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798A - 프레스금형의 플랜지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금형의 플랜지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798A
KR19990034798A KR1019970056494A KR19970056494A KR19990034798A KR 19990034798 A KR19990034798 A KR 19990034798A KR 1019970056494 A KR1019970056494 A KR 1019970056494A KR 19970056494 A KR19970056494 A KR 19970056494A KR 19990034798 A KR19990034798 A KR 19990034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upper die
panel
forming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6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798A/ko
Publication of KR19990034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798A/ko

Links

Landscapes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금형의 플랜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위쪽으로 개구된 요홈(62)을 구비한 플랜지(61) 부위를 갖춘 패널(50)을 성형하기 위한 플랜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형다이(1)의 상형패드(3)의 양측에 패널(50)의 플랜지성형을 위한 플랜지성형돌기(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형다이(1)의 양측에는 캠드라이브(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형다이(9)의 양쪽에는 상기 캠드라이브(7)에 의해 수평으로 활주하는 수평캠슬라이드(11)가 설치되어 있되, 이 수평캠슬라이드(11)는 상기 하형다이(9)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캠슬라이드(13)를 수직활주이동시키도록 되어, 상기 상형다이(1)가 하강할 때 상기 상형다이(1)의 플랜지성형돌기(5)와 상기 수직캠슬라이드(13)의 선단부가 상기 플랜지(61)를 성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위쪽으로 개구된 요홈이 구비된 플랜지부위를 성형할 때, 플랜지부위의 성형정도를 향상시키고 성형패널에 요철이 발생되지 않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스금형의 플랜지 성형장치
본 발명은 프레스금형의 플랜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위쪽으로 개구된 요홈이 구비된 플랜지부위를 성형할 때, 플랜지부위의 성형정도를 향상시키고 성형패널에 요철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프레스금형의 플랜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널의 둘레에 성형되는 플랜지부위는 다른 패널과 용접 등을 통해 이음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서, 그 형태는 패널간의 결합구조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 들면, 도 2에는 위쪽으로 개구된 요홈이 구비된 플랜지를 성형하는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러한 형태의 플랜지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가공대상물인 패널(50)이 하형다이(51)의 패드에 올려진 채, 상형다이(52)의 패드와 하형다이(51)의 패드가 서로 동시에 작동하여 형합됨으로써 플랜지의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하형다이(51)에 설치된 플랜지성형부(53)의 요홈(53a)에 상기 상형다이(52)에 설치된 끼움돌기(54)가 형합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요홈(62)이 구비된 플랜지(61)를 성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기술 구성에 의하면, 패널(50)의 플랜지(61) 부위를 성형하기 위해 상형다이(52)와 하형다이(51)가 동시에 움직이게 됨에 따라, 하형다이(51)에 안착된 가공대상물인 패널(50)이 좌우로 움직일 소지가 많고, 패널(50)에 대해 상형다이(52)와 하형다이(51)가 서로 동시에 움직이기 때문에 양 다이의 패드에 의한 압착력이 작아 패널(50)이 제대로 성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패널(50)에 홀가공을 설치하기 위해 상형다이(52)에 펀치(55)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금형시스템에서는 상하형다이(521,52)의 패드에 의한 압착력이 작아 성형된 홀 특히 사각구멍의 네측 모서리부위에 요철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위쪽으로 개구된 요홈이 구비된 플랜지부위를 성형하기 위해, 하형다이를 이동시킬 필요없이, 하형다이는 고정시키되, 상형다이만 작동시킴으로써, 하형다이에 놓여진 패널의 성형압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프레스금형의 플랜지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쪽으로 개구된 요홈을 구비한 플랜지부위를 갖춘 패널을 성형하기 위한 플랜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형다이의 상형패드의 양측에 패널의 플랜지성형을 위한 플랜지성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형다이의 양측에는 캠드라이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형다이의 양쪽에는 상기 캠드라이브에 의해 수평으로 활주하는 수평캠슬라이드가 설치되어 있되, 이 수평캠슬라이드는 상기 하형다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캠슬라이드를 수직활주이동시키도록 되어, 상기 상형다이가 하강할 때 상기 상형다이의 플랜지성형돌기와 상기 수직캠슬라이드의 선단부가 상기 플랜지를 성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금형의 플랜지 성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프레스금형의 플랜지 성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위쪽으로 요홈이 개구된 플랜지를 갖춘 패널을 일부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상형다이 3-상형패드
5-플랜지성형돌기 7-캠드라이브
9-하형다이 11-수평캠슬라이드
13-수직캠슬라이드 15-하형패드
17-펀치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금형의 플랜지 성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한 위쪽으로 개구된 요홈(62)을 구비한 플랜지(61) 부위를 갖춘 패널(50)을 성형하기 위한 플랜지 성형장치가 나타나 있다.
즉,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성형장치는, 상형다이(1)의 상형패드(3)의 양측에 패널(50)의 플랜지성형을 위한 플랜지성형돌기(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형다이(1)의 양측에는 캠드라이브(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형다이(9)의 양쪽에는 상기 캠드라이브(7)에 의해 수평으로 활주하는 수평캠슬라이드(11)가 설치되어 있되, 이 수평캠슬라이드(11)는 상기 하형다이(9)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캠슬라이드(13)를 수직활주이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성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상형다이(1)가 하강하면, 상기 상형패드(3)와 캠드라이브(7)가 동시에 하강하게 되는 바, 상기 상형패드(3)의 플랜지성형돌기(5)는 하형다이(9)의 하형패드(15)에 올려진 패널(50)의 플랜지(61) 일측부만을 성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캠드라이브(7)는 상기 수평캠슬라이드(11)를 우측으로 수평이동키고, 이 수평캠슬라이드(11)는 다시 상기 수직캠슬라이드(13)를 상승시켜 상기 플랜지(61)의 나머지 부위를 성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형다이(1)가 하강할 때, 상기 상형다이(1)의 플랜지성형돌기(5)와 상기 수직캠슬라이드(13)의 선단부가 상기 플랜지(61)를 완전히 성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 구성에 의하면, 하형다이(9)는 작동되지 않고, 단지, 상기 상형다이(1)만이 하강되어, 패널(50)의 플랜지(61) 부위를 성형할 수 있으므로, 하형다이(9)에 대한 상형다이(1)의 압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형다이(1)에 펀치(17)가 설치되어, 패널(50)에 사각형 홀을 성형시키더라도 상기 상형다이(1)가 패널(50)을 충분한 힘으로 압착시켜주므로 홀의 모서리부위에 요철이 발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금형의 플랜지 성형장치에 의하면, 위쪽으로 개구된 요홈이 구비된 플랜지부위를 성형하기 위해, 하형다이를 작동시킬 필요없이, 하형다이는 고정시키되, 상형다이만 작동시킴으로써, 하형다이에 놓여진 패널의 성형압착력을 강화시켜, 패널에 요철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위쪽으로 개구된 요홈(62)을 구비한 플랜지(61) 부위를 갖춘 패널(50)을 성형하기 위한 플랜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형다이(1)의 상형패드(3)의 양측에 패널(50)의 플랜지성형을 위한 플랜지성형돌기(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형다이(1)의 양측에는 캠드라이브(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형다이(9)의 양쪽에는 상기 캠드라이브(7)에 의해 수평으로 활주하는 수평캠슬라이드(11)가 설치되어 있되, 이 수평캠슬라이드(11)는 상기 하형다이(9)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캠슬라이드(13)를 수직활주이동시키도록 되어, 상기 상형다이(1)가 하강할 때 상기 상형다이(1)의 플랜지성형돌기(5)와 상기 수직캠슬라이드(13)의 선단부가 상기 플랜지(61)를 성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의 플랜지 성형장치.
KR1019970056494A 1997-10-30 1997-10-30 프레스금형의 플랜지 성형장치 KR19990034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494A KR19990034798A (ko) 1997-10-30 1997-10-30 프레스금형의 플랜지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494A KR19990034798A (ko) 1997-10-30 1997-10-30 프레스금형의 플랜지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798A true KR19990034798A (ko) 1999-05-15

