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413Y1 -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 - Google Patents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413Y1
KR200177413Y1 KR2019990016375U KR19990016375U KR200177413Y1 KR 200177413 Y1 KR200177413 Y1 KR 200177413Y1 KR 2019990016375 U KR2019990016375 U KR 2019990016375U KR 19990016375 U KR19990016375 U KR 19990016375U KR 200177413 Y1 KR200177413 Y1 KR 200177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speed
cab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ev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철
Original Assignee
이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90000405U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17514U/ko
Application filed by 이원철 filed Critical 이원철
Priority to KR2019990016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4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4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06Call diver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회환경이 정보화사회환경으로 변화됨에 따라 업무용 및 주거용 건축물에서 다양한 종류의 고속 및 초고속의 멀티미디어 정보통신을 접속 분배하기 위한 디지털 DATA 신호변환장치 및 위성 BS-TV, 위성 CS-TV 와 UHF/VHF 대역의 공중파 TV 신호의 변환 및 증폭장치 내장형 통합형 통신단자반으로서, 정보화사회로 본격적으로 이행됨에 따라 아나로그 전화를 비롯하여 ISDN, ADSL, T1, E1, 10/100Mbps ETHERNET 그리고 광케이블을 매체로 하는 초고속의 ATM DIGITAL 통신 등의 DIGITAL DATA통신 및 동축케이블의 쌍방향 CATV 및 UHF/VHF 대역의 공중파 TV 그리고 위성의 BS TV, CS TV 등 그 정보통신서비스의 종류와 방식이 다양하여지고, 그에 따라 인입국선과 구내배선망과의 연결 접속 기능을 갖는 통신단자반의 기능이 종전의 아나로그 연결 접속의 단순 기능에서 다양한 종류의 고속 및 초고속의 멀티미디어 정보통신을 연결 접속하는 기능을 필요로 함에 따라, 본 고안의 신호변환 및 신호증폭장치 내장형 통신단자반은 그와같이 다양한 종류의 다양한 방식의 고속 및 초고속의 멀티미디어 정보통신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사각형상의 단자반 케이스 밑판에 플레이트판을 취부하고, 취부된 플레이트판 상부면을 수개 블럭의 정보통신방식별로 구분하여, UTP 및 광케이블을 접속하는 블럭에는 수개의 인입 및 수평배선용의 RJ45 MODULAR JACK과 MULTIPORT MODULAR BRIDGE ADAPTOR와 해당 통신방식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변환장치를 취부하고, 광케이블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수개의 ST형 FIBER CONNECTOR와 HUB 및 SET TOP BOX 등 신호변환장치를 취부하고, 2중 차폐급 이상의 동축케이블을 접속하는 블럭에는 해당하는 종류별 동축케이블에 대응하는 수개의 F형 CONNECTOR와 수 회선을 분배 접속하는 쌍방향성 CATV용 분배/분기기 및 위성 BS/CS 또는 공중파TV 신호용 신호변환장치,신호증폭장치 등을 건축물별 건축환경 또는 사용자의 정보통신 사용환경에 맞게 선택 취부토록 정보화사회에서의 다양한 종류의 다양한 방식의 정보통신서비스를 사용토록 접속 지원한다.
특히 하루가 다르게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고 다양한 모델로 변화 발전하는 제 정보통신 단말장치의 원할한 사용을 위하여 케이스의 전면의 하단부분에 본 고안의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과 외부 단말장치간의 연결 접속용으로 패치코드용 인출구를 취부하여 ISDN NT/TA, CATV CABLE-MODEM, ADSL SET-TOP-BOX, LAN HUB 등 다양한 종류의 외부 단말장치를 내장형태가 아닌 외장형태로도 사용이 가능토록 고안 되었다.

