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932U - Dry toilet system - Google Patents

Dry toile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932U
KR19990033932U KR2019980000091U KR19980000091U KR19990033932U KR 19990033932 U KR19990033932 U KR 19990033932U KR 2019980000091 U KR2019980000091 U KR 2019980000091U KR 19980000091 U KR19980000091 U KR 19980000091U KR 19990033932 U KR19990033932 U KR 199900339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paration chamber
drainage
filter
soli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09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친푸니안
Original Assignee
친푸니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친푸니안 filed Critical 친푸니안
Priority to KR2019980000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932U/en
Publication of KR199900339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932U/en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변기와, 변기에 앉은 사람이 배설하는 배변물을 수집하도록 입구를 갖는 폴리백을 테두리와의 결합으로 고정하도록 변기에 힌지결합되고, 배설물이 수거된 폴리백을 상기 배수로를 통해 변기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집게링과, 변기 하단 배수로의 배출부와 연결되어 변기의 배수로를 통해 수거된 배설물을 처리하는 분리압착부와, 분리압착부로부터 전달된 배설수를 여과하는 여과탱크와, 분리압착부로부터 전달된 고형배설물을 건조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로 구성되는 건식 화장실 시스템.The toilet seat is hinged to the toilet seat to secure the polybag having an inlet in combination with the rim so as to collect the excrement discharged by the person sitting on the toilet seat, and the poly bag from which the feces have been collected can be discharged out of the toilet through the drain. A separation crimping unit connected to the drainage of the toilet bottom drainage passage,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section of the toilet bottom drainage, to treat the waste collected through the drainage drainage of the toilet, a filtration tank to filter the excrement water delivered from the separation crimping section, and is delivered from the separation crimping section. Dry toilet system consisting of a storage unit for drying and storing the solid waste.

Description

건식 화장실 시스템Dry toilet system

본 고안은 사용자로부터 배출된 폐기물을 수집하여 처리하는 화장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이용하지 않고 배변물을 씻어내리는 건식 화장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ystem for collecting and treating waste discharged from a 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y toilet system for washing feces without using water.

일반적인 수세식 화장실은 변기로부터 배변물을 씻어내리기 위해 유수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화장실 시스템은 매일 상당량의 물을 사용하며, 정화조를 이용하여 배변물을 수집하여 처리하고 있다. 만일 화장실의 배변물이 직접 강으로 흘러가게 되면, 강이 오염될 것이다.A common flush toilet uses running water to flush out feces from the toilet. This toilet system uses a significant amount of water every day and collects and treats feces using a septic tank. If the toilet's bowel flows directly into the river, the river will be contaminated.

본 고안의 목적은 물을 사용하지 않고 화장실 변기를 청결히 유지할 수 있는 건식 화장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 toilet system that can keep the toilet bowl clean without using water.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변물을 수집하고, 배변물이 배수되기 전에 여과하고, 고형 배변물을 유기 비료로 만드는 건식 화장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 toilet system that collects feces, filters them before they are drained, and makes solid feces into organic fertilizers.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건식 화장실 시스템은 변기와, 변기에 앉은 사람이 배설하는 배변물을 수집하도록 입구를 갖는 폴리백을 테두리와의 결합으로 고정하도록 변기에 힌지결합되고, 배설물이 수거된 폴리백을 상기 배수로를 통해 변기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집게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ry toile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bag hinged to the toilet to fix the polybag having an inlet to the toilet and the toilet seat is collected by the person sitting on the toilet in combination with the rim, the waste bag collec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ongling that can be discharged out of the toilet through the drainage.

