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891A - 진공청소기의 보조 브러쉬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보조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891A
KR19990033891A KR1019970055333A KR19970055333A KR19990033891A KR 19990033891 A KR19990033891 A KR 19990033891A KR 1019970055333 A KR1019970055333 A KR 1019970055333A KR 19970055333 A KR19970055333 A KR 19970055333A KR 19990033891 A KR19990033891 A KR 19990033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frame
auxiliary
body portion
auxiliary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1438B1 (ko
Inventor
박민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55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1438B1/ko
Publication of KR1999003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adjustably mount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Height adjustment of nozzle or dust 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털솔과 칼형 보조브러쉬를 탈착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이루고, 보조브러쉬의 보관을 용이하게 개선한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에 있어서, 프레임이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털솔이 형성되는 솔기구; 원통형의 보디를 갖추고, 상기 보디의 전단부는 내부유로가 사각단면을 이루도록 양측면이 축소된 경사면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에는 각각 다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보디의 전단에는 중앙에 오목홈이 형성된 몸체부;및,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 형성된 끼움부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삽입부를 형성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형 몸체부에 솔기구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솔형 보조브러쉬나 칼형 보조브러쉬로서 선택하여 사용할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을 이루고, 솔기구와 몸체부가 서로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조브러쉬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솔기구와 몸체부가 일체형의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제작단가도 저렴하게 개선된 효과가 얻어지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보조 브러쉬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털솔과 칼형 보조브러쉬를 탈착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이루고, 보조브러쉬의 보관을 용이하게 개선한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201)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부 칸막이벽에 의해 구획되어진 집진실 및 구동실(미도시함)을 가지며 바퀴(202)에 의해 이동이 자유로운 본체부(203)와, 일단부에 먼지등을 흡입하는 흡입브러쉬(204)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타단부에는 흡입력 조절 스위치부(205)를 갖는 손잡이(206)가 갖춰져서 다단으로 연결접속되는 연장관(207)들과, 상기 연장관(207)에 결합되어 공기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203)내의 집진실로 착탈이 자유롭도록 끝단부에서 연결구(208)와 결합되는 호스(209)를 갖추고 있다.
상기와 같은 진공청소기(201)는 집안의 창틀이나 구석진 곳 또는 자동차 내부 바닥등에 끼어 있는 모래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관(207)의 일단부에 끼워져서 사용가능한 여러 종류의 보조브러쉬(210)를 갖추며, 이러한 보조브러쉬(210)들은 상기 본체부(203)에 마련된 보조브러쉬 수납부(211)나 별도로 마련된 보조브러쉬 수납통(미도시함)에 보관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대표적인 보조브러쉬(210)들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에 기재된 칼형 보조브러쉬(210a)는 공간이 좁은 틈새 등의 청소에 특히 유용한 것이고, 도 2의 b)에 기재된 솔형 보조브러쉬(210b)는 청소면으로 부터 이물질등을 털어 소제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기술구성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즉, 사용자가 진공청소기(201)에 의한 청소작업중 칼형보조브러쉬(210a)와 솔형 보조브러쉬(210b)를 사용할 경우,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칼형 보조브러쉬(210a) 또는 솔형 보조브러쉬(210b)중의 어느 하나를 상기 연장관(207)의 일단부에 끼워서 사용하고, 매번 이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보조브러쉬에 의한 청소작업이 끝난 후, 사용자의 부주의로 칼형보조브러쉬(210a) 또는 솔형 보조브러쉬(210b)를 잃어버리기 쉬운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칼형 보조브러쉬(210a)와 솔형 보조브러쉬(210b)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제작단가가 높은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솔형 보조브러쉬와 칼형 보조브러쉬를 탈착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이루고, 보조브러쉬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제작단가도 저렴하게 개선된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보조브러쉬들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도는 칼형 보조브러쉬를 도시한 사시도,
b)도는 털솔형 보조브러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브러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브러쉬의 부분상세도로서,
a)도는 좌측 걸고리의 구성도,
b)도는 우측 걸고리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브러쉬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브러쉬에서 털솔과 몸체부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털솔 5a..... 철사
7..... 프레임 10..... 솔기구
20.... 몸체부 22..... 보디
25.... 경사면 27..... 관통구멍
29.... 오목홈 30..... 연결부
35.... 긴구멍 201.... 진공청소기
