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526A - 냉장고의 응축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526A
KR19990034526A KR1019970056161A KR19970056161A KR19990034526A KR 19990034526 A KR19990034526 A KR 19990034526A KR 1019970056161 A KR1019970056161 A KR 1019970056161A KR 19970056161 A KR19970056161 A KR 19970056161A KR 19990034526 A KR19990034526 A KR 19990034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main body
hole
condenser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5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526A/ko
Publication of KR1999003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526A/ko

Links

Landscapes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써, 냉각수가 충전되며, 전방면(11), 상기 전방면(11)에 대향하며 내측부에 다수의 지지편(12a)이 고정되는 후방면(12), 내부에 냉각수를 공급하기위한 유입포트(17)가 형성된 상부면(13), 냉각수를 배출시키기위한 드레인(18)이 형성되며 제 1구멍(14a) 및 제 2구멍(14b)이 천공형성된 하부면(14), 내부의 냉각수를 배출시키기위한 배출포트(19)가 형성된 제 1측면(15) 및 상기 제 1측면(15)에 대향하는 제 2측면(16)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후방면(12)의 지지편(12a)에 고정되고 다수의 만곡부에의해 굴곡형성되며, 일단부에 상기 본체(10)의 하부면(14)의 제 1구멍(14a)에 관통고정되는 냉매유입부(22)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본체(10)의 하부면(14)의 제 2구멍(18b)에관통고정되는 냉매유입부(23)가 형성된 몸체(21)를 포함하는 냉매파이프(20);로 이루어지며, 냉매를 제상수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응축 수 있어 냉각 효과가 향상될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응축기
본 발명은 냉장고의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제상수를 이용하여 냉매를 응축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응축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의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부분의 가정에는 냉장고가 보급되어 있어 식음료품을 적정온도 상태로 유지시켜 변질 또는 부패를 방지함은 물론, 얼음을 제공하여 식생활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같은 냉장고에서는 냉장실 및 냉동실에 냉기를 제공하기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동사이클이 실행되는바, 이같은 냉동사이클에 의하면, 압축기(1)에서 압축된 냉매는 파이프라인(1a)을 통해 핫파이프(2)를 지나 응축기(3)로 전달된다.
이와같이 응축기(3)에 이송된 냉매는 응축되며, 그 응축기(3)에서 응축된 냉매는 드라이어(4)를 거쳐 모세관(5)을 지난다.
이후, 모세관(5)을 통과한 냉매는 증발기(6)를 지나며 이때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냉기가 공급된다. 이와같이 증발기(6)를 지난 냉매는 흡입파이프(7)를 통해 압축기(1)로 복귀되는바, 상기 흡입파이프(7)에는 어큐물레이터(8)가 설치되어 있어 흡입파이프로의 냉매의 흡입이 원할하게 실행된다.
이같은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에 의하면, 상기 응축기(3)는 공냉식으로서 예컨대 "플레이트 온 튜브(plate on tude)"형 또는 위콘(WI-Con)형으로 형성되어 냉장고의 후면 또는 기계설에 배치된다.
이같은 공냉식 응축기는 방열면적이 커야하는 반면 방열량이 부족하게 되어 냉매가 적정상태로 또는 완전하게 응축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같이 냉매가 완전하게 용축되지 못하면 그같은 냉매가 모세관의 입구에서 2상(two-phace) 즉, 액체와 기체가 공존하는 형태로 되어 원할한 냉동사이클의 달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같은 응축기는 일정크기로 형성되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으로써 외관이 콤팩트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를 제상수를 이용하여 수냉식으로 응축시킬 수 이는 냉장고의 응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각수의 수위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외관이 콤팩트하게 형성되는 냉장고의 수냉식 응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냉동사이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응축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전방면
12: 후방면 13: 상부면
14: 하부면 15,16: 측면
17: 드레인 18: 드레인
19: 배출포트 20: 냉매파이프
21: 몸체 22: 냉매유입부
23: 냉매배출부