Description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MULTI DIGITAL TELECOMMUNICATION PANEL}
본 고안은 통합형 디지탈통신단자반으로서, 정보화사회 환경에서의 다양한 케이블 매체로 제공되는 정보통신서비스 중 UTP CABLE로 제공되는 STAR방식의 ISDN, ADSL, T1, E1, ETHERNET 등의 초고속 디지털 정보통신과 광케이블을 매체로 제공되는 ATM 등 초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 그리고 BUS방식의 전화용 아나로그통신과 동축케이블을 매체로 서비스되는 공중파TV, 위성 BS-CS TV방송 등 다양한 매체의 각 종 정보통신 서비스를 하나의 통신단자반에서 접속과 분배를 특정 공구의 사용이 없이 사용자 임의로 선택 사용토록 고안된 통합형 디지탈통신단자반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 환경하에서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는 대부분 BUS방식의 저속의 아나로그 전화용으로서, 통신단자반에서의 통신회선의 접속과 분배시 복수개의 배선을 나사조임 또는 랩핑형태로 처리하여도, 아나로그 방식의 제 통신 서비스를 이용 하는데에는 별다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사회환경이 정보화사회로 급속히 변화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통신방식의 출현 및 그 서비스의 제공으로 인하여, 종래의 단일 케이블 매체에 의한 BUS방식의 아나로그 배선용 통신단자반의 접속과 분배의 기능으로서는 새로이 제공되는 다양한 케이블 매체에 의한 STAR방식의 다양한 초고속 멀티미디어 디지털통신 서비스의 사용이 불가능 하다.
또한 종류별로 상이한 정보통신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는 각 각의 종류별 케이블 매체에 대응하는 전용의 통신단자반과 전용의 신호변환증폭장치를 개별로 설치 사용하여야만 그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같이 종류별 케이블 매체에 대응하는 통신단자반과 신호변환장치를 각 각 별도로 설치함에 따른 그 소요 비용의 상승은 물론 사용자 또한 특정 공구를 갖추어야 하고, 관련 전문적 기술력을 익혀야 하기 때문에 전임의 시설관리 조직을 갖춘 업무용빌딩을 제외한 소규모 빌딩 및 주상복합 건축물 등에서는 그 설치 사용에 한계가 있어, 다양하게 제공되는 초고속 멀티미디어 디지털통신 서비스의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다.
특히, 주거용 건축물의 경우에는 벽식구조의 한정된 구조와 기존의 BUS방식의 아나로그 전화통신과 STAR방식의 다양한 케이블 매체에 의한 초고속 디지털통신방식을 기존의 아나로그용 통신단자반 또는 단순 기능의 디지털통신단자반으로는 그 접속과 분배의 처리가 불가능함에 따라 주거용 건축물에서는 초고속 멀티미디어의 디지털통신 서비스의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었다.
상기의 문제점은 주거용 건축물뿐만 아니라 대형 오피스 건축물을 제외한 중 소형 주상복합형 건축물에서도 동일하여, 국내 정보화 환경의 선진화에 주 장애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일정한 깊이에 매입되거나 또는 노출형태로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케이스와, 그 케이스내를 통신용 3개 블럭과 전원 및 접지단자대용 1개 블럭으로 구분하여, 통신용 3개 블럭 중 1개의 블럭에는 동축케이블을 전송매체로 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쌍방향CATV 그리고 공중파, BS, CS-TV용의 신호변환중폭장치와 입출력용의 동축케넥타 단자대를 취부하고, 중 1개의 블럭에는 UTP와 광케이블을 전송 매체로 하여 초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ISDN, ADSL, T1, E1, ETHERNET 등의 RJ45용 SINGLE/MULTI-PORT MODULAR JACK/ADAPTOR와 아나로그 전화용의 BUS형태의 통신서비스의 사용을 위한 RJ45용 SINGLE/MULTI-PORT MODULAR JACK/BRIDGE ADAPTOR를 취부하고, 중 1개의 블럭에는 ISDN, ADSL, MODEM용의 DIGITAL/DIGITAL 또는 DIGITAL/ANALOG DATA 신호변환장치를 취부하여, 1개 회선의 인입국선으로 동시에 1개 회선 이상의 아나로그 전화와 64Kbps 이상의 DIGITAL DATA 1개 회선 이상을 건물내 임의 장소에서 전화 또는 DATA 등 임의의 필요 회선을 선택 사용토록 고안된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이다.
