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795U - 납땜이필요없는전자회로조립블록 - Google Patents

납땜이필요없는전자회로조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795U
KR19990034795U KR2019990006448U KR19990006448U KR19990034795U KR 19990034795 U KR19990034795 U KR 19990034795U KR 2019990006448 U KR2019990006448 U KR 2019990006448U KR 19990006448 U KR19990006448 U KR 19990006448U KR 19990034795 U KR19990034795 U KR 199900347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tact
electronic
electronic circui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신웅
Original Assignee
성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웅 filed Critical 성신웅
Priority to KR2019990006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795U/ko
Priority to KR2019990017397U priority patent/KR20016974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7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795U/ko
Priority to KR1019990064509A priority patent/KR20000067847A/ko
Priority to KR1019990064510A priority patent/KR20000067848A/ko
Priority to PCT/KR2000/000369 priority patent/WO2000070715A1/en
Priority to AU44343/00A priority patent/AU4434300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납땜이 필요없는 전자회로 조립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회로 구성판 위에 여러 종류의 전자 소자들을 조립할 수 있는 각각의 블록을 꽂음으로 전자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고안이다. 이제 전자조립은 초등학교 교과과정의 실습학습으로도 나올 정도로 널리 활용되는 바, 이제까지의 인두와 납땜을 사용하는 방법은 납의 중독성, 연기로 인한 교실의 오염 뿐 아니라 인두의 사용미숙으로 인한 화상의 위험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여러 종류의 소자(저항기, 다이오우드, 트랜지스터, 직접회로 등)를 그 접점의 수에 따라 각각의 블록으로 만들어 위험하지 않으면서도 쉽고 재미있게 전자회로를 구성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각의 소자들의 연결부위는 연결하기 쉬운 버튼식이지만 홈구조(동판은 볼록, 눌러주는 프라스틱은 오목)로 되어 있어, 버튼을 누르지 않고는 쉽게 빠지지 않도록 고안하였다.
본 고안은 학습용 교재나 완구로서 안전하면서도 블록식이어서 쉽고 재미있게 사용할 수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부위가 단단하고 연결이 바로 되었는지를 쉽게 테스트 해 볼 수 있다.