이같은 목적들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냉각수가 충전되며, 전방면, 상기 전방면에 대향하며 내측부에 다수의 지지편이 고정되는 후방면, 내부에 냉각수를 공급하기위한 유입포트가 형성된 상부면, 냉각수를 배출시키기위한 드레인이 형성되며 제 1구멍 및 제 2구멍이 천공형성된 하부면, 내부의 냉각수를 배출시키기위한 배출포트가 형성된 제 1측면 및 상기 제 1측면에 대향하는 제 2측면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후방면의 지지편에 고정되고 다수의 만곡부에의해 굴곡형성되며, 일단부에 상기 본체의 하부면의 제 1구멍에 관통고정되는 냉매유입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본체의 하부면의 제 2구멍에관통고정되는 냉매유입부가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는 냉매파이프;로 이루어진 냉장고의 응축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응축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응축기는 본체(10) 및 냉매파이프(20)로 구성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전방면(11), 후방면(12), 상부면913), 하부면(14), 제 1측면(15) 및 제 2측면(16)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면(13)에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유입포트(17)가 형성되어 제상수가 유동되거나 배출되는 제상수호스(H)가 연통연결된다.
한편 상기 하부면(14)에는 상기 본체(10)내에 충전되는 냉각수를 배출시키거나 그 냉각수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드레인(18)이 형성되는바, 상기 드레인(18)에는 예컨대 스톱밸브(stop valve)와 같은 밸브(18a)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하부면(14)의 제 위치에는 2개의 구멍(14a, 14b)이 천공형성되는바, 상기 각각의 구멍에는 상세히 후술되는 냉매파이프(20)의 냉매유입부 및 냉매배출구가 각각 관통고정된다.
상기 본체(10)의 양 측면(15, 16)중 제 1측면(15)의 상부에는 배출포트(19)가 일체 로 형성되는바, 상기 배출포트(19)는 본체(10)내부에 수집되는 제상수(냉각수)가 일정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냉각수를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포트(19)는 예컨대 냉장고의 증발명을 향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냉매파이프(20)가 내설되는바, 사익 냉매파이프(20)는 다수의 만곡부에 의해 굴곡형성되는 몸체(21)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21)의 일단부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유입부(22)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본체(21)를 지나면서 응축된 냉매를 배출시키기 위한 냉매배출부(23)가 형성된다.
상기 냉매유입부(22)는 상기 본체(10)의 하부면(14)의 제 1구멍(14a)에 관통고정되며, 또한 냉매배출부(23)는 제 2구멍(14b)에 관통 고정되는바, 상기 냉매유입부(22)는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압축기의 파이프라인에 연통되며 또한 상기 냉매배출부(23)는 도시되지 않은 모세관에 연통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매파이프(20)의 예컨대 "플레이트 온 튜브타입(plate on tube type)"으로써 냉매파이프(20)의 본체(21)에는 다수의 플레이트(24)가 부착 또는 고정되는바,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24)는 상기 본체(21)를 지지할 뿐 아니라 그 본체(21)의 방열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같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응축기의 작용모드에 의하면, 냉장고가 작동되어 냉장실 및 냉동실에 냉기를 공급하기위해 냉동 사이클이 실행되며, 냉매는 예컨대 압축기로부터 압축되어 기체상태로 냉매파이프(20)의 냉매유입부(22)를 통해 유입되어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같이 유동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냉장고의 제상작용에의해 발생된 제상수가 제상수호수를 거쳐 유입포트(12)를 통해 유입되어 본체(10)내부에 충정된다.
이에따라, 상기 냉매파이프(20)의 몸체(21)를 따라 유동하는 냉매는 저온의 제상수(냉각수)에 의해 액화상태로 응축되며 이와같이 응축된 냉매는 냉매배축부(23)를 통해 예컨대 모세관으로 공급됨으로서, 냉매가 냉동사이클을 실행하는 구성요소로 순환되어 냉기를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하게 된다.
한편, 유입포트(12)로부터 유입되는 제상수가 일정수위를 초과하게되면 본체(10)의 측면(15)에 형성된 배출포트(19)를 향해 초과분의 냉각수가 배출되는바, 이같이 배출되는 냉각수는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증발명에 수집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내의 냉각수가 오염되거나 응축기를 수리하는 경우 본체(10)의 하부면(14)에 제공된 드레인(15)을 통해 냉각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바, 이때 드레인(15)에 설치된 밸브(15a)가 이용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를 냉장고에 적용시키면, 냉매를 제사수를 이용하여 수냉식으로 응축시킬 수 있어 냉장고의 냉각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등록청구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3)