본 고안의 다른 면을 살펴보면 변기 하단 배수로의 배출부와 연결되어 변기의 배수로를 통해 수거된 배설물을 처리하는 분리압착부와, 분리압착부로부터 전달된 배설수를 여과하는 여과탱크와, 분리압착부로부터 전달된 고형배설물을 건조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부가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ooking at the other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toilet bottom drain passage separation section for processing the waste collected through the drainage of the toilet, the filter tank for filtering the excrement water delivered from the separation compression section, and separate compression 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rage unit for drying and storing the solid waste delivered from.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식 화장실 시스템용 변기의 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for a dry toile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집게링이 용적을 갖는 폴리백을 고정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Figure 2 shows that the forceps ring secures the polybag having a volu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는 단면도,Sec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식 화장실 시스템을 변기를 제외한 부분의 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excluding the toilet bowl of the dry toile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건식 화장실 시스템을 변기를 제외한 부분의 단면도,Figure 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dry toilet system except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건식 화장실 시스템의 분리쳄버를 중심으로 나타낸Figure 4b is shown around the separation chamber of the dry toile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면도,Cross-sec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식 화장실 시스템의 저장부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rage unit of the dry toile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식 화장실 시스템의 저장부로부터 배설물이 배출되는6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portion of the dry toile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단면도이다.It is an operation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opera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식 화장실 시스템은 변기(10)를 구비한다. 상기 변기(10)는 용적부(11)와, 상기 용적부(11) 상단 주변의 테두리(12)와, 상기 테두리(12)둘레의 결합공(121)과, 변기 후면에 돌출된 블럭(13)과, 상기 블럭(13)에 회전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두개의 평행 고정부(21)와 상기 평행고정부(21) 반대편에 형성된 돌출편(22)을 갖는 집게링(20)과, 변기 후면하단에 형성된 배출부(15)와, 상기 용적부(11)로부터 상기 배출부(15)에 이르는 배수로(14)와, 상기 배수로(14)를 통과한 배설물을 상기 배출부(15)를 통해 배출을 제어하는 단방향밸브(16)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dry toile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ilet 10. The toilet 10 includes a volume 11, a rim 12 around the top of the volume 11, a coupling hole 121 around the rim 12, and a block 13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toilet. ), A tong ring 20 having two parallel fixing parts 21 pivotally coupled to the block 13, and a protrusion 22 formed opposite the parallel fixing part 21, and a toilet bowl rear surface. The discharge part 15 formed at the lower end, the drainage path 14 from the volume part 11 to the said discharge part 15, and the excrement which passed through the said drainage path 14 are discharged | emitted through the said discharge part 15. It consists of a one-way valve 16 to control.

변기(10) 주변에는 폴리백 롤(31)을 포함하는 폴리백상자(30)가 인접해있다. 건식 화장실 시스템을 사용할때, 낱장의 폴리백(32)를 폴리백 롤(31)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용적부(11)내에 넣고 테두리(12)에 고정한다. 입구를 벌려 그 가장자리를 결합공(121)의 집게링(20)과 테두리(12)에 걸쳐 견고하게 한다.The polybag box 30 including the polybag roll 31 is adjacent to the toilet 10. When using a dry toilet system, the sheet of polybag 32 is separated from the polybag roll 31. Then it is placed in the volume 11 and fixed to the rim 12. Opening the inlet is firmly over the edge of the forceps ring 20 and the rim 12 of the coupling hole 121.

집게링(20)을 결합공(121)으로부터 들어올리면 배설물을 담은 폴리백(32)이 배수로(14)를 통해 떨어지게 되어 변기를 비우게 된다. 용적부(11)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 배수로(14)는 배출부(15)와 약 90。의 각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된 폴리백(32)가 용적부(11)로부터 배출부(15)에 쉽게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tongs 20 is lifted from the coupling hole 121, the polybag 32 containing the excrement falls through the drainage channel 14 to empty the toilet bowl. The drainage passage 1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volume 11 has an angle of about 90 ° with the outlet 15. Thus, the polybag 32 used can be easily moved from the volume 11 to the outlet 15.

도 3과 도 4a 및 도 4b 그리고 도 2를 참고로 하면 건식 화장실 시스템은 분리압축부(40)와, 저장부(50)와, 여과탱크(60)를 부가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분리압축부(40)는 가이드 파이프(41)와, 압축쳄버(42)와, 분리쳄버(43) 그리고 모터(44)로 구성된다.3, 4a, 4b and 2 it can be seen that the dry toilet system is configured by adding a separate compression unit 40, the storage unit 50, and the filtration tank 60. The separate compression section 40 is composed of a guide pipe 41, a compression chamber 42, a separation chamber 43, and a motor 44.

가이드 파이프(41)는 변기(10)로부터 전달된 배설물을 배출부(15)를 통해 도착한다. 압축쳄버(42)의 내부에는 배설물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날(421)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파이프(41)의 일측에는 너미배수로(411)를 가지고 있어 압축된 배설물을 분리쳄버(43)으로 이동시킨다.The guide pipe 41 arrives through the discharge part 15 to the excrement delivered from the toilet 10. The compression chamber 42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grinding blade 421 for grinding the excrement. One side of the guide pipe 41 has a nipple drainage passage 411 to move the compressed excrement to the separation chamber 43.

