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738U - 높이조절형베개 - Google Patents

높이조절형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738U
KR19990033738U KR2019990008443U KR19990008443U KR19990033738U KR 19990033738 U KR19990033738 U KR 19990033738U KR 2019990008443 U KR2019990008443 U KR 2019990008443U KR 19990008443 U KR19990008443 U KR 19990008443U KR 19990033738 U KR19990033738 U KR 199900337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pillow
sleeping
sleepe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종조
Original Assignee
진종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종조 filed Critical 진종조
Priority to KR2019990008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738U/ko
Publication of KR199900337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738U/ko

Link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바로누워 취침할 경우 또는 옆으로 누워서 취침할 경우에 따라서 취침자의 머리를 적절한 높이로 받쳐줌으로써 취침자가 취침하는 동안 깨지 않고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형 베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의 두께로 그 상면에 평평한 면을 가지며, 그 중간이 탄력적으로 하방 절곡될 수 있는 머리받침부; 상기 머리받침부의 양끝단에 상기 머리받침부와 동일한 두께로 하방 절곡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의 하면에 위치됨과 동시에 그 끝단이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머리받침부의 중간 직하방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끝단을 서로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높이 조절형 베개{HEIGHT ADJUSTING PILLOW}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취침자의 누운위치에 따라 취침자의 머리를 적절한 높이로 받쳐줌으로써 취침자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는 높이 조절형 베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베개는 취침시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람마다 다소간의 차이는 있지만 취침자가 바로 누울 경우 8내지 10cm정도의 높이로, 옆으로 누울 경우에는 16내지 20cm정도의 높이로 취침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것이 취침자에게 가장 안락함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에 사용되는 베개는 상하면의 중간부분이 불룩하게 형성된 것이 통상적인 형상이며, 그 높이 또한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성인용의 경우 대략 8내지 15cm정도의 높이를 갖는 것이 통상적이다.
종래 이러한 형상을 갖는 베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취침자가 바로 누워서 사용할 경우에는 취침자의 머리가 베개의 상면에 지지되어 대략 8내지 10cm정도의 높이로 유지되지만, 취침자가 옆으로 누울 경우에는 베개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베개를 옆으로 세워서 취침자의 머리를 받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베개는 그 구조상, 그 높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취침자의 머리를 높게 받쳐주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베개의 형상이 변형될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취침자에게도 불편함을 주어 취침자가 숙면을 취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바로누워 취침할 경우 또는 옆으로 누워서 취침할 경우에 따라 취침자의 머리를 적절한 높이로 받쳐줌으로써 취침자가 취침하는 동안 깨지 않고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하는 높이 조절형 베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의 두께로 그 상면에 평평한 면을 가지며, 그 중간이 탄력적으로 하방 절곡될 수 있는 머리받침부; 상기 머리받침부의 양끝단에 상기 머리받침부와 동일한 두께로 하방 절곡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의 하면에 위치됨과 동시에 그 끝단이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머리받침부의 중간 직하방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끝단을 서로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베개를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베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베개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사용자가 바로 누운 경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베개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사용자가 옆으로 누운 경우를 도시한 측면도.
*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설명 *
100:베개 110:머리 받침부
120:절곡부 122:공간부
130:고무밴드 200:취침자 머리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형 베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베개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베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베개(100)는 취침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부(110)와, 머리받침부(110)의 양측에서 하방 절곡되는 절곡부(120)와, 절곡부(120)의 자유단을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즉 고무밴드(130)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베개(100)의 형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베개(100)의 머리받침부(110)는 대략 8내지 10cm의 두께로 그 상면에 평평한 면을 가지고 있으며,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베개(100)의 머리받침부(110)는 취침자의 머리가 닿는 부분으로, 쿠션을 갖도록 형성하여 취침자에게 안락함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개(100)의 절곡부(120)는 머리받침부(110)의 양끝단으로부터 일체로 절곡형성되는 부분으로, 머리받침부(110)의 직하방에 절첩되어 있다. 베개(100)의 절곡부(120)의 끝단, 즉 자유단은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 위치되어 있으며, 절곡부(120)의 끝단과 끝단 사이, 즉 머리받침부(110)의 직하방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공간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절곡부(120)는 머리받침부(110)와 동일한 두께로, 일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밴드(130)는 상기 절곡부(120)의 끝단을 서로 탄력적으로 연결하여 머리 받침부(110)의 상면을 약간 볼록하게 하는 역할, 즉 머리받침부(110)에 탄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머리받침부(110)와 절곡부(120) 사이에는 부착수단으로써 부직포(14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형 베개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침자가 바로누워 취침할 경우에는, 취침자의 머리(200)가 베개의 머리받침부(110)의 중간에 위치되며, 이때 머리(200)의 하중으로인하여 베개(100)의 머리받침부(110)의 중간이 고무밴드(13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방으로 눌려지게 된다. 베개(100)의 머리받침부(110)의 중간부분이 하방으로 눌려짐에 따라 취침자의 머리(200)가 대략 8내지 10cm정도로 받쳐지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침자가 옆으로 누워 취침할 경우에는 바로 누울 경우 보다 취침자의 머리(200)가 높게 위치되는 바, 취침자가 바로 누운 상태에서, 몸을 옆으로 돌리면 취침자의 머리(200)가 자동적으로 베개(100)의 머리받침부(110)의 중간부분이 아닌 양측부분에 위치된다.
취침자의 머리(200)가 베개(100)의 머리받침부(110)의 양측부분으로 이동됨에 따라 머리받침부(110)의 중간부분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원상태로 복원되고 이와 동시에 취침자의 머리(200)는 머리받침부(110)의 양측부분에 의해서 지지된다. 취침자의 머리(200)가 대략 16내지 20cm정도의 높이로 받쳐지게 되어 취침자에게 최상의 편안함을 주게 되고 이에 따라 취침자는 잠을 깨지 않고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바로누워 취침할 경우 또는 옆으로 누워서 취침할 경우에 따라 취침자의 머리를 적절한 높이, 예를 들면 바로 누울 경우 8내지 10cm, 옆으로 누울 경우 16내지 20cm의 높이로 취침자의 머리를 받쳐줌으로써 취침자가 취침하는 동안 깨지 않고 편안하게 숙면을 취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소정의 두께로 그 상면에 평평한 면을 가지며, 그 중간이 탄력적으로 하방 절곡될 수 있는 머리받침부(110);
    상기 머리받침부(110)의 양끝단에 상기 머리받침부(110)와 동일한 두께로 하방 절곡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110)의 하면에 위치됨과 동시에 그 끝단이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머리받침부(110)의 중간 직하방에 공간부(122)를 형성하는 절곡부(120); 및
    상기 절곡부(120)의 끝단을 서로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30)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형 베개.
KR2019990008443U 1999-05-13 1999-05-13 높이조절형베개 KR199900337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443U KR19990033738U (ko) 1999-05-13 1999-05-13 높이조절형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443U KR19990033738U (ko) 1999-05-13 1999-05-13 높이조절형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738U true KR19990033738U (ko) 1999-08-16