또한 전원 및 접지단자대용 블럭에는 내장형 가입자단말장치 사용시 필히 공급되어야 하는 가입자 댁내 전원 공급 기능을 갖는 전원분배장치와 주 배선반으로 부터 층 단자반의 접지단자대를 경유한 동일점 접지를 달성하는 접지단자대를 부착, 가입자 구내 전원 공급 기능과 가입자 구내 통신선로 전 계통 모두 동일점 접지의 안전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디지털통신단자반이다. 본 고안의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은 건물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그 구성을 변경하여 각 각의 필요한 통신서비스에 대응 사용토록 풍부한 장치 적응성을 제공하고 있다. 즉 단독형 주거용 건물에서는 공중파, BS, CS-TV용의 신호변환증폭장치와 쌍방향CATV 분기/분배기 장치를 포함한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의 전 구성품 모두를 선택 사용 가능하고, 아파트형 집단 주거용 건물에서는 동축케이블용 블럭의 제 신호변환증폭장치들을 제외한 쌍방향CATV 분기/분배기 장치와 UTP케이블과 광케이블 매체용 단자대 그리고 DATA 신호변환장치 등을 임의 선택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업무용 건물에서는 그 건물의 종류별로 또는 사용환경별로 UTP 및 광케이블 블럭의 제 구성품 또는 DATA 신호변환장치 등도 포함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부합되는 풍부한 적응성을 내포한 디지털통신단자반이다.
반면 DATA 신호변환장치를 내장형이 아닌 외장형으로 사용하고자 할 시는 케이스 전면 상부의 뚜껑 하단에 개구된 패치코드 인출용 홈을 이용, 외장형 DATA 신호변환장치와 전용의 패치코드로서 상호간에 접속하므로서 그 통합형 디지털통신용 통신단자반의 기능이 달성된다.
또한 케이스 하부 각 측면에는 인입국선과 수평케이블용의 배관구멍과 케이스 상부에는 상기 입출용 인출구들과 패치코드들 그리고 외부장비 접속시의 패치코드들을 보호하고 외부의 충격에 의한 접속과 분배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스라이드 도어 형태 또는 착탈식 도어 형태의 패치코드 인출용 홈이 구비된 뚜껑 등으로 달성된다.
도 1 - 전체적인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의 외관도
도 2 -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 11 : 케이스
11a : 배관연결구 12 : 브라켓트
13 : 공중파TV 신호변환증폭장치
14 : 위성 BS/CS-TV 신호변환증폭장치
15 : 전원분배장치
16 : 쌍방향 CATV 신호 분기/분배기
17 : F형 RJ45형 ST형 컨넥터 및 모듈라짹 단자대
18 : DATA용 RJ45 SINGLE/MULTIPORT MODULAR JACK/ADAPTOR
19 : VOICE 및 2Mbps 이하 SINGLE/MULTIPORT MODULAR JACK/BRIDGE ADAPTOR
20 : ISDN ADSL HUB DIGITAL DATA 신호변환장치
21 : 뚜껑
21a : PATCH CORD 인출구용 홈 22 : 플레이트 판 23 : 접지단자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10)의 전체적모양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각형상의 매입형 또는 노출형 케이스(11)내를 통신용 3개 블럭과 전원 및 접지단자대용 1개 블럭으로 구분하여, 통신용 3개 블럭 중 1개에는 동축케이블 매체용의 수개의 공중파TV용 신호변환증폭 장치(13), 위성BS CS-TV용 신호변환장치(14) 및 쌍방향CATV 분배/분기장치(16)와 수개의 인입 및 외부장치 접속용 동축케이블용 F형 커넥터 단자대(17)등을 취부하여, 주거용 건물에서는 인입국선단자대(17)을 경유 각 각의 특성에 대응하는 공중파, BS, CS-TV용 신호변환장치를 거친 후 쌍방향CATV 분배/분기기(16)을 경유 각 지정 장소의 인출구용 동축케이블에 접속 연결하고, 아파트형 건물 또는 업무용 건물에서는 HEAD-END 2차측의 동축케이블 매체를 쌍방향CATV 분배/분기기(16)에 연결 접속 후 각 지정 위치의 인출구의 동축케이블에 접속 연결하므로서 동축케이블을 매체로 하는 정보통신서비스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UTP CABLE 또는 광케이블 매체의 정보통신 서비스를 위하여 통신용 블럭 중 1의 블럭을 UTP 및 광케이블용으로 설정, UTP 매체와 광케이블 매체의 인입국선은 각 각의 전용의 RJ45 MODULAR JACK 또는 ST형 커넉터가 취부된 단자대(17)에 접속 후 그 연결을 중 또하나의 블럭으로 설정한 DATA신호변환장치 블럭의 DATA신호변환장치(20)에 전용의 패치코드로서 연결 한 후, 그 2차 내선 중 아나로그 전화용 서비스는 BUS형 RJ45 MULTI-PORT MODULAR BRIDGE ADAPTOR(19)와 전용의 패치코드로 연결 접속 후 그 대응 110BLOCK에 각 지정의 인출구용 UTP 케이블을 접속 연결하고, 그 2차 DATA 서비스는 상기명 DATA 신호변환장치(20)와 전용의 패치코드로서 DATA용 RJ45 MULTI-PORT MODULAR ADAPTOR(18)의 대응 RJ45 MODULAR JACK에 삽입 한 후 그 하부의 해당 110BLOCK에 각 지정의 인출구용 UTP케이블을 접속 연결 하므로서 본 고안의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의 기능이 달성된다.