분리쳄버(43)는 커버(431)와, 여과기(432)와, 하단 배출구(433)와 측면배출구(434)로 구성된다. 분리쳄버(43)내 상기 커버(431)의 외면에 긁게(435)가 형성된다. 여과기(432)는 분리쳄버(43)내의 분리판(43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너미배수로(411)의 배출부(413)은 여과기(432)의 내부에 이로도록 연장된다. 분리쳄버(43)의 하단배출구(433)은 여과탱크(60)에 연결된다. 분리쳄버(43)의 측면배출구(434)는 저장부(50)에 연결된다. 모터(44)는 여과기(432)와 분쇄날(421)의 구동을 제어한다.Separation chamber 43 is composed of a cover 431, a filter 432, the lower outlet 433 and the side outlet 434. Scratches 435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431 in the separation chamber 43. The filter 43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parating plate 436 in the separating chamber 43. The discharge portion 413 of the nipple drain passage 411 extends to reach the inside of the filter 432. Lower outlet 433 of the separation chamber 43 is connected to the filtration tank (60). The side outlet 434 of the separation chamber 43 is connected to the reservoir 50. The motor 44 controls the driving of the filter 432 and the grinding blade 421.

도 3과 도 4a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저장부(50)는 저장탱크(51)와, 건조기(52)와, 수동 믹서기(53)와 센서(54)로 구성된다. 저장부(50)의 하단측면(501)에는 다수의 스프링(504)이 저장탱크(51)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건조기(52)는 저장탱크(51)내의 배설물을 건조시킨다. 예를 들어 저장탱크(51)내의 배설물을 건조하기 위해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발열된다. 저장탱크(51)에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다수의 구멍(512)이 형성되어 있다. 센서(54)는 저장부(50)내의 저장탱크(51) 하단에 설치된다. 저장탱크(51)내의 배설물의 적재량이 일정 무게가 되면 스프링(504)이 눌려지게되고 센서(54)의 상태를 반전시키게 되고, 센서(54)는 사용자에게 저장탱크(51)를 비우도록 경고할 수 있도록 부저를 이용한 음향 또는 램프등을 사용하여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경고신호를 나타낸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A. The storage unit 50 is composed of a storage tank 51, a dryer 52, a manual mixer 53, and a sensor 54. A plurality of springs 504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surface 501 of the storage unit 50 to support the storage tank 51. The dryer 52 dries the waste in the storage tank 51. For example, heat is generated by electrical energy to dry the waste in the storage tank 51. A plurality of holes 512 are formed in the storage tank 51 to remove moisture. The sensor 54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51 in the storage 50. When the amount of excretion in the storage tank 51 reaches a certain weight, the spring 504 is pressed and the state of the sensor 54 is reversed, and the sensor 54 warns the user to empty the storage tank 51. A warning signal is displayed so that it can be visually recognized by using a buzzer sound or a lamp.

도 4a를 참조로하여 살펴본다. 여과탱크(60)는 여과천층(61)과, 모래여과층(62)과, 목탄 여과층(63)과, 굵은 모래 여과층(64)과, 자갈 여과층(65) 그리고 암석 여과층(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A. The filtration tank 60 includes a filtration cloth layer 61, a sand filtration layer 62, a charcoal filtration layer 63, a coarse sand filtration layer 64, a gravel filtration layer 65 and a rock filtration layer ( 66).

도 4a와 도 4b 및 도 5, 도6을 참조로하여 살펴본다. 배설물이 수거된 폴리백(32)는 가이드 파이프(41)를 거쳐 압축쳄버(42)에 이른다. 가이드 파이프(41)내의 커터(412)에 의해 잘게 부수어진다. 잘게 부수어진 배설물이 일정량에 이르게 되면 너미배수구(411)을 통해 분리쳄버(43)내의 여과기(432)에 도착한다. 여과기(432)에 의해 분리된 배설수는 분리쳄버(43)의 하단배출구(433)와 배수파이프(67)을 거쳐 여과기(432)로부터 여과탱크(60)로 분리된다. 여과탱크(60)에 의해 여과된후 여과 탱크(60)외부로 배출된다. 모터(44)의 회전에 의해 여과기(432)와 긁게(435)가 동작되면 폴리백조각 또는 폐휴지를 포함한 고형 또는 반고형의 배설물은 원심력에 의해 측면배출구(434)를 통해 이동되어 저장부(50)내의 저장탱크(51)에 수집되게 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4B, 5, and 6. The polybag 32 in which the excreta is collected reaches the compression chamber 42 via the guide pipe 41. It is crushed by the cutter 412 in the guide pipe 41. When the crushed waste reaches a certain amount, it reaches the filter 432 in the separation chamber 43 through the nipple drain 411. The waste water separated by the filter 432 is separated from the filter 432 into the filtration tank 60 through the lower discharge port 433 and the drain pipe 67 of the separation chamber 43. After being filtered by the filtration tank 60, it is discharged out of the filtration tank 60. When the filter 432 and the scraper 435 are op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44, the solid or semi-solid waste, including the poly bag scrap or waste paper, is moved through the side outlet 434 by centrifugal force to store the portion ( 50 is collected in the storage tank 51.

