 RJ45 MODULAR 인출구를 차단하여,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회로장애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기 특허 출원된 역 L자형의 F형 종단저항내장형 TV UNIT를 쌍방향CATV용 종단형 인출구로 사용시에는 본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의 구성이 단순하여짐은 물론 STAR형 배관 배선에 의한 직렬TV UNIT 및 수db 손실의 전자유도결합형 종단형 TV UNIT의 사용 불 필요에 따라 세대당 수 십 db의 손실 방지가 가능한 양질의 쌍방향CATV용 동축케이블 선로설비의 구축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2)

  1.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에 있어서,
    수개의 RJ45 MODULAR JACK과 ;
    수개의 쌍방향 CATV용 종단형 인출구와 ;
    수개의 광케이블용 ST형 인출구들이 단독 또는 복합형으로 구성되어 벽매입형 FACE PLATE와 붙임쇠에 장착되는 통합형 멀티미디용 인출구.
  2. 상기 청구항 1항의 단독 또는 복합형으로 구성되는 인출구에 있어서,
    종류별 RJ45 MODULAR JACK을 장착하는 전용의 고정용 홈이 상하 또는 좌우의 위치에 준비되어 있고, SHUTTER가 장착되어 있는 붙임쇠 삽입형 사각형상의 HOLDER 및 HOLDER COVER와 ;
    쌍방향CATV용 종단저항내장형 종단형 인출구 또는 전자유도결합형 종단형 인출구를 장착하는 전용의 고정용 요철판이 준비되어 있는 붙임쇠 삽입형 사각형상의 HOLDER 및 HOLDER COVER와 ;
    종류별 광케이블용 ST형 인출구를 장착하는 전용의 고정용 요철판이 준비되어 있는 붙임쇠 삽입형 사각형상의 HOLDER 및 HOLDER COVER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
KR2019990010809U 1999-06-17 1999-06-17 통합형멀티미디어용인출구 KR19990035382U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809U KR19990035382U (ko) 1999-06-17 1999-06-17 통합형멀티미디어용인출구
KR2019990016374U KR200166891Y1 (ko) 1999-06-17 1999-08-11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
KR1020000044796A KR20010015485A (ko) 1999-06-17 2000-08-02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809U KR19990035382U (ko) 1999-06-17 1999-06-17 통합형멀티미디어용인출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374U Division KR200166891Y1 (ko) 1999-06-17 1999-08-11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382U true KR19990035382U (ko) 1999-09-06

Family

ID=195780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809U KR19990035382U (ko) 1999-06-17 1999-06-17 통합형멀티미디어용인출구
KR2019990016374U KR200166891Y1 (ko) 1999-06-17 1999-08-11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374U KR200166891Y1 (ko) 1999-06-17 1999-08-11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3538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144A (ko) * 2000-01-17 2000-06-05 이원철 퓨젼형 다기능 훼이스 플레이트
KR100537998B1 (ko) * 2000-05-04 2005-12-20 정보통신연구진흥원 먼지차단 도어를 구비한 모듈러 잭의 전면판
KR100537997B1 (ko) * 2000-04-14 2005-12-20 정보통신연구진흥원 먼지차단 도어를 구비한 모듈러 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144A (ko) * 2000-01-17 2000-06-05 이원철 퓨젼형 다기능 훼이스 플레이트
KR100537997B1 (ko) * 2000-04-14 2005-12-20 정보통신연구진흥원 먼지차단 도어를 구비한 모듈러 잭
KR100537998B1 (ko) * 2000-05-04 2005-12-20 정보통신연구진흥원 먼지차단 도어를 구비한 모듈러 잭의 전면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891Y1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26017B (zh) 在单个电话线上的电话通信系统
US20080124971A1 (en) Service provider patch panel assembly
ATE237903T1 (de) System für bürobreitbandkommunikation unter verwendung von verdrillten telefonzweidrahtleitungen
KR200166891Y1 (ko)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
KR100433063B1 (ko) 복합형 디지털통신용 세대통신단자반
CA2233294A1 (en) A telecommunications switch
KR20010015485A (ko)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
KR100610324B1 (ko) 통합형 디지털통신 단자반
KR19990033487U (ko) 복합형 디지털통신용 인출구
Cisco Expansion Modules
Cisco Expansion Modules
KR19990078631A (ko) 통합형멀티미디어콘센트
KR100343333B1 (ko) 주거용 세대 단자함
KR200177413Y1 (ko)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
KR200167794Y1 (ko) 알제이45 다기능 멀티포트 브릿지 아답터
KR200296600Y1 (ko) 디지탈통신용 세대통신단자반
CN2479684Y (zh) 一种家庭配线模块
KR20000058320A (ko) 데이터와 음성신호를 구분하는 구내통신선로 배선방법
KR200227868Y1 (ko) 8핀 알제이45 버스형 인출구
KR200219095Y1 (ko) 툴프리 알제이45 통신용 인출구
CN2446697Y (zh) 智能家居控制箱
KR100364175B1 (ko) 세대 통합형 스위치 허브
KR20000030144A (ko) 퓨젼형 다기능 훼이스 플레이트
KR19990017514U (ko) 디지탈통신용구내통신단자반
KR19990022822U (ko) 알제이45멀티포트브릿지아답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