Family

ID=6604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494A KR19990034798A (ko) 1997-10-30 1997-10-30 프레스금형의 플랜지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47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611B1 (ko) * 2006-09-29 2008-05-08 고범진 이종 내용물 펌핑용기의 노즐캡 제조용 성형금형
CN112605272A (zh) * 2020-12-18 2021-04-06 成都宏明双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在弧形凸包上引深凸包的模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611B1 (ko) * 2006-09-29 2008-05-08 고범진 이종 내용물 펌핑용기의 노즐캡 제조용 성형금형
CN112605272A (zh) * 2020-12-18 2021-04-06 成都宏明双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在弧形凸包上引深凸包的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22870B2 (ja) 冷蔵庫の外箱用鉄板ベンディング装置とベンディング方法
KR19990034798A (ko) 프레스금형의 플랜지 성형장치
JP3387207B2 (ja) プレス用カム型
KR19990060203A (ko) 예각 벤딩 장치
KR100681506B1 (ko) 터미널의 박스부 성형장치
JPH01198308A (ja) 半導体素子の樹脂封止成形用金型装置
JP2001332371A (ja) 端子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34759B1 (ko) 헤밍 프레스 장치
KR100579277B1 (ko) 헤밍 프레스 장치
KR100523547B1 (ko) 반도체 패키지의 리드프레임 성형용 금형
CN211683070U (zh) 板材成型模具
JPH0747137Y2 (ja) プレス装置
KR900004103Y1 (ko) 프레스기에서 2종제품 단공정가공 금형장치
KR19990033368A (ko) 프레스 금형의 셋팅 구조
KR19990040642A (ko) 복합 성형 금형 구조
KR0127692B1 (ko) 캠벤딩 금형장치
KR0136471Y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 처리장치
KR20030017830A (ko) 프레스 장치
JP4406528B2 (ja) ゴムプレス成形方法
KR100448384B1 (ko) 프레스 금형의 패널 취출구조
KR20020094569A (ko) 프레스 금형의 다이 세팅장치
JPH05228541A (ja) フランジ加工用プレス型
KR200358701Y1 (ko) 트롤리 컨베이어 레일 벤딩장치
JPH0556419U (ja) 射出成形用金型装置
KR19980015951U (ko) 사출금형의 2방향 언더컷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