건조기는 저장탱크(51)내에 수거된 고형배설물을 건조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잘 건조된 고형 배설물은 유기비료물로서 사용된다. 더불어 저장탱크(51)의 하단배출구(511)를 가지고 있어, 하단 배출구(511)가 열리게 되면 잘 건조된 고형배설물은 저장탱크(51)로부터 배출되어 수거백(70)에 담기게 된다. 저장탱크(51)로부터 건조된 고형배설물을 제거하기 전에 수동믹서기(53)를 동작시켜 건조된 고형 배설물을 가루에 혼합시킨다.The dryer performs an operation of drying the solid waste collected in the storage tank 51. Well dried solid droppings are used as organic fertilizers. In addition, having a lower outlet 511 of the storage tank 51, when the lower outlet 511 is opened, the well-dried solid waste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51 is put in the collection bag (70). Before removing the dried solid waste from the storage tank 51, the manual mixer 53 is operated to mix the dried solid waste to the powder.

도 4a를 다시 참조하여 살펴본다. 저장부(50)는 악취를 배출하기 위해 그 상단부에 제 1 배기파이프(502)와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는 제 1 흡기파이프(503)를 구비한다. 여과탱크(60)는 저장부(50)의 악취배출을 위한 제 1 배기파이프(502)에 연결된 제 2 배기파이프(601)를 갖는다. 신선한 공기를 흡입시키기 위한 제 2 흡기파이프(602)를 구비한다. 저장부(50)는 배수파이프(67)의 하단에 연결된 연결배수통로(505)를 구비하여 여과탱크(60)로 배설수를 이동시킨다.Reference will be made to FIG. 4A again. The storage unit 50 has a first exhaust pipe 502 and a first intake pipe 503 for providing fresh air at its upper end to discharge odors. The filtration tank 60 has a second exhaust pipe 601 connected to the first exhaust pipe 502 for odor discharge of the storage unit 50. A second intake pipe 602 for sucking fresh air is provided. Storage unit 50 has a connection drainage passage 505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67 to move the waste water to the filtration tank (6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을 나타낸 것이며, 그 본질의 개념을 유지하면 본 설명에 나타나지 않는 여러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The above description is based on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forms of modifications not shown in the present description are possible if the concept of the essence is maintain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물을 사용하지 않고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으며 배설물을 이용하여 유기비료물을 만들수 있으며, 배설물에 의해 강등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treat excrement without using water, and can make organic fertilizer by using excreta, an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contaminants from being contaminated by feces.

Claims (6)