Description

납땜이 필요 없는 전자회로 조립블록{AAAAA }
본 고안은 전자회로의 구성을 블록을 조립함으로서 실현할 수 있어, 납땜을 사용하게 되는 방법의 위험성이나 중독성으로부터 벗어 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미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블록 조립이라는 방법을 통한 학습의 효과가 있다.
오늘날 전자회로의 구성은 산업체나 대학의 실험실이나 소수의 동호인들의 전유물이 아니라 초등학교 실습교과 과정을 통하여 누구나가 익히도록 되었다.
기존의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다.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은 납땜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익숙지 않은 사람에게는 전기인두의 사용이나 납땜의 연기는 전자회로 구성을 쉽게 접근 할 수 없게 만든다. 특별히 초등학교 실습교과 과정 속에서의 사용은 전기인두의 화상위험, 납중독의 위험 및 연기로 인한 교실오염 등을 유발 할 수 있다. 또한 PCB(프린트기판)기판을 사용한 납땜조립 방법은 하나의 기판에 하나의 회로만을 구성 해 볼 수 밖에 없을 뿐 아니라 잘못 배치되어 납땜을 한 후에는 고치기가 어렵다.
실험실이나 숙달자가 납땜없이 사용하는 방법에는 브래이드보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브래이드보드 기판은 기판의 특성(방향성)을 익혀야하고 복잡하며, 또한 올바른 회로의 연결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회로연결선을 따로 연결해 주어야 하며, 고정하는 힘이 약해 서투른 사용시 쉽게 빠질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회로를 처음 대하는 누구나 회로를 쉽게 이해 할 수 있으며 구성해 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우선 여러 소자의 특성에 맞는 블록을 만들었다. 저항기나 다이오우드 등 2접점의 소자는 2접점 블록을 사용하여 소자를 블록에 꽂아 넣는다. 이와 같이 각각의 소자를 모양에 맞는 블록에 꽂도록 하였으므로 전자회로를 처음 대하는 사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각 연결부위는 홈구조로 되어 있어 소자나 회로연결선을 꽂았을 때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였다. 이는 서투른 사용자의 용이한 사용을 도울 것이며 완성된 전자회로의 견고성을 향상 시켜 줄 것이다.
또한 PCB(프린트기판)기판과 같이 고정된 하나의 회로를 구성하여 보는 것이 아니라, 블록을 자유로이 사용하여 다양한 회로를 구성 해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잘못 조립했을 경우 고치기가 용이하고, 전자회로를 완성한 후에도 각 소자들도 재사용성이 높아지게 된다.
도1은 전체 조립블록을 보인 사시도
도2는 1접점 블록의 종세로 단면도
도3은 1접점 블록의 종가로 단면도
도4는 1접점 블록의 횡단면도의 앞, 뒷면 및 내부 부품도
도5는 2접점 블록의 횡단면도의 앞, 뒷면 및 내부 부품도
도6은 3접점(트랜지스터) 블록의 내부 동판의 모습
도7은 3접점 블록의 상단 연결 누름스위치의 모양
도8은 직접회로 블록의 횡단면도
도9는 직접회로 블록의 종세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1접점 블록 20 : 2접점 블록
30 : 3접점(트랜지스터) 블록 40 : 직접회로 블록
50 : 회로 구성판
11, 21, 31, 41 : 각 블록의 상단(소자) 연결부
12, 22, 32, 42 : 각 블록의 측면(회로연결선) 연결부
13, 23, 33, 43 : 각 블록의 단락 확인창
14, 24, 34 : 각 블록의 상단(소자) 연결 누름 스위치
15, 25, 35, 44 : 각 블록의 측면(회로연결선) 연결 누름 스위치
A : 1접점 연결 블록 동판의 상단 연결 누름 스위치와 닫는 부분
B, C : 1접점 연결 블록 동판의 측면 연결 누름 스위치와 닫는 부분
S1, S2, S3, S4 : 각 누름 스위치의 복원력을 위한 스프링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납땜이 필요 없는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체 전자회로 조립블록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회로 구성판(50) 위에 1접점 블록(10), 2접점 블록(20)의 꽂아 넣기 전 모양과, 3접점 블록(30), 직접회로(40) 블록의 꽂혀진 모양을 보여 주고 있다.
도2는 1접점 블록의 종세로 단면을 보여 주는 도면으로서, 상단 연결누름 스위치(14) 뒤에 스프링(S1)이 밀어 주고 있다. 누름 스위치를 누른 후 소자를 상단 연결부(11)에 밀어 넣으면, 동판의 볼록한 부분(A)과 누름 스위치의 오목한 부분이 소자를 물 듯 연결하게 된다. 단락 확인창(13)은 동판이 보이도록 뚫린 부분으로 소자의 바른 연결을 테스트해 볼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도4는 1접점 블록 횡단면의 앞면, 뒷면 및 구성 부품의 배치를 볼 수 있는 도면이다. 앞면에서 볼 수 있듯 동판은 한 개로 되어 있으며 윗부분(A)과 측면부분(B,C)이 볼록하게 휘어져 있다.
도5는 2접점 블록 횡단면의 앞면, 뒷면 및 구성 부품의 배치를 볼 수 있는 도면이다. 동판이 2개의 접점에 맞도록 2개로 구성되어 있다. 상단 연결 누름 스위치(24)는 한 개로, 한번의 작용으로 한꺼번에 소자를 꽂기 편하도록 하였으며 누름 스위치 윗 부분의 튀어나온 부분(24-1)은 부주의로 휘어진 소자의 단락을 막도록 고안된 부분이다. 측면 연결 누름 스위치는 두 개로 나누어져 있어 회로 연결선을 쉽게 연결 하도록 하였다.
도6은 3접점 블록의 동판부분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단 누름 스위치(34)는 역시 한번의 작용으로 소자를 꽂도록 고안 되었고, 회로 연결선은 각각 연결하도록 하였다. 도7의 상단 연결 누름 스위치의 윗 부분의 튀어 나온 부분(34-1)은 소자의 휨으로 인한 단락을 막아 주게 된다.
도8은 직접회로 블록의 동판의 구조를 볼 수 있는 단면도이다. 직접회로를 꽂는 부분(41)은 도9의 종단면도에서도 볼 수 있듯이 위로 꺽이어 반원으로 휘어있다. 회로 연결선이 많이 연결되는 직접회로 블록은 측면 연결부(42)를 각 누름 스위치가 두 개씩 작용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납땜이 필요없는 전자회로 조립블록에 의하면, 전자회로에 익숙지 않은 사용자가 납땜의 위험성이 없이 쉽게 전자회로를 구성해 볼 수 있다. 쉬운 접근성 뿐 아니라 다양한 회로들을 적은비용(여러 기판의 구입이 필요 없음)으로 구성 해 볼 수 있으며, 특히 교과과정의 실습교재로 사용할 수 있어 안전하면서도, 블록식으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납땜이 필요엾이 전자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조립블록에 있어서,
    1개의 접점을 연결할 수 있는 1접점 연결 블록과;
    2개의 접점을 연결할 수 있는 2접점 연결 블록과;
    3개의 접점을 연결할 수 있는 3접점 연결 블록과;
    직접회로를 연결할 수 있는 직접회로 연결 블록과;
    상기한 블록들을 꽂을 수 있는 회로 구성판.
  2. 제1항에 있어서,
    각 블록의 연결 누름 스위치의 동판과 맞닿는 홈구조를 가진 전자회로 조립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직접회로 연결 블록은 위에 상기한 16개 접점(총 수) 직접회로 블록 외에 이를 이용한 8개 접점 직접회로 블록, 32개 접점 직접회로 블록.
KR2019990006448U 1999-04-19 1999-04-19 납땜이필요없는전자회로조립블록 KR19990034795U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448U KR19990034795U (ko) 1999-04-19 1999-04-19 납땜이필요없는전자회로조립블록
KR2019990017397U KR200169744Y1 (ko) 1999-04-19 1999-08-21 납땜이 필요없는 전자회로 조립블록
KR1019990064509A KR20000067847A (ko) 1999-04-19 1999-12-29 납땜이 필요 없는 전자회로 블록과 이의 조립 회로 구성판
KR1019990064510A KR20000067848A (ko) 1999-04-19 1999-12-29 고정 밀대를 이용한 전자회로 블록과 이의조립회로구성판
PCT/KR2000/000369 WO2000070715A1 (en) 1999-04-19 2000-04-19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n electrical circuit using blocks
AU44343/00A AU4434300A (en) 1999-04-19 2000-04-19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n electrical circuit using blo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448U KR19990034795U (ko) 1999-04-19 1999-04-19 납땜이필요없는전자회로조립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397U Division KR200169744Y1 (ko) 1999-04-19 1999-08-21 납땜이 필요없는 전자회로 조립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795U true KR19990034795U (ko) 1999-09-06