207... 연장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에 있어서, 프레임이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털솔이 형성되는 솔기구; 원통형의 보디를 갖추고, 상기 보디의 전단부는 내부유로가 사각단면을 이루도록 양측면이 축소된 경사면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에는 각각 다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보디의 전단에는 중앙에 오목홈이 형성된 몸체부;및,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 형성된 끼움부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삽입부를 형성한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조브러시(1)는 ∩형의 털솔(5)이 형성되는 솔기구(10)가 연결부(30)를 통하여 원통형의 몸체부(2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솔기구(10)는 서로 꼬여진 2가닥의 철사(5a)가 프레임(7)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7)은 ∩형으로 절곡형성되며, 상기 프레임(7)에는 2가닥의 철사(5a)사이에 털솔(5)이 끼워져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솔기구(10)는 연결부(30)의 일부를 이루는 끼움부가 상기 프레임(7)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바, 상기 끼움부는 프레임(7)의 일측단부에 도 4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모서리(8a)와 그 단부의 걸고리(8b)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7)의 타측단부는 도 4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하나의 절곡모서리(9a)와 납작머리부(9b)를 형성하며, 상기 납작머리부(9b)의 눌림방향은 프레임(7)의 길이방향에 일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솔기구(1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부(20)는 원통형의 보디(22)를 갖추고, 상기 보디(22)의 전단부는 내부유로가 사각단면을 이루도록 양측면이 축소된 경사면(25)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25)에는 각각 양측으로 다수개의 관통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27)은 보디(22)의 전단구멍(미도시)과 더불어서 흡입구멍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는 솔기구(10)에 의해서 보디(22)의 전단구멍이 막히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보충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디(22)의 전단에는 모서리중앙에 오목홈(29)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7)의 양단부에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몸체부(2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부를 갖는 연결부(30)는 끼움부의 걸고리(8b)와 납작머리부(9b)가 각각 삽입되는 구멍들을 갖는바, 상기 걸고리(8b)는 몸체부(20)의 일측에 마련된 구멍(32)으로 끼워지고, 상기 납작머리부(9b)는 몸체부(20)의 타측에 마련된 긴구멍(35)으로 삽입된다. 상기에서 납작머리부(9b)가 끼워지는 긴구멍(35)은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는 프레임(7)이 삽입되는 원형구멍(35a)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구멍(35a)의 양측으로 각각 사각구멍(35b)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구멍(35b)은 그 연장선(K)이 몸체부(20)의 길이방향 중심선(P)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대략 30 내지 60°의 경사각(θ)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각구멍(35b)과 원형구멍(35a)은 끼움부의 납작머리부(9b)가 삽입될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끼움부의 납작머리부(9b)는 상기 긴구멍(35)으로 삽입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의 길이방향 중심선(P)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경사각(θ)을 유지하여야만 상기 긴구멍(35)을 통하여 삽입될수 있고, 그 반대로 인출되기 위해서도 경사각(θ)을 유지하여야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조브러쉬는 연결부(30)를 이용하여 솔기구(10)와 몸체부(20)가 일체로 장착되는 바, 상기 솔기구(10)는 끼움부의 걸고리(8b)가 상기 몸체부(20)의 일측구멍(32)으로 삽입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7)을 탄성적으로 다소 벌어지게 한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의 길이방향 중심선(P)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경사각(θ)을 유지하고 긴구멍(35)으로 납작머리부(9b)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솔기구(10)를 전방측으로 젖치면 상기 솔기구(10)는 몸체부(20)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솔기구(10)는 몸체부(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면서 분리되지 않게 되며, 사용자가 본 발명의 보조브러쉬(1)를 칼형 보조브러쉬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는 연장관(207)의 선단에 상기 몸체부(20)의 후단을 끼우고, 소제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솔기구(1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의 상부측으로 젖혀져서 상기 몸체부(20)의 전방구멍을 막지 않게 되며, 전방구멍과 관통구멍(27)을 통하여 공기와 이물질의 흡입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조브러쉬(1)를 솔형 보조브러쉬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솔기구(10)를 몸체부(20)의 전방모서리에 형성된 오목홈(29)으로 걸쳐서 끼우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솔기구(10)의 프레임(7)이 탄성을 유지하는 상태로 다소 길게 휘어져서 몸체부(20)의 전방모서리(20a)를 지나도록 한다음, 상기 오목홈(29)부분에 놓게 되면, 상기 프레임(7)이 탄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오목홈(29)에 밀착된 상태로 끼워져서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몸체부(20)의 오목홈(29)에 고정된 솔기구(10)를 이용하여 솔형보조브러쉬로서 청소작업을 실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솔형 보조브러쉬로서 사용되는 경우, 몸체부(20)의 전방구멍은 솔기구(10)의 털솔(5)에 의해서 공기의 흐름이 저항을 받으나, 몸체부(20)의 양측 경사면(25)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구멍(27)을 통하여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므로 털솔(5)에 의해서 청소면으로 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공기의 흐름과 함께 관통구멍(27)을 통하여 원활하게 제거되는 것이다.