용적부와, 상기 용적부 주변으로부터 형성되는 테두리와, 상기 용적부로부터 연장된 배수로로 구성되는 변기와,A toilet comprising a volume part, an edge formed from around the volume part, and a drainage channel extending from the volume part, 상기 변기에 피봇 결합되며, 상기 변기에 앉은 사람이 배설하는 배변물을 수집하도록 입구를 갖는 폴리 백을 상기 테두리와의 결합으로 고정하고, 배설물이 수거된 폴리백을 상기 배수로를 통해 변기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집게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화장실 시스템.Pivotally coupled to the toilet, the polybag having an inlet is fixed by coupling with the rim so as to collect the feces excreted by the person sitting on the toilet, and excreted polybag discharged out of the toilet through the drainage Dry toilet system comprising a tongs that can b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집게링은 상기 변기의 후면에 형성된 블럭에 좌우대칭되게 피봇 결합하도록 돌출된 두 개의 고정부를 가지고,The tongling has two fixing parts projecting to pivotally symmetrically to the block formed on the rear of the toilet, 상기 배수로는 하단 종단부분의 배출부에, 변기밖으로 배수로를 통해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단방향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화장실 시스템.And the drainage passage has a one-way valv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through the drainage passage out of the toilet, at the discharge end of the lower en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변기 하단 배수로의 배출부와 연결되어 변기의 배수로를 통해 수거된 배설물을 처리하는 분리압착부를 부가하여 구성되며,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toilet bottom drain passage is configured by adding a separate pr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waste collected through the toilet drain, 상기 분쇄압착부는 상기 변기 배수로의 배출부와 연결된 가이드 파이프와,The crushing compression unit and the guide pip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toilet drain; 상기 가이드 파이프를 통해 변기로부터 전달된 배설물을 압축하기 위한 압축쳄버와,A compression chamber for compressing feces delivered from the toilet through the guide pipe; 상기 압축쳄버에 의해 압축된 배설물로부터 수분을 추출하여 분리하기 위한 분리쳄버와,Separation chamber for extracting and separating the water from the excrement compressed by the compression chamber, 상기 압축쳄버 및 분리쳄버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화장실 시스템.Dry toile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otor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compression chamber and the separation chamb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압축쳄버는 상기 변기로부터 수거된 배설물을 분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쇄날을 가지며,The compression chamber has at least one grinding blade for grinding the waste collected from the toilet, 상기 분리쳄버는The separation chamber is 커버와,With the cover, 상기 분리쳄버 내부의 분리 판에 의해 둘레부분이 지지되어 상기 분 리쳄버내에 전달된 압착된 배설물을 여과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파이 프로부터 연장된 배수로 주변에 설치되는 여과기와,A periphery supported by a separation plate inside the separation chamber, the filter being installed around a drainage passage extending from the guide pipe to filter the compressed excrement delivered into the separation chamber; 상기 여과기로부터 배설물을 배출하며 상기 커버에 형성된 긁게와,Scraper discharged from the filter and formed on the cover, 상기 여과기에의해 분리된 배설수를 아래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하단 배출구와,A lower outlet for discharging the waste water separated by the filter downward; 상기 여과기에의해 분리된 고형배설물을 배출하기 위한 측면배출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화장실 시스템.Dry toile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ide outlet for discharging the solid waste separated by the filter.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분리쳄버의 배출구에는 배설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탱크와,A discharge tank of the separation chamber and a filtration tank for filtering the waste water, 상기 분리쳄버의 측면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고형배설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부가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화장실 시스템.Dry toile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dd a storage for storing the solid waste discharged from the side outlet of the separation chamber.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저장부는 상기 분리쳄버로부터 배출되는 고형배설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와,The storage unit and the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solid waste discharged from the separation chamber; 상기 저장탱크내에 수거된 고형배설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기와,A dryer for drying solid waste collected in the storage tank; 상기 저장탱크내의 고형배설물을 혼합하기 위한 수동믹서기와,A manual mixer for mixing solid waste in the storage tank; 상기 저장탱크내의 고형배설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일정량에 도달할때 경고신호를 나타내는 센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화장실 시스템.Dry toile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solid waste in the storage tank to indicate a warning signal when a certain amount is reached.
KR2019980000091U 1998-01-08 1998-01-08 Dry toilet system KR1999003393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091U KR19990033932U (en) 1998-01-08 1998-01-08 Dry toile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091U KR19990033932U (en) 1998-01-08 1998-01-08 Dry toile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932U true KR19990033932U (en) 1999-08-16

Family

ID=6971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091U KR19990033932U (en) 1998-01-08 1998-01-08 Dry toile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932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23900B1 (en) Dry type toilet system
KR20100040061A (e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US5887290A (en) Waterless Toilet System
KR102326195B1 (en)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JP2004174482A (en) Food and drink garbage disposal apparatus of mounting-on-sink table type
KR100753808B1 (en) Drying removal apparatus of a food waste
KR101178606B1 (en) One body dispoer which is capable of taking out crushed and dried waste material
KR19990033932U (en) Dry toilet system
JP3282431B2 (en) Garbage dewatering and collecting equipment and garbage collecting and processing equipment in sink
KR101318245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food-waste water and purifying system using it
KR100723358B1 (en) Food Refuse Disposal Device Asjustable for Sink
KR100317512B1 (en) Dish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ink
KR100662947B1 (en) An apparatus for easy collecting kitchen waste in a sink
KR200188213Y1 (en) Dish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ink
JP4341850B1 (en) Garbage processing utiliza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s
KR200405262Y1 (en) Garbage disposer
KR200197005Y1 (en) Dish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ink
KR200370578Y1 (en) Food waste dehydration dry device
KR100615456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for a sink
KR200356302Y1 (en) An automatic discharging device for garbage in a dishwater bucket
KR200267431Y1 (en) A dehydrator for food garbage
KR200213599Y1 (en) Dish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ink
CN213801313U (en) Kitchen waste treatment equipment with odor purification function
KR200163713Y1 (en) Dish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ink
KR200161687Y1 (en) Waste food dehydrating device of s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