또한 사용자의 환경상 내장형 동축케이블 및 UTP 또는 광케이블 매체의 신호변환증폭장치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인입용 단자대(17) 또는 수개의 DATA용 SINGLE RJ45 MODULAR JACK이 취부된 단자대(18) 또는 수개의 VOICE용 SINGLE RJ45 MODULAR JACK이 취부된 단자대(19)들과 각 각의 외장형 DATA신호변환증폭장치들간을 케이스 전면 상단부분의 패치코드 인출구용 홈(21a)을 경유 전용의 패치코드로 접속 연결하므로서 환경에 따라서 외장형 장치들도 그 사용을 지원한다.또한 전원 및 접지단자대용 블럭에는 전원분배장치(15)와 접지단자대(23를 부착하여, 전원분배장치는 내장형 가입자 DATA 신호변환장치(20)의 전원공급의 기능을, 접지단자대는 주 배선반으로 부터 층단자반의 접지단자대를 경유한 접지선을 연결 접속하므로서 가입자 구내선로 전 계통의 동일점 접지가 달성되어 이상전류 및 누설전류 등에 대한 안전 보호기능을 달성한다. 또한 케이스 각 면의 하부에는 입출력용 통신케이블용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접속구(11a)들과, 케이스 상부에는 받침판면상에 부착되는 상기의 입출력 패치코드 및 인출구들을 보호하는 기능과 외부 장비와의 연결용 패치코드들의 입출을 위한 스라이드 도어 또는 착탈식 도어 형태의 패치코드용 홈(21a) 등을 구비한 뚜껑(22)이 부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에 의하면, 기존의 BUS방식의 아나로그 전화통신용의 통신단자반으로서는 그 접속과 분배가 불가능하였던, STAR방식의 UTP케이블, 광케이블 및 동축케이블 등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초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접속과 분배를 별도의 공도구의 사용이 없이 사용자가 임의 선택하여 사용 할 수 있음은 물론 기존의 BUS방식의 아나로그 전화통신의 사용도 가능하게 하므로서, 사용자는 초고속 멀티미디어용 서비스의 사용을 위하여, 별도로 종류별 디지털통신단자반과 종류별 외장형 신호변환증폭장치를 외부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 장점이 있음과 아울러 건물의 종류별 형태별 구분 즉 단독형 주거용 건물, 집단 아파트형 주거용 건물 그리고 오피스텔형 주상복합형 건물 및 업무 전용 건물 등 다양한 건물의 다양한 사용자 환경에 대응하는 다양한 종류의 초고속 멀티미디어용 정보통신 서비스의 제공이 본 고안의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에 의하여 달성된다.