Family

ID=195751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448U KR19990034795U (ko) 1999-04-19 1999-04-19 납땜이필요없는전자회로조립블록
KR2019990017397U KR200169744Y1 (ko) 1999-04-19 1999-08-21 납땜이 필요없는 전자회로 조립블록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397U KR200169744Y1 (ko) 1999-04-19 1999-08-21 납땜이 필요없는 전자회로 조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3479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381B1 (ko) * 2001-09-17 2004-01-03 성신웅 건전지 케이스
KR100982132B1 (ko) 2010-03-26 2010-09-14 (주)세계과학 물리실험 및 전자회로 학습용 세트
KR101165822B1 (ko) 2012-02-21 2012-07-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브레드보드용 블록형 전선 및 이를 구비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744Y1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0105999A (pt) Conjunto de alojamento de posição terminal
KR980001456A (ko) 전기접속배열
NO20072500L (no) Pluggkontakt for monsterkort
KR850000144A (ko) 간이 전기스위치
KR920001776A (ko) 보드 대 보드 접속형 전기 커넥터
EP1650836A3 (en) Apparatus for connecting electricity sources
KR930015189A (ko) 프로그래머블 입출력 전기 커넥터
KR940019487A (ko) 전기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열프린트 헤드
KR950034924A (ko) 기판용 컨넥터 및 기판저속방법
KR19990034795U (ko) 납땜이필요없는전자회로조립블록
JP2002231385A (ja) ユニットの連結構造
ATE179285T1 (de) Leiterplattenklemme
KR890008728A (ko) 인쇄 회로 카드
DE50113590D1 (de) Leiterplattenanordnung
EP0196636A2 (en) A teaching and demonstrating apparatus for electrical circuits
KR100833161B1 (ko) 마그네틱 전자 부품용 금속 접점을 가진 보드 및 이 보드를사용하는 장치
KR20000067847A (ko) 납땜이 필요 없는 전자회로 블록과 이의 조립 회로 구성판
US4696647A (en) Electronic assembly toy
KR200295786Y1 (ko) 교육용 전자 블럭
KR200350013Y1 (ko) 학습용 전자회로 조립 키트
KR960705379A (ko) 한 벌 모듈 잭(gang modular jack)
KR20060085227A (ko) 납땜이 필요없는 만능전자키트보드
JP3072652U (ja) 電子回路構成用ブロック組立装置
KR200366111Y1 (ko) 전자회로 학습교재
FR2398430A1 (fr) Connecteur de carte support d&#39;equip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