그리고, 솔기구(10)의 털솔(5)에 실등의 이물질이 끼여서 이를 제거하고자 몸체부(20)로 부터 솔기구(1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솔기구(10)를 몸체부(20)의 길이방향 중심축(P)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경사각(θ)을 유지하도록 경사시킨다음, 상기 긴구멍(35)으로 부터 납작머리부(9b)를 인출하고, 몸체부(20) 반대측의 구멍(32)으로 부터 걸고리(8b)를 인출하면 상기 솔기구(10)와 몸체부(20)는 서로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형 몸체부(20)에 솔기구(10)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솔형 보조브러쉬나 칼형 보조브러쉬로서 선택하여 사용할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을 이루고, 솔기구(10)와 몸체부(20)가 서로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조브러쉬(1)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솔기구(10)와 몸체부(20)가 일체형의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제작단가도 저렴하게 개선된 효과가 얻어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에 있어서, 프레임(7)이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7)에는 털솔(5)이 형성되는 솔기구(10); 원통형의 보디(22)를 갖추고, 상기 보디(22)의 전단부는 내부유로가 사각단면을 이루도록 양측면이 축소된 경사면(25)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25)에는 각각 다수개의 관통구멍(27)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보디(22)의 전단에는 중앙에 오목홈(29)이 형성된 몸체부(20);및, 상기 프레임(7)의 양단부에 형성된 끼움부가 상기 몸체부(2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삽입부를 형성한 연결부(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7)은 2가닥의 꼬여진 철사(5a)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프레임(7)의 일측단부에 절곡모서리(8a)와 그 단부의 걸고리(8b)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7)의 타측단부에는 또 하나의 절곡모서리(9a)와 납작머리부(9b)를 형성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걸고리(8b)가 끼워지는구멍(32)이 몸체부(20)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납작머리부(9b)가 끼워지는 긴구멍(35)이 몸체부(20)의 타측에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긴구멍(35)은 중앙에 프레임(7)이 삽입되는 원형구멍(35a)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구멍(35a)의 양측으로 각각 사각구멍(35b)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구멍(35b)은 그 연장선(K)이 몸체부(20)의 길이방향 중심선(P)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대략 30 내지 60°의 경사각(θ)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납작머리부(9b)의 눌림방향은 프레임(7)의 길이방향에 일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KR1019970055333A 1997-10-27 1997-10-27 진공청소기의 보조 브러쉬 KR100231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333A KR100231438B1 (ko) 1997-10-27 1997-10-27 진공청소기의 보조 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333A KR100231438B1 (ko) 1997-10-27 1997-10-27 진공청소기의 보조 브러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891A true KR19990033891A (ko) 1999-05-15
KR100231438B1 KR100231438B1 (ko) 1999-11-15

Family

ID=1952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333A KR100231438B1 (ko) 1997-10-27 1997-10-27 진공청소기의 보조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14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570B1 (ko) * 2003-08-18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창문청소용 악세사리
KR101315520B1 (ko) * 2012-01-05 2013-10-07 임재호 배수관 청소기
KR200472018Y1 (ko) * 2013-10-30 2014-04-01 박동현 방충망 청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570B1 (ko) * 2003-08-18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창문청소용 악세사리
KR101315520B1 (ko) * 2012-01-05 2013-10-07 임재호 배수관 청소기
KR200472018Y1 (ko) * 2013-10-30 2014-04-01 박동현 방충망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1438B1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1850A (en) Vacuum cleaner having an integral tool holder
US5502870A (en) Five-function vacuum cleaner nozzle
US5970577A (en) Brush head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USRE42564E1 (en) Broom with handle opening in the head thereof
US5537710A (en) Cleaning tool having split manifold
US20020170139A1 (en) Nozzle attachment for a vacuum cleaner
US6279198B1 (en) Convertible wet/dry cleaning system
US4638527A (en) Vacuum cleaner attachments
US5826301A (en) Multipurpose auxiliary brush for a vacuum cleaner
KR100231438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 브러쉬
EP0788758A2 (en) Vacuum cleaner head
US2821736A (en) Suction brush for venetian blinds
US6574822B1 (en) Hand-held scrub brush with integrated detailing brush
JP6991220B2 (ja) 電気掃除機の回転ブラシ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3545628B2 (ja) 電気掃除機
GB2308540A (en) Multipurpose auxiliary brush
CN217743488U (zh) 辅助工具
US4402105A (en) Vacuum cleaner attachment
KR100216941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KR0148925B1 (ko) 진공청소기의 다용도 브러쉬
KR960011000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KR0148954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브러쉬
CN218128351U (zh) 一种连接吸尘器的棒形除毛刷
KR970011913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KR19990016381U (ko) 진공청소기의 빗자루형 보조 브러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