Family

ID=54756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443U KR19990033738U (ko) 1999-05-13 1999-05-13 높이조절형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73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7922A (en) Pillow apparatus
US5272780A (en) Infant support pillow
US5878453A (en) Leg support pillow
US5054143A (en) Anti-wrinkle pillow
US20030000019A1 (en) Hair style pillow
KR19990033738U (ko) 높이조절형베개
JP3119790U (ja) 健康安眠整体枕
KR200440193Y1 (ko) 통풍 구멍을 구비한 쿠션
KR102152190B1 (ko) 기능성 베개
JP2952847B2 (ja) 健康クッション
CN114010432A (zh) 一种用于婴儿头型管理的可调节枕头及婴儿鸟巢
KR200237761Y1 (ko) 베개
KR200445461Y1 (ko)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성 2단 베개
JP3246400U (ja) 枕付きベッド
JP3047525U (ja) 寝具用補助装置
KR200421926Y1 (ko) 기능성 어깨.등베개
CN220089064U (zh) 一种哺乳睡眠用枕垫
CN213587916U (zh) 一种床垫及床组件
JP2019136234A (ja) 敷布団
CN219020749U (zh) 一种多功能颈椎枕
KR200430097Y1 (ko) 접는 등받이 베개
KR200233438Y1 (ko) 베개
KR102567225B1 (ko) 인체공학적 구조의 베개
CN213157226U (zh) 基于组装式医用翻身垫
KR200228883Y1 (ko) 침대용 헤드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