  1. 냉각수가 충정되며, 전방면(11), 상기 전방면(11)에 대향하며 내측부에 다수의 지지편(12a)이 고정되는 후방면(12), 내부에 냉각수를 공급하기위한 유입포트(17)가 형성된 상부면(13), 냉각수를 배출시키기위한 드레인(18)이 형성되며 제 1구멍(14a) 및 제 2구멍(14b)이 천공형성된 하부면(14), 내부의 냉각수를 배출시키기위한 배출포트(19)가 형성된 제 1측면(15) 및 상기 제 1측면(15)에 대향하는 제 2측면(16)이 리체로 형성된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후방면(12)의 지지편(12a)에 고정되고 다수의 만곡부에의해 굴곡형성되며, 일단부에 상기 본체(10)의 하부면(14)의 제 1구멍(14a)에 관통고정되는 냉매유입부(22)가 형성괴고 타단부에 상기 본체(10)의 하부면(14)의 제 2구멍(14b)에 관통고정되는 냉매배출부(23)가 형성된 몸체(21)를 포함하는 냉매파이프(20);로 이루어진 냉장고의 응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포트(17)에는 세정수가 유입될수 있도록 제상수호수(H)가 연통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냉장고의 응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18)에는 밸브(18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냉장고의 응축기.
KR1019970056161A 1997-10-30 1997-10-30 냉장고의 응축기 KR19990034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161A KR19990034526A (ko) 1997-10-30 1997-10-30 냉장고의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161A KR19990034526A (ko) 1997-10-30 1997-10-30 냉장고의 응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526A true KR19990034526A (ko) 1999-05-15

Family

ID=66048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161A KR19990034526A (ko) 1997-10-30 1997-10-30 냉장고의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45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67508A (ja) 電気冷蔵庫
EP1800076B1 (en) Refrigerator
KR19990034526A (ko) 냉장고의 응축기
KR0169301B1 (ko) 진공 동결 건조기용 콜드트랩장치
JP5068340B2 (ja) 冷凍冷蔵庫
KR100479601B1 (ko)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KR19990034525A (ko) 냉장고의 응축기
KR100419154B1 (ko) 제상수증발을위한쇼케이스의기계실구조
KR200250590Y1 (ko) 붙박이형 반찬 냉장고의 제상수 배출장치
KR100254466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KR100287714B1 (ko) 냉장고의 냉매유음 방지장치
KR100193437B1 (ko) 드라이어에 중간냉각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의 냉동사이클
KR200161963Y1 (ko)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증발기를 갖는 냉동 냉장고
KR200164684Y1 (ko) 냉장고의 배리어 구조(barrier for refrigerator)
KR200249924Y1 (ko) 붙박이형 반찬 냉장고
KR19990016744U (ko) 냉장고의 응축유닛
JPH06180151A (ja) 冷蔵庫
KR200165751Y1 (ko) 자동판매기의 응축기 냉각장치
KR100704359B1 (ko) 김치냉장고의 액 분리형 조인트 구조
KR960009590Y1 (ko) 트럭냉동기의 열교환 겸용 이큐물레이터
KR100219395B1 (ko) 열사이폰을 이용한 냉장고 이슬맺힘 방지장치
KR20000014017U (ko) 냉각팬 풍량증대 구조의 냉장고 기계실
KR19980017976A (ko) 냉동싸이클
KR980009098U (ko) 제상수를 이용한 압축기 냉각장치
KR19990031239A (ko) 냉난방 겸용 공기 조화기의 배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