Claims (2)

  1. 초고속 멀티미디어용 디지털정보통신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에 있어서,
    매입형 또는 노출형의 사각형상의 케이스와 ;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면상에 동축케이블 매체를 접속 지원하는 착탈식의 수개의 공중파, BS, CS-TV용의 신호변환증폭장치들과 상방향CATV용 분배/분기장치들과;
    동축케이블의 입출용, 중계용, 내장 및 외장형 신호변환증폭장치용 연결용도의 수개의 동축케이블용 F형 컨넥터가 취부된 착탈식 단자대와 ;
    UTP 및 광케이블 매체의 고속/초고속의 DATA 서비스를 접속 지원하는 착탈식의 수개의 RJ45 MULTI-PORT MODULAR ADAPTOR 및 RJ45 MODULAR JACK용도의 단자대와 ;
    UTP 케이블 매체의 아나로그 전화 및 2Mbps 이하의 BUS방식의 DIGITAL 서비스의 접속을 지원하는 수개의 RJ45 MULTI-PORT MODULAR BRIDGE ADAPTOR 및 RJ45 MODULAR JACK용도의 단자대와 ;
    내장형 DIGITAL DATA, ADSL MODEM, CATV CABLE MODEM 장치들과 ;
    그 동축케이블용, UTP 케이블용, 광케이블용 및 DATA 신호변환장치등에 전원을 분배 접속하는 전원분배단자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별 또는 사용자 환경별로 동축케이블 매체의 쌍방향CATV와 공중파TV, UTP 및 광케이블 매체의 POTS 아나로그전화, N/ISDN, B/ISDN, ADSL-G.Lite, ADSL-Full 및 ATM 등의 정보통신방식 중 사용자가 그 자신의 환경에 따라 임의로 선택 구성이 가능하도록 구성의 용이성을 확보한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과 ;
    매입형 또는 노출형의 케이스 상부에 뚜껑이 부착되고, 케이스내 하부 특정의 위치에 내장형 가입자단말장치용 전원분배장치 및 가입자 구내 선로 전 계통의 동일점 접지 접속을 위한 접지단자대와 ;
    상기 뚜껑의 전면 하단부에 SET-TOP-BOX 및NETWORK TERMINAL 등 외부 장비 연결 접속용 패치코드들을 노출됨이 없이 입출이 되도록 처리하여 외적 미려함을 확보한 스라이드 도어 또는 착탈식 도어 형태로 외부 케이블 인출용 케이블 홈이 구비된 매입형 또는 노출형의 케이스로 구성된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
KR2019990016375U 1999-01-15 1999-08-11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 KR200177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375U KR200177413Y1 (ko) 1999-01-15 1999-08-11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405 1999-01-15
KR2019990000405U KR19990017514U (ko) 1999-01-15 1999-01-15 디지탈통신용구내통신단자반
KR2019990009720 1999-06-03
KR2019990016375U KR200177413Y1 (ko) 1999-01-15 1999-08-11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720 Division 1999-01-15 1999-06-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798A Division KR100610324B1 (ko) 1999-01-15 2000-08-02 통합형 디지털통신 단자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413Y1 true KR200177413Y1 (ko) 2000-04-15

Family

ID=2663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375U KR200177413Y1 (ko) 1999-01-15 1999-08-11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4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092A (ko) * 2001-01-26 2002-08-01 (주)다산지앤지 데이터 신호 전송 및 음성 신호 전송을 위한 멀티 커플러
KR100948609B1 (ko) 2008-03-14 2010-03-24 주식회사 비씨엔테크놀로지 전송망 단말용 통합 분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092A (ko) * 2001-01-26 2002-08-01 (주)다산지앤지 데이터 신호 전송 및 음성 신호 전송을 위한 멀티 커플러
KR100948609B1 (ko) 2008-03-14 2010-03-24 주식회사 비씨엔테크놀로지 전송망 단말용 통합 분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5468B2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US7206392B2 (en) Fiber optic premise wiring system
MX9800650A (es) Recinto para manejo de cable.
US7486860B2 (en) Multi-dwelling unit optical fiber splitting unit
US20040095956A1 (en) Telecommunications interface
KR200177413Y1 (ko)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
KR100610324B1 (ko) 통합형 디지털통신 단자반
KR100433063B1 (ko) 복합형 디지털통신용 세대통신단자반
US200700475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ecting between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KR200166067Y1 (ko) 통합형 멀티미디어 분전반
KR100368531B1 (ko) 데이터와 음성신호를 구분하는 구내통신선로 배선방법
KR100319053B1 (ko) 간선 정보 통신 선로와 단위 세대 내 정보 통신선 분배 시스템
Zuloaga et al. In-building tele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KR100709617B1 (ko) 음성 및 데이터 신호 동시 전송 장치 및 시스템
US7162730B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s
KR200167794Y1 (ko) 알제이45 다기능 멀티포트 브릿지 아답터
KR200216043Y1 (ko) 통합형 멀티미디어콘센트
KR100645912B1 (ko) 정보통신 배선과 인출구의 공동수용을 위한 배선처리방법
KR19990017514U (ko) 디지탈통신용구내통신단자반
KR19990078631A (ko) 통합형멀티미디어콘센트
KR200166891Y1 (ko) 통합형 멀티미디어용 인출구
KR200296600Y1 (ko) 디지탈통신용 세대통신단자반
JPH11187154A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盤
KR20220004249A (ko) 데이터와 음성신호를 구분하는 구내통신선로 배선방법
KR20010061274A (ko) 티-랜 연동 호텔 인터넷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